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테리오파지 λ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테리오파지 λ(람다 파지)는 이십면체 머리와 비수축성 꼬리로 구성된 바이러스로, 48,503 염기쌍의 이중 나선 DNA를 유전 물질로 갖는다. 람다 파지는 용균성 및 용원성 생활사를 가지며, 용균성 생활사에서는 숙주 세포를 파괴하고 새로운 파지를 생성하며, 용원성 생활사에서는 숙주 DNA에 삽입되어 프로파지 형태로 존재한다. 람다 파지는 cI, Cro, cII, cIII 등의 단백질 상호작용으로 생활사를 조절하며, 유전학적 도구로 활용되어 재조합 DNA 복제, 클론된 DNA 셔플링, DNA 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연구에 기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박테리오파지 λ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상위 분류 | Lambdavirus |
종 | Escherichia virus Lambda |
학문적 분류 | |
목 | Caudovirales (카우도비랄레스) |
과 | Siphoviridae (시포비리데) |
속 | λ-like viruses (람다 유사 바이러스) |
명칭 | |
영어 명칭 | Bacteriophage λ (박테리오파지 람다), lambda phage (람다 파지) |
발견 및 연구 | |
발견 | 에스더 레더버그 (1950년) |
연구 | 에스더 M. 레더버그, 조슈아 레더버그 |
구조 | |
캡시드 성숙 | 왕 C, 젱 J, 왕 J (2022년)에 의해 구조적 기초 밝혀짐 |
참고 문헌 | |
참조 | 빅터 파딜라-산체스, "Bacteriophage Lambda Structure at Atomic Resolution" (2024년) 그리피스 A, 밀러 J, 스즈키 D, 르원틴 R, 겔바트 W,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2000년) |
2. 구조
박테리오파지 람다는 이십면체 머리와 비수축성 꼬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꼬리 끝에는 꼬리 섬유가 존재한다.[35] 머리는 직경 63nm이며, 유전물질인 하나의 이중 나선 DNA를 포함하고 있다. DNA의 크기는 48,503 염기쌍이다. 꼬리는 최대 150nm 길이로, 끝부분은 가늘어지는 구조를 가진다. 꼬리 끝에는 최대 85nm 길이의 꼬리 섬유 4개가 있다.[35]
바이러스 입자는 머리와 꼬리로 구성되며, 꼬리 섬유를 가질 수 있다. 전체 입자는 1,000개 이상의 단백질 분자를 가진 12~14개의 서로 다른 단백질과 파지 머리에 위치한 1개의 DNA 분자로 구성된다. 다만, L 및 M 단백질이 비리온의 일부인지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람다 파지의 꼬리는 최소 6개의 단백질(H, J, U, V, Stf, Tfa)로 구성되며 조립에는 I, K, L, M, Z, G/T를 포함하여 7개가 더 필요하다.
