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슬라브어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슬라브어군은 슬라브어파의 하위 그룹으로, 체코-슬로바키아어군, 레흐어군, 소르브어군으로 분류된다.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폴란드어 등이 포함되며, 이들은 라틴 문자를 사용한다. 서슬라브어군은 원시 슬라브어에서 분화되면서 음운론적, 형태론적 특징을 갖게 되었으며, 슬라브 조어의 *tj, *dj가 c, z 또는 dz로 변화하거나, *or, *ol, *er, *el이 음운 전위를 일으키는 등의 특징을 보인다. 서슬라브어는 7세기경 중앙 유럽에 정착한 슬라브족의 방언에서 기원했으며, 중세 시대 독일의 동방 진출로 인해 사용 지역이 축소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슬라브어군 - 체코슬로바키아어
체코슬로바키아어는 서슬라브어군에 속하며 체코와 슬로바키아에서 사용되었고, 체코슬로바키아 해체 이후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로 분리되었다. - 서슬라브어군 - 실레시아어
실레시아어는 폴란드 남서부와 체코 북동부의 상실레시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로, 폴란드어의 방언인지 독립된 언어인지 논쟁이 있으며 약 46만 명이 모국어로 사용하고 다양한 방언으로 구성되어 있다. - 슬라브어파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 슬라브어파 - 크로아티아어
크로아티아어는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용어이며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역사적으로 일리리아어 등으로 불렸고, 19세기 일리리아 운동을 통해 표준화되었으며,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한 형태이지만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되기도 하며, 가이식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고 표준 세르비아어와 차이를 보인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서슬라브어군 | |
---|---|
언어 정보 | |
이름 | 서슬라브어군 |
다른 이름 | 서슬라브어 |
사용 지역 | 중앙유럽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발트-슬라브어파 |
어군 | 슬라브어파 |
조상 언어 | 인도유럽조어 |
ISO 639-5 | zlw |
Glotto code | west2792 |
Glottolog 참조 | West Slavic |
![]() | |
하위 어군 |
2. 분류
서슬라브어군은 상호 이해 가능성 정도에 따라 체코-슬로바키아어군, 레흐어군, 소르브어군의 세 하위 어군으로 나뉜다.[3]
레흐어군 | 소르브어군 | 체코-슬로바키아어군 |
---|---|---|
인도유럽어족의 슬라브어파에 속하는 '''서슬라브어군'''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체코-슬로바키아어군
* 체코어
* 슬로바키아어
* 판노니아 루신어
레흐어군
* 폴란드어
** 실레지아어
* 폴라브어 (사어)
* 포메라니아어
** 카슈브어
** 슬로빈츠어 (사어)
소르브어
* 고지 소르브어
* 저지 소르브어
2. 1. 체코-슬로바키아어군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는 매우 유사하며,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3] 과거 체코슬로바키아라는 하나의 국가로 존재했으나, 1993년 평화적으로 분리되었다.체코-슬로바키아어군에는 다음 언어들이 속한다.
2. 2. 레흐어군
레흐어군은 폴란드와 그 주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을 포함한다. 폴란드어는 레흐어군의 대표적인 언어이며, 가장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포모제어, 폴라브어†사어[3]막스 플랑크 진화인류학 연구소는 Glottolog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레치틱어군(레흐어군)을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4]
- -레흐어군
레흐어군에는 다음 언어들이 속한다.
