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르는 사회적으로 합의된 관습을 통해 발전하며, 문학, 음악, 영화 등 다양한 예술 및 오락 분야의 범주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문학 장르를 분류하고 체계를 세웠으며, 제라르 제네트는 플라톤의 체계를 해석하고 수정했다. 장르는 문학 작품의 기법, 분위기, 내용, 또는 길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서사시, 비극, 희극, 소설, 수필, 시 등이 주요 문학 장르로 분류된다. 영화는 드라마, 다큐멘터리, 액션, 코미디 등 다양한 장르로 나뉘며, 음악은 클래식, 대중음악, 전통 음악 등으로 구분된다. 시각 예술에서는 특정 주제, 스타일, 또는 도상학적 특징을 가진 예술 작품 그룹을 장르로 분류하며, 수사학에서는 텍스트를 행위의 유형으로 이해한다. 하위 장르는 한 장르 내의 하위 계층이며, 마이크로 장르는 문화적 관행을 좁게 분류한 것이다.
장르 개념은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분류 체계에서 시작되었다. 플라톤은 문학을 모방 양식에 따라 드라마(극), 서사시, 서정시로 분류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 분류를 수정하여 비극, 희극, 서사시, 풍자 등으로 세분화했다.
문학 ''장르''는 문학 작품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문학 기법, 어조, 내용, 길이 등에 따라 구분된다.[8][9] 장르는 문학을 성인, 청소년, 아동으로 분류할 수 있는 연령대나, 그래픽 노블이나 그림책과 같은 형식과는 구별된다. 장르와 범주 간의 구별은 유연하며 느슨하게 정의되며, 종종 하위 그룹을 포함한다.
2. 역사
제라르 제네트는 저서 "아르키텍스트"에서 플라톤을 모방 방식에 따른 세 가지 장르, 즉 극적인 대화인 드라마, 순수 서술인 디튀람보스, 그리고 이 둘을 혼합한 서사시의 창시자로 묘사했다. 서정시는 비모방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제외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순수 서술을 제거하고, 모방 대상(우월한 대상 또는 열등한 대상)과 제시 매체(말, 몸짓, 운문)라는 두 가지 기준을 추가하여 플라톤의 체계를 수정했다.
이후 서정시는 감정을 모방하는 것으로 여겨져 고전적 체계에 통합되었고, 독일 낭만주의 문학 이론에 큰 영향을 미친 서정적, 서사적, 극적인 삼자 체계가 등장했다. 프리드리히 슐레겔은 주관적 형태(서정시), 객관적 형태(극적), 주관적-객관적 형태(서사시)라는 삼위일체를 제시하기도 했다.
중세와 르네상스 시대를 거치면서 장르 개념은 더욱 다양해지고 발전했다.
2. 1. 한국 문학의 장르
한국 문학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다양한 장르로 발전해 왔다. 고대에는 설화, 가전체, 향가 등이 주류를 이루었다. 고려 시대에는 가사, 시조, 악장 등이 등장했다. 조선 시대에는 소설, 판소리, 민요, 잡가 등이 발전했다. 현대에는 자유시, 소설, 희곡, 수필 등 다양한 장르가 공존하고 있다.
3. 문학
문학에서 가장 일반적인 장르는 (느슨한 연대순으로) 서사시, 비극,[10] 코미디, 소설, 단편 소설이다. 이들은 모두 산문이나 시 장르에 속할 수 있으며, 이는 장르가 얼마나 느슨하게 정의되는지를 보여준다. 풍자와 같은 장르는 하위 장르일 뿐만 아니라 여러 장르의 혼합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문학 장르는 작품이 구성되었던 역사적 시대의 일반적인 문화 운동에 의해서도 정의된다. 특히 장르별로 구분되는 대중 소설에서는 장르 소설이 더 일반적인 용어이다.
