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점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병점역은 1905년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되었다가 재건축되었으며,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중간역으로 승격되었다. 2면 4선의 지상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과 병점기지선이 운행되며, 부역명으로 한신대가 있다. 주변에는 화성시청, 동탄신도시, 한신대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성시의 전철역 - 어천역
어천역은 경기도 화성시 매송면 어천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전철역으로, 1937년 영업을 시작하여 1996년 폐지되었으나 2020년 재개업하였으며, 2025년 인천발 KTX 개통과 함께 KTX 정차역이 될 예정이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1905년 개업한 철도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1905년 개업한 철도역 - 군포역
병점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병점 (한신대) |
로마자 표기 | Byeongjeom (Hanshin Univ.) |
한자 표기 | 餠店驛 |
역 번호 | P157 |
주소 | 경기도 화성시 떡전골로 97 (진안동 824-1)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경부선), 2003년 4월 3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2면 4선 |
승객수 (일일) | 30,669명 (2012년 1월 ~ 12월, 1호선 기준) |
노선 정보 | |
노선 | 경부선 병점기지선 |
인접역 (수도권 전철 1호선) | 광운대 방면: 세류역 신창 방면: 세마역 |
인접역 (급행) | 서울 방면: 수원역 오산 방면: 오산역 |
인접역 (병점기지선) | 광운대 방면: 세류역 서동탄 방면: 서동탄역 |
추가 정보 | |
![]() | |
![]() | |
![]() |
2. 역사
(내용 없음)
2. 1. 연혁
원래 전의역, 심천역 등과 유사한 역사 건물과 구조를 가졌으나,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과 함께 현재의 모습으로 재건축되었다.- 1905년 1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
- 1950년 7월 3일: 한국 전쟁으로 역사가 소실됨.
- 1957년 5월 25일: 역사 신축 준공.
- 1977년 5월 16일: 수소화물 취급 중지.
- 1990년 2월 1일: 배치 간이역(운전취급)으로 격하됨.[9]
- 1990년 5월 1일: 여객 취급 중지.
- 2003년 4월 3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수원역~병점역, 7.2km) 구간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다시 승격하고 여객 영업을 재개함.[10]
- 2005년 1월 20일: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역~천안역 (47.9km) 구간 연장 개통으로 중간역이 됨.
- 2006년 9월 1일: 부역명 '한신대' 제정.
- 2009년 9월 1일: 부역명 '한신대' 재제정.
- 2010년 2월 26일: 병점기지선 (병점역~서동탄역, 2.2km) 여객 영업 시작과 함께 분기역이 됨.
3. 역 구조
지상역이며, 고가역사를 갖추고 있다. 승강장은 섬식 승강장 2면 4선 구조이고, 중간에 경부선 일반열차 통과선이 있다. 출입구는 총 3개지만, 실제 이용객이 사용하는 출구는 서쪽의 1번 출구와 동쪽의 2번 출구, 두 곳이다.
3. 1. 승강장
병점기지 입고 열차 당역 종착(단, 신창 및 천안발 열차는 급행열차 대피 시 정차)
천안 · 신창발 당역 종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