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원역은 경부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지나는 경기 수원시의 주요 철도역이다.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으며, 1928년 한옥 형태의 역사가 준공되었다. 이후 수려선, 수인선이 개통되었고, 1974년 수도권 전철 1호선이, 2013년 분당선이 연장 개통되어 환승역이 되었다. 현재 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수도권 전철 등이 운행되며, AK플라자와 롯데백화점 등 대형 쇼핑몰과 환승센터가 인접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원시의 전철역 - 광교중앙역
광교중앙역은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에 위치한 신분당선 전철역으로,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 환승센터를 갖추고 있으며, 주변 시설과의 연결 및 향후 분기역으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 수원시의 전철역 - 영통역
영통역은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전철역으로, 2012년 개통되었으며, 부기역명은 경희대이고,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지하역이며, 8개의 출구를 통해 주변 시설로 이동할 수 있다. - 팔달구 -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은 1967년 가톨릭대학 제5부속병원으로 개원하여 1999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여러 수녀들이 병원장직을 맡아왔다. - 팔달구 - 팔달산
팔달산은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역사적, 문화적 유적이 있는 산으로, 수원 팔달산 지석묘군과 독립기념비 등의 조형물이 있으며, 과거 팔달산 토막 살인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 한국고속철도 정차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 한국고속철도 정차역 - 광명역
광명역은 경기도 광명시와 안양시에 걸쳐 있는 KTX 고속철도 및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에 위치하며, 개통 초기 이용객이 저조했으나 현재는 KTX 역 중 이용객 증가율이 높은 주요 교통 거점으로 자리매김했고, 역세권에는 대규모 상업시설과 주거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도심공항터미널이 개장하여 교통 편의성을 높였다.
수원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역 이름 | 수원역 |
로마자 표기 | Suwonnyeok |
한자 표기 | 水原驛 |
주소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1가 18, 덕영대로 924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기타 | 버스 정류장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
구조 | 지상 (1호선, 경부선), 지하 (수인분당선) |
승강장 | 6개 |
선로 | 10개 |
승객 수 | |
일일 승객 수 (2019년 기준) | '수도권 전철:' 112,319명 'KTX·ITX-새마을·무궁화호:' 36,987명 |
노선 정보 | |
노선 | 경부선 |
역 번호 | P155 (1호선) K245 (수인분당선) |
1호선 서비스 정보 | |
이전 역 | 화서역 |
다음 역 | 세류역 |
급행 | 이전 역: 성균관대역 다음 역: 병점역 |
주요 방향 | 이전 방향: 의정부 또는 광운대 다음 방향: 신창 또는 서동탄 |
수인분당선 서비스 정보 | |
이전 역 | 매교역 |
다음 역 | 고색역 |
분당 급행 | 이전 역: 수원시청역 다음 역: 고색역 |
주요 방향 | 이전 방향: 왕십리 또는 청량리 다음 방향: 고색 |
기타 서비스 정보 | |
KTX | 이전 역: 영등포역 다음 역: 대전역 |
ITX-새마을 | 이전 역: 영등포역 다음 역: 평택역 |
새마을호 | 이전 역: 영등포역 다음 역: 평택역 |
무궁화호 | 이전 역: 안양역 다음 역: 오산역 |
S-Train | 이전 역: 영등포역 다음 역: 천안역 |
G-Train | 이전 역: 영등포역 다음 역: 아산역 |
문화재 정보 | |
문화재 이름 | 수원역 급수탑 |
![]() | |
국가 | 대한민국 |
문화재 유형 | 국가등록문화재 |
문화재 번호 | 780 |
지정일 | 2020년 5월 4일 |
주소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덕영대로 960 (세류동 284-5) |
시대 | 1930년대 |
소유 | 한국철도공사 |
기타 정보 | |
관련 뉴스 | KTX, 오늘부터 수원역 정차 |
2. 역사
水原驛일본어은 1905년 1월 1일 경부선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였다.[3] 1928년 8월 27일에는 한옥 형태의 역사가 준공되었으며,[15] 1930년 12월 1일에는 수려선이 개통되었다.[16] 1937년 8월 5일에는 수인선이 개통되어,[17] 한때 협궤 철도 노선이 십자 형태로 교차하는 역이었다.
