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스프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베스프림은 "고집 센"이라는 뜻의 슬라브어 이름으로, 폴란드의 공작이었다. 볼레스와프 1세의 아들이자 미에슈코 2세의 이복 형제인 그는, 1031년 미에슈코 2세가 보헤미아로 도망간 틈을 타 키예프 루스와 동맹을 맺고 폴란드 왕위에 올랐다. 즉위 후 황제에게 왕관을 보내 왕의 칭호를 포기하고, 반대파를 박해하는 등 가혹한 통치를 펼쳤다. 1032년 부하들에게 살해당했으며, 그의 죽음 이후 폴란드는 분열되어 혼란에 빠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986년 출생 - 레롱딘
레롱딘은 베트남 전 레 왕조의 황제로, 폭정과 잔혹한 성정, 잦은 병치레로 '와조'라는 별칭을 얻었으며 사후 리공온에 의해 왕조가 멸망했다. - 1032년 사망 - 장의황후
장의황후는 북송 진종의 후궁이자 인종의 생모로, 본래 비구니 출신이었으나 진종의 승은을 입어 인종을 낳았고, 인종 즉위 후 황후로 추존되었으며, 민간 설화의 주인공으로도 알려져 있다. - 1032년 사망 - 교황 요한 19세
교황 요한 19세는 1024년부터 1032년까지 재위했으며, 투스쿨룸 백작 가문 출신으로 동서 교회 분열 위협 속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관할권 확대를 거부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 11세기 폴란드 사람 - 볼레스와프 1세 흐로브리
폴란드의 공작이자 초대 국왕인 볼레스와프 1세 흐로브리는 용감왕으로도 불리며, 군사적 능력과 외교적 수완으로 폴란드를 강국으로 만들고 기독교를 장려하여 문화 발전에 공헌했다. - 11세기 폴란드 사람 - 볼레스와프 3세
볼레스와프 3세는 1086년경에 태어나 1138년에 사망한 폴란드의 공작으로, 포메라니아를 지배하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군대를 격파하는 등 군사 활동을 펼쳤으나, 서거 전 국토를 분할 상속하여 폴란드 분열 시대를 초래했다.
베스프림 | |
---|---|
기본 정보 | |
![]() | |
폴란드어 | Bezprzym |
헝가리어 | Veszprém |
활동 시기 | 기원후 986년-987년 경 |
사망 시기 | 1032년 |
통치 정보 | |
작위 | 폴란드 공작 |
통치 기간 | 1031년 – 1032년 |
이전 통치자 | 미에슈코 2세 람베르트 |
다음 통치자 | 미에슈코 2세 람베르트 |
가문 정보 | |
왕조 | 피아스트 왕조 |
아버지 | 볼레스와프 1세 흐로브리 |
어머니 | 유디트 (헝가리) |
배우자 | 알려진 바 없음 |
자녀 | 알려진 바 없음 |
2. 이름
베스프림(Bezprym)이라는 이름은 1차 자료에서 ''Besprim''(티트마르 연대기), ''Besfrim''(작센 연대기), ''Bezbriem''(''힐데스하임 연대기'' 및 알타이히 연대기) 등으로 나타난다.[1] 폴란드 귀족들 사이에서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보헤미아 자료에는 ''Bezprim'', ''Bezprem'', ''Bezperem'' 등으로 알려져 있다.[1] 한 가설에 따르면 이 이름은 서슬라브어 기원이며, 원래는 ''Bezprzem'' 또는 ''Bezprzym''으로 발음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 전통과 이름의 정확한 버전을 확정하기 어렵기 때문에 베스프림이라는 형식이 사용되지만, K. 야신스키는 수정이 필요할 수도 있다고 보았다.[2]
베스프림은 유디트로, 게자의 딸로 알려져 있다.[5]
이 이름은 문자 그대로 "고집 센", "자신만만하며 물러서려 하지 않는"을 의미한다.[3] 헝가리 도시인 베스프렘의 이름은 이와 동일한 서슬라브어 이름에서 파생된 것으로 여겨진다.
3. 초기 생애
베스프림이 태어난 직후, 그의 부모의 결혼은 폴란드와 헝가리 사이의 정치적 관계 악화로 인해 끝났다. 베스프림의 어머니는 버려져 쫓겨났지만, 아마도 폴란드에 남아 곧 사망했을 것이다.[7] 이후 볼레스와프 1세는 엠닐다와 결혼하여 다섯 자녀를 낳았으며, 이 결혼의 장남인 미래의 미에슈코 2세 람베르트는 990년에 태어났다.
