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인철 (권투 선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백인철은 1980년 프로 데뷔 후,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미들급과 슈퍼미들급 챔피언을 거쳐, 1989년 세계복싱협회(WBA) 슈퍼미들급 챔피언에 등극했다. 1981년 OPBF 미들급 챔피언을 획득하고 6차 방어에 성공했으며, 1984년 OPBF 슈퍼미들급 챔피언이 되어 6차 방어했다. 1988년 OPBF 미들급 챔피언을 다시 획득하고 1차 방어에 성공했으며, 1989년 WBA 슈퍼미들급 챔피언에 올라 2차 방어에 성공했으나, 1990년 타이틀을 잃고 은퇴했다. 은퇴 후 폭행 혐의로 입건되었으며, 현재 암 투병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퍼미들급 권투 선수 - 박종팔
박종팔은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로, OPBF 동양태평양 미들급, IBF 슈퍼미들급, WBA 슈퍼미들급 챔피언을 지냈으며, 은퇴 후 사업 실패를 딛고 재기에 성공했다. - 슈퍼미들급 권투 선수 - 마커스 데이비스
마커스 데이비스는 미국의 종합격투기 선수이자 전직 프로 복싱 선수로, 복싱에서 17승 1패 2무의 전적을 쌓은 후 종합격투기로 전향하여 UFC와 벨라토르 MMA 등 주요 단체에서 활동하며 인기를 얻었다. - 슈퍼미들급 권투 세계 챔피언 - 슈거 레이 레너드
슈거 레이 레너드는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라이트 웰터급 금메달리스트 출신으로, 프로 복싱 선수로서 웰터급, 주니어 미들급, 미들급, 슈퍼 미들급, 라이트 헤비급 등 5개 체급에서 세계 챔피언을 석권하며 복싱계의 전설이 된 미국의 전직 프로 복싱 선수이다. - 슈퍼미들급 권투 세계 챔피언 - 박종팔
박종팔은 대한민국의 권투 선수로, OPBF 동양태평양 미들급, IBF 슈퍼미들급, WBA 슈퍼미들급 챔피언을 지냈으며, 은퇴 후 사업 실패를 딛고 재기에 성공했다. - WBA 챔피언 - 무하마드 알리
무하마드 알리는 미국의 전직 프로 권투 선수이자 사회 운동가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출신이며 세계 헤비급 챔피언에 세 번 등극하여 역사상 가장 위대한 권투 선수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고, 징병 거부와 복귀를 통해 인종차별 저항과 평화주의를 상징하며 문화, 스포츠, 정치에 큰 영향을 미친 세계적인 아이콘이다. - WBA 챔피언 - 구시켄 요코
구시켄 요코는 일본 오키나와현 출신의 전 프로 복싱 선수로, WBA 라이트플라이급 챔피언을 13차 방어하며 일본 복싱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고, 은퇴 후에는 해설자 및 탤런트로 활동하며 2014년 국제 복싱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백인철 (권투 선수)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백인철 |
본명 | 백인철 |
별칭 | 해당 정보 없음 |
출생일 | 1961년 12월 20일 |
출생지 | 전라남도 고흥군 |
국적 | 대한민국 |
신장 | 178cm |
리치 | 183cm |
스타일 | 오소독스 |
경력 | |
체급 | 라이트 미들급 미들급 슈퍼 미들급 |
총 경기 수 | 50 |
승리 | 47 |
KO 승리 | 43 |
패배 | 3 |
무승부 | 해당 정보 없음 |
무효 경기 | 해당 정보 없음 |
2. 생애 및 선수 경력
백인철은 전라남도 고흥군 출신[3]으로, 1980년 프로 복서로 데뷔했다. 1981년 동양 태평양 권투 연맹(OPBF) 라이트 미들급 타이틀을 획득하며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1983년 애틀랜틱 시티, 뉴저지에서 열린 숀 매니언과의 경기에서 10라운드 판정패를 당하며 첫 패배를 기록했지만, 이후 한국으로 돌아와 연승을 이어갔다. 1987년에는 WBA 라이트 미들급 타이틀을 놓고 줄리안 잭슨에게 도전했으나, 3라운드 KO패를 당했다.
이후 백인철은 미들급으로 체급을 올렸고, OPBF 미들급 타이틀을 획득하며 재기에 성공했다.
2. 1. 프로 데뷔 및 OPBF 챔피언 등극 (1980-1987)
백인철은 1980년 5월 9일 미들급으로 프로 무대에 데뷔하여, 1981년 12월 27일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미들급 챔피언 결정전에서 이상호를 12회 KO로 꺾고 타이틀을 획득했다.[3] 이후 1983년 3월 27일 김종호를 상대로 7회 KO승을 거두며 5차 방어에 성공, 데뷔 이후 26연속 KO승을 기록했다.1982년부터 1984년까지 백인철은 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전을 치렀다.
