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기관단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기관단총은 짧은 거리에서 다량의 총탄을 발사할 필요성으로 인해 제1차 세계 대전 중 등장한 화기이다. 독일의 MP18이 최초로 실전 투입되었으며, 이후 톰슨 기관단총, 수오미 기관단총, MP38 등이 개발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돌격소총의 등장으로 주력 화기로서의 지위는 잃었지만, 근접전 및 특수 작전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관단총은 자동소총에 비해 가볍고 반동이 적어 휴대와 명중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파괴력이 약하고 대량 생산이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한국에서는 K1A 기관단총, FN P90, 헤클러&코흐 MP5, 우지 기관단총 등이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존 T. 톰슨이 설계한 톰슨 기관단총은 '토미건'이라는 애칭으로도 불리며, 제1차 세계 대전 참호전에서의 사용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종전 후 민간 시장에서 인기를 얻어 갱스터 영화의 상징이 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군에 널리 사용된 다양한 파생형과 변형 모델이 있는 미국의 기관단총이다.
  • 기관단총 - MAT-49
    MAT-49는 1949년 프랑스에서 개발되어 9mm 탄을 사용하며, 짧은 접이식 개머리판과 탄창 접이 기능을 갖춘 기관단총으로, 프랑스군 등에서 널리 사용되다가 FAMAS 소총 도입 이후 퇴역했다.
  • 독일의 발명품 - 자동차
    자동차는 18세기 증기 자동차에서 시작하여 내연기관 발명으로 발전했으며, 크기, 용도, 연료 등에 따라 분류되고, 자율 주행 및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해 안전과 환경 문제 해결을 모색한다.
  • 독일의 발명품 - 탄도 미사일
    탄도 미사일은 로켓 기술을 기반으로 장거리 비행을 통해 목표물을 타격하는 무기로, 사거리, 발사 플랫폼, 비행 단계에 따라 분류되며 핵무기 탑재를 통해 전략적 억제력을 확보하는 데 사용된다.
기관단총
기관단총
명칭
영어submachine gun
독일어Maschinenpistole
러시아어Пистолет-пулемёт
개발 및 역사
개발 배경제1차 세계 대전 중 참호전의 영향
초기 개발자존 T. 톰슨
오토마틱 암스 컴퍼니
주요 개발 국가미국
독일
러시아
사용 시기1910년대부터 현재까지
구조 및 특징
작동 방식반동식
가스 작동식
급탄 방식탄창
드럼 탄창
구경주로 권총탄 사용
유효 사거리단거리
특징연사력 우수
휴대 용이
근접 전투에 적합
주요 종류
초기 모델톰슨 기관단총
제2차 세계 대전 모델MP40
PPSh-41
현대 모델MP5
UMP
P90
사용
주요 용도근접 전투
특수 부대 작전
경찰 작전
장점높은 연사력
휴대성
근접 전투 능력
단점제한된 유효 사거리
권총탄의 낮은 저지력
기타
별칭기관 권총
기관 단총

2.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참호전에서 독일군의 MP18 기관단총이 큰 위력을 발휘하자, 연합군은 베르사유 조약을 통해 독일이 기관단총을 보유하는 것을 금지하였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세계 각국은 기관단총 개발을 계속하였다. 미국의 톰슨 기관단총, 핀란드의 수오미 기관단총, 독일의 MP38 등이 대표적인 성공 사례이다.

톰슨 M1928 기관단총


M3 그리스건


MP40


PPSh-41


100식 기관단총


.45 ACP탄을 사용하는 톰슨 기관단총은 미군에는 채택되지 못하고 마피아가 애용하여 "시카고 타이프라이터"라는 별명을 얻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미군의 제식 화기로 채택되어 대량 생산되었으며, 일부는 한국 전쟁에서 중공군이 사용하기도 했다. 핀란드의 수오미 기관단총은 겨울 전쟁에서 소련군에게 기관단총의 중요성을 일깨워 PPSh-41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기관단총은 대량 생산이 가능한 중요한 화기로 취급되었다. 미국은 M3 그리스건, 소련은 PPSh-41과 PPSh-43, 영국은 스텐 기관단총, 독일은 MP40 등을 대량 생산하여 실전에 투입하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돌격소총의 등장으로 기관단총의 지위는 다소 약화되었으나, 대테러 부대 등에서는 여전히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독일의 MP5 시리즈, 스웨덴의 '스웨디시 K', 이스라엘의 우지 기관단총 등이 대표적인 현대 기관단총이다. 특히, 1972년 뮌헨 올림픽 검은 9월단 사건 이후, 정밀한 명중률을 가진 기관단총의 수요가 증가하여 MP5가 서방 세계 특수부대의 제식 화기로 채택되었다.

한국의 대 테러 부대는 MP5를 주로 사용하지만, 일부는 K1A를 사용한다. 최근에는 M4 카빈과 같은 단축형 돌격소총을 사용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최근에는 방탄복의 발달로 인해 권총탄의 관통력이 부족해지면서, FN P90이나 H&K MP7과 같이 소총탄을 소형화한 새로운 탄약을 사용하는 PDW(Personal Defence Weapon)라는 새로운 종류의 화기가 등장하고 있다.

