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법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법언은 법률 및 판례에서 널리 사용되는 격언이나 원칙을 의미한다. 법언은 라틴어, 한국어, 일본어, 영미법 등 다양한 법체계에서 나타나며, 법의 해석과 적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요 법언으로는 '주의깊어서 손해볼 것 없다', '계약은 지켜져야 한다', '악법도 법이다', '법률 없이는 범죄도 없다' 등이 있다. 법언은 법률가, 법학자, 판사 등에 의해 활용되며, 법의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지만, 시대 변화에 따라 그 의미가 퇴색되거나 비판을 받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속담 - 잠언
    잠언은 솔로몬이 주로 저술한 구약성경의 지혜 문학서로, 삶의 지침을 제시하는 격언과 잠언들을 담고 있으며 아굴과 르무엘 등 다른 저작자들의 잠언도 포함한다.
  • 속담 - 농부와 독사
    농부와 독사는 이솝 우화로, 얼어붙은 뱀을 불쌍히 여겨 따뜻하게 보살펴준 농부가 뱀에게 물려 죽는 이야기를 통해 배은망덕을 경계하는 교훈을 담고 있으며, "가슴에 뱀을 품다"라는 속담의 기원이 되었다.
  • 법 - 재판
    재판은 피고와 원고의 공방과 판사 또는 배심원의 판단을 통해 분쟁을 해결하는 절차이며, 민사, 형사, 행정 재판 등으로 구분된다.
  • 법 - 조약
    조약은 국제법 주체들이 국제법에 따라 법적 구속력을 갖도록 체결하는 공식적인 서면 합의이며,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고, 채택, 인증, 구속 동의 등의 절차를 거쳐 효력이 발생하며, 당사국 간 법적 구속력을 가진다.
법언

2. 라틴어 법언

라틴어 법언은 법률 체계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개념들을 담고 있으며, 오랫동안 법률가들 사이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 격언들은 법의 기본 원칙을 간결하게 표현하여 법률 해석과 적용에 지침을 제공한다.

다음은 라틴어 법언을 소개한 주요 서적들이다.

저자서적 제목발행 연도기타
보나파키우스 8세법률 규칙1298
프랜시스 베이컨일반법의 주요 규칙과 격언 모음1630원문
노이영국 법의 주요 원칙과 격언에 관한 논문1641원문 (8판, 1824)
윙게이트이성의 격언1728원문
프랜시스법과 형평성의 근본과 기본17512판
로프트보고서1776보고서에 첨부
브랜치법률 및 형평성의 원리1824T. A. 화이트 출판
브룸법률 격언19007판, 런던
트레이너 경라틴 격언과 구절18762판
스태어스코틀랜드 법률 연구, 모어의 색인 포함1832에든버러
존 부비에미국과 아메리카 연합의 여러 주 헌법 및 법률에 적용된 법률 사전1856개정 6판, "M"자 시작 섹션에 다수 법언 목록 포함
버릴새로운 법률 사전 및 용어집1860J. S. Voorhies 출판
A. I. 모건법언의 영어 버전1878신시내티
S. S. 펠루베법률 및 형평법의 법언1880뉴욕
익명이름 없는 라틴어, 제2장, "영문 번역, 설명 주석 및 상호 참조가 있는 1,000개 이상의 라틴 법언 모음"1915Sweet and Maxwell 출판


2. 1. 주요 라틴어 법언


  • 주의깊어서 손해볼 것 없다. (Abundans cautela non nocet|아분단스 카우텔라 논 노케트la)
  • 누구도 신 앞을 제외하곤 자기 자신을 기소할 수 없다. (Accusare nemo se debet; accusare nemo se debet nisi coram Deo|아쿠사레 네모 세 데베트; 아쿠사레 네모 세 데베트 니시 코람 데오la)
  • 의도는 행동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다.(Acta exteriora indicant interiora secreta|악타 엑스테리오라 인디칸트 인테리오라 세크레타la)
  • 형평법은 보통법을 따른다. (Aequitas sequitur legem|아이퀴타스 세퀴투르 레겜la)
  • 상대방 의견을 들으라. (Audi alteram partem|아우디 알테람 파르템la)
  • 계약은 지켜져야 한다. (pacta sunt servanda)
  • 후법은 전법을 폐지한다.
  • 법은 사소한 것에 얽매이지 않는다.
  • 법은 가정에 들어가지 않는다(친족상도례 등).
  • 국왕이라고 할지라도 신과 법 아래에 있다 (헨리 브랙턴).
  • 자백은 증거의 여왕이다 (오랫동안 중요시되었지만 현대에는 비판받고 있다).
  • 악법도 법이다 (Gesetz ist Gesetz|게제츠 이스트 게제츠de) - 법실증주의.
  • 눈에는 눈, 이에는 이 - 함무라비 법전.
  • 법률 없이는 범죄도 없다. 법률 없이는 형벌도 없다 - 죄형법정주의 (헌법 제31조).
  • 누구든지 자신의 적수에게 무기를 들게 할 의무는 없다 (헌법 제38조).
  • 권리 위에 잠자는 자는 보호받지 못한다 - 시효 (민법 144조 이하).
  • 결혼은 성인으로 한다 - 혼인에 의한 성년 의제 (민법 753조).
  • 소가 없으면 재판도 없다 - 처분권주의 (민사소송법 246조).
  • 법의 부지는 용서하지 않는다 - 고의 (형법 38조 3항).
  • 의심스러울 때는 벌하지 않는다 - (형사소송법 336조).