날짜 | 상대 | 결과 | 비고 |
---|---|---|---|
1982년 3월 21일 | 미야타 겐지 (일본) | 9회 KO승 | 논타이틀 매치 |
1982년 6월 13일 | 호리바타케 미치히로 (일본) | 2회 KO승 | OPBF 미들급 2차 방어 |
1982년 10월 23일 | 아라이 요히 (일본) | 10회 KO승 | OPBF 미들급 3차 방어 |
1983년 3월 27일 | 김종호 (대한민국) | 7회 KO승 | OPBF 미들급 5차 방어 |
1983년 5월 20일 | 숀 매니언 (미국) | 판정패 | 논타이틀 매치, 첫 패배 |
1983년 7월 10일 | 아라이 요히 (일본) | 5회 KO승 | OPBF 미들급 6차 방어 |
1984년 3월 24일 | 마이크 디구스만 (미국) | 3회 KO승 | OPBF 미들급 7차 방어 |
1984년 7월 | 알버트 파파이모(인도네시아) | 4회 KO승 | OPBF 슈퍼미들급 타이틀 획득 |
1983년 5월 20일, 숀 매니언과의 논타이틀 매치에서 판정패하며 첫 패배를 기록했지만,[1] 이후 OPBF 타이틀 6차, 7차 방어에 성공했다. 1984년 7월에는 OPBF 동양 슈퍼미들급 챔피언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타이틀을 획득, 이후 6차례 방어에 성공했다.[3]
2. 2. WBA 세계 챔피언 도전과 좌절 (1987-1988)
1987년 11월 21일, WBA 세계 슈퍼미들급 챔피언 결정전에서 줄리안 잭슨(미국)과 대결했으나, 3회 TKO로 패배하여 타이틀 획득에 실패했다.1988년 4월 17일, 체급을 올려 OPBF 동양 미들급 챔피언 결정전에서 켓투 우디아나(인도네시아)와 대결, 2회 KO승으로 타이틀을 획득했다. 이후 1차 방어에 성공했다.
1988년 12월 22일, 전 WBA, IBF 세계 슈퍼미들급 챔피언 박종팔과 논타이틀 매치를 가졌고, 9회 TKO승을 거두었다.
2. 3. WBA 세계 챔피언 등극과 은퇴 (1989-1990)
1989년 5월 28일, 백인철은 WBA 세계 슈퍼미들급 챔피언 풀헨시오 오벨메히아스(베네수엘라)에게 11회 KO승을 거두며 타이틀을 획득했다.[1]1990년 1월 13일, 다지마 요시아키(일본)와의 대결에서 7회 종료 TKO승을 거두며 타이틀 2차 방어에 성공했다.[4] 그러나 이 시합에서 백인철은 오른손을 부상당했다.
1990년 3월 30일, 크리스토프 티오조(프랑스)와의 3차 방어전에서 6회 TKO패를 당하며 타이틀을 잃고,[2] 이 경기를 끝으로 은퇴했다.
3. 은퇴 이후
2009년 10월 재개발 관련 폭력 혐의로 불구속 입건되었다.[5] 현재 암 투병 중이며,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다.