2. 1. 제1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참호전에서 짧은 거리에서 많은 총탄을 퍼부을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기관단총이 실질적으로 시작되었다.

세계 최초로 실전에 투입된 기관단총은 독일의 MP18이다. MP18은 5발 탄창을 가진 볼트액션식 소총으로만 싸우던 당시 참호전에서 엄청난 위력을 발휘하였다. MP18은 9x19mm 파라벨럼 탄을 사용했으며, 루거 P08과 같은 32발 달팽이형 탄창을 사용했다. MP18은 독일 돌격부대가 잠입 전술에 사용하여, 전쟁 마지막 해에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MP18은 비교적 짧은 운용 기간을 가졌지만, 랜체스터, 스텐, PPD-40 등 후속 기관단총 설계에 영향을 미쳤다.[14]

최초로 대량 생산되어 돌격 임무에 광범위하게 사용된 기관단총인 베르크만 MP 18


베르사유 조약에서는 연합군이 얼마나 큰 충격을 받았는지, 탄띠식 기관총과 함께 기관단총도 보유를 금지한 것에서 짐작할 수 있다.

제1차 세계 대전 전후에도 세계 각국은 기관단총 개발을 계속 추진했다. 이 중에서 가장 성공적인 작품은 미국의 톰슨 기관단총, 핀란드의 수오미 기관단총, 독일의 MP38이다.

존 T. 톰슨 장군이 톰슨 모델 1921을 들고 있는 모습


.45 ACP탄을 사용하는 톰슨 기관단총은 종전 후 미국의 국방예산 감축으로 군에는 채택되지 못하고, 마피아가 애용하였다.

1920년대에서 1930년대까지만 해도 고작 몇 천 정만이 제작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을 맞아 미군의 제식 화기로 채택됨에 따라 (주로 장교, 부사관 들이 사용) 곧 개량형까지 포함하여 수십만 정이 생산되었으며, 상당수가 연합군에 공여되었다.

비라르-페로사 M1915


베레타 M1918


세계 최초로 실용화된 기관단총은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에 독일 제국군이 개발한 MP18이다. 단, 권총탄을 사용하는 전자동 사격이 가능한 총기로는 이탈리아의 비라르-페로사 M1915(1915년)가 MP18보다 앞선다.[62]

M1915의 전신은 아비엘 베텔 레벨리 디 보몽(Abiel Bethel Revelli di Beaumont) 소령이 1914년에 개발한 권총탄을 사용하는 항공기용 소형 기관총이다. 경기관총으로 운용된 적도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기관단총의 일종으로는 여겨지지 않는다. 하지만 M1915의 운용에 대한 시행착오는 이탈리아 기관단총 개발의 시작이 되었고, M1915를 개조한 카빈총 베레타 M1918이 비슷한 시기에 채용되었다.[73] 따라서 M1915와 MP18 중 어느 것을 세계 최초의 기관단총으로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74]

개머리판이 장착된 최초의 기관단총인 Standschütze Hellriegel M1915(막대형 및 원통형 탄창 장착)


1915년 말, 개머리판이 장착된 최초의 기관단총인 오스트리아-헝가리의 Standschütze Hellriegel M1915가 제작되었지만, 실전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2. 2. 전간기



슈타이어 MP34(S1-100短機関銃), 총검 장착


스오미 KP/-M31


제1차 세계 대전 전후에도 세계 각국은 기관단총 개발을 계속 추진했다. 이 시기 가장 성공적인 작품은 미국의 톰슨 기관단총, 핀란드의 수오미 기관단총, 독일의 MP38 등이다.

45 ACP탄을 사용하는 톰슨 기관단총은 종전 후 미국의 국방예산 감축으로 군에 채택되지 못하고, 마피아가 애용하였다. 이로 인해 "시카고 타이프라이터"라는 별명을 얻었고, 영국은 이러한 이미지 때문에 기관단총 개발을 하지 않다가 됭케르크 철수 이후 급히 미국제 톰슨을 구매하고 스텐 기관단총을 개발하게 된다. 1920년대에서 1930년대까지 톰슨 기관단총은 고작 몇 천 정만 제작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을 맞아 미군의 제식 화기로 채택되면서 (주로 장교, 부사관들이 사용) 개량형까지 포함하여 수십만 정이 생산되었고, 상당수가 연합군에 공여되었다. 중국군에 공여된 일부 톰슨은 한국 전쟁 당시 중공군이 사용하기도 했다.[16]

1924년 봉기 당시 소비에트는 에스토니아 공산당원들에게 톰슨 기관단총 4정을 공급했는데, 이들은 탈린 병영을 공격하려는 시도에서 에스토니아 군인들에 대항하여 사용되었다. 일부 방어자들은 MP18로 무장했으며, 이는 기관단총이 양측 모두에서 사용된 최초의 교전이었을 가능성이 있다.[19]

핀란드제 수오미 기관단총은 겨울 전쟁에서 소련군에게 기관단총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워주었고, PPSH-41의 개발에도 영향을 주었다. 독일의 MP38은 전금속제 기관단총으로 가장 성공한 모델이었다.