- 폴란드어
- * Dialekt wielkopolski|비엘코폴스카 방언pl
- * Dialekt małopolski|마워폴스카 방언pl
- * 마조비아 방언 (Dialekt mazowiecki|마조비아 방언pl)
- * 실레지아어 (Etnolekt śląski|실레지아어pl, 독립된 언어로 간주되기도 함. 실롱스크 방언이라고도 함)
- * 카슈브 방언 (Język kaszubski|카슈브어pl)
- * Nowe dialekty mieszane|신 혼합 방언pl
- 폴라브어 (사어)
- Pomeranian language|포메라니아어군영어
- * 카슈브어
- * Slovincian language|슬로빈츠어영어 (사어)
2. 3. 소르브어군
소르브어군은 고지 소르브어와 저지 소르브어로 나뉜다.[3] 일부 언어학자들은 상 소르브어와 하 소르브어를 레흐어군에 포함시키기도 하지만, 다른 언어학자들은 소르브어 방언이 매우 다양하고 다른 슬라브어와 구분되는 모든 소르브어 방언에 공통적인 언어학적 특징이 거의 없다는 이유로 별도의 분기로 간주하기도 한다.[4]3. 특징
서슬라브어군은 동슬라브어군, 남슬라브어군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7]
- 원시 슬라브어의 ''*tj'', ''*dj''가 현대 폴란드어/체코어/슬로바키아어의 경구개음 ''ts'', ''(d)z''로 발전하였다. (예: 폴란드어 ''nocpl'' (밤); 러시아어 ночьru와 비교)
- 폴란드어 kwiatpl (꽃), ''gwiazdapl'' (별)과 같이 ''kv'', ''gv'' 그룹이 유지되었다. ( 러시아어 цветru (''cvet''), звездаru (''zvezda'')와 비교)
- 폴란드어/슬로바키아어/체코어 ''radło/radlo/rádlopl'' (쟁기; 러시아어 ралоru와 비교)와 같이 ''tl'', ''dl''이 유지되었다.
- 경구개음화된 ''h''가 ''š''로 발전하였다. (예: 폴란드어 ''muszepl'' (''muchapl'' '파리'의 처격)
- 폴란드어 ''kupiępl'' ('내가 살 것이다'; 러시아어 куплюru와 비교)와 같이 ''pj'', ''bj'', ''mj'', ''vj'' 그룹이 ''l''의 삽입 없이 (soft) 자음 형태로 발전하였다.
- 고정 강세 경향이 있다.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에서는 첫 음절, 폴란드어에서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
- 형용사 변화의 속격 단수형에 ''-ego'' 또는 ''-ého'' 어미를 사용한다.
- 슬로바키아어/폴란드어/체코어 ''tenpl'' ('이' (남성); 러시아어 тотru; 고대 교회 슬라브어 тъ)와 같이, ''*tъ'' 대신 ''*tъnъ'' 형태의 대명사를 사용한다.
- 폴란드어/체코어 ''copl'' ('무엇', 러시아어 чтоru; OCS чьто, 속격 чьсо)와 같이, ''*čьso'' 속격 형태를 ''čь(to)'' 대신 주격 및 대격으로 확장하여 사용한다.
다른 언어족의 영향으로 많은 차용어가 유입되었고, 동사 형태론과 문법에도 영향을 미쳤지만, 슬라브어는 인도유럽어족에서 명확한 뿌리를 가지며 뚜렷한 슬라브적 특성을 유지했다.[7]
3. 1. 음운론적 특징
원시 슬라브어의 *tj, *dj가 c(/ts/), z 또는 dz(/ds/)로 변화하였다. 예를 들어 폴란드어 ''świe''c''a'' '촛불', 체코어 ''sví''c''e''와 같이 나타난다.[7]의미 | 슬라브 조어 | 폴란드어 | 체코어 | 슬로바키아어 | 상 소르브어 | 하 소르브어 |
---|---|---|---|---|---|---|
촛불, 빛 | *světja | świeca | svíce | svieca | swěca | swěca |
밭둑 | *medja | miedza | meze | medza | mjeza | mjaza |
슬라브 조어의 *or, *ol, *er, *el이 음운 전위(어중에서의 문자, 음절, 음의 위치 전위)를 일으켜 체코-슬로바키아어군에서는 ra, la, rě, lě로, 레흐어군과 소르브어군에서는 ro, lo, re, le로 변화하였다.[7]
원시 슬라브어의 *kv, *gv 그룹이 유지되었다. 예를 들어 폴란드어 ''kwiat'' '꽃', ''gwiazda'' '별'과 같이 나타난다.[7]
palatalized *h가 *š로 변화하였다. 예를 들어 폴란드어 ''musze'' (''mucha'' '파리'의 처격)와 같이 나타난다.[7]
- pj, *bj, *mj, *vj 그룹이 *l의 삽입 없이 (soft) 자음 형태로 발전하였다. 예를 들어 폴란드어 ''kupię'' ('내가 살 것이다')와 같이 나타난다.[7]
고정 강세 경향이 나타난다.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에서는 첫 음절, 폴란드어에서는 끝에서 두 번째 음절에 강세가 온다.[7]
3. 2. 형태론적 특징
서슬라브어군 언어는 원시 슬라브어에서 갈라져 나오면서 다음과 같은 형태론적 특징을 보인다.[7]- 형용사 변화의 속격 단수형에 '-ego' 또는 '-ého' 어미를 사용한다.