4. 주요 경기 결과
번호 | 결과 | 기록 | 상대 | 타입 | 라운드, 시간 | 날짜 | 장소 | 비고 |
---|---|---|---|---|---|---|---|---|
50 | 패 | 47-3 | 크리스토프 티오조 | TKO | 6 (12), 2:54 | 1990년 3월 30일 | Palais des sports de Gerland프랑스어, 리옹, 프랑스 | WBA 슈퍼 미들급 타이틀 상실 |
49 | 승 | 47-2 | 타지마 요시아키 | RTD | 7 (12), 3:00 | 1990년 1월 13일 | 현대체육관, 울산, 대한민국 | WBA 슈퍼 미들급 타이틀 2차 방어 |
48 | 승 | 46-2 | 론 에세트 | TKO | 11 (12), 0:26 | 1989년 10월 8일 | 인터컨티넨탈 호텔, 서울, 대한민국 | WBA 슈퍼 미들급 타이틀 1차 방어 |
47 | 승 | 45-2 | 풀헨시오 오벨메히아스 | TKO | 11 (12), 1:21 | 1989년 5월 28일 | 홍국체육관, 여수, 대한민국 | WBA 슈퍼 미들급 타이틀 획득 |
46 | 승 | 44-2 | 박종팔 | KO | 9 (10), 1:47 | 1988년 12월 22일 | 세계무역센터, 서울,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45 | 승 | 43-2 | 김재옥 | KO | 6 (12), 2:43 | 1988년 7월 30일 | 부곡, 대한민국 |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미들급 타이틀 방어 |
44 | 승 | 42-2 | 케투트 우디아나 | KO | 2 (12), 2:58 | 1988년 4월 17일 | 논산, 대한민국 | 공석인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미들급 타이틀 획득 |
43 | 패 | 41-2 | 줄리안 잭슨 | TKO | 3 (12), 1:17 | 1987년 11월 21일 | 라스베이거스 힐튼, 윈체스터, 네바다, 미국 | WBA 슈퍼웰터급 타이틀 획득 실패 |
42 | 승 | 41-1 | 카와모토 히데오 | KO | 2 (10), 2:18 | 1987년 7월 12일 | 안양,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41 | 승 | 40-1 | 폴 제임스 | UD | 10 | 1987년 3월 15일 | 태백,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40 | 승 | 39-1 | 황준석 | UD | 12 | 1986년 10월 18일 | 인천실내체육관, 인천, 대한민국 |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슈퍼웰터급 타이틀 방어 |
39 | 승 | 38-1 | 노창환 | KO | 5 (10), 1:36 | 1986년 7월 27일 | 전주실내체육관, 전주,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38 | 승 | 37-1 | 정상도 | SD | 12 | 1986년 6월 28일 | 포항, 대한민국 |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슈퍼웰터급 타이틀 방어 |
37 | 승 | 36-1 | 트로이 워터스 | SD | 12 | 1986년 3월 15일 | 강릉, 대한민국 |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슈퍼웰터급 타이틀 방어 |
36 | 승 | 35-1 | 프레드 허칭스 | KO | 9 (10), 2:53 | 1985년 10월 27일 | 부산,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35 | 승 | 34-1 | 알베르토 바파이모 | KO | 3 (12), 2:45 | 1985년 7월 13일 | 충주, 대한민국 |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슈퍼웰터급 타이틀 방어 |
34 | 승 | 33-1 | 유재형 | KO | 5 (12), 2:14 | 1985년 4월 20일 | 문회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슈퍼웰터급 타이틀 방어 |
33 | 승 | 32-1 | 헨드리스 살몬 | KO | 2 (12), 2:23 | 1985년 1월 12일 | 광주, 대한민국 |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슈퍼웰터급 타이틀 방어 |
32 | 승 | 31-1 | 알베르토 바파이모 | KO | 4 (12), 1:21 | 1984년 7월 23일 | 오산, 대한민국 |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슈퍼웰터급 타이틀 획득 |
31 | 승 | 30-1 | 마이크 데구즈만 | KO | 3 (12), 1:52 | 1984년 3월 24일 | 울산, 대한민국 |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슈퍼웰터급 타이틀 7차 방어 |
30 | 승 | 29-1 | 사카라이아 베 | KO | 6 (10), 1:40 | 1984년 1월 7일 | 대전,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29 | 승 | 28-1 | 사탄파 프라팁 | KO | 3 (10), 1:47 | 1983년 11월 13일 | 제주시,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28 | 승 | 27-1 | 아라이 요히 | KO | 5 (12), 2:09 | 1983년 7월 10일 | 충무체육관, 대전, 대한민국 |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슈퍼웰터급 타이틀 6차 방어 |
27 | 패 | 26-1 | 숀 매니언 | PTS | 10 | 1983년 5월 19일 | 리조트 인터내셔널, 애틀랜틱시티, 뉴저지, 미국 | 논타이틀 매치 |
26 | 승 | 26-0 | 김종호 | KO | 7 (12), 2:22 | 1983년 3월 27일 | 진주체육관, 진주, 대한민국 |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슈퍼웰터급 타이틀 5차 방어 |
25 | 승 | 25-0 | 헤수스 곤잘레스 | KO | 3 (10), 2:55 | 1983년 2월 27일 | 충무체육관, 대전,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24 | 승 | 24-0 | 로미 안젤레스 | KO | 3 (12), 1:05 | 1983년 1월 2일 | 충무체육관, 대전, 대한민국 |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슈퍼웰터급 타이틀 4차 방어 |