톰슨이나 수오미, MP18 등 초기 기관단총은 소총처럼 나무로 만든 개머리판을 갖고 있었다. 이는 생산성에 지장을 줄 수밖에 없었는데, MP38 이후에 개발된 기관단총은 모두 철판프레스 가공방식으로 만든 전금속제로 개발되어 이 문제를 해결하였다.

1930년대갱스터 영화에서는 "시카고 피아노", "시카고 타자기", "토미건"이라는 별명으로 톰슨 M1928, 특히 50발들이 드럼 탄창이 장착된 모델이 화려한 소품으로 자주 등장하여, "갱스터의 무기"라는 이미지를 전 세계에 심어주게 되었다.

그란 차코를 둘러싼 볼리비아파라과이의 영토 분쟁으로 발발한 차코 전쟁(1932년 - 1935년)에서는 기관단총이 널리 사용되었다. 볼리비아군은 MP18, MP28, MP35, 스오미 m/26, S1-100, 엘마 EMP, 톰슨 M1921 등 여러 외국산 기관단총을 배치했다. 파라과이군은 개전 당시에는 MP28과 엘마 EMP를 소수 배치하는 데 그쳤으나, 곧 볼리비아군으로부터 다량의 기관단총을 노획했다. 기관단총은 험준한 지형에서의 근접전은 물론, 요새화된 진지의 방어에도 유용성이 입증되었다. 특히 게릴라전을 중시했던 파라과이군에서는 경량이면서도 충분한 화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관단총이 매우 높이 평가되었다.[76]

2. 3. 제2차 세계 대전

미국 톰슨 M1


독일에서는 히틀러 정권 하에서 재군비가 시작되면서, 전차를 호위하는 보병의 화기로 기관단총이 재평가되었다. 스페인 내전에 파병된 독일 의용군인 콘도르 군단은 MP18의 개량형인 MP28 기관단총을 사용하여 그 가치를 증명했다.[13]

대전 초기의 전격전 성공에는 기관단총이 단거리에서 짧은 시간에 집중적인 사격을 쉽게 가할 수 있다는 점이 크게 기여했다. 당시 보병이 일반적으로 장비했던 볼트액션 방식의 수동 라이플은 속사가 어렵고, 사거리가 짧은 총검에 비해 근접 전투에서 기관단총의 제압 화력이 압도적이었기 때문이다.

권총을 장비했던 하급 장교의 방어력 부족이 드러나면서, 일반 보병과 마찬가지로 소총을 장비했던 하사관들과 함께 기관단총 배치가 계획되었고 증산이 추진되었다. MP28은 소총과 같은 형태의 깎아 만든 수신기와 나무 재질의 개머리판으로 제작되어 생산성이 좋지 않았다. 그래서 수신기 등을 강판 프레스로 생산하고, 숄더 스톡도 금속제로 하고, 베이클라이트 부품을 도입하는 등 새로운 제법을 도입하여 생산성을 크게 높인 MP38과 그 개량형인 MP40이 제작되었다. MP40은 평가가 특히 높아 패전까지 대량 생산되어 총 생산량은 100만 정에 달했다. 전후에도 이스라엘 국방군의 주력 무기 중 하나가 되었고, 남아메리카아프리카와 같은 혹독한 환경에서도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핀란드에 침공한 소련 적군은 스오미 KP/-31을 장비한 핀란드군에 고전한 경험에서 착안하여 PPSh-1941을 채택했고, 독소전과 그 이후의 만주 침공에서 대량으로 사용되었다. 당시 이를 본 일본인들 사이에서는 “만돌린”이라는 별명으로 기억되고 있다.

영국은 덩케르크 퇴각으로 많은 장비를 잃은 수십만 명의 자국 군인들을 위해 생산 비용을 중시한 스텐 기관단총을 개발했고, 장난감 제조업체까지 동원하여 대량 생산했다. 이 총은 영국군식민지 군대 외에도 독일 국방군일본군 점령 하에 있는 각지에서 활동하는 레지스탕스 세력에 낙하산 투하되는 지원 무기로도 널리 사용되었다.

미국에서는 톰슨이 제2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면서 영국군과 미국군에서 본격적으로 사용되었고, 중국 대륙필리핀에서는 노획된 이 총을 일본군도 사용하는 등 적과 아군을 초월한 엄청난 인기를 자랑했다. 이 총의 생산성은 MP40과 같은 프레스 가공을 채택한 제품에 비해 좋지 않았지만, 각 부품에는 평면이 많이 사용되었고, 구조도 단순하기 때문에 베트남과 같은 개발도상국에서도 밀링 가공으로 쉽게 생산이 가능했다. 톰슨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M3(일명: “그리스건”)이 1943년에 채택되었고, 자동차 제조업체의 강판 프레스 기술을 사용하여 개발된 이 총은 MP40과 스텐 기관단총의 영향이 명백했다.

2. 4.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돌격소총의 등장으로 기관단총은 이전과 같은 주요 화기로서의 지위를 잃었다. 그러나 대테러 부대에서는 여전히 효과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H&K MP5A3


독일의 MP5 시리즈는 가장 유명한 기관단총 중 하나이며, 스웨덴의 '스웨디시 K'와 이스라엘의 우지 기관단총도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우지 기관단총은 빠른 시간 안에 많은 군인을 무장시킬 수 있도록 값싸게 대량 생산이 가능하도록 개발되었다. 클로즈드 볼트 격발 방식을 채택하여 초탄 명중률이 우수한 MP5의 등장과 1972년 뮌헨 올림픽검은 9월단 사건은 정밀한 명중률을 가진 기관단총의 수요를 증가시켰다. 이를 계기로 독일제 MP5 시리즈가 서방 세계 특수부대의 제식 화기로 채택되었다.

