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변영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변영립은 1929년 황해도 재령 출생으로, 김일성종합대학에서 물리학사 학위를 받고 조선인민군 중좌로 예편했다. 이후 김일성종합대학 강좌실 차장, 북조선 문교성 교육상, 국가과학원 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2009년 7월부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서기장을 지냈다. 2010년 9월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나, 2016년 5월 당대회에서 정치국원에서 해임되었다. 2019년 대한민국에서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유공자 명단에 그의 이름이 기재된 것과 관련한 논란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장교 - 이현상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까지 활동한 이현상은 6·10 만세운동 참여, 노동 및 항일 운동, 남로당 활동, 남부군 사령관으로서의 게릴라전 지휘 등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빨치산 지도자로서의 삶을 살았으며 북한에서 애국렬사로 추앙받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장교 - 이학구
    이학구는 일제강점기 국민학교 교사 출신으로 한국 전쟁 당시 북한 인민군 장교로 활동하며 총좌까지 올랐으나 춘천 전투 실패와 상관 저격 사건 이후 미군에 투항,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친공 포로 조직을 이끌다 북한으로 송환 후 1963년 자살한 인물이다.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서기장 - 강량욱
    북한의 정치인이자 종교 지도자였던 강량욱은 김일성의 외삼촌으로, 장로교 목사 출신으로 조선기독교연맹 의장, 북한 부수상 등을 역임하며 김일성의 존경을 받았고 사후 국장으로 애도받았다.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서기장 - 정영국
    정영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서기장과 당 중앙위원회 위원을 역임하고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및 지방 인민회의 대의원 선거 관련 중앙선거위원회 서기장을 지냈으나 2020년 4월 해임되었다.
  • 재령군 출신 - 정원식
    정원식은 대한민국의 교육학자, 대학교수, 정무직공무원, 정치인으로,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문교부 장관, 국무총리 서리 및 국무총리를 역임하며 전국교직원노동조합 관련 논란과 대학생 계란 투척 사건을 겪었고 서울특별시장 후보로 낙선하기도 했다.
  • 재령군 출신 - 나석주
    나석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동양척식주식회사 등 일제의 식민지 수탈 기관 파괴를 위해 폭탄 투척 후 자결했으며,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변영립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변영립
로마자 표기Byeon Yeong-rip
한자 표기邊永立
출생일1929년 9월 20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조선 황해도 재령군
사망일2016년 11월 15일
사망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
국적북한
정당조선로동당
직책
직책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서기
임기 시작2009년
임기 종료2012년
전임자최영림
후임자태형철
정치 경력
직책북조선국 문교성 고등교육부 대학지도국 국장
임기 시작1968년 11월 1일
임기 종료1984년 7월 1일
관련 총리김일성
김일
박성철
리종옥
강성산
관련 주석최용건
김일성
군사 경력
군 복무조선인민군
복무 시작1950년 9월 2일
복무 종료1968년 2월 29일
계급조선인민군 지상군 중좌 전역
참전한국 전쟁
학력
학력퉁화 제일국민중학당
김일성종합대학
기타
친인척변인선(종질)
경력조선로동당 명예고문위원
웹사이트대한민국 통일부 데이터 - 001
대한민국 통일부 데이터 - 002

2. 생애와 경력

1929년 일제 강점기 황해도 재령에서 출생하여 지난날 한때 황해도 해주를 거쳐 평안남도 대동군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냈다. 1950년 9월 2일 조선인민군에 입대하여, 김일성종합대학에서 물리학사 학위를 받았다. 1968년 2월 29일 조선인민군 지상군 중좌로 예편한 그는 김일성종합대학 강좌실 차장, 북조선 문교성 고등교육부 국장, 북조선 문교성 교육위원회 1부 차장, 국가과학원 부원장, 북조선 문교성 교육상, 국가과학원 원장을 거쳤다.[3]

2009년 7월부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서기장을 지냈다.[3] 2010년 9월에 열린 조선로동당 대표회의에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으로 선출되었다.[3] 2016년 5월에 개최된 조선로동당 제7차 대회에서 당중앙위원회 정치국 명부에 이름이 실리지 않아 정치국원에서 해임된 것이 확인되었다.[2]

3. 논란

2016년 11월 15일 그의 사후 3년 뒤인 2019년 1월 22일 전후 대한민국에서 "변영립의 5.18 유공자 명단 관련 논란"이 불거졌다.[4]

3. 1.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유공자 명단 관련 논란

2019년 1월 22일경, 변영립의 사망 3년 후 대한민국에서 "변영립의 5.18 유공자 명단 관련 논란"이 불거졌다. 서정갑 前 총재와 지만원 前 교수는 1980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북조선 문교성 고등교육부 대학지도국장이었던 변영립의 이름이 5.18 유공자 명단에 있다고 주장하며, 5.18 관련 재단 및 단체에 충격을 주었다.[4]

참조

[1] 뉴스 당대표자회, 40년대 해방전후 차세대 기수 전면 등장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10-09-29
[2] 웹사이트 朝鮮勞動黨19人政治局委員名單出爐 https://megalodon.jp[...] 大公網 2016-06-01
[3] 웹인용 당대표자회, 40년대 해방전후 차세대 기수 전면 등장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10-09-29
[4] Youtube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출신 5.18 유공자 명단 관련 논란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