베스프림은 라벤나 출신의 은둔자인 성 로무알드의 '로무알드의 생애'에서 언급된, 1001년에 그에게 말을 준 폴란드 공작의 아들로 추정된다.[8]
베스프림이 헝가리에서 베스프렘과 잘라 주의 수장으로 임명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가설이 있지만, 폴란드 역사가들은 이 가설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베스프림은 1025년 4월 25일 그니에즈노 대성당에서 그의 아버지가 폴란드 국왕으로 즉위하는 자리에 참석했을 가능성이 있다.[12]
3. 1. 출생과 가족 배경
베스프림은 볼레스와프 1세와 그의 두 번째 부인인 헝가리 공주(이름 미상) 사이에서 태어났다.[4] 이 공주는 이전 문헌에서는 유디트로, 게자의 딸로 알려져 있으나,[5] 볼레스와프 1세의 두 번째 아내의 실제 신원에 대한 의견은 다양하며, 그녀가 게자의 딸이라는 가설을 지지하는 연구자들도 여전히 존재한다.[6]
베스프림이 태어난 직후, 폴란드와 헝가리 사이의 정치적 관계가 악화되면서 부모의 결혼은 파경을 맞았다. 베스프림의 어머니는 버려져 쫓겨났지만, 폴란드에 남아 곧 사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7]
이혼 직후, 볼레스와프 1세는 엠닐다와 결혼하여 다섯 자녀를 낳았는데, 이 결혼의 장남이자 훗날 미에슈코 2세 람베르트가 되는 아들은 990년에 태어났다.
베스프림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는 그의 이복 형제인 미에슈코 2세의 어린 시절이 여러 동시대 자료에서 자세히 묘사된 것과 대조적이다. 아마도 그의 아버지가 그를 싫어했고, 미에슈코 2세를 그의 후계자로 여겼기 때문으로 보이는데, 이는 볼레스와프 1세의 후기 정치 활동으로 확인된다.
베스프림은 피아스트 가문에서 흔히 쓰이는 이름이 아닌, 평민의 이름이었다. 또한 1003년경에는 아버지에 의해 성직자가 되기 위해 이탈리아의 수도원으로 보내졌다.
그의 이복동생으로는 미에슈코 2세 람베르트와 오토 볼레스와보비치가 있었다.
3. 2. 수도원 생활
1003년경, 베스프림은 아버지에 의해 이탈리아의 수도원으로 보내져 성직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8] 볼레스와프 1세는 장자 상속 관례를 깨고 미에슈코 2세를 후계자로 삼으려 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슬라브족의 전통에 따르면, 가장인 아버지는 아들들에게 재산을 나누어 주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왕국은 분할되지 않았고 왕위는 베스프림의 이복 동생 미에슈코가 계승했다.
4. 폴란드 통치
미에슈코 2세가 폴란드 정부를 장악한 후, 베스프림과 그의 막내 이복 형제 오토는 잠시 동안 폴란드에 머물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미에슈코 2세는 곧 베스프림을 국외로 추방했고,[13] 황제 콘라트 2세의 도움을 받아 그들이 자신을 상대로 음모를 꾸몄다는 사실을 알게 되자 1030년에 오토도 추방했을 것이다. 베스프림은 키예프 루스로 피신하여, 류리크 왕조의 통치자들인 야로슬라프 1세와 므스티슬라프와 동맹을 맺었다.[14]
이후 베스프림의 즉위 과정과 통치 기간의 혼란과 반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볼레스와프 1세 흐로브리와 그의 두 번째 부인인 마자르족 족장의 딸(이름 미상)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미에슈코 2세 람베르트와 오토는 이복 남동생에 해당한다. 베스프림은 그의 이름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환영받지 못한 아이로 추측된다. 베스프림의 생모는 그를 낳은 지 얼마 되지 않아 볼레스와프 1세와 이혼했다. 또한 볼레스와프, 미에슈코, 카지미에시와 같은 피아스트 가문에서 흔히 쓰이는 이름이 아닌, 베스프림이라는 이름은 평민의 이름이었다. 1003년경, 그는 아버지인 국왕에 의해 성직자가 되기 위해 이탈리아의 수도원으로 보내졌다. 슬라브족의 전통에 따르면, 가장인 아버지는 재산을 아들들에게 나누어 주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왕국은 분할되지 않았고 왕위는 베스프림의 이복 동생 미에슈코가 계승했다.
장자로서 왕위를 요구할 수 있는 입장이었던 베스프림은 키예프 대공국으로 망명했다.