2. 1. 유전체
람다 파지의 유전체는 48,502 염기쌍의 이중 가닥 선형 DNA로 구성되며, 양쪽 5' 말단에 12개의 염기 단일 가닥 세그먼트(segment)가 있다. 이 단일 가닥 세그먼트는 ''cos'' 부위라고 불리는 "점착성 말단"이다. ''cos'' 부위는 숙주 세포질 내에서 DNA를 환형으로 만든다. 환형 형태에서 파지 게놈 길이는 48,502 염기쌍이다. 람다 게놈은 대장균(E. coli) 염색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프로파지라고 한다.3. 생활사
람다 파지는 용균성 생활사와 용원성 생활사를 모두 가진다.[36][37] 람다 파지의 생활사는 cI, Cro, cII, cIII 등 여러 단백질의 상호작용으로 조절된다. 초기 감염 시 cII 단백질의 안정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cII가 안정되면 용원성 경로로, 분해되면 용균성 경로로 진행된다. 낮은 온도, 세포의 기아 상태, 높은 감염 다중도(MOI)는 cII를 안정화시켜 용원화를 촉진한다.[13]
단백질 | 생활사 조절에서의 역할 |
---|---|
cI | PL, PR 억제, PRM 활성화 및 조절을 통해 용원성 유지 |
Cro | PRM 억제하여 용균성 생활사 촉진 |
cII | 안정성에 따라 생활사 결정 (안정 → 용원성, 분해 → 용균성) |
cIII | cII 안정화 (경쟁적 억제 및 직접 안정화) |
N | 안티터미네이터, 초기 유전자 발현 조절 |
Q | 안티터미네이터, 후기 유전자 발현 조절 |
람다 파지의 유전자 발현 조절 시스템은 두 유전자(cI와 Cro)가 상호 배타적으로 발현되는 '이진 스위치'를 형성하여, 매우 정교하게 생활사를 조절한다.[24]
3. 1. 용균성 생활사
람다 파지의 용균성 생활사는 숙주 세포가 파괴되고 새로운 파지가 방출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은 람다 파지가 대장균에 부착하면서 시작된다. 람다 파지는 머리에 있던 DNA를 꼬리를 통해 대장균의 세포질로 주입한다. 주입된 람다 파지의 DNA와 단백질은 대장균의 효소에 의해 복제된다. 복제된 단백질을 이용하여 머리를 조립하고 DNA를 머리에 삽입한 후 꼬리를 붙여 람다 파지를 완성시킨다.[36]람다 파지는 비수축성 꼬리 파지인데, 이는 감염 시 박테리아 세포막을 통해 DNA를 강제로 통과시킬 수 없음을 의미한다. 대신 숙주 세포를 침입하기 위해 기존 경로를 사용해야 하며, 꼬리 끝을 진화시켜 특정 기공과 상호 작용하여 DNA가 숙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했다. 람다 파지는 꼬리 끝의 J 단백질을 통해 대장균 세포에 결합하며, J 단백질은 맥아당 오페론의 일부인 다공성 분자인 대장균의 맥아당 외막 포린(lamB 유전자의 산물)과 상호 작용한다.[9] 이후 선형 파지 게놈은 외막을 통해 주입된다. DNA는 내막의 만노스 투과효소 복합체[10][11] (manXYZ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됨)를 통과하여 cos 부위, 12개의 염기쌍 G-C가 풍부한 점착성 "끈적한 말단"을 사용하여 즉시 원형화된다. 단일 가닥 바이러스 DNA 말단은 숙주 DNA 연결효소에 의해 연결된다.[6]
숙주 DNA 자이레이스는 원형 염색체에 음성 초나선을 가하여 A-T가 풍부한 영역이 풀리고 전사를 유도한다. 전사는 구성적 PL, PR 및 PR' 프로모터에서 시작하여 '초기' 전사체를 생성한다. 처음에는 N과 cro 유전자를 발현하여 N, Cro 및 짧은 비활성 단백질을 생성한다. Cro는 OR3에 결합하여 PRM 프로모터에 접근하는 것을 막아 cI 유전자의 발현을 막는다. N은 두 개의 Nut(N 활용) 부위에 결합하는데, 하나는 PL 판독 프레임의 N 유전자에 있고, 다른 하나는 PR 판독 프레임의 cro 유전자에 있다. N 단백질은 안티터미네이터이며, 새로 전사된 mRNA의 특정 부위에서 전사하는 RNA 중합효소를 관여시키는 방식으로 기능한다. RNA 중합효소가 이러한 영역을 전사하면 N을 모집하고 여러 숙주 Nus 단백질과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 복합체는 대부분의 종결 시퀀스를 건너뛴다. 