맨위로가기

김용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용옥은 대한민국의 철학자, 사상가, 언론인, 한의사, 연출가, 시나리오 작가 등 다방면에서 활동한 인물이다. 고려대학교에서 철학을 전공하고, 대만과 일본에서 유학하며 철학 석사 학위를, 미국 하버드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원광대학교에서 한의학 학위를 취득한 후, 고려대학교 교수, 언론인, 방송인 등으로 활동하며 동서양 철학, 종교, 역사,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저술과 강연을 펼쳤다. 그는 기 철학, 비판적 지성, 역사 인식 등 다양한 사상적 관점을 제시했으며, 일부 발언으로 인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천대학교 교수 - 김원일 (소설가)
    김원일은 한국 전쟁과 분단의 아픔을 주요 모티프로 작품 활동을 하는 소설가로,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 사회의 고통과 갈등을 섬세하게 묘사하며 '분단 문학'의 대표 작가로 인정받았고, 여러 문학상 수상 및 다양한 활동을 통해 한국 문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순천대학교 교수 - 장만채
    장만채는 순천대학교 교수와 총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교육자이자 정치인으로, 전라남도교육감 퇴임 후 더불어민주당에서 활동하다가 새로운미래에 합류하며 정치 활동을 재개했다.
  • 대한민국의 문학자 - 현상윤
    현상윤은 일제강점기 교육자, 사상가, 작가로서 3·1 운동에 참여하고 광복 후 고려대학교 초대 총장을 역임했으나, 한국 전쟁 중 납북되었으며 친일 행적으로 논란이 된 인물이다.
  • 대한민국의 문학자 - 정형근
    대한민국의 검사 출신 정치인인 정형근은 서울대 법학과 졸업 후 검사, 안기부 대공수사국장을 역임하고 신한국당에 입당하여 제15대, 16대, 17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국회의원 시절 북한 및 종북 세력 비판, 안보 강연 활동, 국가정보원 인사 문제 폭로, 송두율 간첩 의혹 제기 등 논란의 중심에 섰고 안기부 재직 시절 고문 의혹, 국회의원 시절 사생활 논란 등 여러 의혹에 휩싸였다.
김용옥 - [인물]에 관한 문서
도올 김용옥
2011년 10월 26일 광화문 광장에서 김용옥
기본 정보
본명김용옥
한글 이름김용옥
한자 이름金容沃
로마자 표기Gim Yong-ok
도올
한글 호도올
한자 호檮杌
로마자 표기 (호)Do-ol
출생일1948년 6월 14일
출생지천안시
국적대한민국
학력
고등학교서울 보성고등학교
학사고려대학교 철학 학사
석사국립 타이완 대학 철학 석사
석사 (2)일본 도쿄 대학 철학 석사
박사미국 하버드 대학교 철학 박사
학사 (2)원광대학교 한의학 학사
경력
직업철학자, 작가, 예술가, 한의사, 언론인, 대학 교수
소속순천대학교 석좌교수
세명대학교 석좌교수
한신대학교 석좌교수
활동 기간1984년 ~ 현재
가족
배우자최영애
자녀장녀 김승중, 장남 김일중, 차녀 김미루
기타 정보
웹사이트도올은 어떤 사람인가

2. 생애

김용옥은 대학교수, 철학자, 사상가, 언론인, 한의사, 연출가, 시나리오 작가, 희곡 작가, 극단 단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다. 동서양 철학과 종교사상까지 폭넓게 연구하고 저술 활동을 펼쳤다.

1986년 "한국의 오늘을 사는 한 지성인의 양심선언"을 발표하고 고려대학교 교수직을 사퇴한 후, 1988년부터 방송 강연을 시작했다.

1989년 한국사상사연구소를 설립하여 《삼국유사인득》을 출간했고, 1993년 도올서원을 세워 후학 양성에 힘썼다. 한의학을 공부한 후 도올한의원을 열어 2년간 진료하기도 했다. 중앙일보에 《도올고함》, 중앙선데이에 《도올의 도마복음 이야기》를 연재하는 등 언론인으로도 활동했다.