3. 한국어 법언

3. 1. 주요 한국어 법언


  • 법의 원인이 그치면 법의 적용도 그친다.
  • 공익은 사익에 우선한다.
  • 소 없으면 재판없다.

4. 다른 나라의 법언


  • 후법은 전법을 폐지한다.
  • 법은 사소한 것에 얽매이지 않는다.
  • 국왕이라고 할지라도 신과 법 아래에 있다. (헨리 브랙턴)
  • 자백은 증거의 여왕이다. (오랫동안 중요시되었지만 현대에는 비판받고 있다)
  • 악법도 법이다. (Gesetz ist Gesetz.|게제츠 이스트 게제츠de) - 법실증주의
  • 눈에는 눈, 이에는 이 - 함무라비 법전

4. 1. 일본 법언


  • 법은 가정에 들어가지 않는다 (친족상도례).
  • 권리 위에 잠자는 자는 보호받지 못한다 (시효, 민법 144조 이하).
  • 결혼은 성인으로 한다 (혼인에 의한 성년 의제, 민법 753조).
  • 법률 없이는 범죄도 없다. 법률 없이는 형벌도 없다 (죄형법정주의, 헌법 제31조).
  • 누구든지 자신의 적수에게 무기를 들게 할 의무는 없다 (헌법 제38조).
  • 소가 없으면 재판도 없다 (처분권주의, 민사소송법 246조).
  • 법의 부지는 용서하지 않는다 (고의, 형법 38조 3항).
  • 의심스러울 때는 벌하지 않는다 (형사소송법 336조).

4. 2. 영미법 법언

다음은 영미법 법언과 관련된 내용이다.

  • 프랜시스 베이컨의 ''일반법의 주요 규칙과 격언 모음''(1630)
  • 노이의 ''영국 법의 주요 원칙과 격언에 관한 논문''(1641)
  • 윙게이트의 ''이성의 격언''(1728)
  • 프랜시스의 ''법과 형평성의 근본과 기본''(1751)
  • 로프트의 보고서(1776)
  • 브랜치의 ''[https://books.google.com/books?id=XX88AAAAIAAJ 법률 및 형평성의 원리]''(1824)
  • 브룸의 ''법률 격언''(1900)
  • 트레이너 경의 ''라틴 격언과 구절''(1876)
  • 스태어의 ''스코틀랜드 법률 연구, 모어의 색인 포함''(1832)
  • 존 부비에의 ''미국과 아메리카 연합의 여러 주 헌법 및 법률에 적용된 법률 사전''(1856)
  • 버릴의 ''[https://books.google.com/books?id=qcdCsoeNVTgC 새로운 법률 사전 및 용어집]''(1860)
  • A. I. 모건의 ''법언의 영어 버전''(1878)
  • S. S. 펠루베의 ''법률 및 형평법의 법언''(1880)
  • 익명의 ''이름 없는 라틴어''(1915)
  • 후법은 전법을 폐지한다.
  • 법은 사소한 것에 얽매이지 않는다.
  • 법은 가정에 들어가지 않는다. (친족상도례 등)
  • 국왕이라고 할지라도 신과 법 아래에 있다. (헨리 브랙턴)
  • 자백은 증거의 여왕이다. (오랫동안 중요시되었지만 현대에는 비판받고 있다)
  • 악법도 법이다. (법실증주의)
  • 눈에는 눈, 이에는 이. (함무라비 법전)
  • 법률 없이는 범죄도 없다. 법률 없이는 형벌도 없다. (죄형법정주의, 헌법 제31조)
  • 누구든지 자신의 적수에게 무기를 들게 할 의무는 없다. (헌법 제38조)
  • 권리 위에 잠자는 자는 보호받지 못한다. (시효, 민법 144조 이하)
  • 결혼은 성인으로 한다. (혼인에 의한 성년 의제, 민법 753조)
  • 소가 없으면 재판도 없다. (처분권주의, 민사소송법 246조)
  • 법의 부지는 용서하지 않는다. (고의, 형법 38조 3항)
  • 의심스러울 때는 벌하지 않는다. (형사소송법 336조)

