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벨로키사우루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벨로키사우루스는 약 1.5m 길이의 수각류 공룡으로, 1985년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에서 발견되었다. 1991년 호세 보나파르테에 의해 명명되었으며, "빠르다"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된 속명처럼 빠른 달리기에 적응한 발 구조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넙다리뼈, 경골, 중족골 등의 독특한 특징을 보이며, 마시아카사우루스와 가까운 친척 관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자넨스키아
    자넨스키아는 복잡한 명명 역사를 거쳐 용각류로 분류된 공룡 속이다.
  • 1991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아마르가사우루스
    아마르가사우루스는 백악기 전기에 아르헨티나에 살았던 몸길이 9~13m의 디크라에오사우루스과 용각류 공룡으로, 목과 등에 있는 길고 갈라진 척추 가시가 특징이며 그 기능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존재한다.
  • 백악기 후기 남아메리카의 공룡 - 아에로스테온
    아에로스테온은 산토니안절에 살았던 몸길이 7.5~9m의 대형 육식 공룡으로, 초기에는 여러 분류군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이후 메가랍토라를 거쳐 티라노사우루스상과로 재분류되었으며, 뼈의 기낭화 구조를 통해 조류와 유사한 호흡 방식을 가졌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 백악기 후기 남아메리카의 공룡 - 기가노토사우루스
    기가노토사우루스는 백악기 후기에 남아메리카에 살았던 거대한 수각류 공룡으로, 부분적인 화석으로 인해 정확한 크기 추정은 어렵지만 가장 큰 육식 공룡 중 하나로 간주되며, 티라노사우루스와 크기 비교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벨로키사우루스
벨로키사우루스
벨로키사우루스 홀로타입의 왼쪽 발 화석 다이어그램
학명Velocisaurus unicus
명명자보나파르트, 1991
시대상토니아절 (~86-83백만 년 전)
분류
동물
척삭동물문
아문척추동물아문
상강사지상강
파충강
아강쌍궁아강
(분류군 없음)공룡상목
용반목 (Saurischia)
아목수각아목 (Theropoda)
(분류군 없음)† 아벨리사우루스류 (Abelisauria)
노아사우루스과 (Noasauridae)
벨로키사우루스속 (Velocisaurus)
하위 분류
*V. unicus* (보나파르트, 1991) (타입종)

2. 발견 및 명명

1985년 오스카 데 페라리이스와 줄마 브란도니 데 가스파리니는 아르헨티나 파타고니아 네우켄 주에 위치한 바호 데 라 카르파 지층에서 산토니아 시기에 형성된 보카 델 사포 지역의 화석을 발견했다. 이 화석 중에는 작은 수각류 공룡의 오른쪽 아래 뒷다리가 포함되어 있었다. 1991년, 호세 보나파르테는 이 화석을 근거로 Velocisaurus unicus|벨로키사우루스 유니쿠스la라는 새로운 을 명명하고 기술했다. 속명 '벨로키사우루스'는 라틴어로 "빠르다"를 의미하는 velox|벨록스la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뒷다리와 발이 달리기에 적합하게 진화했음을 시사한다. 종명 unicus|유니쿠스la는 라틴어로 "독특한"을 뜻하며, 발의 특이한 구조를 나타낸다. 이 공룡의 모식표본은 MUCPv 41로 지정되었으며, 이는 코마우 국립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된 거의 완전한 오른쪽 다리 화석이다.[2] 이후 2016년에는 비교적 완전한 왼쪽 다리 표본인 MPCN-PV-370이 추가로 기술되었다.[3]

3. 특징

''벨로키사우루스'' 복원도, 머리는 ''마시아카사우루스''를 기반으로 함.


''벨로키사우루스''(''Velocisaurus'')는 경골 길이가 14cm인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전체 몸길이는 약 1.5m 정도로 추정된다.[1] 이는 알려진 노아사우루스과(noasaurid) 중에서 ''베르타사우라''(Berthasaura) 다음으로 작은 크기이다. 독특한 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빠른 속도로 달리는 생활 방식에 적응한 결과로 해석된다. 발견된 발톱 형태로 미루어 잡식성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2] 또한 넙다리뼈, 경골, 중족골, 발가락뼈 등에서 다른 아벨리사우루스상과 공룡들과 구별되는 여러 해부학적 특징을 보인다.[3]

3. 1. 독특한 발 구조



''벨로키사우루스''(''Velocisaurus'')는 경골 길이가 14cm인 것으로 미루어 보아, 길이가 약 1.5m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 이는 ''베르타사우라''(Berthasaura) 다음으로 가장 작은 노아사우루스과(noasaurid)이다. 발은 가운데(세 번째) 중족골이 주요 체중 지지 요소가 되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이 세 번째 중족골의 상단은 두꺼워졌고, 인접한 두 번째와 네 번째 중족골의 몸통은 상당히 얇아졌다. 이러한 발 구조는 를 포함한 다른 수각류에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보나파르테(Bonaparte)는 이를 보행성(달리기) 생활 방식에 대한 적응으로 설명했다. 그는 빠른 속도가 더 큰 수각류로부터 벗어나는 데 필요했을 것이며, 네 번째 발가락에서 유일하게 발견된 발톱이 날카롭지 않고 비교적 곧다는 사실을 근거로 ''벨로키사우루스'' 자체가 잡식성이었을 수 있다고 제안했다.[2]

''벨로키사우루스''는 다른 아벨리사우루스상과 공룡들에게서는 알려지지 않은 여러 특징으로 구별된다.[3]