2. 1. 초기 생애 및 학력

김용옥은 1948년 6월 14일 천안시에서 태어났다.[2] 천안 대흥동에서 광제의원을 운영한 집안의 6남매 중 막내로 자랐다. 천안제3국민학교, 보성중학교, 보성고등학교(55회)를 졸업했다. 고려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하였고, 한국신학대학교 신학과에서 수학한 후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1972년 9월 중화민국으로 가서 국립 타이완 대학 철학연구소에서 2년간 수학하면서 〈노자 "자연" 철학에서의 "무위" 의 기능(老子「自然」哲學中「無爲」之功能)〉이라는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1974년 일본으로 가서 1977년까지 도쿄 대학 대학원 중국철학과에서 수학하며 〈왕선산의 동론(王船山の動論)〉이라는 논문을 발표하며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77년에 미국으로 가서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동방학과 대학원과 하버드 대학교 동아시아어문학과 대학원에서 수학하였는데, 하버드에서 〈왕부지의 철학, The Philosophy of Wang Fu-chih(1616~1692)〉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1990년에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에 입학하여 한의학사 학위도 취득하였다.[10]

학력은 다음과 같다.

학교학위논문 제목
천안제3국민학교졸업
보성중학교졸업
보성고등학교 (55회)졸업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학사버트란드 럿셀의 논리원자주의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대학원
국립 타이완 대학 철학연구소철학석사노자 "자연" 철학중 "무위" 지공능(老子「自然」哲學中「無爲」之功能)
도쿄 대학 대학원 중국철학과연구생
도쿄 대학 대학원 중국철학과철학석사왕선산의 동론(王船山の動論)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동방학과 대학원
하버드 대학교 동아시아어문학과철학박사왕부지의 철학, The Philosophy of Wang Fu-chich(1616~1692)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한의학사


2. 2. 학문 및 교육 활동

김용옥은 대학교수, 철학자, 사상가, 언론인, 한의사, 연출가, 시나리오 작가, 희곡 작가, 극단 단원 등 다양한 정체성으로 활동하였다. 동서양 철학과 종교사상까지 다양한 학문적 탐구와 저작 활동을 벌였다. 1982년 9월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부교수가 되고 1985년 9월에는 동대학의 정교수가 되었다. 1986년 양심선언("한국의 오늘을 사는 한 지성인의 양심선언")을 하며 고려대학교 교수직을 사퇴한 후 여러 대학에서 철학과 문학 등을 강의했다. 1988년 무렵부터 방송 강연에 출강하였다.[10] 고려대학교에서 동양 고전학을 가르치기도 하였으며, KBS TV에서 고전 도교(노자), 논어, 선불교(금강경)에 대한 현대적인 해석을 강의하기도 했다.[3]

1982년부터 1986년까지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철학과 부교수, 정교수를 역임했고, 1996년에는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연구교수, 용인대학교 무도대학 유도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1997년에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초빙교수,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대우교수를 지냈고, 1998년에는 보스턴 뉴잉글랜드 복잡계연구소 철학분과 디렉터를 역임했다. 2002년부터 2004년까지 문화일보 기자로 활동했고, 2003년에는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객원교수, 중앙대학교 교양학부 강사를 역임했다. 2005년에는 국립순천대학교 인문학부 석좌교수, 2007년에는 세명대학교 석좌교수를 지냈으며,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중앙일보 기자로 활동했다. 2013년부터 한신대학교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다.

그는 문화계에서도 다양한 활동을 했다. 1984년 3월부터 1987년 12월까지 악서고회(樂書孤會)라는 모임을 만들어 국악을 콘템포러리 뮤직으로 승화시키는 다양한 기초작업을 하였다. 한국의 전통음악을 이끄는 대표적 주자, 백대웅, 김혜숙, 박범훈, 송방송, 이성천, 권오성, 최종민, 이보형, 양승희 등이 참여했다. 이후 한대수와 록 콘서트를 가지기도 했다. 1988년 6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도도회(檮濤會)라는 모임을 만들어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한국화 교수들과 그 대학 출신 화가들(이종상, 김병종, 김호득, 장상의, 심현희, 장혜용, 이민주 등)과 정기적인 활동을 했다.