한국의 대 테러 부대는 MP5 시리즈를 주로 사용하지만, 일부는 K1A를 사용한다. 테러 진압 중 인질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관통력이 약한 기관단총을 선호했지만, 최근에는 소총탄의 관통력도 인질에게 큰 위험을 주지 않는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M4 카빈과 같은 단축형 돌격소총을 사용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1945년, 스웨덴은 9mm 파라벨룸 칼 구스타프 m/45를 도입했다. 이 기관단총은 튜브형 스탬프 강철 수신기와 옆으로 접히는 개머리판을 가지고 있으며, 베트남 전쟁 중 CIA 요원과 미군 특수부대에서 특히 인기가 많았다.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는 Sa vz. 23 시리즈를 도입했다. 이 기관단총은 점진식 방아쇠, 텔레스코핑 볼트, 수직 손잡이 등 혁신적인 기능을 도입하여 우지 기관단총 개발에 영향을 주었다.

1949년, 프랑스는 MAT-49를 도입했다. 이 기관단총은 텔레스코핑 와이어 개머리판, 접히는 탄창 하우징, 그립 안전장치를 가진 저렴한 스탬프 강철 기관단총으로, 1980년대까지 프랑스에서 사용되었다.

최근에는 방탄복의 발달로 인해 권총탄의 관통력이 부족해지면서, FN P90이나 H&K MP7과 같이 소총탄을 소형화한 새로운 탄약을 사용하는 PDW(Personal Defence Weapon)라는 새로운 종류의 화기가 등장하고 있다.

3. 현대의 기관단총

9×19mm 패러벨럼탄은 현대 기관단총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권총탄이며, .45 ACP(약 11.4mm)탄도 종종 사용된다.[4] 벨기에FN사는 5.7 × 28 mm 탄을 사용하는 P90 기관단총과 FN 파이브-세븐을 개발하기도 하였다.[4] SS190 시리즈는 기존의 권총탄보다 방탄복 관통력이 현저히 높다.[4]

기관단총은 완전자동 사격이 가능하고 슬라이드가 없다는 점에서 자동권총과 구별된다. 글록 18, 베레타 93R처럼 완전자동 사격이나 점사가 가능한 권총들은 보통 기관권총으로 분류된다.[4]

많은 기관단총은 권총과 달리 탄창 삽입구가 권총 손잡이와 별도로 앞쪽에 있다. 하지만 우지 기관단총, MPi 69, HK MP7 등은 권총 손잡이에 탄창이 들어간다.[4]

기관단총은 권총탄을 사용하므로 소총에 비해 사거리가 짧고 저지력이 약하다. 그러나 총열이 길고 무거워 권총보다 유효 사거리가 길고, 자동 사격 시 자동소총보다 반동이 적어 집탄성이 좋다. 또한 관통력이 약해 부수적인 피해 가능성이 적다.[4] 이러한 장점 덕분에 기관단총은 실내 대테러 임무를 수행하는 특수부대SWAT(경찰특공대)에서 애용된다.[4]

9mm 권총탄은 소총탄보다 탄두를 밀어내는 화약의 양이 적어 추진력이 약하다. 최근 방탄복의 발전으로 권총탄의 위력 부족 문제가 제기되면서, .45 ACP탄을 사용하는 기관단총이 주목받고 있다.[4] 또한, FN사의 5.7 × 28 mm이나 헤클러&코흐사의 4.6 × 30 mm 같은 방탄복 관통 능력이 있는 탄이 개발되었다.[4]

K1 기관단총

  • '''K1A :''' 한국산. 5.56×45mm .223 레밍턴(KM193) 소총탄을 쓰지만, M3 그리스건을 대체할 목적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한국군은 "기관단총"으로 구분한다. 대한민국 경찰특공대 등에서는 창설 초기부터 K1A를 제식 기관단총으로 사용하였다.[4]
  • '''P90 :''' 벨기에제. FN사에서 제작. 5.7 × 28 mm탄을 사용하여 방탄복 관통력이 뛰어나다. 주페루 일본 대사관 인질 사건 당시 처음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4]
  • '''MP5 시리즈 :''' 독일제. 헤클러&코흐사에서 제작. 클로즈드 볼트 방식을 사용하여 초탄 명중률이 매우 높다. UMP45(.45 ACP탄 사용)가 MP5를 보완하는 역할로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G36K와 같은 단축형 소총(카빈)들로 인해 미래는 불투명하다.[4]
  • '''우지 기관단총 :''' 이스라엘산. 우지엘 갈 소령이 제작했으며, 체코제 vz23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작동 방식은 오픈 볼트 (open bolt) 방식이고 분당 750 ~ 950 발 정도의 연사력을 가진다.[4]
  • 러시아AK 소총을 베이스로 한 여러 종류의 기관단총을 개발하여 사용 중이다.[4]


