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별선두리왕나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별선두리왕나비는 제왕나비와 유사한 종으로, 아메리카 대륙을 제외한 인도, 스리랑카, 동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암수 모두 검은색 띠가 있는 황갈색 날개를 가지며, 수컷은 뒷날개에 특징적인 흑백 반점이 있다. 유충은 류큐가시와를 먹고, 성충은 박주가리과 식물에서 독소를 얻어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한다. 16종의 아종이 있으며, 말레이 호랑이와 흰색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별선두리왕나비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윗면
윗면
수컷, 아랫면
수컷, 아랫면
학명Danaus genutia
명명자Cramer, 1779
한국어 이름스지구로카바마다라
영어 이름Common tiger
동의어
동의어 목록Papilio genutia Cramer, 1779
Danaus adnana Swinhoe, 1917
Danaus plexippus plexippus f. albipars Talbot, 1943
Danaus bandjira Martin, 1911
Danaus bimana Martin, 1911
Danaida plexippus plexippus f. grynion Fruhstorfer, 1907
Danaus nipalensis Moore, 1877
Danaus sumbana Talbot, 1943
Danaus tuak Pryer & Cator, 1894
Danaus uniens Martin, 1911
Salatura intermedia Moore, 1883
Salatura intensa Moore, 1883
Salatura laratensis Butler, 1883
Danaida alexis Waterhouse & Lyell, 1914
분류학적 정보
동물계
절지동물문
곤충강
나비목
상과호랑나비상과
네발나비과
아과마다라초아과
마다라초아족
스지구로카바마다라속 (Salatura)
아종
아종 목록S. g. genutia
추가 정보
위키공용Danaus genutia
위키생물종Danaus genutia

2. 특징

별선두리왕나비는 아메리카 대륙의 제왕나비(''Danaus plexippus'')와 매우 흡사하다. 날개 길이는 70mm에서 95mm 사이이다. 암수 모두 검은색 띠가 있는 황갈색 날개를 가지며, 날개 가장자리는 검은색 바탕에 두 줄의 흰색 반점이 있다. 날개 아랫면은 윗면과 비슷하지만 색이 더 옅다. 제왕나비와 비교했을 때, 별선두리왕나비는 주황색 부분에 걸쳐 있는 날개맥이 더 검고 굵어 쉽게 식별할 수 있다.[2][3][4]

수컷은 뒷날개에 검은색 주머니(성표)가 있으며,[2][3][4] 뒷날개 아랫면에는 눈에 띄는 흑백 반점이 있다.[1] 건조한 지역에 서식하는 개체는 뒷날개의 황갈색 부분이 옅어져 흰색에 가까워지기도 하는데, 이 경우 흰줄호랑나비( ''D. melanippus'' )와 매우 유사해 보인다.[4]

체내에 독성을 지니고 있어, 이를 포식자에게 알리기 위해 눈에 띄는 색상을 하고 있으며 매우 느리게 비행하는 특징이 있다.

2. 1. 생태

''별선두리왕나비''는 인도 전역,[5] 스리랑카, 미얀마에 분포하며 동남아시아오스트레일리아 (뉴기니 제외)까지 서식 범위가 뻗어 있다.[6][1] 분포 지역 중 최소한 남아시아에서는 상당히 흔하며, 지역에 따라서는 매우 흔하게 발견된다.[4]

이 나비는 관목 정글, 사람이 거주하는 곳 근처의 휴경지, 건조 및 습윤 낙엽수림에서 서식하며, 적당하거나 많은 강수량을 선호한다. 또한 황폐화된 언덕 경사면과 능선, 노출된 곳이나 초목이 제거된 곳, 그리고 2차 식생으로 덮인 곳에서도 발견된다.[1] 숲이 드문드문 있는 곳이나 초원에서 자주 보이며, 밀림이나 시가지에는 없다.