1986년 8월, 영화와 연극활동으로 대중의 사랑을 받는 마당극으로 유명한 극단 미추를 손진책, 김성녀와 함께 창단하여 전통과 현대를 접목시키는 많은 연극 작업을 했다. 《시간의 그림자》, 《그 불》등을 직접 연출하기도 했다. 1987년에는 잠시 영화인 심포지움을 만들어 유현목, 김수용, 임권택, 이장호, 김호선, 하명중, 정지영, 박광수, 이두용, 황기성 등과 활동했다. 이후 임권택의 《장군의 아들》, 《개벽》, 《취화선》의 대본을 썼고, 특히 《취화선》은 2002년 55회 깐느영화제 감독상을 획득하였으며 《개벽》에서 타이틀롤를 맡은 이덕화는 본인(김용옥)이 진행자로 활동 중인 KBS 2TV 《도올학당 수다승철》에 게스트로[11] 출연했다. 《취화선》과 《왕의 남자》의 자막은 직접 영역했다.

1984년 3월부터 1990년 2월까지 유기화학자 김용준과 함께 신과학운동 세미나를 주도하고, 대우재단지원 과학사상연구회(科學思想硏究會)를 설립했다. 한국의 대표적인 과학자, 과학사상가들(조순탁, 이성범, 장회익, 김두철, 서정선, 신중섭, 이봉재 등)이 참여했으며 이후 꾸준히 과학과 철학이라는 학술지를 출간했다.

1989년에는 한국사상사연구소(Korean Institute of Classical Studies)를 세워 한국고전 최초의 일자색인인 《삼국유사인득》을 출간했다. 이 작업은 후에 제자 김현 교수의 방대한 《조선왕조실록》 전체 한글번역 프로그램인 CD-ROM작업으로 이어져 한국학의 신기원을 세웠을 뿐 아니라, 한류의 원류인 사극 드라마들의 희곡작업의 근간을 이루었다. 1993년에는 도올서원을 세워 15기에 걸쳐 3,000여 명의 학생을 배출해 한학의 배경을 가진 우수한 인재들이 이 사회에서 활약하도록 만들었다. 그리고 민족문화추진회의 한국고전국역사업을 지원하였고, 그 기관은 이후 한국고전번역원으로 승격되었다.

1989년에는 태권도철학세미나를 개최하여 무술의 본질과 태권도문화의 세계화를 논하였다. 유병관, 양진방, 김영선, 김용범, 최의정, 임신자, 바비 클레이튼(Bobby Clayton), 스티븐 카프너(Steven D. Capener) 등이 참여했고 이 세미나의 결과물로 《태권도철학의 구성원리》를 집필, 출간했다. 이 작업의 정신과 성과는 이후 무주 태권도공원으로 이어졌다.

한의대 졸업 후 도올한의원을 개원하여 2년간 활동하기도 하였다. 또 언론인으로 활동하기도 했는데 중앙일보에는 《도올고함(檮杌孤喊)》이라는 칼럼을, 중앙선데이에는 《도올의 도마복음 이야기》(신발굴 성서자료)를 연재하였다.

김용옥은 고려대학교에서 생물학을 전공하였고, 한국신학대학교 신학과에서 수학한 후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국립 타이완 대학 철학연구소에서 〈노자 "자연" 철학에서의 "무위" 의 기능(老子「自然」哲學中「無爲」之功能)〉이라는 논문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도쿄 대학 대학원 중국철학과에서 〈왕선산의 동론(王船山の動論)〉이라는 논문을 발표하며 석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하버드 대학교에서 〈왕부지의 철학, The Philosophy of Wang Fu-chih(1616~1692)〉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에 입학하여 한의학사학위도 취득하였다.[10]

