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실리 클류체프스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실리 클류체프스키는 러시아의 역사가로,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세르게이 솔로비요프에게 사사받고 그의 뒤를 이어 교수가 되었다. 그는 지리적, 경제적 요인을 강조하며 러시아의 역사와 민족 문제를 연구했고, 농노제와 보야르 두마에 대한 연구를 발표하여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클류체프스키는 정치적으로 전제 정치에 반대하며 입헌 민주당에 참여했고, 만년에는 강의 출판에 힘썼으나 미완성된 채로 사망했다. 그의 저서 《러시아사 강좌》는 사후에 출판되었으며, 그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기념 사업이 진행되었고, 한국에서도 그의 저작이 번역 출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르도바인 - 니콜라이 메르쿠시킨
    니콜라이 메르쿠시킨은 러시아의 정치인으로, 모르도바 공화국 대통령을 거쳐 사마라주 주지사를 역임했으며, 안정적인 경제 유지와 정시 급여 지급으로 인기를 얻었지만 반대자 출마 제한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모르도바인 - 스베틀라나 호르키나
    스베틀라나 호르키나는 이단 평행봉에서 뛰어난 기량으로 올림픽 2연패와 세계 선수권 5연패를 이룬 러시아의 전 기계체조 선수로, 은퇴 후에는 러시아 체조 연맹 부회장과 국가 두마 의원으로 활동하며 정치에도 참여했다.
  • 1911년 사망 - 게오르크 옐리네크
    게오르크 옐리네크는 독일의 법학자이자 법철학자로, 국가법인설과 국가의 자기구속설을 주장했으며, 그의 저서 《일반 국가론》과 《인권선언론》은 법학 및 정치학에 큰 영향을 미쳤고, 그의 사상은 일본의 천황기관설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1911년 사망 - 고토쿠 슈스이
    고토쿠 슈스이는 일본의 사회주의자, 무정부주의자, 언론인, 사상가로서 사회민주당 창당 참여, 러일전쟁 반대 운동 주도, 언론 활동, 무정부주의 전향, 직접행동론 주장 등의 활동을 펼치다 대역사건으로 사형당했으며, 그의 사상은 일본 사회주의, 무정부주의 운동, 문학계, 한국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1841년 출생 - 에드워드 7세
    에드워드 7세는 빅토리아 여왕의 장남으로 태어나 웨일스 공으로 오랜 기간 지내다가 1901년 영국의 국왕으로 즉위하여 외교에 힘쓰고 9년 동안 영국을 통치하다 사망했다.
  • 1841년 출생 - 귀스타브 르 봉
    귀스타브 르봉은 프랑스의 다방면 저술가로, 특히 『군중 심리』를 통해 사회심리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인류학과 물리학 분야에서도 활동했다.
바실리 클류체프스키

2. 생애와 업적

바실리 클류체프스키는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세르게이 솔로비요프에게 배우고, 1879년에 그의 뒤를 이어 교수가 되었다. 첫 주요 출판물은 솔로베츠키 수도원의 경제 활동에 관한 논문(1867년)과 중세 러시아 성인전에 관한 논문(1871년)이었다.

클류체프스키는 정치, 사회 문제에서 지리, 경제적 요인으로 관심을 돌린 최초의 러시아 역사가 중 한 명이었다. 특히 러시아의 시베리아극동 식민지화 과정에 관심이 많았다.

그의 강의는 모스크바 대학교 학생들에게 매우 인기가 있었지만, 출판된 작품은 많지 않다. 안드레이 쿠르브스키, 아파나시 오르딘-나쇼킨, 표도르 르티셰프, 바실리 갈리친, 니콜라이 노비코프 등 "대표적인 인물"의 전기가 일부 출판되었다. 1880년대에 쓴 러시아 역사 강의는 1900년대와 1910년대에 출판되었다.[1]

막심 고리키레프 톨스토이의 말을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2]

> 카람진은 차르를 위해 글을 썼고, 솔로비요프는 길고 지루하게 글을 썼으며, 클류체프스키는 자신의 즐거움을 위해 글을 썼다.