확장된 전사체('후기 초기' 전사체)는 N 및 cro 유전자와 함께 나중에 논의될 cII 및 cIII 유전자, xis, int, O, P 및 Q 유전자를 포함한다. cIII 단백질은 경쟁적 억제제 역할을 하여 FtsH(막 결합 필수 대장균 프로테아제)에 의한 cII 단백질의 단백질 분해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억제는 세균 정지 상태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용원화에 유리하다. cIII은 또한 cII 단백질을 직접적으로 안정화시킨다.[12] 초기 감염 시 cII의 안정성이 파지의 생활 방식을 결정한다. 안정적인 cII는 용원성 경로로 이어지는 반면, cII가 분해되면 파지는 용해성 경로로 들어간다. 낮은 온도, 세포의 기아 및 높은 감염 다중도는 용원화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 -|]]|thumb|박테리오파지 람다가 ''E. coli'' 박테리아에 생성한 용균성 플라크]]
cII 단백질이 분해되어 충분히 높은 농도에 도달하지 못하면 파지는 용균성 주기를 따르게 된다. '후기 초' 전사체는 계속 작성되며, 여기에는 xis, int, Q와 람다 게놈 복제 유전자 (OP)가 포함된다. Cro는 억제 단백질 부위를 지배하여 용원성 주기의 프로모터인 PRM 프로모터에서 합성을 억제한다. O 및 P 단백질은 파지 염색체의 복제를 시작한다. 또 다른 항종결자인 Q는 Qut 부위에 결합한다. PR' 프로모터에서 전사는 이제 용균과 머리 및 꼬리 단백질을 위한 mRNA를 생성하도록 확장될 수 있다. 구조 단백질과 파지 게놈은 새로운 파지 입자로 자가 조립된다. 유전자 S, R, Rz 및 Rz1의 산물은 세포 용균을 유발한다. S는 홀린이며, 단백질의 서열에 의해 결정된 시간에 막에 갑자기 구멍을 만드는 작은 막 단백질이다. R은 S 구멍을 통해 탈출하여 세포벽을 절단하는 효소인 엔돌리신이다. Rz 및 Rz1은 엔돌리신이 세포벽을 분해한 후 외부 막을 파괴하는 복합체를 형성하는 막 단백질이다. 야생형 람다의 경우, 용균은 감염 시작 후 약 50분 후에 발생하며 약 100개의 비리온을 방출한다.[6]
Pr은 rightward transcription을 위한 프로모터이며, cro 유전자는 조절 유전자이다. cro 유전자는 Cro 단백질을 암호화하며, 이 단백질은 Prm 프로모터를 억제한다. Pr 전사가 진행되면 Q 유전자는 rightward transcription 오페론의 맨 끝에서 전사된다. Q 유전자는 이 오페론에서 발견되는 조절 유전자로서, rightward transcription을 위한 후기 유전자들의 발현을 제어한다. 이 유전자의 조절 단백질들이 발현을 허용하면, Q 단백질은 안티터미네이터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오페론의 나머지 부분이 전사 종결자에 도달할 때까지 읽히게 된다. 따라서 오페론의 후기 유전자들이 발현되어 용균성 주기가 나타나게 된다.[15]
초기 몇 번의 복제 주기 동안, 람다 유전체는 θ 복제 (원형-대-원형)을 겪는다. 이는 O 유전자에 위치한 ori 부위에서 시작된다. O 단백질은 ori 부위에 결합하고, P 단백질은 숙주 복제 기구의 DnaB 소단위체에 결합하며 O에도 결합한다. 이는 효과적으로 숙주 DNA 중합효소를 점령한다. 곧, 파지는 M13 파지가 사용하는 것과 유사한 회전 원형 복제로 전환된다. DNA는 절단되고 3’ 말단은 프라이머 역할을 한다. 이는 파지 유전체의 단일 사본을 방출하는 것이 아니라 유전체의 여러 사본이 있는 하나의 긴 분자, 즉 연속체를 방출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연속체는 포장되면서 cos 부위에서 절단된다. 포장은 원형 파지 DNA에서는 발생할 수 없고 연속체 DNA에서만 발생할 수 있다.
Q는 효과 면에서 N과 유사하며 Q는 Qut 부위에서 RNA 중합효소에 결합하며, 결과 복합체는 터미네이터를 무시할 수 있다. 하지만 메커니즘은 매우 다릅니다. Q 단백질은 먼저 mRNA 서열이 아닌 DNA 서열과 결합한다.[17] Qut 부위는 σ 인자가 RNA 중합효소 홀로효소에서 해제되지 않은 채로 PR’ 프로모터에 매우 가깝다. Qut 부위의 일부는 -10 Pribnow box를 닮아 홀로효소가 일시 중지된다. Q 단백질은 이후 결합하여 σ 인자의 일부를 대체하고 전사가 다시 시작된다. 머리 및 꼬리 유전자가 전사되고 해당 단백질이 자체 조립된다.