2. 3. 문화 예술 활동

김용옥은 문화계에서도 여러 활동을 했다. 1984년 3월부터 1987년 12월까지 악서고회(樂書孤會)라는 모임을 만들어 국악을 콘템포러리 뮤직으로 승화시키는 다양한 기초작업을 했다. 이 모임에는 백대웅, 김혜숙, 박범훈, 송방송, 이성천, 권오성, 최종민, 이보형, 양승희 등 한국 전통음악의 대표적 주자들이 참여했다. 이후 한대수와 록 콘서트를 열기도 했다. 1988년 6월부터 1999년 6월까지는 도도회(檮濤會)라는 모임을 만들어 이종상, 김병종, 김호득, 장상의, 심현희, 장혜용, 이민주 등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한국화 교수 및 출신 화가들과 정기적인 활동을 했다.

1986년 8월에는 손진책, 김성녀와 함께 대중에게 사랑받는 마당극으로 유명한 극단 미추를 창단하여 전통과 현대를 접목시키는 많은 연극 작업을 했다. 《시간의 그림자》, 《그 불》 등을 직접 연출하기도 했다. 1987년에는 영화인 심포지움을 만들어 유현목, 김수용, 임권택, 이장호, 김호선, 하명중, 정지영, 박광수, 이두용, 황기성 등과 활동했다. 이후 임권택의 《장군의 아들》, 《개벽》, 《취화선》의 대본을 썼다. 특히 《취화선》은 2002년 제55회 깐느영화제에서 감독상을 받았으며, 《개벽》에서 주연을 맡은 이덕화는 김용옥이 진행자로 활동한 KBS 2TV 《도올학당 수다승철》에 게스트로 출연했다.[11]취화선》과 《왕의 남자》의 자막은 김용옥이 직접 번역했다.

연도제목역할비고
2002취화선 (Painted Fire)각본
2016고구려 [8]감독다큐멘터리 영화


2. 4. 언론 및 방송 활동

김용옥은 대학교수, 철학자, 사상가, 언론인, 한의사, 연출가, 시나리오 작가, 희곡 작가, 극단 단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였다. 1988년 무렵부터 방송 강연에 출연하기 시작했다.

1994년 MBC 《이야기쇼 만남, 공부란 무엇인가》, 1997년 SBS 《명의 특강, 건강하십니까》 등에 출연하였다. 1999년부터 2000년까지 EBS에서 《노자와 21세기》(56회)를 진행했고, 2000년부터 2001년까지 KBS에서 《도올의 논어이야기》(64회)를 진행했다. 2002년에는 EBS에서 《도올, 인도를 만나다》(28회)를, 2004년에는 MBC에서 《도올특강, 우리는 누구인가》(26회)를 진행했다.

2006년 광주MBC에서 《도올특강 역사를 말한다》(6회)를, EBS에서 《논술세대를 위한 철학교실》(50회)을 진행했다. 2009년에는 광주MBC에서 《도올특강 논어이야기》를, 2011년부터 EBS에서 《중용, 인간의 맛》(36회)을 진행했다. 2016년에는 JTBC에서 《차이나는 도올》을, 2018년에는 MBC에서 《도올스톱》을 진행했다. 2020년에는 KBS에서 《도올학당 수다승철》(13회)을 진행했다.[11]

2004년부터 2005년까지 EBS에서 《도올이 본 한국독립운동사》(10회)를 연출 및 진행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2004년 MBC 《아주특별한 아침 - 도올 김용옥, 랩 가수 데뷔?》, 2007년 KBS1 《단박인터뷰》, 2007년 KBS 스페셜 《남북정상회담 특별기획 도올의 평양이야기》, 2007년 MBC 《국민이 원하는 대통령》, 2013년 KBS 《이야기쇼 두드림》 등의 방송에 출연하였다.

언론인으로서는 중앙일보에 《도올고함(檮杌孤喊)》이라는 칼럼을, 중앙선데이에는 《도올의 도마복음 이야기》(신발굴 성서자료)를 연재하였다.