오래된 역사학에서 미에슈코 2세의 장남으로 알려진 볼레스와프 잊혀진 자(Bolesław Zapomnianypl)의 존재에 대한 이론이 있는데, 현재는 일반적으로 거부되고 있다.[17]
4. 1. 즉위 과정
1031년, 베스프림은 키예프 루스의 야로슬라프 1세와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콘라트 2세의 지원을 받아 폴란드를 침공했다.[14] 미에슈코 2세는 서부 국경(루사티아) 방어에 집중하고 있었기 때문에 키예프의 공격을 막을 수 없었다. 결국 미에슈코 2세는 보헤미아로 도피했고, 그곳에서 공작 올드르지흐에게 투옥되어 거세당했다.[15] 야로슬라프 1세는 적 루테니아를 자신의 영토에 병합했고, 베스프림은 폴란드 공작으로 즉위했다.[15] 야로슬라프 1세의 군대가 베스프림을 옹립하기 위해 폴란드 중부 지방에 직접 개입했을 가능성도 제기되지만, 현재는 확실하지 않다.[15] 일부 학자들은 베스프림이 이교 반동의 수장이었을 수도 있다고 추정한다.[15]베스프림은 즉위 직후 폴란드 왕관과 왕실 보물을 신성 로마 제국에 넘겨주고 왕위를 포기함으로써, 신성 로마 제국의 종속적 지위를 인정했다.
4. 2. 통치 기간의 혼란과 반란
베스프림은 권력을 잡은 직후 폴란드 왕관을 황제에게 보내고 왕의 칭호를 포기했다. 이는 서쪽 국가에 대한 복종을 의미했다.[16] 왕관과 왕실 장신구는 미에슈코 2세의 아내인 리체자 여왕이 직접 전달했다.[16] 1031년, 리체자 여왕은 자녀인 카지미에시, 릭사, 게르트루다와 함께 폴란드를 떠났다.[16] 이는 베스프림에게 왕위 계승 경쟁자를 제거하는 유리한 상황을 만들었다.[16]하지만 베스프림에 반대하는 세력은 여전히 남아있었다. 베스프림은 이들을 잔혹하게 박해했고, 많은 사람들이 마조비아 등으로 피신해야 했다.[16] 1032년에 사망한 두 주교 로만과 람베르트도 이러한 탄압의 희생자였을 가능성이 있다.[16]
이러한 잔혹한 통치는 '이교도 반란'으로 이어졌을 가능성이 크다.[16] 현대 역사학에서는 이 반란을 1031~1032년으로 추정한다.[16] 이 반란은 종교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볼레스와프 1세와 미에슈코 2세 시대의 과도한 팽창 정책과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불만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16] 서부 지역 전투에서의 패배는 폴란드 군대의 생계 수단을 끊었고, 대규모 군대 유지 비용은 국민들에게 큰 부담이었다.[16] 또한, 외국 군대의 침략은 국민들의 불만을 더욱 키웠다.[16]
5. 사망
베스프림은 늦어도 1032년 봄에 자신의 부하들에게 살해당했다. 그의 죽음을 사주한 자는 이복형제들, 그중에서도 독일에서 망명 생활을 하던 오토로 추정된다. 베스프림의 매장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베스프림이 죽은 후, 폴란드는 미에슈코 2세, 오토, 디트리크가 통치하는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1] 이는 신성 로마 제국이 폴란드 문제에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게 만들었으며, 폴란드는 거의 반세기 동안 왕국으로서의 지위를 잃었다.[1]
6. 평가
베스프림의 통치는 짧았지만, 폴란드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의 통치는 왕권 약화, 외세 개입, 사회 불안정으로 점철된 시기로 평가된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베스프림은 외세에 의존하고 폭력적인 통치를 한 군주로 부정적으로 평가된다.
참조
[1]
서적
Imiennictwo dynastii piastowskiej we wczesnym średniowieczu
PWN
[2]
서적
Rodowód pierwszych Piastów
[3]
서적
Živé kroniky slovenských dejín
Literárne informačné centrum
[4]
서적
Rodowód pierwszych Piastów
[5]
서적
Genealogia Piastów
[6]
서적
Historia Węgier do 1526 roku w zarysie
[7]
웹사이트
http://freepages.gen[...]
[8]
서적
Rodowód pierwszych Piastów
[9]
문서
[10]
서적
Genealogia Piastów
[11]
간행물
Kontakty Polski i Węgier w dobie tworzenia się obu państw
[12]
서적
Bolesław Chrobry
[13]
문서
[14]
문서
Bezprym
[15]
서적
Mieszko II król Polski
[16]
서적
Historia Polski Średniowiecze
[1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