비록 강한 비행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빠르게 또는 높이 날지는 않는다. 일반적인 호랑나비보다 더 강력하고 빠른 날갯짓을 한다. 이 나비는 기주 식물과 꿀을 찾기 위해 널리 이동한다. ''Adelocaryum'', 코스모스, ''Celosia'', 란타나, ''Zinnia'' 및 이와 유사한 꽃이나 타치아와유키센다구사 등에서 꿀을 얻기 위해 정원을 방문하기도 한다.[1]

주황색의 선명한 나비로, 제왕나비와 닮았지만 날개맥이 검고 굵어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수컷은 뒷날개 뒷면 중앙의 날개맥 위에 검고 둥근 무늬(성표)가 있다. 체내에 독을 보유하고 있어 그 위험성을 알리기 위해 매우 느리게 비행한다.

유충은 류큐가시와 (협죽도과, 구 분류에서는 박주가리과)를 먹이 식물로 삼는다. 알은 이 식물의 잎 뒷면이나 꽃에 하나씩 낳는다. 유충 시기에 먹이 식물로부터 체내에 축적된 유독 성분은 성충이 되어서도 계속 유지되어, 새와 같은 포식자에게 동종이 잡아먹히는 것을 막는다고 여겨진다.

2. 2. 방어 기작과 의태

별선두리왕나비는 여러 방어 기작을 가지고 있다. 몸은 가죽처럼 질겨 쉽게 죽지 않으며, 위험에 처하면 죽은 척을 하기도 한다. 또한, 냄새와 맛이 좋지 않아 포식자에게 잡히더라도 곧 풀려나며, 이후 빠르게 회복하여 날아간다.

이러한 방어 능력의 핵심은 체내에 축적된 독성 물질이다. 유충 시기에 먹이 식물인 류큐가시와와 같은 박주가리과(현재 협죽도과) 식물로부터 독소를 얻어 몸 안에 저장하며, 이 독성은 성충이 되어서도 유지된다.[1] 이는 새와 같은 포식자로부터 자신뿐만 아니라 동종 개체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성충은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와 같은 독소를 추가로 얻기 위해 ''Crotalaria'', ''Heliotropium'' 등의 식물 수액을 빨기도 한다.[1] 인도 북동부에서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별선두리왕나비는 ''Bauhinia purpurea'', ''Barleria cristata rosea'', ''Nerium oleander''보다 ''Crotalaria juncea''에서 먹이를 찾는 것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7]

별선두리왕나비는 자신의 독성을 포식자에게 알리기 위해 눈에 띄는 외형을 가지고 있다. 주황색 바탕에 검고 굵은 날개맥 무늬는 대표적인 경고색으로, 자신이 먹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신호를 보낸다. 이러한 자신감 때문에 매우 느리게 비행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처럼 뚜렷한 경고색과 독성 때문에, 다른 여러 나비 종들이 별선두리왕나비를 의태한다. 이는 포식자를 속여 자신을 보호하려는 베이츠 의태의 한 예이다. 별선두리왕나비를 의태하는 대표적인 종으로는 인도 타밀 레이스윙(''Cethosia nietneri mahratta''), 표범 레이스윙(''Cethosia cyane''), 그리고 일반 팜플라이(''Elymnias hypermnestra'') 암컷 등이 있다.[8]

2. 3. 생활사

이 나비는 박주가리과 식물의 잎 아래에 알을 하나씩 낳는다.[1] 류큐가시와(협죽도과, 구 분류 박주가리과)의 잎 뒷면이나 꽃에 낳기도 한다.

애벌레는 검은색 바탕에 푸르스름한 흰색과 노란색의 반점과 선 무늬가 있으며, 몸에는 세 쌍의 촉수가 있다.[1] 처음에는 알 껍질을 먹고, 이후에는 식물의 잎과 영양 부분을 먹는다.[1] 애벌레 시기에는 독성이 있는 먹이 식물을 섭취하여 체내에 독을 축적하는데, 이는 포식자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인도 반도에서 주로 먹는 식물은 다음과 같다.[1][9]

학명비고
Asclepias curassavica[1]
Ceropegia intermedia[1][9]
Cynanchum dalhousieae[9]
Raphistemma pulchellum[9]
Stephanotis[1] (S. floribunda 포함 가능성[9])
Tylophora tenuis[1]



번데기는 녹색이며 황금색 반점이 있다.[1]