종교 조직, 경제, 문화가 사회 속에서 상호 작용하는 것을 포괄적으로 고찰하고, 국민 각 계층의 투쟁을 사료를 통해 추적했다. 당시 러시아 사학계의 주류였던 정치사, 법제사 중시 경향에서 벗어나 지리 환경과 경제 생활을 역사의 소재로 삼은 점이 주목할 만하다.

미하일 포크롭스키를 비롯한 마르크스주의 유물 사관에 기초한 소비에트 사학에서는 "치체린과 솔로비요프를 합쳐놓은 절충 이론", "부르주아 사관"으로 평가 절하되기도 했다. 그러나 스탈린 격하 운동 이후 복권되어, 제정기 역사가 중 가장 먼저 『저작집』 전 8권(1956-59년)이 간행되었다.

2. 1. 초기 생애

볼가강 유역 펜자주의 성직자 가정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대에 처음으로 클류체프스키라는 성을 사용했다. 15세에 펜자 신학교를 졸업하고 성직자의 길을 포기, 모스크바 대학교 역사·문학부에 입학했다.[1]

대학 입학 이전부터 역사가를 목표로 하는 확고한 뜻을 품고 있었다.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역사학 교수 세르게이 솔로비요프의 영향을 받았다. 1865년에 대학을 졸업하고, 1867년부터 여러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다.[1]

2. 2. 학문적 활동

클류체프스키는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세르게이 솔로비요프에게 배우고, 1879년에 그의 뒤를 이어 교수가 되었다. 1867년부터 여러 학교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1872년에는 《역사 자료로서의 고대 루스 성자전》을 발표하여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1879년 모스크바 대학교 러시아사 담당 부교수가 되었고, 1882년에는 보야르 두마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를 발표하여 사회 각 계층의 협력으로 국가를 보는 관점을 제시했다. 1886년, 논문 《모스크바 제국에 관한 외국인의 보고》를 통해 학자로서의 지위를 확립했다.[1]

클류체프스키는 지리적 환경과 경제 생활을 역사의 주요 소재로 삼은 선구적인 역사가였다. 특히 러시아의 시베리아극동 식민지화 과정에 관심을 기울였다. 1870년대부터 "농민 문제"에 대한 관심으로 "농노제" 연구에 몰두했다. 1889년에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1]

그는 동슬라브 역사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을 공식화하여 러시아 국가와 두 개의 분파로 구성된 "민족"(대러시아인소러시아인)으로 정의했다.[1]

2. 3. 정치 활동

클류체프스키는 전제 정치에 반대하는 중도 자유주의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1905년 결성된 입헌 민주당(카데트)에 참여했다.[2] 제1차 국회(두마)에 입후보했으나 낙선했다.

1880년대에는 대학 자치가 크게 제한되고 많은 교수들이 직에서 쫓겨났으며, 만년에는 1905년 제1차 러시아 혁명을 경험했다. 이러한 경험은 『러시아사 강좌』 제3권에서 보리스 고두노프와 17세기 러시아의 대혼란을 다룰 때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2. 4. 만년

클류체프스키는 1880년대에 대학 자치가 대폭 제한되고 많은 교수들이 직에서 쫓겨나는 어려운 시기를 보냈다. 만년에는 1905년제1차 러시아 혁명을 목격했다. 그는 자신의 주저인 《러시아사 강좌》 제3권에서 보리스 고두노프와 17세기 러시아의 대혼란을 다룰 때 이 혁명의 체험을 투영한 것으로 보인다.[1]

그의 생애 마지막 10년은 자신의 강의를 출판하기 위해 노력하는 데 사용되었다. 1911년 주저인 『러시아사 강좌』 제5권의 보필이 미완성인 채로 사망했다.[1]