연도제목방송사역할비고
1994이야기 쇼 만남: 배움이란 무엇인가?MBC강사1회
1997특별 강연: 안녕하십니까?SBS1회
1999년 11월 - 2000년 2월노자와 21세기EBS56회
2000년 10월 - 2001년 5월도올의 논어 이야기KBS64회
2002년 8월 - 11월도올, 인도로 들어가다EBS28회
2004년 1월 - 5월특별 한국철학 강좌, 우리는 누구인가MBC26회
2004년 9월특별 아침 강좌: 도올 김용옥, 래퍼 데뷔?1회
2006년 1월 - 5월특별 강연: 역사 담론광주MBC6회
2007년 7월작별 인터뷰: 도올 김용옥KBS11회
2007년 10월KBS 스페셜: 남북 정상 회담 특별 기획KBS21회
2007년 12월국민이 원하는 대통령MBC1회
2011년 11월 - 2012년 1월특별 강연: '중용, 인간의 맛'EBS36회
2013이야기 쇼: 두근두근KBS11회
2016년 2월 - 4월특별 강연: 중국은 도올이다JTBC12회
2018특별 강연: 도올 멈춤MBC1회
2019년 1월 - 3월특별 토크쇼: 도올아인 오방간다KBS1강사
배우 유아인과 공동 진행[6]
12회
2020년 3월특별 토크쇼: 도올 학교 수다 성철KBS2강사
가수 이승철과 공동 진행[7]
12회



연도제목방송사역할비고
2004년 12월 - 2005년 8월돌의 한국 독립운동EBS연출, 진행10부작


3. 주요 사상 및 관점

김용옥은 여러 저서를 통해 자신의 독자적인 철학 사상을 구축하고 발전시켜왔다. 특히 기(氣) 철학과 역사 인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자신만의 관점을 제시했다.

3. 1. 기(氣) 철학

김용옥은 여러 저서를 통해 자신의 기(氣) 철학을 발전시켰다. 1990년에는 《백두산신곡-기철학의 구조》, 《독기학설》, 《태권도철학의 구성원리》를 출간하여 기 철학의 기본 구조와 개념을 제시했다. 1992년에는 《삼국유사인득》, 《기철학산조》를 통해 기 철학을 심화하고, 1994년 《삼국통일과 한국통일(상·하)에서 역사적 맥락에서 기 철학을 조명했다. 2004년에는 《혜강 최한기와 유교》, 《삼봉 정도전의 건국철학》, 《도올심득 동경대전(1)을 통해 조선시대 사상가들의 철학과 기 철학의 연관성을 탐구했다.

3. 2. 역사 인식

2005년 김용옥이 제작한 EBS 10부작 "한국독립운동사"에서 도산 안창호의 중국 지린(吉林) 강연회에서 김일성이 안창호에게 ‘민족개조론’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질문을 하자 “안창호는 조금 전까지 일사천리로 펼쳐나가던 강연을 성급하게 마무리 짓고 연탁 앞에서 황황히 물러섰다”고 김일성의 회고록에 기재된 내용의 전체를 소개하며 어린 학생의 질문에 안창호가 성급하게 나갔다는 것은 과장일 것이라고 했다. 하지만 전체적인 내용은 사실로 보여진다고 말했다. 이 일화는 명확한 증거가 없기 때문에 과장 또는 왜곡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심지어 사실일 가능성 조차 있지만 명확한 것은 아직 없다.[17]

4. 논란

김용옥은 여러 차례 논란의 중심에 섰다. 2002년 10월 방송 강연 중 춘성 스님의 육두문자를 인용하여 논란이 되었고,[12] 한국전쟁 관련 발언으로도 논란이 되었다.[13][14][15][16] 또한 도올아인 오방간다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에 대한 발언으로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를 당하기도 했다.[5]

4. 1. 춘성 스님 육두문자 인용 논란

2002년 10월 당시 방송 강연 중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선승 춘성 스님의 육두 문자 발언을 방송에 인용하여 화제가 되기도 했다.[12] 이때 방송 강연에서 그는 춘성 스님의 욕설과 육두문자를 그대로 전하여 논란이 되었다.