성충은 선명한 주황색을 띤다. 제왕나비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날개맥이 검고 굵어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수컷은 뒷날개 뒷면 중앙의 날개맥 위에 검고 둥근 무늬(성표)가 있다. 애벌레 시기에 축적한 독을 성충이 되어서도 그대로 가지고 있으며, 천천히 날아다니며 자신의 위험성을 알린다. 이 독성은 새와 같은 포식자로부터 동종 개체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꽃의 꿀을 좋아하며, 타치아와유키센다구사 등에서 꿀을 빠는 모습이 관찰된다. 숲이 드문드문 있는 곳이나 초원에서 자주 볼 수 있지만, 울창한 밀림이나 시가지에서는 잘 보이지 않는다. 유충의 먹이 식물로는 류큐가시와가 알려져 있다.

3. 분포

인도 전역,[5] 스리랑카, 미얀마남아시아동남아시아, 그리고 뉴기니를 제외한 오스트레일리아 지역까지 넓게 분포한다.[6][1] 특히 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상당히 흔하게 발견되며, 일부 지역에서는 매우 흔하다.[4]

주로 관목이 우거진 정글이나 사람이 사는 곳 근처의 휴경지, 건조하거나 습한 낙엽수림에서 서식하며, 강수량이 보통이거나 많은 환경을 선호한다. 또한, 식생이 파괴된 언덕 경사면이나 능선, 나무가 없는 노출된 곳, 2차 식생으로 덮인 곳에서도 발견된다.[1]

일본 하테루마 섬 페무치 해변에서 발견된 별선두리왕나비


비행 능력이 강하지만 빠르거나 높이 날지는 않으며, 일반적인 호랑나비보다 더 강하고 빠른 날갯짓을 한다. 기주 식물과 꿀을 찾아 넓은 지역을 이동하며, ''Adelocaryum'', 코스모스, ''Celosia'', 란타나, ''Zinnia'' 등의 꽃에서 꿀을 얻기 위해 정원을 방문하기도 한다.[1]

일본에서는 미야코 섬 이남의 남서 제도에서 주로 발견되며(1994~1996년 기록), 온난화나 태풍의 영향으로 더 북쪽 지역에서도 길 잃은 개체가 관찰될 수 있다. 특별한 월동 형태는 없으며 연중 발생한다.

4. 아종

별선두리왕나비는 16종의 아종을 가지고 있으며, 그 진화적 관계는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말레이 호랑이 (''D. affinis'')와 흰색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10]

아종명명명자 및 연도분포 지역
D. g. genutia인도~중국, 스리랑카, 안다만 제도, 니코바르 제도, 말레이 반도, 태국, 랑카위, 싱가포르, 인도차이나, 대만, 하이난
D. g. sumatranaMoore, 1883서부 및 북동부 수마트라
D. g. intermediaMoore, 1883
D. g. conspicuaButler, 1866남부 술라웨시
D. g. niasicusFruhstorfer, 1899니아스
D. g. intensaMoore, 1883자바, 발리, 바베안, 보르네오
D. g. partitaFruhstorfer, 1897소순다 열도
D. g. leucogleneC. & R. Felder, 1865북부 술라웨시
D. g. tychiusFruhstorfer, 1910셀라자르
D. g. telmissusFruhstorfer, 1910부통 섬
D. g. wetterensisFruhstorfer, 1899웨타르 섬, 티모르
D. g. laratensisButler, 1883타님바르 제도
D. g. kylleneFruhstorfer, 1910다마르 섬, 카이 제도
D. g. alexisWaterhouse & Lyell, 1914노던 준주~호주 북서부


5. 사진

참조

[1] 간행물 45
[2] 서적 Fauna of British India. Butterflies Vol. 2 https://archive.org/[...] Taylor & Francis
[3] 서적 Lepidoptera Indica. Vol. I https://www.biodiver[...] Lovell Reeve and Co.
[4] 간행물
[5] 서적 A Synoptic Catalogue of the Butterflies of India https://www.research[...] Butterfly Research Centre, Bhimtal & Indinov Publishing, New Delhi
[6] 웹사이트 "''Danaus genutia'' (Cramer, [1779])" http://www.nic.funet[...] 2018-07-01
[7] 간행물
[8] 간행물
[9] 간행물
[10] 간행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