기관단총의 분류에는 일관성이 부족하다.[4] 영연방 국가에서는 "기관 카빈총"으로,[4][5] 다른 자료에서는 "기관 권총"으로 언급하기도 한다.[4] FN P90이나 H&K MP7과 같은 개인 방어 무기도 종종 기관단총으로 불린다.[4]

제2차 세계 대전 후, "거의 매주 새로운 기관단총 설계가 등장"했지만,[26] 대부분은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칼 구스타프 m/45


1945년, 스웨덴은 칼 구스타프 m/45를 도입했다. m/45는 널리 수출되었으며, 베트남 전쟁 중 CIA 요원과 미군 특수부대에서 "스웨덴-K"로 알려져 사용되었다. 1966년, 스웨덴 정부는 베트남 전쟁에 반대하여 미국으로의 총기 판매를 금지했다.[27] 1960년대 초 콩고 위기 동안 유엔 콩고 작전의 일환으로 스웨덴군이 전투에서 사용했으며, 9mm 파라벨룸의 관통력 부족에 대한 전장 보고서에 따라 더 강력한 9mm 탄약을 개발했다.

1946년, 덴마크는 매드센 M-46을, 1950년에는 매드센 M-50을 도입했다. 매드센은 라틴 아메리카에서 특히 인기가 많았다.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는 Sa vz. 23 시리즈를 도입했다. vz. 23 시리즈는 우지 기관단총 개발에 영감을 주었다.[28]

MAT-49 전시


1949년, 프랑스는 MAT-49를 도입했다. MAT-49는 1980년대까지 프랑스에서 사용되었고, 아프리카, 아시아, 중동으로 널리 수출되었다.

1954년, 이스라엘은 우지 기관단총을 도입했다. 우지는 1천만 정 이상 판매되어[29]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기관단총이 되었다.[30]

1959년, 베레타M12를 출시했다. M12는 텔레스코핑 볼트 설계를 사용한 최초의 기관단총 중 하나이다.[31]

1960년대, 헤클러&코흐는 MP5 기관단총을 개발했다. MP5는 G3 소총을 기반으로 하며, 폐쇄 볼트 롤러 지연 후퇴식 작동 방식을 사용한다. MP5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관단총 중 하나이다.[34][35]

1969년, 슈타이어는 MPi 69을 출시했다.[36] MPi 69는 플라스틱 구조를 사용한 최초의 총기 중 하나이다.

소음기가 장착된(소음기 분리됨) 인그램 MAC-10


1970년대에는 .45 ACP MAC-10과 .380 ACP MAC-11과 같이 매우 소형의 기관단총이 개발되어 소음기와 함께 사용되었다.[37]

1980년대에는 기존 돌격소총 설계를 기반으로 기관단총을 설계하기 시작했다.

1982년, 콜트는 M16 소총을 기반으로 한 콜트 9mm 기관단총(Colt 9mm SMG)을 출시했다.[38] 콜트 기관단총은 미국 법 집행 기관과 미국 해병대(USMC)에서 널리 사용되었다.[39]

FN P90 개인 방어 무기


1980년대에 처음 개발된 개인 방어 무기(PDW)는 9×19mm 파라벨럼 기관단총을 대체하기 위한 NATO의 요청에 따라 만들어졌다.[54]

1991년에 등장한 FN P90은 FN 5.7×28mm탄을 발사하도록 설계되었다.[59][60] FN P90은 현재 40개국 이상의 군대와 경찰에 배치되어 있다.[6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소련은 AK-47을 채택하여 동구권 국가에서 기관단총이 퇴역하게 되었다.

서방 진영에서는 7.62x51mm NATO탄이 채택되면서 전차병이나 헬리콥터 탑승원 등의 자위용으로 기관단총의 운용이 계속되었다.

권총탄은 소음기의 효과를 얻기 쉬워, 게릴라전이나 테러 활동에 유리했다. 한국 전쟁이나 베트남 전쟁에서는 공산 세력소음기 부착 기관단총을 사용했다.

이스라엘의 UZI는 L자형 볼트 아이디어로 휴대성을 향상시켰다.

1977년 루프트한자 항공 181편 납치 사건에서 GSG-9가 사용한 독일제 기관단총 H&K MP5는 우수한 명중률과 집탄성을 가진 기관단총이었다.

최근 방탄복의 진화로 FN P90이나 H&K MP7처럼 소총탄을 소형화한 탄약을 사용하는 PDW(Personal Defence Weapon)가 등장하고 있다.

일본군에서는 “기관단총”, “자동단총”, “기관권총” 등으로 다양하게 불렀다. 육군에서는 일백식 기관단총을 '기관단총'으로 불렀으나, 이전에는 자동단총이나 자동소총이라는 명칭도 사용되었다. 해군에서는 MP18 등을 '자동권총'이라고 불렀다.[77]

육상자위대에서는 M3 서브머신건을 11.4mm 단기관총 M3A1으로, 미네베아 사 제 단기관총은 9mm 기관권총으로 채용했다.

방위성에서는 '단기관총', '기관단총', '기관권총', '머신피스톨'을 모두 submachine gun 또는 machine pistol에 해당하는 용어로 사용한다.[72]

경찰의 특수부대(SAT) 등에는 H&K 사의 MP5 단기관총이 도입되어 있다.[78]

4. 추세

하지만 현재 기관단총은 점점 사용 수가 줄어들고 있다.