- '*tъ' 대신 '*tъnъ*' 형태의 대명사를 사용한다. (예: 폴란드어 ''ten'' '이')
- '*čьso*' 속격 형태를 '*čь(to)*' 대신 주격 및 대격으로 확장하여 사용한다. (예: 폴란드어 ''co'' '무엇')
- 슬라브 조어의 *tj, *dj가 c (/ts/), z 또는 dz (/ds/)가 되었다.
의미 | 슬라브 조어 | 폴란드어 | 체코어 | 슬로바키아어 | 상 소르브어 | 하 소르브어 |
---|---|---|---|---|---|---|
촛불, 빛 | *světja | świeca | svíce | svieca | swěca | swěca |
밭둑 | *medja | miedza | meze | medza | mjeza | mjaza |
- 슬라브 조어의 *or, *ol, *er, *el이 음운 전위(어중에서의 문자, 음절, 음의 위치 전위)를 일으켜 체코·슬로바키아 제어에서는 ra, la, rě, lě로, 레흐 제어와 소르브 제어에서는 ro, lo, re, le가 되었다.
3. 3. 문자
서슬라브어군은 모두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동슬라브어군은 키릴 문자를, 남슬라브어군은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혼합하여 사용한다.[8][9]4. 역사
초기 슬라브족의 확장은 서기 7세기경 중앙 유럽에 도달했으며, 서슬라브어 방언은 그 후 수세기 동안 공통 슬라브어에서 분화되었다. 9세기의 서슬라브 국가에는 니트라 공국과 대모라비아가 있었다. 서슬라브 부족은 카롤링거 제국의 동쪽 가장자리에 정착했다.
중세 전성기에는 서슬라브 부족은 11세기에 벤드 십자군 이후 시작된 독일의 동방 진출(Ostsiedlungde)에 의해 다시 동쪽으로 밀려났다. 소르브족과 폴라비안 슬라브족과 같은 오보드리테스와 벨레티는 신성 로마 제국의 지배하에 놓였으며 강력하게 게르만화되었다.[10]
보헤미아인들은 9세기에 보헤미아 공국을 세웠고, 이는 11세기 초에 신성 로마 제국에 편입되었다. 12세기 말에 공국은 왕국으로 승격되었으며, 이는 1212년 시칠리아 금인칙서에서 법적으로 인정되었다. 남아있는 소르브족의 고향인 루사티아는 11세기에 보헤미아의 왕령지가 되었고, 실레지아는 1335년에 이를 따랐다. 반면에 슬로바키아인은 신성 로마 제국에 편입되지 않고 헝가리 왕국에 합병되었다. 헝가리는 16세기에 오스트리아 및 보헤미아와 함께 합스부르크 통치 하에 놓이게 되었고, 그리하여 보헤미아인, 모라비아인, 슬로바키아인, 실레지아인을 단일 통치자 아래 통합했다. 루사티아는 1635년에 작센 선제후국에 빼앗기고, 실레지아 대부분은 1740년에 프로이센에 빼앗겼지만, 나머지 서슬라브 합스부르크 영지는 오스트리아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일부로 남았으며, 이후 1992년까지 체코슬로바키아의 형태로 통합되었다.
지난 세기 동안 일부에서는 실레지아어, 라키아어, 모라비아 방언을 언어 분리주의로 표준화하고 인정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참조
[1]
백과사전
Slavische talen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1993-01-01
[2]
백과사전
Slowaakse taal
Microsoft Corporation/Het Spectrum
1993-01-01
[3]
웹사이트
On the internal classification of Indo-European languages: Survey
https://www.phil.mun[...]
[4]
웹사이트
Glottolog 4.8 - West Slavic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3-07-10
[5]
문서
Knaanic is classified as a dialect of Czech under the name "West Judeo-Slavic".
[6]
문서
Slovincian is classified as a dialect of Kashubian.
[7]
서적
Historia języka Polskiego
Wydawnictwo naukowe PWN
1999
[8]
웹사이트
Slavs
http://the-stewardsh[...]
The Stewardship
[9]
뉴스
Serbia Proposes Law Changes to Halt Cyrillic's Decline
http://www.balkanins[...]
2018-08-02
[10]
서적
The Northern Crusades
Penguin Books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