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원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원역은 경부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지나는 경기 수원시의 주요 철도역이다.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1928년 한옥 형태의 역사가 준공되었다. 이후 수려선, 수인선이 개통되었고,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이, 2013년 분당선이 연장 개통되어 환승역이 되었다. 현재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수도권 전철 등이 운행되며, AK플라자와 롯데백화점 등 대형 쇼핑몰과 환승센터가 인접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원시의 전철역 - 광교중앙역
    광교중앙역은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에 위치한 신분당선 전철역으로,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 환승센터를 갖추고 있으며, 주변 시설과의 연결 및 향후 분기역으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 수원시의 전철역 - 영통역
    영통역은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전철역으로, 2012년 개통되었으며, 부기역명은 경희대이고,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지하역이며, 8개의 출구를 통해 주변 시설로 이동할 수 있다.
  • 팔달구 -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은 1967년 가톨릭대학 제5부속병원으로 개원하여 199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여러 수녀들이 병원장직을 맡아왔다.
  • 팔달구 - 팔달산
    팔달산은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역사적, 문화적 유적이 있는 산으로, 수원 팔달산 지석묘군과 독립기념비 등의 조형물이 있으며, 과거 팔달산 토막 살인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한국고속철도 정차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한국고속철도 정차역 - 광명역
    광명역은 경기도 광명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는 KTX 고속철도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에 위치하며, 개통 초기 이용객이 저조했으나 현재는 KTX 역 중 이용객 증가율이 높은 주요 교통 거점으로 자리매김했고, 역세권에는 대규모 상업시설과 주거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도심공항터미널이 개장하여 교통 편의성을 높였다.
수원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역 이름수원역
로마자 표기Suwonnyeok
한자 표기水原驛
주소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1가 18, 덕영대로 924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기타버스 정류장
개업일1905년 1월 1일
구조지상 (1호선, 경부선), 지하 (수인분당선)
승강장6개
선로10개
승객 수
일일 승객 수 (2019년 기준)'수도권 전철:' 112,319명
'KTX·ITX-새마을·무궁화호:' 36,987명
노선 정보
노선경부선

역 번호P155 (1호선)
K245 (수인분당선)
1호선 서비스 정보
이전 역화서역
다음 역세류역
급행이전 역: 성균관대역
다음 역: 병점역
주요 방향이전 방향: 의정부 또는 광운대
다음 방향: 신창 또는 서동탄
수인분당선 서비스 정보
이전 역매교역
다음 역고색역
분당 급행이전 역: 수원시청역
다음 역: 고색역
주요 방향이전 방향: 왕십리 또는 청량리
다음 방향: 고색
기타 서비스 정보
KTX이전 역: 영등포역
다음 역: 대전역
ITX-새마을이전 역: 영등포역
다음 역: 평택역
새마을호이전 역: 영등포역
다음 역: 평택역
무궁화호이전 역: 안양역
다음 역: 오산역
S-Train이전 역: 영등포역
다음 역: 천안역
G-Train이전 역: 영등포역
다음 역: 아산역
문화재 정보
문화재 이름수원역 급수탑
협궤 급수탑
국가대한민국
문화재 유형국가등록문화재
문화재 번호780
지정일2020년 5월 4일
주소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덕영대로 960 (세류동 284-5)
시대1930년대
소유한국철도공사
기타 정보
관련 뉴스KTX, 오늘부터 수원역 정차

2. 역사

水原驛일본어은 1905년 1월 1일 경부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3] 1928년 8월 27일에는 한옥 형태의 역사가 준공되었으며,[15] 1930년 12월 1일에는 수려선이 개통되었다.[16] 1937년 8월 5일에는 수인선이 개통되어,[17] 한때 협궤 철도 노선이 십자 형태로 교차하는 역이었다.

1949년 1월 1일 사무관역으로 승격되었고, 1961년 1월 25일 역사 신축에 착공하여 같은 해 9월 20일 완공하였다.[15] 1963년 6월 1일에는 서기관역으로 승격되었다. 1971년 9월 10일 무연탄 화물 도착역으로 지정되었고,[18] 1972년 3월 31일 수려선이 폐선되었다.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서울~수원 간)되었고, 1975년 6월 7일 전철 역사 착공, 12월 31일 준공되었다. 1983년 6월 15일 컨테이너 화물기지가 준공되었으며, 1988년 9월 30일 역사 증축이 완료되었다.[15] 1996년 1월 1일 수인선 운행이 중지되면서, 수원역의 협궤 철도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000년 1월 1일 지역관리역으로 승격되었고, 2001년 6월 1일에는 장항선 특정통일호 에드몬슨 승차권 발매가 중단되고 전산 통일호로 전환되었다. 2002년 2월 22일에는 수원역 전동차 추돌 사고가 발생했다. 2003년 2월 5일 민자역사가 준공되었고,[15] 같은 해 4월 30일 수도권 전철 1호선병점역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중간역이 되었다.[11] 2004년 4월 1일 통일호 운행이 중단되었고,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