반동을 줄이기 위해 9mm 권총탄을 쓰기 때문에 살상력이 낮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현재 특수부대에서는 총열 길이를 줄인 M4A1 CQBR 등을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1980년대에 처음 개발된 개인 방어 무기(PDW)는 9×19mm 파라벨럼 기관단총을 대체하기 위한 NATO의 요청에 따라 만들어졌다.[54] PDW는 소형 자동화기로, 전투병과가 아닌 병과나 지원병, 특히 차량에 탑승한 병력에게 지급하기에 충분할 만큼 가볍고, 권총보다 사거리와 종말탄도학적 성능이 우수하다.[55][56][57]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대부분의 PDW는 특수부대 및 대테러 부대의 근접전 무기로 사용될 수 있다.[59][60]

1991년에 등장한 FN P90은 50발들이 탄창이 총열 위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통합형 반사 조준경과 완전히 양손잡이식 조작계를 갖춘 특이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58] 단순한 블로우백 방식 자동화기인 FN P90은 관통력이 높아 방탄복을 관통할 수 있는 독자적인 FN 5.7×28mm탄을 발사하도록 설계되었다.[59][60] FN P90은 평균 체격의 남성 어깨 너비를 넘지 않는 길이로 설계되어 보병전투차 내부와 같이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휴대하고 조작할 수 있다.[58] 현재 40개국 이상의 군대와 경찰에 FN P90이 배치되어 있다.[61]

5. 장단점

기관단총은 권총탄을 사용하여 소총에 비해 사거리가 짧고 저지력이 약하지만, 총열이 길고 무거워 유효 사거리가 길고, 자동 사격 시 자동소총보다 반동이 적어 집탄성이 좋다. 또한 관통력이 약해 부수적인 피해 발생 가능성이 적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기관단총은 실내 대테러 임무를 수행하는 특수부대SWAT(경찰특공대)에서 주로 사용된다.

5. 1. 장점


  • 자동소총에 비해 무게가 가벼워 휴대가 용이하다.
  • 반동이 적어 고장 발생률이 낮다.
  • 명중률이 높다.


1980년대에 처음 개발된 개인 방어 무기(PDW)는 9×19mm 파라벨럼 기관단총을 대체하기 위한 NATO의 요청에 따라 만들어졌다.[54] PDW는 소형 자동화기로, 전투병과가 아닌 병과나 지원병, 특히 차량에 탑승한 병력에게 지급하기에 충분할 만큼 가볍고, 권총보다 사거리와 종말탄도학적 성능이 우수하다.[55][56][57]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대부분의 PDW는 특수부대 및 대테러 부대의 근접전 무기로 사용될 수 있다.[59][60]

1991년에 등장한 FN P90은 50발들이 탄창이 총열 위에 수평으로 장착되고, 통합형 반사 조준경과 완전히 양손잡이식 조작계를 갖춘 특이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58] 단순한 블로우백 방식 자동화기인 FN P90은 관통력이 높아 방탄복을 관통할 수 있는 독자적인 FN 5.7×28mm탄을 발사하도록 설계되었다.[59][60] FN P90은 평균 체격의 남성 어깨 너비를 넘지 않는 길이로 설계되어 보병전투차 내부와 같이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휴대하고 조작할 수 있다.[58] FN P90은 현재 40개국 이상의 군대와 경찰에 배치되어 있다.[61]

5. 2. 단점

기관단총은 권총탄을 사용하므로 소총에 비해 사거리가 짧고 한 발 한 발의 저지력이 약하다는 단점이 있다. 9mm 권총탄은 소총탄보다 지름은 굵지만 탄 전체 길이는 절반 정도에 불과하여 탄두를 밀어낼 화약의 양이 적어 추진력이 떨어진다. 최근에는 방탄복의 발전으로 권총탄의 위력 부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54]

이러한 문제로 인해 미국에서는 .45 ACP(약 11.4mm)탄을 사용하는 권총 및 기관단총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또한 FN사의 5.7 × 28 mm나 헤클러&코흐사의 4.6 × 30 mm처럼 방탄복 관통 능력을 갖춘 탄약도 개발되었다.[59][60]

6. 한국의 기관단총


  • '''K1A :''' 한국산으로, M3 그리스건을 대체할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 '''P90 :''' 벨기에제. FN사에서 제작. 5.7 × 28 mm탄을 사용하여 방탄복 관통력이 뛰어나다. 주페루 일본 대사관 인질 사건 당시 처음 공개되어 특이한 외형으로 주목받았다.
  • '''MP5 시리즈 :''' 독일제. 헤클러&코흐사에서 제작. 클로즈드 볼트 방식을 사용하여 초탄 명중률이 매우 높다. 정밀도 및 신뢰성이 뛰어나 1970년대부터 수많은 특수부대나 대테러부대에서 채용되었다. UMP45(.45 ACP탄 사용)가 MP5를 보완하기도 하지만, G36K와 같은 단축형 소총(카빈)들로 인해 미래는 불투명하다.
  • '''우지 기관단총 :''' 이스라엘산. 우지엘 갈 소령이 제작했으며, 체코제 vz23을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오픈 볼트 (open bolt) 방식으로 분당 750 ~ 950 발 정도의 연사력을 가진다.
  • 러시아AK 소총을 베이스로 한 여러 종류의 기관단총을 개발하여 사용 중이다.