좌향 전사는 gam, xis, bar 및 int 유전자를 발현시킨다.[6] Gam 단백질은 재조합에 관여한다. Gam은 또한 롤링 서클 복제에서 숙주 RecBCD 뉴클레아제가 3’ 말단을 분해하는 것을 억제하는 데 중요하다.
완성된 파지는 람다 파지의 유전자에 의해 생성된 효소가 대장균 세포벽을 훼손시키고, 그 결과 대장균 세포는 삼투압을 버티지 못하고 파괴된다. 이와 동시에 완성된 람다 파지는 방출된다.[36]
3. 2. 용원성 생활사
용원성 생활사에서는 람다 파지의 유전 물질이 대장균의 세포질로 유입되어도 숙주 세포가 바로 파괴되지 않고, 파지의 유전 물질이 숙주 세포의 DNA에 끼어들어 간다. 람다 파지의 유전 물질이 대장균으로 유입될 때에는 모두 용균성 생활사에 있으나, 몇 분 후 용원성 생활사로 전환되기도 한다. 이때 대장균의 DNA에 끼어들어 간 람다 파지의 DNA를 프로파지라고 부른다.[37]람다 파지가 용원성 생활사에 있을 때에는 람다 파지의 유전자 중 일부만 발현되는데, 유전자 발현의 결과로 생성된 단백질은 나머지 람다 파지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한다. 이 상태에서 프로파지는 숙주 세포의 DNA 복제 과정에서 함께 복제되어 딸세포로 전달된다.

람다 파지는 비수축성 꼬리 파지이다. 이는 감염 시 박테리아 세포막을 통해 DNA를 '강제로' 통과시킬 수 없음을 의미한다. 대신 숙주 세포를 침입하기 위해 기존 경로를 사용해야 하며, 꼬리 끝을 진화시켜 특정 기공과 상호 작용하여 DNA가 숙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했다.
# 박테리오파지 람다는 꼬리 끝의 J 단백질을 통해 ''대장균''(E. coli) 세포에 결합한다. J 단백질은 맥아당 오페론의 일부인 다공성 분자인 ''대장균''의 맥아당 외막 포린(lamB 유전자의 산물)과 상호 작용한다.[9]
# 선형 파지 게놈은 외막을 통해 주입된다.
# DNA는 내막의 만노스 투과효소 복합체[10][11] (manXYZ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됨)를 통과하여 ''cos'' 부위, 12개의 염기쌍 G-C가 풍부한 점착성 "끈적한 말단"을 사용하여 즉시 원형화된다. 단일 가닥 바이러스 DNA 말단은 숙주 DNA 연결효소에 의해 연결된다. 12bp 람다 응집 말단이 생물학적 DNA의 첫 번째 직접적인 뉴클레오티드 시퀀싱의 대상이었다.[6]

# 숙주 DNA 자이레이스는 원형 염색체에 음성 초나선을 가하여 A-T가 풍부한 영역이 풀리고 전사를 유도한다.
# 전사는 구성적 ''PL'', ''PR'' 및 ''PR''' 프로모터에서 시작하여 '초기' 전사체를 생성한다. 처음에는 ''N''과 ''cro'' 유전자를 발현하여 N, Cro 및 짧은 비활성 단백질을 생성한다.
# Cro는 ''OR3''에 결합하여 ''PRM'' 프로모터에 접근하는 것을 막아 ''cI'' 유전자의 발현을 막는다. N은 두 개의 ''Nut''(N 활용) 부위에 결합하는데, 하나는 ''PL'' 판독 프레임의 ''N'' 유전자에 있고, 다른 하나는 ''PR'' 판독 프레임의 ''cro'' 유전자에 있다.