2006년 7월 1일 한국철도공사 지사제 발족 당시 수도권 남부지사의 지사 소재역으로 지정되었으나, 2009년 9월 지역본부제로 바뀌면서 수도권 남부지사가 수도권 서부지사에 흡수, 수도권 서부본부가 되자 지역 본부 대표역의 지위를 잃었다. 2009년 6월 1일 누리로 운행이 개시되었고, 2010년 11월 1일 KTX 운행이 개시되었다.[6]

2013년 5월 15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개시되었고, 10월 7일 분당선 수원역 철도거리표가 고시되었다.[19] 같은 해 11월 30일 분당선망포역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12][13] 2014년 5월 12일 ITX-새마을 운행이 개시되었고, 6월 16일 수도권서부본부 수원관리역으로 관할이 일원화되었다.

2014년 8월 18일 태백선 열차 충돌 사고로 인해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2015년 5월 2일 정선아리랑열차 노선 중복 문제로 운행이 재개되었다. 2015년 2월 5일 서해금빛열차 운행이 개시되었고, 9월 4일 수인선 수원~한대앞역 구간이 철도거리표에서 삭제되었다.[20]

2017년 5월 1일 ITX-청춘 (용산-대전) 운행이 개시되었으나, 2018년 3월 23일 운행이 중지되었다. 2017년 6월 16일에는 수원역환승센터가 개통되었다. 2019년 12월 30일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이 중지되었다가 2020년 1월 13일 재개되었다.

2020년 2월 2일 수원 - 한대앞역 구간 종합시험운행이 시작되었고,[21] 2월 3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중지되었다. 3월 2일 호남선, 충북선 누리로 운행이 중지되었으며, 5월 23일 누리로 (서울~신창) 운행이 중지되었다.

2020년 9월 12일 분당선수인선직결 운행됨에 따라 수인선 수원 - 오이도역 구간이 개통되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으로 노선명이 변경되었다. 역 남쪽에는 콘크리트 자재의 대형 급수탑(표준궤)과 벽돌 자재의 소형 급수탑(협궤)이 남아 있으며, 한국철도공사 선정 준철도기념물로 지정된 뒤 2020년 5월 4일에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되었다.[14] 2023년 9월 1일 ITX-마음 운행이 개시되었다.

20세기 초 수원역


수원역 야경 (2014)

3. 역 구조

수원역은 경부선상의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환승역이다. 지상에는 경부선과 경부고속선 승강장이, 지하에는 수인분당선 승강장이 있다.

1972년까지 협궤철도였던 수려선수인선 업무도 취급하였으나, 수려선1972년 4월 1일 부로, 수인선1996년 1월 1일 부로 영업을 중지하면서, 수원역의 협궤 철도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그러나 2013년 역 동쪽으로 분당선이 개통되었고, 2020년 9월 12일에는 표준궤로 개궤 및 복선 전철화한 수인선의 상호 직결 운행이 시작되어, 수원역의 십자 형태 철도망이 재건되었다.

역 남쪽에는 콘크리트 자재의 대형 급수탑(표준궤)과 벽돌 자재의 소형 급수탑(협궤)이 남아 있으며, 한국철도공사 선정 준철도기념물로 지정된 뒤 2020년 5월 4일에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되었다.[14]

수원역사는 민간 사업자가 운영하는 민자역사로, AK플라자(AK Plaza) 수원점 등이 함께 있다. 지상 승강장과 지하 승강장 모두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1. 경부선 (지상)

경부선 수원역은 4면 8선의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중앙의 저상홈에서는 일반 여객열차를 취급하고, 양 끝 고상홈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를 취급한다. 전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번호는 선 번호와 일치하도록 정해져 있어 1번 승강장은 존재하지 않으며(1번선에 승강장 없음), 12번선 쪽에는 승강장과 유사한 형태의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으나 정식 승강장은 아니다.[22][23][24]

2003년 수원역 민자역사 개장 및 1호선병점역 연장 이전에는 1호선 전철의 회차 등의 이유로 전철 승강장이 중앙(본선)에, 여객열차 승강장이 양쪽에 각각 위치하였다. 이 때문에 화서역과 수원역 사이에서 일반 여객열차와 광역전철이 내선과 외선을 서로 갈아타는 평면교차가 있었다. 당시 수원역을 통과하는 여객열차는 본선에 위치한 전철 승강장을 통과하기도 하였다.