문학에서 장르는 무형의 분류법으로 알려져 왔으며, 이는 아이디어가 영원히 안정될 것이라는 개념을 내포한다. 서양 역사에서 장르의 가장 초기의 기록된 시스템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프랑스의 문학 이론가이자 ''아키텍스트''의 저자인 제라르 제네트는 플라톤이 세 가지 모방 장르, 즉 극적 대화, 순수 서사, 서사시 (대화와 서사의 혼합)를 만들었다고 설명한다. 서정시는 플라톤이 비모방적 모드로 제외한 네 번째이자 마지막 유형의 그리스 문학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순수 서사를 실행 가능한 모드로 제거하고, 객체가 더 우수하거나 열등할 수 있다는 것과 단어, 몸짓 또는 운율과 같은 프레젠테이션 매체 등 두 가지 추가 기준을 통해 구별함으로써 플라톤의 시스템을 수정했다.
제네트는 낭만주의 시대에 서정시가 고전 시스템에 통합되어 이제 제거된 순수 서사 모드를 대체한 과정을 설명한다. 한때 비모방으로 여겨졌던 서정시는 감정을 모방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서정적, 서사적, 극적 대화의 세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 새로운 삼분법 시스템이 되었다. 이 시스템은 "독일 낭만주의(그리고 그 너머)의 모든 문학 이론을 지배하게 되었고..."[10], 확장을 시도하거나 수정하는 수많은 시도를 보았다. 그러나 삼분법적 시스템을 확장하려는 더 야심 찬 노력은 범위와 복잡성이 증가하는 새로운 분류 시스템을 초래했다.
플라톤은 문학을 고대 그리스에서 받아들여진 세 가지 고전 장르인 시, 극, 산문으로 분류했다. 시는 다시 서사시, 서정시, 극으로 세분된다.
분류 기준으로 작품의 내용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여류 문학"처럼 작가의 특징을 기준으로 한 것도 있다. 널리 공유된 체계는 없기 때문에,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SF 영화" 등의 장르명 판단 기준이 다르거나, 여러 장르 간에 중복이 발생하기도 한다.
좁은 의미에서 문학 등에서 주제나 양식에 관련된 작품의 특성을 기준으로 작품을 분류하는 범주를 특히 장르라고 부른다. 이 의미에서는 작가의 성별이나 국적 등에 따른 분류인 "여류 문학", "라틴 아메리카 문학" 등은 "장르"가 아니다.
3. 1. 주요 문학 장르
3. 2. 장르 소설
장르 소설은 대중적인 인기를 얻는 소설 장르로, 특정한 공식이나 관습을 따르는 경우가 많다. 주요 장르 소설에는 다음이 있다.
장르 | 설명 | 예시 |
---|---|---|
로맨스 소설 | 남녀 간의 사랑을 주제로 한 소설 | 백묘의 개기면 죽는다 |
판타지 소설 | 현실에 존재하지 않는 세계나 존재를 다룬 소설 | 이영도의 드래곤 라자, 전민희의 룬의 아이들 |
SF 소설 | 과학 기술의 발전이나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한 소설 | 김보영의 당신을 기다리고 있어, 김초엽의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추리 소설 | 범죄 사건의 해결 과정을 다룬 소설 | 애거서 크리스티의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김영하의 살인자의 기억법 |
역사 소설 | 역사적 사실이나 인물을 바탕으로 허구적인 이야기를 덧붙인 소설 | 박종화의 임진왜란, 김훈의 칼의 노래 |
무협 소설 | 동양의 무술과 협객을 소재로 한 소설 | 김용의 영웅문, 좌백의 대도오 |
4. 영화
영화 장르는 영화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내용, 주제, 분위기, 제작 방식 등에 따라 구분된다. 영화의 기본 장르는 장편 영화와 대부분의 만화 영화, 다큐멘터리에서 드라마로 볼 수 있다. 특히 할리우드의 대부분의 극적인 장편 영화는 서부 영화, 전쟁 영화, 공포 영화, 로맨틱 코미디 영화, 뮤지컬 영화, 범죄 영화 등과 같은 다양한 영화 장르 목록 중 하나에 속한다.
분류 기준으로 사용되는 것은 작품인 경우가 많지만, 그 내용은 다양하다. 또한 "여류 문학"처럼 작품이 아닌 작가의 특징을 기준으로 한 것도 있다. 체계로서 널리 공유된 형태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 "SF 영화" 등의 장르명 판단 기준이 다르거나, 여러 장르 간에 중복이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더 좁은 의미로는, 문학 등에서 주제(테마)나 양식에 관련된 작품의 특성을 기준으로 작품을 분류하는 범주(카테고리)를 특히 장르라고 부른다.