3. 주요 저작


  • Соловецкого монастыря хозяйственн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Беломорском краеru (백해 지역에서의 솔로베츠키 수도원의 경제적 활동), 1866-67년
  • Боярская дума Древней Русиru (고대 루스의 귀족 회의), 1878년
  • Русский рубль XVI-XVIII вв. в его отношении к нынешнемуru (16~18세기의 러시아 루블과 현재 루블과의 관계), 1884년
  • Происхождение крепостного права в Россииru (러시아 농노제의 기원), 1885년
  • Подушная подать и отмена холопства в Россииru (러시아의 인두세와 노예 계층의 폐지), 1886년
  • 「사료학 강의」, 「러시아사의 술어」, 「러시아의 여러 신분의 역사」, 「루스 법전」, 「프스코프 재판법」, 1880-1890년대 강의
  • Курс русской историиru (러시아사 강화), 총 5권, 1904-22년

4. 사후 평가 및 기념

바실리 클류체프스키는 지리적, 경제적 요인을 중시하고 사회 각 계층의 투쟁을 사료를 통해 추적한 선구적인 역사학자로 평가받는다. 그의 농노제 연구와 《러시아사 강좌》는 여전히 러시아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클류체프스키와 관련된 여러 기념 사업들이 진행되었다.

연도내용
1966년펜자의 포포프카 거리가 클류체프스코고 거리로 개명됨.[1]
1991년스미소니언 천체물리 관측소가 소행성 4560번을 바실리 클류체프스키의 이름을 따서 명명함.[2]
1991년펜자 클류체프스코고 거리 66번지에 바실리 클류체프스키 역사 박물관 개관.[3]
1991년보스크레세노프카 마을의 한 학교 부지에 흉상과 기념패 설치.[4]
1994년러시아 과학 아카데미에서 러시아 역사 분야의 연구를 위해 바실리 클류체프스키 상 제정.[5]
2008년펜자에 바실리 클류체프스키 기념비 건립.[6]
2016년펜자 제28 중등학교가 바실리 클류체프스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7]
2018년펜자 주립 대학교 치과대학 건물에 기념패 설치.[8]
1991년소련에서 클류체프스키 기념 우표 발행.[9]
2011년러시아 우체국에서 클류체프스키 기념비와 펜자 집 박물관을 묘사한 엽서, 우편 봉투, 특별 소인 발행.[10]
2016년러시아 우체국에서 우표, 우편 봉투, 3개의 특별 소인 발행.[11]


4. 1. 소련 시기

러시아 혁명 이후, 미하일 포크롭스키를 비롯한 마르크스주의 유물 사관에 기초한 <소비에트 사학>에서는 "치체린에 솔로비요프를 합쳐놓은 절충 이론", "부르주아 사관"으로 제대로 된 취급을 받지 못했다. 스탈린 격하 운동 후에 복권되어, 제정 시대 역사가 중 가장 먼저 『저작집』 전 8권(1956-59년)이 간행되었다.

4. 2. 현대의 평가

클류체프스키는 지리적, 경제적 요인을 중시하고 사회 각 계층의 투쟁을 사료를 통해 추적한 선구적인 역사학자로 평가받는다. 당시 러시아 사학의 주류였던 정치사, 법제사 중심의 경향에서 벗어나 지리 환경과 경제 생활을 역사의 소재로 삼은 그의 자세는 주목할 만하다.[6] 그의 농노제 연구와 《러시아사 강좌》는 여전히 러시아사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파벨 밀류코프 등 저명한 역사학자들이 그의 제자였으며, 키예프 대학교에서 추방되어 근신 중이던 젊은 시절의 블라디미르 레닌도 1880년대에 출판된 클류체프스키 강연록을 애독했다.[6]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미하일 포크롭스키를 비롯한 마르크스주의 유물 사관에 기초한 '소비에트 사학'에서는 "치체린에 솔로비요프를 합쳐놓은 절충 이론", "부르주아 사관"으로 제대로 된 취급을 받지 못했다.[6] 스탈린 격하 운동 이후 복권되어, 제정기 역사가 중 가장 먼저 『저작집』 전 8권(1956-59년)이 간행되었다.[6]

4. 3. 기념 사업

바실리 클류체프스키 관련 기념 사업은 다음과 같다.