5. 법언의 현대적 의의와 비판

법언은 오랜 시간 동안 법의 기본 원칙으로 여겨져 왔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그 의미와 한계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 "자백은 증거의 여왕이다": 과거에는 자백이 가장 중요한 증거로 여겨졌지만, 현대에는 강압이나 회유에 의한 허위 자백의 위험성 때문에 비판받고 있다.
  • "악법도 법이다": 법실증주의를 대표하는 이 법언은 법의 안정성을 강조하지만, 부당한 법에 대한 저항을 억압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 "권리 위에 잠자는 자는 보호받지 못한다": 시효 제도와 관련된 이 법언은 법적 안정성을 위한 것이지만, 권리 행사가 어려운 개인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 "법의 부지는 용서하지 않는다": 고의와 관련된 이 법언은 법을 몰랐다는 이유로 책임을 회피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지만, 법률의 복잡성으로 인해 일반인이 모든 법을 알기 어렵다는 현실을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의심스러울 때는 벌하지 않는다": 무죄 추정의 원칙을 나타내는 이 법언은 충분한 증거를 확보하기 어려운 사건에서 범죄자를 처벌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5. 1. 법언의 기능과 역할

법언은 법률 체계와 관련된 격언이나 속담을 의미하며, 법의 정신과 원칙을 간결하게 표현하여 법률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에게도 법의 의미를 전달하고 이해를 돕는 역할을 한다.

다음은 법언의 몇 가지 예시와 그 의미이다.

  • 후법은 전법을 폐지한다: 나중에 제정된 법이 이전에 제정된 법보다 우선한다는 원칙이다.
  • 법은 사소한 것에 얽매이지 않는다: 법은 사소한 문제보다는 중대한 정의 실현에 초점을 맞춘다는 의미이다.
  • 법은 가정에 들어가지 않는다: 가정 내 문제는 국가의 법보다는 가족 구성원 간의 자율적인 해결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친족상도례 등)
  • 국왕이라고 할지라도 신과 법 아래에 있다: 헨리 브랙턴의 말로, 국왕도 법의 지배를 받아야 한다는 법치주의 원칙을 강조한다.
  • 자백은 증거의 여왕이다: 과거에는 자백이 가장 중요한 증거로 여겨졌지만, 현대에는 강요나 고문에 의한 허위 자백의 위험성 때문에 비판받고 있다.
  • 악법도 법이다: 법실증주의를 대표하는 표현으로, 법의 내용이 정의롭지 않더라도 일단 법으로 제정되면 지켜야 한다는 의미이다.
  • 눈에는 눈, 이에는 이: 함무라비 법전에 나오는 표현으로, 피해자가 입은 피해만큼 가해자에게 처벌을 가해야 한다는 동해보복 사상을 나타낸다.
  • 법률 없이는 범죄도 없다. 법률 없이는 형벌도 없다: 죄형법정주의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어떤 행위가 범죄가 되고 그에 대한 처벌이 이루어지려면 반드시 미리 법률로 규정되어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헌법 제31조)
  • 누구든지 자신의 적수에게 무기를 들게 할 의무는 없다: 자기에게 불리한 진술을 강요당하지 않을 권리를 의미한다. (헌법 제38조)
  • 권리 위에 잠자는 자는 보호받지 못한다: 자신의 권리를 행사하지 않고 방치하는 사람은 법의 보호를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시효 (민법 144조 이하))
  • 결혼은 성인으로 한다: 혼인을 하면 성인으로 간주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민법 753조)
  • 소가 없으면 재판도 없다: 처분권주의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당사자가 소를 제기하지 않으면 법원은 재판을 시작할 수 없다는 원칙이다. (민사소송법 246조)
  • 법의 부지는 용서하지 않는다: 법을 몰랐다는 이유로 범죄에 대한 처벌을 면할 수 없다는 의미이다. (형법 38조 3항)
  • 의심스러울 때는 벌하지 않는다: (형사소송법 336조)

5. 2. 법언에 대한 비판적 시각

법언은 오랜 시간 동안 법의 기본 원칙으로 여겨져 왔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 "자백은 증거의 여왕이다": 과거에는 자백이 가장 중요한 증거로 여겨졌지만, 현대에는 강압이나 회유에 의한 허위 자백의 위험성 때문에 비판받고 있다.
  • "악법도 법이다": 법실증주의를 대표하는 이 법언은 법의 안정성을 강조하지만, 부당한 법에 대한 저항을 억압할 수 있다는 비판을 받는다.
  • "권리 위에 잠자는 자는 보호받지 못한다": 시효 제도와 관련된 이 법언은 법적 안정성을 위한 것이지만, 권리 행사가 어려운 개인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
  • "법의 부지는 용서하지 않는다": 고의와 관련된 이 법언은 법을 몰랐다는 이유로 책임을 회피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지만, 법률의 복잡성으로 인해 일반인이 모든 법을 알기 어렵다는 현실을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 "의심스러울 때는 벌하지 않는다": 형사소송법 제336조와 관련된 법언으로, 무죄 추정의 원칙을 나타내지만, 충분한 증거를 확보하기 어려운 사건에서는 범죄자를 처벌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참조

[1] 서적 The Maxims of the Law is combined with a tract entitled ''The Use of the Common Law, for preservation of our Persons, goods, and good Names'' in a book entitled ''The Elements of the Common Lawes of England''.
[2] 서적 The Works of Francis Bacon Murph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