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트 신이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트 신이교는 발트 지역의 고대 종교를 현대적으로 부활시키려는 신이교 운동을 통칭한다. 주요 운동으로는 라트비아의 디에브투리바, 리투아니아의 로무바 등이 있으며, 이 외에도 빌카틀라이, 쿠로노, 드루위 등의 운동이 존재한다. 디에브투리바는 라트비아의 전통 신앙 복원을 목표로 하며 일원론적 신학을 특징으로 한다. 로무바는 리투아니아의 기독교화 이전 종교 관습을 부활시키며, 문화적 자긍심을 강조하며 전통 예술, 민속, 휴일 등을 보존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발트 신이교 | |
---|---|
개요 | |
유형 | 신이교주의 운동 |
기원 | 20세기 후반 |
지역 |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러시아 (칼리닌그라드) |
영향 받은 종교 | 발트 신화 민족주의 |
신도 | |
신도 수 | 비공식적 (수천 명) |
주요 그룹 | 디에브투리바 (라트비아) 로무바 (리투아니아) 드루웨 (프로이센) |
특징 | |
주요 신 | 디에바스 사울레 메눌리스 페르쿠나스 제미나 라이마 |
경전 | 다이나스 (라트비아 민요) 다이나 (리투아니아 민요) |
예배 장소 | 숲, 강, 성스러운 장소 (알카) |
의례 | 계절 축제, 노래, 춤, 희생 제물 |
역사 | |
기원 | 발트 민족주의 운동, 민족 낭만주의 |
영향 | 전통 문화 부흥, 환경 보호 운동 |
현대 | 종교 자유, 문화적 정체성 강조 |
관련 용어 | |
관련 항목 | 발트 신화 신이교주의 민족 종교 토착 신앙 |
기타 | |
관련 단체 | 유럽 민족 종교 회의 (ECER) |
2. 주요 운동
2. 1. 디에브투리바 (Dievturība)
디에브투리바(라트비아어: Dievturība)는 라트비아인들의 전통 신앙을 복원하려는 신이교 운동으로,[6][7][8] 라트비아계 캐나다인과 라트비아계 미국인 이민 공동체에서도 나타난다.[9] 이 운동은 모든 신들과 모든 자연을 디에브스(Dievs)의 표현으로 보는 일원론적 신학적 접근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10] 디에브스는 현실의 초월(transcendence)적인 근원, 물질-에너지 기질, 그리고 우주를 정하는 법칙으로 여겨진다.[11]
이 운동은 1925년 에르네스트 브라스틴슈(Ernests Brastiņš)가 "라트비아 디에브투리바의 부활"이라는 책을 출판하면서 시작되었다.[12] 라트비아가 소련에 병합된 후 디에브투리는 탄압받았지만,[34] 망명자들 사이에서 계속 운영되었다. 1990년대부터 디에브투리는 라트비아에 다시 도입되어 다시 성장하기 시작했으며,[13] 2017년에는 로크스테네 디에브투리 신사(Lokstene Shrine of Dievturi)가 건립되었다.[14] 2011년 시점에서 공식 회원은 663명이었다.[34]
2. 2. 로무바 (Romuva)
로무바(Romuva)는 리투아니아의 기독교화 이전의 종교적 관습을 되살린 발트족의 전통 신앙을 현대적으로 복원한 신이교 운동이다.[15][16][17] 로무바는 민속과 관습 속에 살아남은 발트 신화 전통을 계승한다고 주장한다.[39][40][41]
로무바는 주로 리투아니아에 존재하지만,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미국[18][42], 잉글랜드[19][43], 노르웨이[20][44] 등지에도 신자들이 분포한다. 로무바 신앙 실천은 많은 신도들에게 문화적 자긍심의 한 형태로 여겨진다.[21] 이들은 전통 예술을 장려하고, 발트 민속을 재현하며, 전통적인 휴일을 지키고, 전통 발트 음악을 연주하며, 전통적인 ''다이나'' 또는 찬송가와 노래를 부르는 것뿐만 아니라,[45] 생태 활동과 성지 관리에도 힘쓴다.[46]
2. 3. 기타 발트 신이교 운동
빌카틀라이(Vilkatlakai)는 1995년 리투아니아에서 결성된 단체로, 발트 신이교에 대한 남성적 관점을 특징으로 한다.[22] 쿠로노(Kurono) 운동은 2003년 로무바에서 분리되어 결성되었으며, 로무바 지도부의 신학 경시, 민족지학 연구 치중, 종교 행사의 대외 개방성에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다.[22]드루위(드루위/Druwiprg, 드루웨/Druwēsgs)는 프로이센 종교에 기원을 둔다고 주장하는 신이교로,[37] 리투아니아를 중심으로 신봉된다. 신자들은 드루위와 롬바를 명확히 구분되는 것으로 보지만, 롬바의 한 형태로 간주되기도 한다. 드루위는 1995년에 설립된 "쿠로노 사제 아카데미"(리투아니아어: ''Baltųjų žynių mokykla Kurono'')에 의해 정비되었으며,[38] 비두나스를 개조로 인정하고 일원론적 교리를 가진다.