영화에 대해서는, 특정 장르에 고정할 수 있는 영화는 많지 않다. 공개 당시의 판매 방식에 따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만화에서는, 아메리칸 코믹스에서는 슈퍼히어로 이외의 장르를 "글리터 장르"라고 한다.
4. 1. 주요 영화 장르
영화의 기본적인 장르는 장편 영화와 대부분의 만화 영화에 해당하는 드라마와 다큐멘터리로 간주될 수 있다. 특히 할리우드에서 제작된 대부분의 드라마 장편 영화는 서부 영화, 전쟁 영화, 공포 영화, 로맨틱 코미디 영화, 뮤지컬 영화, 범죄 영화 등과 같이 오랫동안 이어져 온 영화 장르 중 하나에 속한다. 이러한 장르들 중 다수는 설정이나 주제에 따라 하위 장르를 가지거나, 예를 들어 인도의 볼리우드 뮤지컬처럼 독특한 국가적 스타일을 가지기도 한다.4. 2. 한국 영화의 장르
한국 영화는 다양한 장르를 통해 한국 사회의 모습과 한국인의 정서를 담아내고 있다. 특히, 사극은 한국 역사와 전통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장르로 자리 잡았다. (예: 왕의 남자, 광해, 왕이 된 남자) 조폭 영화는 한국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보여주는 장르로, 특유의 폭력성과 유머가 특징이다. (예: 친구, 신세계) 분단 영화는 남북 분단의 현실과 이산가족의 아픔을 다룬 영화로, 한국 영화만의 독특한 장르라고 할 수 있다. (예: 공동경비구역 JSA, 쉬리) 최근에는 K-좀비 영화가 한국 영화의 새로운 장르로 떠오르고 있다. (예: 부산행, 킹덤)5. 음악
음악 장르는 음악을 공유된 전통이나 일련의 관습에 따라 분류하는 범주이다.[11] 이는 ''음악 형식'' 및 ''음악 스타일''과 구별되지만, 실제로는 이러한 용어들이 때때로 같은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음악은 예술적 특성 때문에 분류가 임의적이고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 있으며, 일부 장르는 서로 겹치기도 한다.
더글러스 M. 그린은 저서 ''조성 음악의 형식''에서 마드리갈, 모테트, 칸초나, 리체르카르, 춤을 르네상스 음악 시대의 장르 예시로 제시한다. 그린에 따르면 베토벤의 ''작품 61''과 멘델스존의 ''작품 64''는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장르는 같지만 형식이 다르며, 모차르트의 ''피아노 론도, K. 511''과 ''미사, K. 317''의 ''Agnus Dei''는 장르가 매우 다르지만 형식은 유사하다.[13]
몇몇 음악 학자들은 장르 기반 커뮤니티와 청취 관행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는데, 로리는 "음악 장르는 고립되고 자급자족적인 커뮤니티에 속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다양한 형태의 음악을 듣고, 광고하고, 독특한 도상학, 내러티브, 유명인 신원과 관련된 환경 사이를 끊임없이 이동하며, 이는 비음악적 세계에도 영향을 미친다"라고 주장한다.[12]
클래식 음악, 대중음악, 뮤지컬 등에는 수많은 장르가 있다. 현대 록 음악에서는 음악 스타일의 작은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이 용어가 과도하게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는 청중의 사회학적 차이를 반영하기도 한다.