  • 1966년 2월, 펜자의 포포프카 거리가 클류체프스코고 거리로 개명되었다.[1]
  • 1991년, 스미소니언 천체물리 관측소는 소행성 4560번을 바실리 클류체프스키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2]
  • 1991년, 펜자 클류체프스코고 거리 66번지에 바실리 클류체프스키 역사 박물관이 개관했다.[3]
  • 1991년, 보스크레세노프카 마을의 한 학교 부지에 흉상과 기념패가 세워졌다.[4]
  • 1994년부터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는 러시아 역사 분야의 연구를 위해 바실리 클류체프스키 상을 제정했다.[5]
  • 2008년 10월 11일, 펜자에 바실리 클류체프스키 기념비가 세워졌다.[6]
  • 2016년 12월 16일, 펜자 제28 중등학교가 바실리 클류체프스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7]
  • 2018년 11월 14일, 펜자 주립 대학교 치과대학 건물에 기념패가 세워졌다.[8]
  • 1991년, 소련에서 클류체프스키를 기념하는 우표가 발행되었다.[9]
  • 2011년, 러시아 우체국은 클류체프스키 기념비와 펜자 집 박물관을 묘사한 엽서, 우편 봉투, 특별 소인을 발행했다.[10]
  • 2016년, 러시아 우체국은 우표, 우편 봉투, 3개의 특별 소인을 발행했다.[11]

5. 한국과의 관계

클류체프스키의 저작은 대한민국에서도 번역 출간되어 그의 학문적 업적이 한국 학계와 대중에게 소개되었다. 대표적으로 《러시아 농노제의 기원》, 《러시아사 강화》 등이 한국어로 번역되었다.[1] 로버트 F. 번즈의 평전 《러시아의 역사가 바실리 클류체프스키》 역시 시미즈 아키오, 가토 시로, 도히 쓰네유키 역으로 사이류샤에서 2010년에 한국어로 번역 출간되어, 한국 독자들이 클류체프스키의 생애와 사상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1]

참조

[1] 서적 The origins of the Slavic nations: premodern identities in Russia, Ukraine and Belarus Cambridge Univ. Press 2006
[2] 서적 Literary Portrai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the Pacific 2015-07-07
[3] 뉴스 A monument to Vasily Osipovich Klyuchevsky was erected in our city http://tv-express.ru[...] Russian TV channel «Express» © 2008-10-11
[4] 뉴스 Penza school number 28 is named after Klyuchevsky https://penzanews.ru[...] informational agency «PenzaNews» 2016-12
[5] 웹사이트 Russian historian V. O. Klyuchevsky https://colnect.com/[...] Colnect
[6] 웹사이트 № 1о-2011/2011-024/1. Василий Осипович Ключевский (1841-1911), историк. Пенза. - Карточки с литерой "В" https://rusmarka.ru/[...]
[7] 웹사이트 № 3К-2011/2011-006. Музей В.О. Ключевского. Пенза. - Художественные маркированные конверты https://rusmarka.ru/[...]
[8] 웹사이트 № 3ш-2011. 170 лет со дня рождения В.О. Ключевского. - Специальные почтовые штемпеля https://rusmarka.ru/[...]
[9] 웹사이트 Каталог https://rusmarka.ru/[...]
[10] 웹사이트 Russian historian V. O. Klyuchevsky https://colnect.com/[...] Colnect
[11] 웹사이트 № 2016/5-ш. 175 лет со дня рождения В.О. Ключевского. Пенза - Специальные почтовые штемпеля https://rusmarka.ru/[...]
[12] 웹사이트 № 2016/8-ш. Серия "Выдающиеся историки России". 175 лет со дня рождения В.О. Ключевского (1841–1911), историка. 250 лет со дня рождения Н.М. Карамзина (1766–1826), писателя, историка. Москва - Специальные почтовые штемпеля https://rusmarka.ru/[...]
[13] 웹사이트 № 2016/9-ш. Серия "Выдающиеся историки России". 175 лет со дня рождения В.О. Ключевского (1841–1911), историка. 250 лет со дня рождения Н.М. Карамзина (1766–1826), писателя, историка. Пенза - Специальные почтовые штемпеля https://rusmarka.r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