# N 단백질은 안티터미네이터이며, 새로 전사된 mRNA의 특정 부위에서 전사하는 RNA 중합효소를 관여시키는 방식으로 기능한다. RNA 중합효소가 이러한 영역을 전사하면 N을 모집하고 여러 숙주 Nus 단백질과 복합체를 형성한다. 이 복합체는 대부분의 종결 시퀀스를 건너뛴다. 확장된 전사체('후기 초기' 전사체)는 ''N'' 및 ''cro'' 유전자와 함께 ''cII'' 및 ''cIII'' 유전자, ''xis'', ''int'', ''O'', ''P'' 및 ''Q'' 유전자를 포함한다.
# cIII 단백질은 경쟁적 억제제 역할을 하여 FtsH(막 결합 필수 ''E''. ''coli'' 프로테아제)에 의한 cII 단백질의 단백질 분해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억제는 세균 정지 상태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용원화에 유리하다. cIII은 또한 cII 단백질을 직접적으로 안정화시킨다.[12]
초기 감염 시 cII의 안정성이 파지의 생활 방식을 결정한다. 안정적인 cII는 용원성 경로로 이어지는 반면, cII가 분해되면 파지는 용해성 경로로 들어간다. 낮은 온도, 세포의 기아 및 높은 감염 다중도 (MOI)는 용원화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용원성 생활사는 cI 단백질이 자체 프로모터를 활성화할 만큼 충분히 높은 농도에 도달하면 시작된다.
# 안정화된 cII는 ''PRE'', ''PI'' 및 ''Pantiq'' 프로모터로부터의 전사를 촉진한다.
# ''Pantiq'' 프로모터는 ''PR'' 프로모터 전사체의 Q 유전자 메시지에 대한 안티센스 mRNA를 생성하여 Q 생성을 중단시킨다. ''PRE'' 프로모터는 ''PR'' 프로모터 전사체의 cro 부분에 대한 안티센스 mRNA를 생성하여 cro 생산을 줄이고, ''cI'' 유전자의 전사체를 갖는다. 이것이 발현되어 cI 억제제 생산을 시작한다. ''PI'' 프로모터는 ''int'' 유전자를 발현하여 Int 단백질의 고농도를 초래한다.
# Q가 없으면 ''PR''' 프로모터의 리딩 프레임이 확장되지 않으므로 용해성 또는 구조 단백질이 생성되지 않는다.
# cI의 생산은 cI이 ''PR'' 프로모터의 ''OR1'' 및 ''OR2'' 부위에 결합하여 ''cro'' 및 기타 초기 유전자 발현을 중단시킨다. cI은 또한 ''PL'' 프로모터에 결합하여 거기에서도 전사를 중단시킨다.
# cro가 없으면 ''OR3'' 부위가 결합되지 않으므로 ''PRM'' 프로모터로부터의 전사가 발생하여 cI 수치가 유지될 수 있다.
# ''PL'' 및 ''PR'' 프로모터로부터의 전사가 없으면 cII 및 cIII이 더 이상 생성되지 않는다.
# cII 및 cIII 농도가 감소함에 따라 ''Pantiq'', ''PRE'' 및 ''PI''로부터의 전사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므로 촉진되지 않는다.
# ''PRM'' 및 ''PR''' 프로모터만 활성 상태로 남아 있으며, 전자는 cI 단백질을 생성하고 후자는 짧은 비활성 전사체를 생성한다. 게놈은 휴면 상태로 숙주 게놈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된다.