1호선 승강장


열차 승강장

3. 2.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지하)

2013년 11월 30일 분당선 연장 개통과 함께 신설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고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2][13] 한동안 수도권 서부본부 관할인 기존 수원역과 별도로 수도권 동부본부 관할이었으나, 2014년 6월에 분당선 수원역을 경부선 수원역에 흡수시키는 형태로 관할이 일원화되었다.

수인·분당선 승강장
매교
2
1
고색




4. 역 주변

수원역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과 편의 시설이 위치해 있다.

주요 시설



수원역 서쪽 출입구


수원역은 AK플라자와 같은 건물을 사용하며, 지상(모든 서비스)과 지하(지하철 서비스만)에 걸쳐 있다.[4] 역사 내외에는 많은 상점과 음식점이 있으며, 역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는 롯데백화점롯데시네마 영화관이 있는 쇼핑몰이 있다.[4]

2011년 국토해양부 조사에 따르면, 수원역과 AK플라자 인근 버스 정류장은 하루 평균 탑승객 77,326명, 하차객 63,255명으로 경기도에서 가장 붐비는 곳으로 나타났다.[5]

5. 승차량 변동

경부선분당선의 승차량은 다음과 같이 변동되었다.[25]

노선승차 인원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2022년2023년
경부선41,786명45,382명48,178명48,256명35,786명38,661명40,273명42,867명45,864명44,539명43,971명44,762명43,334명42,782명41,657명41,475명40,605명39,683명39,804명39,373명24,933명24,820명28,361명미집계
분당선미개통6,763명12,609명14,089명14,752명15,305명16,386명16,823명11,661명13,061명15,056명미집계


5. 1. 수도권 전철

수도권 전철의 승차 인원은 다음과 같다.[25]

연도1일 평균 승차 인원
경부선분당선
2000년41,786명미개통
2001년45,382명
2002년48,178명
2003년48,256명
2004년35,786명
2005년38,661명
2006년40,273명
2007년42,867명
2008년45,864명
2009년44,539명
2010년43,971명
2011년44,762명
2012년43,334명
2013년42,782명6,763명
2014년41,657명12,609명
2015년41,475명14,089명
2016년40,605명14,752명
2017년39,683명15,305명
2018년39,804명16,386명
2019년39,373명16,823명
2020년24,933명11,661명
2021년24,820명13,061명
2022년28,361명15,056명


5. 2. 일반열차

2004년 4월 1일 KTX 개통 이전에는 경부선을 운행하는 일반열차로 새마을호무궁화호가 하루 88회 정차하였으나, KTX 개통 이후에는 무궁화호만 하루 84회 정차하고 있다.[25]

연도별 일반열차 승차 인원은 다음과 같다.

노선승차인원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주석
경부선41,78645,38248,17848,25635,78638,66140,27342,86745,86444,539[25]
노선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경부선43,97144,76243,33442,78241,65741,47540,60539,68339,80439,373
노선2020년2021년2022년2023년
경부선24,93324,82028,361



특급열차 이용객은 다음과 같다.[7]

연도별이용객
KTX새마을호무궁화호통일호합계
2001년하행승차 인원미개통748,2803,834,25837,3404,619,878
하차 인원14,901573,80122,811611,513
상행승차 인원28,266512,25318,008558,527
하차 인원772,9633,622,92043,0384,438,921
2002년하행승차 인원759,0563,645,26534,8764,408,804
하차 인원17,315558,90727,269603,491
상행승차 인원26,521517,15925,960614,244
하차 인원786,2843,424,97840,2244,251,486
2003년하행승차 인원788,3883,600,64735,1574,393,216
하차 인원16,374505,51626,470557,007
상행승차 인원21,600481,15623,001562,954
하차 인원813,5713,384,27340,2244,204,189
2004년하행승차 인원1,020,3593,415,9329,2684,445,559
하차 인원47,286569,6356,122623,043
상행승차 인원49,647621,3225,654676,623
하차 인원1,031,5183,389,5789,7024,430,798
2005년하행승차 인원1,097,3712,226,309폐지3,323,680
하차 인원64,791634,239699,030
상행승차 인원59,804690,046749,850
하차 인원1,078,2752,213,0573,291,332
2011년[8]하행승차 인원523,344835,0622,345,5283,867,492
하차 인원11,179306,7581,576,8172,136,945
상행승차 인원513,712264,4801,626,1082,238,075
하차 인원40,268793,3382,491,6013,977,107