수원역은 경부선상의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의 환승역이다. 지상에는 경부선과 경부고속선 승강장이, 지하에는 수인분당선 승강장이 있다.
1949년 1월 1일 사무관역으로 승격되었고, 1961년 1월 25일 역사 신축에 착공하여 같은 해 9월 20일 완공하였다.[15] 1963년 6월 1일에는 서기관역으로 승격되었다. 1971년 9월 10일 무연탄 화물 도착역으로 지정되었고,[18] 1972년 3월 31일 수려선이 폐선되었다.
1974년 8월 15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서울~수원 간)되었고, 1975년 6월 7일 전철 역사 착공, 12월 31일 준공되었다. 1983년 6월 15일 컨테이너 화물기지가 준공되었으며, 1988년 9월 30일 역사 증축이 완료되었다.[15] 1996년 1월 1일 수인선 운행이 중지되면서, 수원역의 협궤 철도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2000년 1월 1일 지역관리역으로 승격되었고, 2001년 6월 1일에는 장항선 특정통일호 에드몬슨 승차권 발매가 중단되고 전산 통일호로 전환되었다. 2002년 2월 22일에는 수원역 전동차 추돌 사고가 발생했다. 2003년 2월 5일 민자역사가 준공되었고,[15] 같은 해 4월 30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병점역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중간역이 되었다.[11] 2004년 4월 1일 통일호 운행이 중단되었고, 2006년 5월 1일 소화물 취급이 중지되었다.
2006년 7월 1일 한국철도공사 지사제 발족 당시 수도권 남부지사의 지사 소재역으로 지정되었으나, 2009년 9월 지역본부제로 바뀌면서 수도권 남부지사가 수도권 서부지사에 흡수, 수도권 서부본부가 되자 지역 본부 대표역의 지위를 잃었다. 2009년 6월 1일 누리로 운행이 개시되었고, 2010년 11월 1일 KTX 운행이 개시되었다.[6]
2013년 5월 15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개시되었고, 10월 7일 분당선 수원역 철도거리표가 고시되었다.[19] 같은 해 11월 30일 분당선이 망포역까지 연장 개통되면서 환승역이 되었다.[12][13] 2014년 5월 12일 ITX-새마을 운행이 개시되었고, 6월 16일 수도권서부본부 수원관리역으로 관할이 일원화되었다.
2014년 8월 18일 태백선 열차 충돌 사고로 인해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2015년 5월 2일 정선아리랑열차 노선 중복 문제로 운행이 재개되었다. 2015년 2월 5일 서해금빛열차 운행이 개시되었고, 9월 4일 수인선 수원~한대앞역 구간이 철도거리표에서 삭제되었다.[20]
2017년 5월 1일 ITX-청춘 (용산-대전) 운행이 개시되었으나, 2018년 3월 23일 운행이 중지되었다. 2017년 6월 16일에는 수원역환승센터가 개통되었다. 2019년 12월 30일 서울~신창간 누리로 운행이 중지되었다가 2020년 1월 13일 재개되었다.
2020년 2월 2일 수원 - 한대앞역 구간 종합시험운행이 시작되었고,[21] 2월 3일 중부내륙순환열차 운행이 중지되었다. 3월 2일 호남선, 충북선 누리로 운행이 중지되었으며, 5월 23일 누리로 (서울~신창) 운행이 중지되었다.
2020년 9월 12일 분당선과 수인선이 직결 운행됨에 따라 수인선 수원 - 오이도역 구간이 개통되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으로 노선명이 변경되었다. 역 남쪽에는 콘크리트 자재의 대형 급수탑(표준궤)과 벽돌 자재의 소형 급수탑(협궤)이 남아 있으며, 한국철도공사 선정 준철도기념물로 지정된 뒤 2020년 5월 4일에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되었다.[14] 2023년 9월 1일 ITX-마음 운행이 개시되었다.