4. 2. 한국전쟁 관련 발언 논란

김용옥은 광주에서 열린 자신의 강의에서 6.25에 대해 "서울까지 단숨에 내려온 부대는 인민군이 아니라 중국 내전에서 갈고 닦은 조선의용군 10만 명"이라며 "남침이지만 남침이라 표현할 수 없다. 남침을 유도한 남한 사회의 구조가 있다"고 말했다.[13][14] 그는 "최고 원흉은 일본. 다음은 미국"이라며 "한국전쟁은 남침, 북침이 아니라 일본 제국주의 역사와 미국 제국주의 역사가 조선에서 만든 악랄한 죄악"이라고 주장했다.[15][16]

4. 3. 이승만 전 대통령 명예훼손 논란

2019년 6월, 김용옥은 자신의 토크쇼인 《도올아인 오방간다》에서 이승만 전 대통령을 미국소련의 꼭두각시이며, 분단과 제주 4.3 사건 당시 제주도 민간인 집단 학살의 책임자라고 발언했다. 이로 인해 이승만 전 대통령의 가족에게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당했다.[5]

5. 저술

김용옥 저술 목록
분야제목출판사출판년도비고
동양학《東洋學 어떻게 할 것인가》통나무1985
철학《절차탁마 대기만성》통나무1987
도덕경《老子哲學 이것이다》(上)통나무1989
도덕경《老子-길과 얻음》통나무1989
불교《나는 佛敎를 이렇게 본다》통나무1989
논문《도올논문집》통나무1991
불교《話頭, 혜능과 셰익스피어》통나무1998
금강경《도올 김용옥의 금강경 강해》통나무1999
논어《도올 논어》(1·2·3)통나무2000(1권), 2001(2·3권)
도덕경《노자와 21세기》(1·2·3)통나무1999(1권), 2000(2·3권)
중용《檮杌先生 中庸講義》(上)통나무1995
논어《논어한글역주》(1·2·3)통나무2008
효경《효경한글역주》통나무2009
대학《대학·학기 한글역주》통나무2009
중용《중용 한글역주》통나무2010
중용《중용, 인간의 맛》통나무2011
맹자《맹자, 사람의 길》통나무2012
반야심경《스무살, 반야심경에 미치다》통나무2019ISBN 9788982641398
기철학《白頭山神曲-氣哲學의 構造》통나무1990
기철학《讀氣學說》통나무1990
태권도《태권도철학의 구성원리》통나무1990
역사《三國遺事引得》통나무1992
기철학《氣哲學散調》통나무1992
역사《삼국통일과 한국통일》(上·下)통나무1994
역사《혜강 최한기와 유교》통나무2004
역사《삼봉 정도전의 건국철학》통나무2004
역사《도올심득 東經大全》(1)통나무2004
철학《이성의 기능》통나무1998원저: The function of Reason,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
기독교《요한복음강해》통나무2007
기독교《기독교성서의 이해》통나무2007
기독교《큐복음서》통나무2008
기독교《도올의 도마복음이야기》(1)통나무2008
기독교《도올의 도마복음한글역주》(1·2·3)통나무2010
기독교《도올의 로마서 강해》통나무2017
기독교《도올의 마가복음 강해》통나무2019
기독교《나는 예수입니다 : 도올의 예수전》통나무2020
수필《어찌 묻힌단 말 있으리오》통나무1986
예술《아름다움과 추함》통나무1987
수필《이땅에서 살자꾸나》통나무1987
문학《새춘향뎐》통나무1987
시나리오《장군의 아들》통나무1990
예술《石濤畵論》통나무1992
역사《天命·開闢》통나무1994
한의학《너와 나의 한의학》통나무1993
한의학《醫山問答-기옹은 이렇게 말했다》통나무1994
한의학《건강하세요》(Ⅰ)통나무1998
한의학《21세기 한의학을 위하여》의 제2강경희대학교 출판국2009
여성학《여자란 무엇인가》통나무1986
철학《중고생을 위한 김용옥 선생의 철학강의》통나무1986
시사《도올 金容沃의 新韓國紀 》통나무1990
시사《도올세설》통나무1990
철학《대화》통나무1991
불교《달라이라마와 도올의 만남》(1·2·3)통나무2002
시사《도올의 淸溪川 이야기》통나무2003
시사《도올의 국가비젼》통나무2004
여행《앙코르와트·월남가다》(上·下)통나무2005
기타《韓國心·台灣情》允晨文化2006譯者: 朱立熙
철학《논술과 철학 강의》(1·2)통나무2006
수필《계림수필》통나무2009
수필《사랑하지 말자》통나무2012
수필《도올의 아침놀》통나무2012
교육《도올의 교육입국론》통나무2014
중국《도올의 중국일기》(1~5)통나무2015
시사《도올, 시진핑을 말한다》통나무2016
시사《박원순과 도올, 국가를 말하다》통나무2017
시사《우린 너무 몰랐다 : 해방, 제주4·3과 여순민중항쟁》통나무2019
소설《슬픈 쥐의 윤회》통나무2019
시사《유시민과 도올 통일, 청춘을 말하다》통나무2019