5. 1. 서양 클래식 음악
서양 클래식 음악은 시대별로 바로크 음악, 고전주의 음악, 낭만주의 음악, 현대 음악 등으로 구분된다.[11] 또한, 교향곡, 협주곡, 소나타, 오페라, 실내악 등 형식에 따라서도 구분된다.[11]5. 2. 대중음악
팝, 록, 힙합, R&B, 재즈, 일렉트로닉, 발라드 등 다양한 장르가 있다. K-POP은 한국 대중음악의 한 장르로, 전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예: 방탄소년단, 블랙핑크) 트로트는 한국 특유의 대중음악 장르로, 중장년층에게 인기가 많다. (예: 나훈아, 주현미) 인디 음악은 상업적인 성공보다는 음악적 실험성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장르이다. (예: 장기하와 얼굴들, 혁오)5. 3. 전통 음악
전통 음악은 각 나라나 민족의 고유한 음악을 의미한다. 한국의 전통 음악에는 판소리, 산조, 민요, 농악, 정악 등이 있다.6. 시각 예술
시각 예술에서 "장르"라는 용어는 미술사에서 여러 의미로 사용되어 혼란을 야기하기도 한다. 우선, 장르화는 특정한 신원이 부여되지 않은 인물들을 주요 주제로 다루는 그림을 의미한다. 이들은 대개 일상생활의 장면을 묘사하며, 풍경화나 건축 그림에 등장하는 부수적인 인물인 스타파지와는 구별된다.
또한 "장르"는 정물화, 풍경화, 해양화, 동물화가와 같이 특정한 유형의 예술, 주제, 양식, 또는 도상학적 특징을 가진 작품들을 묶어 분류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6. 1. 장르의 위계
17세기와 19세기 사이에 예술 이론에서는 "장르의 위계"라는 개념이 매우 중요하게 여겨졌다. 특히 프랑스에서는 아카데믹 아트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했던 아카데미 프랑세즈|italic=no프랑스어와 관련되어 이 개념이 강하게 나타났다. 회화를 중심으로 장르를 계층적으로 배열하면 다음과 같다.순위 | 장르 | 설명 |
---|---|---|
1 | 역사화 | 서사, 종교, 신화, 우화적 주제를 포함한다. |
2 | 초상화 | |
3 | 장르화 | 일상생활의 장면을 묘사한다. |
4 | 풍경화 | 네덜란드 이론가 사무엘 판 호흐스트라텐에 따르면 풍경화가들은 "예술의 군대에서 흔한 병사"였다.[7] 도시 풍경도 포함한다. |
5 | 동물화가 | |
6 | 정물화 |
이러한 위계는 "사물의 보편적인 본질을 가시화"하려는 지적 노력을 하는 예술과 단순히 "특정 외관을 기계적으로 복사"하는 예술을 구별하는 데 기반을 두었다.[7] 르네상스 신플라톤주의 철학에 따라 이상주의가 철학적 현실주의보다 우선시되었다.
7. 기타 미디어
장르의 개념은 비디오 게임, 웹 페이지 등 예술적 요소를 가진 다른 미디어에도 적용된다. 전자 미디어 시대에 대중 문화 상품 생산량이 크게 늘면서, 소비자들은 장르별 분류를 통해 원하는 제품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추세는 인터넷을 통해 더욱 심화되었다.[1]
7. 1. 비디오 게임
비디오 게임에도 장르 개념이 적용된다. 롤플레잉 게임(RPG), 1인칭 슈팅 게임(FPS), 실시간 전략 게임(RTS), 액션 어드벤처 게임 등 다양한 장르가 있다.7. 2. 웹 페이지
전자 미디어 시대에 대중 문화 상품 생산량이 크게 늘면서, 소비자들은 장르별 분류를 통해 원하는 제품을 쉽게 찾을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인터넷을 통해 더욱 심화되었으며, 웹 페이지는 뉴스 페이지, 블로그, 쇼핑몰, 커뮤니티 등 목적과 내용에 따라 다양한 장르로 분류된다.8. 언어학
언어철학에서 장르는 철학자이자 문학 연구자인 미하일 바흐친의 저작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바흐친은 사람들이 모방하고, 엮고, 조작하는 법을 배우는 말하기 또는 쓰기의 방식인 "담화 장르"(언어 다양성)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예를 들어 "공식 서한"과 "식료품 목록", 또는 "대학교 강의"와 "개인적인 일화"와 같은 것들이 있다. 이런 의미에서 장르는 특정 문화나 공동체에 의해 (종종 비공식적으로) 인식되고 정의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특정된다. 게오르크 루카치의 연구 또한 바흐친과 거의 같은 시기(1920년대~1930년대)에 별도로 나타나면서 문학 장르의 본질에 대해 다루고 있다. 노먼 페어클러프는 텍스트의 사회적 맥락을 강조하는 비슷한 장르 개념을 가지고 있는데, 장르는 "담론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다양한 방식"이다.