3. 접근 방식
4. 지역별 분포
5. 관련 기사
6. 한국의 신이교
참조
[1]
문서
Wiench 1995
[2]
뉴스
Baltic diaspora and the rise of Neo-Paganism
http://www.baltictim[...]
The Baltic Times
2010-10-28
[3]
뉴스
Soviet power gone, Baltic countries' historic pagan past re-emerges
https://religionnews[...]
Religion News Service
2019-06-08
[4]
웹사이트
Baltic pagans ask pope for help over religious status battle
https://www.france24[...]
France 24
2018-08-29
[5]
뉴스
The rituals of Paganism are making a comeback deep in the Baltic states
https://www.thetimes[...]
[6]
웹사이트
Латышское неоязычество: заметки этнографа
https://archive.toda[...]
[7]
서적
Handbook of New Religions and Cultural Production
BRILL
2012
[8]
서적
Диевтурîба: латышское неоязычество и истоки национализма
Institute of Ethnology and Anthropology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1999
[9]
문서
Strmiska, p. 20
[10]
문서
Strmiska, p. 21
[11]
웹사이트
The Ancient Latvian Religion - Dievturība
http://www.old.litua[...]
1987
[12]
웹사이트
Neopagānisms / dievturi
http://www.bibelesbi[...]
[13]
웹사이트
Tieslietu ministrijā iesniegtie reliģisko organizāciju pārskati par darbību 2011. gadā
http://www.tm.gov.lv[...]
2012-07-25
[14]
논문
A Reconstructed Indigenous Religious Tradition in Latvia
2019-03-14
[15]
문서
Dundzila (2007), pp. 279, 296-298.
[16]
문서
Dundzila and Strmiska (2005), p. 247.
[17]
문서
Ignatow (2007), p. 104.
[18]
문서
Dundzila and Strmiska (2005), p. 278.
[19]
웹사이트
Saulėgrįža Londono Romuvoje
http://www.romuva.lt[...]
2013-08-04
[20]
웹사이트
Baltų Krivule Kurtuvėnuose 2011.06. 5.
http://www.romuva.lt[...]
2013-08-04
[21]
문서
Dundzila and Strmiska (2005), p. 244.
[22]
문서
Pranskevičiūtė and Aleknaitė (2014), p. 172.
[23]
문서
Wiench, 1995
[24]
뉴스
Baltic diaspora and the rise of Neo-Paganism
http://www.baltictim[...]
The Baltic Times
2010
[25]
웹사이트
Латышское неоязычество: заметки этнографа
http://www.religio.r[...]
[26]
서적
Religions of the World, Second Edition: A Comprehensive Encyclopedia of Beliefs and Practices
ABC-CLIO
2010
[27]
서적
Handbook of New Religions and Cultural Production
BRILL
2012
[28]
서적
Диевтурîба: латышское неоязычество и истоки национализма
Institute of Ethnology and Anthropology of the Russian Academy of Sciences
1999
[29]
문서
Strmiska, p. 20
[30]
문서
Strmiska, p. 21
[31]
웹사이트
The Ancient Latvian Religion - Dievturity
http://www.lituanus.[...]
1987
[32]
웹사이트
Dievturi presented Riga monument (Russian)
http://rus.delfi.lv/[...]
DELFI
2013-01-17
[33]
웹사이트
Neopagānisms / dievturi
http://www.bibelesbi[...]
[34]
웹사이트
Tieslietu ministrijā iesniegtie reliģisko organizāciju pārskati par darbību 2011. gadā
http://www.tm.gov.lv[...]
2012-07-25
[35]
뉴스
Uz salas Daugavā atklāta dievturu svētnīca
https://skaties.lv/z[...]
Skaties
2017-05-11
[36]
간행물
Russian Words for Forest Trees: A Lexicological and Etymological Study
http://miskinhill.co[...]
Miskin Hill Academic Publishing (ABN 27 712 504 809)
[37]
웹사이트
Pokalbio tema KETURIOS KILNIOSIOS DRUWIO TIESOS
http://www.baltai.lt[...]
[38]
웹사이트
Kviečiame mokytis į baltų žynių “KURONO”
http://www.baltai.lt[...]
[39]
서적
2007
[40]
서적
2005
[41]
서적
2007
[42]
서적
2005
[43]
웹사이트
Saulėgrįža Londono Romuvoje
http://www.romuva.lt[...]
[44]
웹사이트
Baltų Krivule Kurtuvėnuose 2011.06. 5.
http://www.romuva.lt[...]
[45]
문서
daina
[46]
서적
2005
[47]
서적
1995
[48]
뉴스
Baltic diaspora and the rise of Neo-Paganism
http://www.baltictim[...]
The Baltic Times
2010-10-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