6. 방송 출연

배우 유아인과 공동 진행[6]12회2020년 3월특별 토크쇼: 도올 학교 수다 성철KBS2강사
가수 이승철과 공동 진행[7]12회2004년 12월 - 2005년 8월돌의 한국 독립운동EBS연출, 진행10부작


7. 가계

부친김치수 (작고), 천안 광제의원
모친(알 수 없음)
배우자최영애,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김용준 (작고), 전 고려대학교 교수
김용균, 천안 광제의원
김용환, 전 순천향대학교 의대 교수
누나김숙희, 전 교육부 장관
누나김용주
장녀김승중
장남김일중, 국악 작곡가
차녀김미루, 작가, 미술가


참조

[1] 웹사이트 인물: 김용옥(金容沃) http://people.empas.[...] 2007-02-03
[2] 웹사이트 인물: 김용옥(金容沃) http://people.empas.[...] 2007-02-03
[3] 웹사이트 Endorsement by 'Do-ol' Kim Yong-ok http://www.san-shin.[...] 2018-12-31
[4] 웹사이트 김용옥 (金容沃) http://www.jongsu.pe[...]
[5] 웹사이트 도올 김용옥 사자 명예훼손 고소, 허위사실 용서못한다... 도올 曰 "당연히 국립묘지에서 파내야 한다" http://www.mhns.co.k[...] 2019-06-26
[6] 웹사이트 도올과 유아인의 만남, KBS '도올아인 오방간다' http://entertain.nav[...] 2018-11-28
[7] 웹사이트 "인생의 쓴맛 단맛, 철학의 달콤함" 도올학당 수다승철 제작발표회 https://entertain.na[...] 2020-03-11
[8] 웹사이트 GOGURYEO (2016) https://www.koreanfi[...] 2018-11
[9] 뉴스 도올 딸 김미루, 돼지와 104시간 '파격 누드 퍼포먼스'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1-12-04
[10] 웹사이트 김용옥 프로필 http://www.jongsu.pe[...] 2014-04-16
[11] 뉴스인용 ‘도올학당’ 이덕화 “도올 쓴 영화 ‘개벽’서 주연 맡았다” https://entertain.na[...] 뉴스엔 2020-05-26
[12] 뉴스 도올 TV 강의 육두문자 논란 https://news.naver.c[...] 한국일보
[13] 뉴스 <일문일답> EBS 다큐멘터리 연출 도올 김용옥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5-08-02
[14] 뉴스 도올 김용옥, “이제 ‘침략사’ 아닌 ‘항거사’ 써야한다”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05-08-03
[15] 뉴스 극단으로 갈린 '도올EBS다큐'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5-08-23
[16] 뉴스 도올 김용옥 "6.25를 남침이라 불러선 안돼" http://n.newswave.kr[...] 뉴스웨이브 2011-03-19
[17] 간행물 김일성 예찬에 신명 http://www.econotalk[...] 경제풍월 20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