텍스트의 장르는 다음을 통해 결정될 수 있다.
- 언어적 기능
- 형식적 특징
- 텍스트 구성
- 의사소통 상황과 텍스트의 형식적, 조직적 특징 간의 관계
9. 수사학
수사학에서 장르는 텍스트 유형이나 형태가 아닌 행위 유형으로 이해된다.[16] 텍스트는 장르가 수행되는 통로이다. 캐롤린 밀러[17]는 로이드 비처의 수사적 상황 개념[18]을 바탕으로, 반복되는 수사적 문제들이 반복되는 반응을 이끌어내는 경향이 있다고 보았다. 밀러는 알프레드 슈츠[19]를 인용하여 이러한 반복되는 반응들이 사회적으로 인식 가능한 유형으로 구성된다고 설명했다. 그녀는 이러한 "전형화된 수사적 행위"가 장르라고 주장한다.
밀러의 연구를 바탕으로, 찰스 바제먼은 장르를 "장르 시스템"[20]의 관점에서 분석할 것을 제안했고, 클레이 스피누치는 이와 유사한 "장르 생태계"라는 개념을 제시했다.[21] 라이프와 바와시는 장르 분석을 다양한 상황에서 사람들의 의사소통 패턴에 대한 비판적 읽기로 정의한다.[16]
이러한 이론은 미국 대학 작문 교육에 영향을 미쳤다. 데이비드 러셀은 수사적 장르 이론을 활동 이론과 결합하여, 표준 영어 작문 강좌가 학생들이 대학 안팎의 다른 맥락에서 작성할 장르를 가르치는 데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했다.[22] 엘리자베스 워들은 표준 작문 강좌가 장르를 가르치지만, 이것들은 작문 강좌 외에는 거의 쓸모없는 비진정한 "잡종 장르"라고 비판했다.[23]
수사학에서 장르는 화자가 수사적 논의의 맥락을 설정할 수 있도록 돕는 효과적인 도구이다. 데빗, 라이프, 바와시는 수사적 장르가 주제에 대한 신중한 분석과 청중을 고려하여 할당될 수 있다고 말한다.[24]
10. 하위 장르와 마이크로 장르
하위 장르는 한 장르 내의 하위 계층이다.[26][27] 같은 장르에 속하는 두 이야기라도 하위 장르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판타지 이야기에서 더 어둡고 무서운 요소를 포함하면 다크 판타지 하위 장르에 속하고, 마법 검과 마법사를 특징으로 하는 이야기는 검과 마법 하위 장르에 속한다.
마이크로장르는 문화적 관행을 매우 전문적이고 좁게 분류한 것이다. 이 용어는 21세기에 들어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가장 흔하게 음악을 지칭한다.[28] 넷플릭스와 같은 디지털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TV 프로그램 및 영화 추천에 사용되는 매우 구체적인 범주와 관련이 있으며, 때로는 다른 시대와 다른 미디어의 틈새 형태를 분석하는 학자들에 의해 더 광범위하게 사용되기도 한다.[29]
11. 참고사항
서양 역사상 가장 초기에 기록된 장르 체계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게서 찾아볼 수 있다. 제라르 제네트는 "아르키텍스트"에서 장르 역사의 해석을 설명한다. 그는 플라톤을 내용보다는 모방 방식에 따라 구분되는 세 가지 모방적, 미메시스 장르의 창시자로 묘사했다. 이 세 가지 모방적 장르는 극적인 대화인 드라마, 순수 서술인 디튀람보스, 그리고 둘을 혼합한 서사시를 포함한다. 플라톤은 서정시를 비미메시스적, 비모방적 방식으로 제외했다. 제네트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순수 서술을 실행 가능한 방식으로 제거함으로써 플라톤의 체계를 어떻게 수정했는지 더 자세히 논의했다. 그는 이 체계를 구별하기 위해 두 가지 추가 기준을 사용한다. 첫 번째 기준은 모방할 대상, 즉 우월한 대상인지 열등한 대상인지 여부이다. 두 번째 기준은 제시 매체: 말, 몸짓 또는 운문이다. 본질적으로, 모드, 객체, 매체의 세 가지 범주는 XYZ 축을 따라 시각화할 수 있다. 매체 기준을 제외하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체계는 비극, 서사시, 희극, 그리고 패러디의 네 가지 고전적 장르를 구별했다.