하지만 람다 파지가 용원성 생활사에 있더라도 주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용균성 생활사로 다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람다 파지를 포함한 많은 프로파지들은 자외선으로 인해 용균성 생활사로 전환될 수 있다.[37]
3. 2. 1. 프로파지 삽입
파지 λ의 삽입은 세균과 파지 게놈 내의 특별한 부착 부위에서 일어나며, 이를 ''attλ''라고 부른다. 세균 ''att'' 부위의 서열은 ''attB''라고 하며, gal 오페론과 bio 오페론 사이에 위치하고 B-O-B' 부분으로 구성된다. 반면, 원형 파지 게놈 내의 상보적인 서열은 ''attP''라고 하며, P-O-P' 부분으로 구성된다. 삽입 자체는 유전자 재조합을 통한 순차적인 교환으로 이루어지며, 파지 단백질 Int와 세균 단백질 IHF(''integration host factor'', 삽입 숙주 인자)가 모두 필요하다. Int와 IHF는 모두 ''attP''에 결합하여 인테솜(intasome)을 형성하는데, 이는 파지와 숙주 DNA의 부위 특이적 재조합을 위해 설계된 DNA-단백질 복합체이다. 원래의 B-O-B' 서열은 삽입에 의해 B-O-P'-파지 DNA-P-O-B'로 변경된다. 이제 파지 DNA는 숙주 게놈의 일부가 된다.[20]3. 2. 2. 용원성 유지
용원성은 cI 단백질에 의해서만 유지된다. cI 단백질은 ''PL'' 및 ''PR''로부터의 전사를 억제하는 동시에 ''PRM''으로부터 자신의 발현을 상향 조절하고 제어한다. 따라서 용원성 파지에 의해 발현되는 유일한 단백질이다.[37]- cI 단백질은 ''PL'' 및 ''PR'' 오퍼레이터에 의해 조절된다. 두 오퍼레이터 모두 cI에 대한 세 개의 결합 부위, 즉 ''PL''의 경우 ''OL1'', ''OL2'', ''OL3''와 ''PR''의 경우 ''OR1'', ''OR2'' 및 ''OR3''를 갖는다.
- cI은 ''OR1''에 가장 잘 결합하며, 여기에 결합하면 ''PR''으로부터의 전사가 억제된다. cI은 쉽게 이합체를 형성하므로, cI이 ''OR1''에 결합하면 cI이 ''OR2''에 결합하는 친화력이 크게 증가하며, 이는 ''OR1'' 결합 직후에 거의 즉시 일어난다. 이는 ''PRM''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전사를 활성화시키는데, ''OR2''에 있는 cI의 N 말단 도메인이 RNA 중합효소의 ''PRM''에 대한 결합을 강화하여 cI이 자체 전사를 자극하기 때문이다. cI이 훨씬 더 높은 농도로 존재할 때는 ''OR3''에도 결합하여 ''PRM''으로부터의 전사를 억제하여 음성 피드백 루프에서 자신의 수준을 조절한다.
- cI이 ''PL'' 오퍼레이터에 결합하는 것은 cI 전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면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자체 발현의 추가적인 억제로서, ''OR3''와 ''OL3''에 결합된 cI 이량체는 그들 사이의 DNA를 구부려 사량체를 형성한다.
- cI의 존재는 다른 람다 파지에 의한 중복 감염에 대한 면역을 유발하는데, 이는 cI이 해당 파지의 ''PL'' 및 ''PR'' 프로모터를 억제하기 때문이다.[37]
3. 2. 3. 유도
숙주 세포가 DNA 손상 등의 스트레스를 받으면 SOS 반응을 시작한다. RecA(세포 단백질)는 DNA 손상을 감지하고 활성화되어 RecA*가 된다. RecA*는 cI(전사 억제자)에 결합하여 cI 자가 절단을 자극한다. 절단된 cI은 더 이상 이량체를 형성할 수 없으며 DNA 결합에 대한 친화력을 잃는다. 결과적으로 ''PR'' 및 ''PL'' 프로모터는 더 이상 억제되지 않고 켜지며, 세포는 용균성 발현 순서로 돌아간다. 파지 게놈은 여전히 숙주 게놈에 삽입되어 있으며, DNA 복제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절제가 필요하다. ''PL'' 프로모터 mRNA에 ''sib'' 도메인이 없으면 3' 말단에 헤어핀 루프가 생기지 않아 전사체는 더 이상 RNAaseIII 분해 대상이 되지 않는다. 새로운 완전한 전사체는 ''xis''와 ''int''의 복사본을 하나씩 가지고 있으므로 xis와 int 단백질이 대략 동일한 농도로 생성된다. xis와 int의 동일한 농도는 복제를 위해 숙주 게놈에서 삽입된 게놈을 절제하고 나중에 파지를 생산하는 결과를 낳는다.[37]3. 3. 생활사 조절
람다 파지의 생활사는 크게 용균성 생활사와 용원성 생활사로 나뉘며, 이 두 경로는 cI, Cro, cII, cIII 등 여러 단백질의 상호작용으로 조절된다.[13]초기 감염 시 cII 단백질의 안정성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cII가 안정되면 용원성 경로로, 분해되면 용균성 경로로 진행된다. 낮은 온도, 세포의 기아 상태, 높은 감염 다중도(MOI)는 cII를 안정화시켜 용원화를 촉진한다.[13]
- cI 단백질: 용원성 상태를 유지하는 핵심 억제 인자이다. PL 및 PR 프로모터에서의 전사를 억제하고, PRM 프로모터에서 자신의 발현을 조절한다.