6. 1. K1A 기관단총

K1A는 한국산 기관단총이다. .223 레밍턴(한국군 제식명칭 KM193) 소총탄을 사용하기 때문에 카빈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한국군은 "기관단총"으로 구분한다. 원래 M3 그리스건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경찰특공대 등에서는 창설 초기부터 K1A를 제식 기관단총으로 사용하였다. K1A라는 명칭은 M16을 라이선스 생산하던 것에서 벗어나 독자적인 기관단총을 개발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6. 2. 9mm 기관권총

1999년, 헤클러&코흐는 UMP ("유니버설 머신 피스톨")를 출시했다.[40] UMP는 9mm 파라벨룸, .40 S&W 또는 .45 ACP탄을 사용하는 폐쇄 볼트 후퇴식 작동 방식의 기관단총으로, H&K G36 돌격소총을 기반으로 한다.[41][42] 주로 폴리머 소재로 제작되었으며, MP5보다 비용 효율적이고 가볍고 단순한 설계를 목표로 했다.[41][43] UMP는 측면 접이식 개머리판을 가지고 있으며, 네 가지 다른 방아쇠 그룹 구성으로 제공된다.[44] 또한 다양한 피카티니 레일 부착 액세서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41][42]

6. 3. 대한민국 경찰의 기관단총

수직 전방 손잡이가 장착된 헤클러&코흐 UMP45


1999년, H&K는 UMP ("유니버설 머신 피스톨")을 출시했다.[40] UMP는 9mm 파라벨룸, .40 S&W 또는 .45 ACP탄을 사용하는 폐쇄 볼트 후퇴식 작동 방식의 기관단총으로, H&K G36 돌격소총을 기반으로 한다.[41][42] 주로 폴리머 소재로 제작되었으며, MP5보다 비용 효율적이고 가볍고 단순한 설계를 목표로 했다.[41][43] UMP는 측면 접이식 개머리판을 가지고 있으며, 네 가지 다른 방아쇠 그룹 구성으로 제공된다.[44] 또한 다양한 피카티니 레일 부착 액세서리를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41][42]