23 | 승 | 23-0 | 크느라그 보차린랏 | KO | 3 (10), 2:26 | 1982년 12월 11일 | 장충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22 | 승 | 22-0 | 아라이 요히 | KO | 10 (12), 2:04 | 1982년 10월 23일 | 충북체육관, 청주, 대한민국 |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슈퍼웰터급 타이틀 3차 방어 |
21 | 승 | 21-0 | 프레드 갈랑 | KO | 3 (10), 2:46 | 1982년 9월 26일 | 대구체육관, 대구,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20 | 승 | 20-0 | 안토니오 레이바 | KO | 2 (10), 2:19 | 1982년 7월 4일 | 충무체육관, 대전,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19 | 승 | 19-0 | 호리하타 미치히로 | KO | 2 (12), 1:45 | 1982년 6월 13일 | 구덕체육관, 부산, 대한민국 |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슈퍼웰터급 타이틀 2차 방어 |
18 | 승 | 18-0 | 이브라힘 모하메드 | KO | 3 (10), 1:45 | 1982년 4월 24일 | 광주,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17 | 승 | 17-0 | 미야타 겐지 | KO | 9 (10), 1:08 | 1982년 3월 21일 | 부산,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16 | 승 | 16-0 | 알베르토 크루즈 | KO | 2 (12), 2:43 | 1982년 2월 14일 | 충무체육관, 대전, 대한민국 |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슈퍼웰터급 타이틀 1차 방어 |
15 | 승 | 15-0 | 이상호 | KO | 12 (12), 2:05 | 1981년 12월 27일 | 문회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슈퍼웰터급 타이틀 획득 |
14 | 승 | 14-0 | 조 윌리스코 | KO | 3 (10), 3:02 | 1981년 11월 28일 | 장충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13 | 승 | 13-0 | 아퀼리노 니콜라스 | KO | 2 (10), 1:59 | 1981년 10월 31일 | 장충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12 | 승 | 12-0 | 김진남 | KO | 3 (10), 2:35 | 1981년 10월 11일 | 충무체육관, 대전,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11 | 승 | 11-0 | 알베르토 크루즈 | KO | 3 (10), 2:00 | 1981년 8월 21일 | 대구체육관, 대구,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10 | 승 | 10-0 | 콘라도 살리나스 | KO | 2 (10), 3:03 | 1981년 6월 23일 | 충무체육관, 대전,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9 | 승 | 9-0 | 이즈미야 히로시 | KO | 3 (6), 1:44 | 1981년 4월 19일 | 문회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8 | 승 | 8-0 | 정영실 | KO | 4 (8), 1:50 | 1981년 2월 14일 | 장충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7 | 승 | 7-0 | 임복규 | KO | 3 (6), 2:48 | 1980년 12월 7일 | 문회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6 | 승 | 6-0 | 최장호 | KO | 3 (4), 1:32 | 1980년 11월 29일 | 문회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5 | 승 | 5-0 | 최선갑 | KO | 4 (4), 1:54 | 1980년 11월 22일 | 문회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4 | 승 | 4-0 | 최병춘 | KO | 3 (4), 0:37 | 1980년 11월 21일 | 문회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3 | 승 | 3-0 | 박종현 | KO | 1 (4), 2:01 | 1980년 9월 25일 | 문회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2 | 승 | 2-0 | 양영칠 | KO | 2 (4), 0:36 | 1980년 6월 8일 | 문회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논타이틀 매치 |
1 | 승 | 1-0 | 박중정 | KO | 2 (4), 1:23 | 1980년 5월 9일 | 문회체육관, 서울, 대한민국 | 프로 데뷔전 |
5. 획득 타이틀
타이틀 | 획득 날짜 | 상대 선수 | 비고 |
---|---|---|---|
동양태평양복싱연맹(OPBF) 미들급 | 1981년 12월 27일 | 이상호 | 12회 KO승 |
OPBF 동양 슈퍼미들급 | 1984년 7월 | 알버트 파파이모 | 4회 KO승, 이후 6차 방어 성공[1] |
OPBF 동양 미들급 | 1988년 4월 17일 | 켓투 우디아나 | 2회 KO승, 이후 1차 방어 성공[1] |
WBA 세계 슈퍼미들급 | 1989년 5월 28일 | 풀헨시오 오벨메히아스 | 11회 KO승[2] |
6. 같이 보기
- 박종팔
- 줄리안 잭슨
- 크리스토프 티오조
참조
[1]
웹사이트
Baek defends title
https://www.upi.com/[...]
United Press International
2023-07-24
[2]
웹사이트
Tiozzo knocks out Beak for WBA championship
https://www.tampabay[...]
Tampa Bay Times
2023-07-24
[3]
웹사이트
고흥 공설운동장 명칭 ‘박지성 운동장’으로
http://m.kwangju.co.[...]
2011-04-05
[4]
서적
日本プロボクシング史 世界タイトルマッチで見る50年
ベースボール・マガジン社
2002
[5]
뉴스
몰락한 前 세계권투챔피언, 그는 누구
http://kr.news.yahoo[...]
노컷뉴스
2009-10-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