- Cro 단백질: 용균성 생활사를 촉진한다. PRM 프로모터를 억제하여 cI 단백질의 발현을 막는다.
- N 단백질: 안티터미네이터로 작용하여 RNA 중합효소가 종결 서열을 지나쳐 전사하도록 돕는다. N 단백질은 ''Nut'' 부위에 결합하여 RNA 중합효소와 복합체를 형성하고, 이 복합체는 여러 숙주 Nus 단백질과 결합하여 안정화된다.
- Q 단백질: N 단백질과 유사하게 안티터미네이터 역할을 하지만, 작용 방식은 다르다. Q 단백질은 ''Qut'' 부위에 결합하여 RNA 중합효소를 변형시켜 종결 서열을 무시하고 후기 유전자(머리, 꼬리, 용균 유전자) 발현을 가능하게 한다.
단백질 | 생활사 조절에서의 역할 |
---|---|
cI | PL, PR 억제, PRM 활성화 및 조절을 통해 용원성 유지 |
Cro | PRM 억제하여 용균성 생활사 촉진 |
cII | 안정성에 따라 생활사 결정 (안정 → 용원성, 분해 → 용균성) |
cIII | cII 안정화 (경쟁적 억제 및 직접 안정화) |
N | 안티터미네이터, 초기 유전자 발현 조절 |
Q | 안티터미네이터, 후기 유전자 발현 조절 |
람다 파지의 유전자 발현 조절 시스템은 두 유전자(cI와 Cro)가 상호 배타적으로 발현되는 '이진 스위치'를 형성하여, 매우 정교하게 생활사를 조절한다.[24]
4. 유전학적 도구로서의 활용
람다 파지는 모델 생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처음에는 미생물 유전학에서, 나중에는 분자 유전학에서 훌륭한 도구로 활용되었다.[29] 람다 파지는 재조합 DNA 복제를 위한 벡터, 게이트웨이 기술을 이용한 클론된 DNA 셔플링을 위한 부위 특이적 재조합효소(int)로 사용된다.[30] 또한 리콤비니어링이라는 DNA 엔지니어링 방법에서 Red 오페론 (Red alpha, 'exo'라고도 함), 베타, 감마 단백질을 적용한다. 람다 파지의 48 kb DNA 단편은 생산적인 감염에 필수적이지 않으며, 외래 DNA로 대체될 수 있다.[31] 대체된 외래 DNA는 파지에 의해 복제될 수 있다. 람다 파지는 플라스미드보다 박테리아에 더 쉽게 침투하므로, 숙주의 DNA를 파괴하거나 숙주 DNA의 일부가 될 수 있는 유용한 벡터이다.[32] 람다 파지는 인간 아스파르틸(아스파라기닐) β-수산화효소 (ASPH, HAAH)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 백신으로 조작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쥐의 간세포 암종의 경우에 유익한 것으로 나타났다.[33] 람다 파지는 특수 형질도입 연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34]
참조
[1]
Citation
Bacteriophage Lambda Structure at Atomic Resolution
https://zenodo.org/d[...]