제네트는 제거된 순수 서술 방식을 대체하여 서정시를 고전적 체계에 통합하는 것을 설명했다. 한때 비미메시스적이라고 여겨졌던 서정시는 감정을 모방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제네트가 만들어낸 새로운, 오래 지속되는 삼자 체계의 세 번째 "아르키텍스트"가 되었는데, 이는 서정적, 혼합 서술인 서사시, 그리고 대화인 극적이다. "독일 낭만주의의 모든 문학 이론을 지배"하게 된 이 새로운 체계(제네트 38)는 수많은 확장 및 수정 시도를 겪었다. 이러한 시도에는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주관적 형태, 서정시, 객관적 형태, 극적, 그리고 주관적-객관적 형태, 서사시 삼위일체가 포함된다. 그러나 삼자 체계를 확장하려는 더 야심 찬 노력은 점점 더 복잡해지는 새로운 분류 체계를 낳았다. 제네트는 이러한 다양한 체계를 원래의 삼자 배열과 비교하며 다음과 같이 회고했다. "그 구조는 그 이후에 등장한 대부분의 체계보다 약간 우월하며, 포괄적이고 위계적인 분류법으로 근본적으로 결함이 있어 매번 즉시 게임을 멈추게 하고 교착 상태를 초래한다."
참조
[1]
사전
genre
Merriam-Webster
2022-09-22
[2]
논문
Genre
http://www.upcolorad[...]
Utah State University Press
2021-02-04
[3]
학술지
Genre as Social Action
1984
[4]
서적
Media-Based Learning Methodology: Stories, Games, and Emotions
Routledge
2015
[5]
웹사이트
Poetics
http://classics.mit.[...]
Internet Classics Archive
2021-04-27
[6]
학술지
The Origins of Genre
1976
[7]
서적
The Drama of the Portrait: Theater and Visual Culture in Early Modern Spain
https://books.google[...]
Penn State Press
2008
[8]
학술지
The Fantastic: A Structural Approach to a Literary Genre
1976
[9]
학술지
Literary Genres as Norms and Good Habit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3
[10]
서적
1983
[11]
웹사이트
Genre
https://www.oxfordmu[...]
2023-01-25
[12]
학술지
Music Genre as Method
[13]
서적
Form in Tonal Music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14]
서적
Origins of the Popular Style: The Antecedents of Twentieth-Century Popular Music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15]
학술지
Categorical Conventions in Music Discourse: Style and Genre
https://www.jstor.or[...]
2001-08
[16]
서적
Genre: An Introduction to History, Theory, Research, and Pedagogy
https://books.google[...]
Parlor Press
2023-06-11
[17]
학술지
Genre as social action
[18]
학술지
The Rhetorical Situation
[19]
서적
The Structures of the Life-World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0]
서적
Systems of Genre and the Enactment of Social Intentions
Taylor & Francis
[21]
학술지
Genre Ecologies : An Open-System Approach to Understanding and Constructing Documentation
[22]
서적
Activity theory and its implications for writing instruction
Erlbaum
[23]
학술지
"Mutt Genres" and the Goal of FYC: Can we Help Students Write the Genres of the University?
[24]
서적
Rhetorical Choices: Analyzing and Writing Arguments
Pearson
[25]
서적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The German Text, with a Revised English Translation
Blackwell
[26]
사전
subgenre
http://dictionary.re[...]
dictionary.com
[27]
웹사이트
Subgenre
http://www.thefreedi[...]
Farlex
2015-07-09
[28]
웹사이트
A Recent History of Microgenres
https://www.thefader[...]
2020-02-21
[29]
서적
The microgenre: a quick look at small culture
Bloomsbury Publi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