참조

[1] 웹사이트 The Thompson submachine gun: shooting a 20th century icon. - Free Online Library http://www.thefreeli[...]
[2] 서적 Military Small Arms Of The 20th Century Krause Publications
[3] 웹사이트 Submachine Guns (SMG's): Outpaced by Today's Modern Short-Barreled Rifles (SBR's)/Sub-Carbines, or Still a Viable Tool for Close Quarters Battle/Close Quarters Combat (CQB/CQC)? https://defenserevie[...] 2023-06-19
[4] 서적 Military Small Arms of the 20th Century Krause Publications
[5] 서적 Sten Machine Carbine Collector Grade Publications 2000-12-01
[6] 서적 Military Small Arms of the 20th Century Krause Publications
[7] 서적 Chemical Analysis of Firearms, Ammunition, and Gunshot Residue CRC Press
[8] 웹사이트 Hiram's Extra Light Maxim Gun https://www.forgotte[...] 2019-08-07
[9] 웹사이트 Espacenet – search results https://worldwide.es[...]
[10] 웹사이트 Villar Perosa machine gun http://firearms.96.l[...] 2023-06-14
[11] 웹사이트 Steyr M.1912/P16 machine-pistol http://firearms.96.l[...] 2023-06-18
[12] 웹사이트 Maschinenpistole Senn (Luger conversion) http://firearms.96.l[...] 2023-06-18
[13] 서적 Military Small Arms of the 20th Century Krause Publications
[14] 서적 The World's Greatest Small Arms: An Illustrated History
[15] 서적 American Thunder: The Military Thompson Submachine Gun 1928, 1928A1, M1, M1A1 Moose Lake Publishing
[16] 웹사이트 An Official Journal Of The NRA {{!}} Guns of the Battle of Blair Mountain https://www.american[...] 2022-12-02
[17] 서적 The I.R.A. at war 1916 - 1923 Oxford University Press
[18] 서적 Tom Barry: IRA Freedom Fighter Mercier Press
[19] 웹사이트 Отчет стрелкового полигона: пистолет-пулемет Томпсона https://kalashnikov.[...] 2022-11-24
[20] 서적 Ordnance Went Up Front Samworth Press
[21] 서적 Military Small Arms of the 20th Century Krause Publications
[22] 서적 The encyclopedia of weapons of World War II MetroBooks 2014-10-19
[23] 서적 The Nambu Type 14 pistol explained HL Publishing
[24] 서적 Fighting Men of World War II: Uniforms, Equipment and Weapons https://books.google[...] Stackpole Books
[25] 웹사이트 StG 44 - Approved by Hitler, The Gun that Revolutionized Modern Rifles (includes footage) {{!}} War History Online https://www.warhisto[...] 2019-02-10
[26] 서적 Military Small Arms of the 20th Century Krause Publications
[27] 서적 Leadership and diplomacy in the Vietnam War Taylor & Francis
[28] 서적 Guns and How They Work Everest House
[29] 서적 Ultimate Special Forces https://archive.org/[...] DK Publishing
[30] 학술지 Using the Uzi Soldier of Fortune
[31] 서적 Military Small Arms of the 20th Century Krause Publications
[32] 서적 The Coldest Winter https://archive.org/[...] Hyperion Press
[33] 서적 The M1 Carbine https://books.google[...] Osprey Publishing
[34] 서적 Jane's Guns Recognition Guide Jane's Information Group
[35] 서적 Small Arms for Urban Combat http://www.mcfarland[...] McFarland
[36] 서적 Military Small Arms of the 20th Century Krause Publications
[37] 서적 Military Small Arms of the 20th Century Krause Publications
[38] 웹사이트 Colt Weapon Systems https://web.archive.[...] 2016-11-07
[39] 서적 Military Small Arms Of The 20th Century Krause Publications
[40] 웹사이트 Heckler & Koch – Group Website http://www.heckler-k[...] Heckler-koch.com 2009-06-26
[41] 서적 Tactical Small Arms of the 21st Century: A Complete Guide to Small Arms From Around the World https://books.google[...] Gun Digest Books
[42] 서적 Jane's Guns Recognition Guide HarperCollins Publishers
[43] 서적 Future Weapons https://books.google[...] Penguin Group US
[44] 서적 Submachine Guns and Assault Rifles https://books.google[...] Andrius Genys
[45] 웹사이트 Izhmash product page Vityaz SMG https://web.archive.[...]
[46] 웹사이트 New guns for Russia's cops – so what? - In Moscow's Shadows http://inmoscowsshad[...] 2008-10-23
[47] 웹사이트 Исторические сведения ПП-19-01 "Витязь"/"Витязь-СН" - пистолет-пулемёт https://web.archive.[...] 2015-07-31
[48] 웹사이트 Products https://web.archive.[...] KRISS Arms 2012-11-30
[49] 웹사이트 LDP / Kommando: The "Rhuzi" https://www.forgotte[...] 2018-12-05
[50] 간행물 SOF Weapons, Bell & White 84, South Africa's New Machine Pistol Soldier of Fortune 1986-02
[51] 웹사이트 Cobra Mk1 pistol-carbine https://www.iwm.org.[...]
[52] 웹사이트 THE KOMMANDO L.D.P. - Small Arms Review http://www.smallarms[...] 2004-02
[53] 웹사이트 Tumblr https://www.historic[...]
[54] 웹사이트 Evolution of the Personal Defense Weapon - Small Arms Review https://smallarmsrev[...] 2023-04-20
[55] 웹사이트 Personal Defense Weapon (PDW) https://www.sigsauer[...]
[56] 웹사이트 PDW - All About Personal Defense Weapons - TargetBarn.com https://www.targetba[...] 2021-02-08
[57] 웹사이트 What is a Personal Defense Weapon (PDW) Video https://www.ammoland[...] 2024-11-09
[58] 서적 Future Weapons Berkley Trade
[59] 서적 The Illustrated Directory of 20th Century Guns Salamander Books Ltd.
[60] 웹사이트 In the Line of Fire https://web.archive.[...] Global Defence Review
[61] 간행물 Baltic Defence Research and Technology 2009 Conference Proceedings Military Review: Scientific Journal for Security and Defence
[62] 간행물 進化を続ける『SUBMACHINE GUN』 学習研究社
[63] 백과사전 機関拳銃
[64] 백과사전 機関短銃
[65] 웹사이트 Development of the Thompson Sub Machinegun http://www.nfatoys.c[...] The Unofficial Tommy Gun Page
[66] 웹사이트 Submachine gun https://britannica.c[...] britannica.com
[67] 웹사이트 Maschinenpistole https://www.dwds.de/[...] Digitales Wörterbuch der deutschen Sprache
[68] 웹아카이브
[69] 웹사이트 The Machine Pistol – Where It Fits in the Toolbox https://sofrep.com/g[...]
[70] 웹아카이브
[71] 서적 The Big Book of Gun Trivia: Everything You Want to Know, Don't Want to Know, and Don't Know You Need to Know Bloomsbury Publishing
[72] 웹사이트 防衛省規格 火器用語(小火器) https://www.mod.go.j[...] 防衛省 2018-01-27
[73] 웹사이트 The Machine Gun History, Evolution, and Development of Manual, Automatic, and Airborne Repeating Weapons http://www.ibiblio.o[...]
[74] 웹사이트 The M.P. 18,I: The First German Maschinepistole https://www.smallarm[...] SmallArmsReview.com
[75] 웹사이트 Standschütze Hellriegel Submachine Gun https://www.historic[...] Historical Firearms
[76] 간행물 La Guerra del Chaco: fighting in El Infierno Verde: Part 2: tanks, airplanes, submachine guns: all played a role in this bloody conflict over some of the world's most godforsaken real estate https://www.thefreel[...] 2014-05-01
[77] 서적 もう一つの陸軍兵器史―知られざる鹵獲兵器と同盟軍の実態 光人社
[78] Youtube テレ東ニュース「皇居で年頭視閲式 部隊が華々しく行進」【動画】 https://m.youtube.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