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추왕릉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추왕릉은 신라 제13대 왕인 미추 이사금(재위 262~284)의 무덤이다. 신라 최초의 김씨 왕으로, 백제의 공격을 막아내고 농업을 장려했다. 경주 황남동 대릉원 내에 위치하며, 높이 12.4m, 지름 56.7m의 원형 봉토무덤이다. 무덤 앞에는 혼유석이 있고, 담장으로 보호받고 있다. 죽현릉으로도 불리며, 죽엽군 전설이 전해진다. 내부 구조는 돌무지덧널무덤으로 추정되며, 숭혜전이 위치해 있다. 출토 유물로는 경주 황남동 상감 유리구슬이 있으며,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라의 왕릉 - 문무왕
문무왕은 신라의 제30대 국왕으로 삼국 통일을 완수하고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통일 신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중앙 집권 체제 강화, 불교 장려 등의 정책을 통해 신라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 군주이다. - 신라의 왕릉 - 통일신라
통일신라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668년부터 고려에 병합된 935년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며 왕권 강화와 불교 문화 번성, 해상 무역 장악 등 전성기를 누렸으나, 9세기 이후 쇠퇴하여 후삼국 시대를 거쳐 멸망한 시대를 말한다. - 경주시의 사적 - 불국사
불국사는 김대성이 부모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중창을 시작하여 신라시대에 완공된 경주시 토함산의 대표적인 사찰로, 석가탑과 다보탑 등 국보급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임진왜란 이후 복원을 거쳐 현재에 이르러 신라 불교 건축의 정수이자 한국 문화유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경주시의 사적 - 대릉원
신라시대 고분군인 대릉원은 경주 황남동 일대에 위치하며 미추왕릉, 천마총, 황남대총 등의 고분이 있고, 특히 천마총에서는 천마도가 그려진 말안장 드리개가 출토되었다.
| 미추왕릉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위치 정보 | |
| 기본 정보 | |
| 이름 | 경주 미추왕릉 |
| 로마자 표기 | Gyeongju Michuwangneung |
| 구분 | 사적 |
| 지정 번호 | 175 |
| 지정일 | 1969년 8월 27일 |
|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 89-2번지 |
| 시대 | 신라 |
| 면적 | 60,159m² |
2. 미추 이사금
신라 최초의 김씨 왕인 미추 이사금은 김알지의 후손이다. 262년부터 284년까지 신라를 다스렸으며, 농업을 장려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힘썼다. 재위 기간 동안 백제와의 잦은 전투가 있었으나, 신라의 기틀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미추왕은 김알지의 후예로 신라 최초의 김씨 왕이다. 재위 기간(262∼284) 동안 백제의 여러 차례 공격을 막아내고 농업을 장려하였다.[3] 삼국사기에는 미추왕릉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고 있는데, 유례왕 14년(297) 이서고국 사람이 수도인 금성을 공격했을 때 대나무 잎을 귀에 꽂은 군사가 나타나 적을 물리치고 사라졌다고 한다. 그 후 미추왕릉에 대나무 잎이 수북이 쌓인 것을 보고 미추왕이 죽어서도 신라를 도와주었다 하여 미추왕릉을 죽장릉(竹長陵) 또는 죽현릉(竹現陵)이라 부른다고 한다.[3]
3. 미추왕릉
3. 1. 위치와 규모
대릉원 내에 있는 둥글게 흙을 쌓아올린 원형 봉토무덤으로, 높이는 12.4m, 지름은 56.7m이다.[3] 무덤 앞에는 혼이 머무는 자리인 혼유석이 있고, 담장을 둘러 무덤 전체를 보호하고 있다.[3] 무덤 앞쪽에는 숭혜전이 있는데, 임진왜란 때 불에 탄 것을 1794년에 다시 세운 것으로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3] 내부는 돌무지덧널무덤으로 추정된다.[3]
3. 2. 구조 및 특징
높이 12.4m, 지름 56.7m의 둥근 원형 봉토무덤으로, 대릉원 내에 잘 정비되어 있다. 무덤 앞에는 혼유석(魂遊石)이 있고, 담장으로 둘러싸여 보호받고 있다. 무덤 앞쪽에는 숭혜전이 있는데,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794년에 재건하여 제사를 지내는 곳이다. 내부는 돌무지덧널무덤으로 추정된다.[3]
3. 3. 죽현릉 전설
에는 미추왕릉과 관련된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신라 유례왕 14년(297) 이서고국(伊西古國) 사람이 수도인 금성을 공격하여 위급한 상황에 처하자 대나무잎을 귀에 꽂은 군사가 나타나 적을 물리치고 사라졌다. 누군가 미추왕릉에 댓잎이 수북이 쌓인 것을 보고 미추왕이 죽어서도 신라를 도와주었다하여 미추왕릉을 죽장릉(竹長陵), 죽현릉(竹現陵)이라 부른다고 한다.[3]
이 능은 신라 제13대 미추왕(재위 262~284)을 모신 곳으로, 대나무가 병사로 변하여 적군을 물리쳤다는 전설에 따라 '죽현릉(竹現陵)'이라고도 한다. 미추왕은 김알지의 후예로 신라 최초의 김씨 왕이며, 여러 차례 백제의 공격을 막아내고 농업을 장려하였다.[3]
3. 4. 숭혜전
미추왕릉 앞에 있는 숭혜전은 미추왕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기 위한 곳이다.[3] 임진왜란 때 불에 탔으나 1794년에 다시 세워졌다.[3]
4. 출토 유물
경주 황남동 상감 유리구슬은 대한민국의 보물 제634호이다.
4. 1. 경주 황남동 상감 유리구슬
경주 황남동 상감 유리구슬은 대한민국의 보물 제634호로,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참조
[1]
웹인용
문화공보부고시제69호(사적및보호구역지정목록)
http://theme.archive[...]
1969-08-29
[2]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명칭 변경 및 지정·해제 고시
http://gwanbo.mois.g[...]
대한민국 관보
2011-07-28
[3]
문서
현지 안내문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