6. 인접한 역

급행성균관대역 (P153)병점역 (P157)-- 경부전철선
완행화서역 (P154)세류역 (P156)-- 수인·분당선
급행수원시청역 (K243)고색역 (K246)-- 수인·분당선
완행매교역 (K244)고색역 (K246)한국철도공사경부선 KTX영등포역대전역경부선 ITX-새마을, 새마을호영등포역평택역경부선 무궁화호, 누리로안양역오산역O-Train수원역천안역


7. 기타

경부선상의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환승역이다. 2003년 4월 29일까지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모두 이 역에서 시·종착하였으나, 병점역과 그 이남 노선 개통 이래 1호선 열차는 현재 이 역에서 시·종착하지 않는다.[11] 2013년 11월 30일 분당선 연장 개통과 함께 지하 수원역이 신설되었다.[12]

한때 협궤철도였던 수려선수인선 업무도 취급하였으나, 수려선1972년 4월 1일 부로, 수인선1996년 1월 1일 부로 영업을 중지하면서, 십자 형태로 짜여 있던 수원역의 협궤 철도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그러나 2013년 역 동쪽으로 이어지는 분당선이 개통하였고, 2020년 9월 12일에는 표준궤로 개궤 및 복선 전철화한 수인선의 상호 직결 운행이 시작되어, 떨어져 나갔던 수원역의 십자 형태 철도망이 재건되었다. 역 남쪽에는 콘크리트 자재의 대형 급수탑(표준궤)과 벽돌 자재의 소형 급수탑(협궤)이 남아 있으며, 한국철도공사 선정 준철도기념물로 지정된 뒤 2020년 5월 4일에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되었다.[14]

2006년 7월 한국철도공사 지사제 발족 당시 수도권 남부지사의 지사 소재역으로 지정되었으나, 2009년 9월 지사제에서 지역본부제로 바뀌면서 수도권 남부지사가 수도권 서부지사에 흡수되는 형태로 수도권 서부본부가 되자, 지역 본부 대표역의 지위를 잃었다. 역 앞으로는 약 80개의 버스 노선이 지나며, 2011년 경기도 내의 버스 이용객이 가장 많은 장소로 선정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코레일 > 사업분야 > 광역철도사업 > 수송통계 > 자료실 http://info.korail.c[...]
[2] 웹사이트 KORAIL - 정부3.0 정보공개 - 공개자료실 http://info.korail.c[...]
[3] 웹사이트 수원역 http://terms.naver.c[...] Doosan Encyclopedia 2015-08-31
[4] 웹사이트 롯데몰 소개 > Concept/BI : 롯데몰 수원 http://suwon.lottema[...] 2019-03-18
[5] 뉴스 Gangnam Busiest Subway Station in Korea http://english.chosu[...] 2012-04-23
[6] 뉴스 11월 부터 수원역에서도 KTX탄다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7] 웹사이트 철도통계연보 http://www.korail.go[...]
[8] 웹사이트 http://www.korail.co[...]
[9] 웹사이트 정보공개 공개자료실 http://info.korail.c[...]
[10] 뉴스인용 KTX, 오늘부터 수원역 정차 https://news.kbs.co.[...] 2010-11-01
[11] 기타
[12] 간행물 철도공사 경영관리처-2503 직제규정시행세칙 일부개정 알림 사규 제2014-78호 직제규정시행세칙
[13] 서적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길라잡이
[14] 간행물 문화재청고시 제2020-41호 http://gwanbo.mois.g[...] 2020-05-04
[15] 뉴스인용 [질주하는 역사 철도·12]수인선과 수원역 http://www.kyeongin.[...] 2011-01-10
[16] 간행물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1930-12-04
[17] 간행물 사설철도운수영업개시 조선총독부관보 휘보 1937-08-06
[18] 간행물 철도청고시 제1971-37호 대한민국관보
[19]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585호 http://gwanbo.mois.g[...] 2013-10-07
[20] 간행물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620호 대한민국관보 2015-09-04
[21] 뉴스인용 철도공단, 수인선 수원~한대앞 구간 종합시험운행 착수 https://n.news.naver[...] 2020-02-02
[22] 기타
[23] 기타
[24] 기타
[25] 웹인용 통계자료 - 한국철도공사 https://info.korail.[...] 2022-04-19
[26] 웹인용 철도통계연보 http://www.korail.go[...] 2011-01-03
[27] 웹사이트 KORAIL - 정부3.0 정보공개 - 공개자료실 http://info.korail.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