2024-11-25
[2]
논문
Lysogenicity in ''Escherichia coli'' strain K-12
1950-01
[3]
서적
An Introduction to Genetic Analysis
https://www.ncbi.nlm[...]
W. H. Freeman
2000
[4]
논문
Structural basis of bacteriophage lambda capsid maturation
2022-04
[5]
논문
The protein interaction map of bacteriophage lambda
2011-09
[6]
논문
Bacteriophage lambda: Early pioneer and still relevant
2015-05
[7]
웹사이트
Escherichia phage Lambda, complete genome
https://www.ncbi.nlm[...]
2020-01-06
[8]
서적
"''Escherichia coli'' and ''Salmonella typhimurium'': Cellular and Molecular Biology"
ASM Press
1996
[9]
논문
Adsorption of bacteriophage lambda on the LamB protein of Escherichia coli K-12: point mutations in gene J of lambda responsible for extended host range
1994-02
[10]
논문
The mannose permease of Escherichia coli consists of three different proteins. Amino acid sequence and function in sugar transport, sugar phosphorylation, and penetration of phage lambda DNA
1987-04
[11]
논문
Structure of the mannose transporter of the bacterial phosphotransferase system
2019-08
[12]
논문
Phage lambda CIII: a protease inhibitor regulating the lysis-lysogeny decision
2007-04
[13]
서적
Snyder and Champness molecular genetics of bacteria
John Wiley & Sons, Inc
2020
[14]
논문
Termination and antitermination: RNA polymerase runs a stop sign
2011-05
[15]
논문
Bacteriophage λ RexA and RexB functions assist the transition from lysogeny to lytic growth
2021-10
[16]
논문
Termination and antitermination: RNA polymerase runs a stop sign
2011-05
[17]
논문
The bacteriophage lambdaQ anti-terminator protein regulates late gene expression as a stable component of the transcription elongation complex
2007-02
[18]
논문
A programme for the construction of a lambda phage
1984-11
[19]
논문
Phage genetic sites involved in lambda growth inhibition by the Escherichia coli rap mutant
1989-03
[20]
논문
Phage integrases: biology and applications
2004-01
[21]
논문
Adaptive value of sex in microbial pathogens
2008-05
[22]
논문
Multiplicity reactivation as a test for recombination function
1969-04
[23]
논문
Repair mechanisms involved in prophage reactivation and UV reactivation of UV-irradiated phage lambda
1973-03
[24]
웹사이트
Barbara J. Meyer
http://www.hhmi.org/[...]
[25]
논문
Self-assembly of bacteriophage lambda cI repressor: effects of single-site mutations on the monomer-dimer equilibrium
1994-07
[26]
서적
A genetic switch: phage lambda revisited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2004
[27]
논문
Stochastic kinetic analysis of developmental pathway bifurcation in phage lambda-infected Escherichia coli cells
1998-08
[28]
논문
Determination of cell fate selection during phage lambda infection
2008-12
[29]
Citation
Chapter Four - Understanding viral replication and transcription using single-molecule techniques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23-11-28
[30]
논문
Gateway Recombinational Cloning
http://cshprotocols.[...]
2018-01-01
[31]
Citation
Bacteriophage Lambda Terminase and the Mechanism of Viral DNA Packaging
https://www.ncbi.nlm[...]
Landes Bioscience
2023-11-28
[32]
논문
Filamentous Fusion Phage: Novel Expression Vectors that Display Cloned Antigens on the Virion Surface
https://www.jstor.or[...]
1985
[33]
논문
Lambda phage-based vaccine induces antitumor immunity in hepatocellular carcinoma
2017
[34]
웹사이트
7.14E: Bacteriophage Lambda as a Cloning Vector
https://bio.libretex[...]
2023-11-28
[35]
간행물
"Bacteriophage Lambda and its Relatives"
Nature Publishing Group
2002
[36]
서적
Ibid., pp. 9~10.
[37]
서적
Ibid., pp. 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