  • 넙다리뼈의 안쪽과 바깥쪽 면이 앞쪽을 향하는 두꺼운 능선을 형성하며 수렴하는 아삼각형 단면을 가진다 (넙다리뼈의 아삼각형 단면은 ''마시아카사우루스''에서도 알려져 있다).
  • 크고 앞쪽으로 평평한 원위단을 가진 길고 가느다란 경골을 가지며, 이는 거골의 큰 상행 돌기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진화된 수각류와 오르니토미무스과 공룡을 연상시킨다).
  • 매우 얇고 막대 모양의 두 번째와 네 번째 중족골을 가진다 (두 번째 중족골은 다른 노아사우루스과와 일부 아벨리사우루스과 공룡에서도 어느 정도 축소되어 있다).
  • 앞뒤로 짧고 등쪽에서 배쪽으로 높은 아삼각형 모양의 네 번째 발가락 첫 번째 발가락뼈(phalange IV-1)를 가지며, 등쪽 표면이 좁다.

3. 2. 기타 특징



''벨로키사우루스''(Velocisaurus)는 경골 길이가 14cm인 것으로 미루어 보아, 길이가 약 1.5m 정도였을 것으로 추정된다.[1] 이는 ''베르타사우라''(Berthasaura) 다음으로 가장 작은 노아사우루스과이다. 발은 가운데(세 번째) 중족골이 주요 체중 지지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 이 세 번째 중족골의 윗부분은 두꺼워진 반면, 양옆의 두 번째와 네 번째 중족골 몸통은 상당히 가늘어졌다. 이러한 발 구조는 새를 포함한 다른 수각류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보나파르테(Bonaparte)는 이것이 빠르게 달리는 생활 방식에 적응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빠른 속도는 몸집이 더 큰 포식자로부터 도망치는 데 필요했을 것이다. 또한, 보나파르테는 발견된 네 번째 발가락 발톱이 날카롭지 않고 비교적 곧다는 점을 근거로 ''벨로키사우루스''가 잡식성이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2]

''벨로키사우루스''는 다른 아벨리사우루스상과 공룡들에게서는 보이지 않는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3]

  • 넙다리뼈 단면이 삼각형에 가까운 형태를 띤다. 이는 넙다리뼈의 안쪽과 바깥쪽 면이 만나 앞쪽을 향하는 두꺼운 능선을 형성하기 때문이다(이러한 넙다리뼈 단면은 ''마시아카사우루스''에서도 발견된다).
  • 경골은 길고 가늘며, 아래쪽 끝(원위단)이 크고 앞쪽으로 평평하다. 이는 거골의 큰 위로 솟은 돌기(상행 돌기)를 수용하기에 적합한 구조로, 진화된 수각류나 오르니토미무스과 공룡들을 연상시킨다.
  • 두 번째와 네 번째 중족골이 매우 가늘고 막대 모양이다(두 번째 중족골은 다른 노아사우루스과나 일부 아벨리사우루스과 공룡들에게서도 어느 정도 축소된 형태로 나타난다).
  • 네 번째 발가락의 첫 번째 발가락뼈(IV-1)는 앞뒤로 짧고 위아래(등쪽-배쪽)로는 높으며, 단면이 삼각형에 가깝고 등쪽 표면이 좁다.

4. 분류

보나파르트는 처음에 ''벨로키사우루스''를 독자적인 과인 벨로키사우루스과로 분류했다. 2003년, 페르난도 노바스와 세바스티안 아페스테기아가 수행한 수각류 관계 연구는 ''벨로키사우루스''가 기묘한 세라토사우루스류인 ''마시아카사우루스''의 가까운 친척임을 보여주었다. 이 둘은 벨로키사우루스아과를 형성할 수 있다.[4] 2004년, 이 아과는 더 포괄적인 아벨리사우루스상과 내의 노아사우루스과에 할당되었다.[5]

5. 고생물학

2001년 브루스 로스차일드(Bruce Rothschild)와 다른 고생물학자들이 실시한 연구에서, ''벨로키사우루스''(Velocisaurus)의 것으로 추정되는 12개의 발뼈에서 피로 골절의 징후를 조사했지만 발견되지 않았다.[6]

참조

[1] 간행물 Allometry and body length of abelisauroid theropods: ''Pycnonemosaurus nevesi'' is the new king 2016
[2] 서적 "Los vertebrados fósiles de la Formación Rio Colorado, de la Ciudad de Neuquén y Cercanías, Cretácico Superior, Argentina" 1991
[3] 간행물 A new specimen of Velocisaurus unicus (Theropoda, Abelisauroidea) from the Paso Córdoba locality (Santonian), Río Negro, Argentina 2016
[4] 서적 "Velocisaurids in South America and Madagascar" Museo Argentino de Ciencias Naturales ‘B. Rivadavia’ 2003
[5] 간행물 "Cretaceous theropods from India: a review of specimens described by Huene and Matley (1933)" 2004
[6] 서적 Theropod stress fractures and tendon avulsions as a clue to activity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7] 서적 "Los vertebrados fósiles de la Formación Rio Colorado, de la Ciudad de Neuquén y Cercanías, Cretácico Superior, Argentina" 1991
[8] 서적 "Velocisaurids in South America and Madagascar" Museo Argentino de Ciencias Naturales ‘B. Rivadavia’ 2003
[9] 간행물 "Cretaceous theropods from India: a review of specimens described by Huene and Matley (1933)" 2004
[10] 서적 Theropod stress fractures and tendon avulsions as a clue to activity Indiana University Press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