3. 역 구조
1972년까지 협궤철도였던 수려선과 수인선 업무도 취급하였으나, 수려선은 1972년 4월 1일 부로, 수인선은 1996년 1월 1일 부로 영업을 중지하면서, 수원역의 협궤 철도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그러나 2013년 역 동쪽으로 분당선이 개통되었고, 2020년 9월 12일에는 표준궤로 개궤 및 복선 전철화한 수인선의 상호 직결 운행이 시작되어, 수원역의 십자 형태 철도망이 재건되었다.
역 남쪽에는 콘크리트 자재의 대형 급수탑(표준궤)과 벽돌 자재의 소형 급수탑(협궤)이 남아 있으며, 한국철도공사 선정 준철도기념물로 지정된 뒤 2020년 5월 4일에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되었다.[14]
수원역사는 민간 사업자가 운영하는 민자역사로, AK플라자(AK Plaza) 수원점 등이 함께 있다. 지상 승강장과 지하 승강장 모두 전면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1. 경부선 (지상)
경부선 수원역은 4면 8선의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중앙의 저상홈에서는 일반 여객열차를 취급하고, 양 끝 고상홈에는 수도권 전철 1호선 전동차를 취급한다. 전철 승강장에는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 번호는 선 번호와 일치하도록 정해져 있어 1번 승강장은 존재하지 않으며(1번선에 승강장 없음), 12번선 쪽에는 승강장과 유사한 형태의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으나 정식 승강장은 아니다.[22][23][24]
2003년 수원역 민자역사 개장 및 1호선의 병점역 연장 이전에는 1호선 전철의 회차 등의 이유로 전철 승강장이 중앙(본선)에, 여객열차 승강장이 양쪽에 각각 위치하였다. 이 때문에 화서역과 수원역 사이에서 일반 여객열차와 광역전철이 내선과 외선을 서로 갈아타는 평면교차가 있었다. 당시 수원역을 통과하는 여객열차는 본선에 위치한 전철 승강장을 통과하기도 하였다.
번호 | 노선 | 열차 | 행선지 |
---|---|---|---|
2~3 | -- | 급행 · 일반 | 병점역, 서동탄역, 천안역, 신창역 방면 |
4~5 | 경부선 | KTX | 대전역, 동대구역, 울산역, 부산역 방면 |
경부선 · 충북선 |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 평택역, 대전역, 부산역, 진주역, 신해운대역, 제천역 방면 | |
호남선 · 전라선 · 장항선 | ITX-새마을, ITX-마음, 새마을호, 무궁화호 | 목포역, 광주역, 여수엑스포역, 익산역 방면 | |
6~7 | 경부선 | KTX | 영등포역, 서울역 방면 |
ITX-새마을, 새마을호, ITX-마음, 무궁화호 | 안양역, 영등포역, 용산역, 서울역 방면 | ||
8~9 | -- | 급행 · 일반 | 성균관대역, 금정역, 구로역, 광운대역 방면 |
3. 2.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지하)
2013년 11월 30일 분당선 연장 개통과 함께 신설되었으며,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고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12][13] 한동안 수도권 서부본부 관할인 기존 수원역과 별도로 수도권 동부본부 관할이었으나, 2014년 6월에 분당선 수원역을 경부선 수원역에 흡수시키는 형태로 관할이 일원화되었다.
4. 역 주변
수원역 주변에는 다양한 시설과 편의 시설이 위치해 있다.
주요 시설 |
---|
수원역은 AK플라자와 같은 건물을 사용하며, 지상(모든 서비스)과 지하(지하철 서비스만)에 걸쳐 있다.[4] 역사 내외에는 많은 상점과 음식점이 있으며, 역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는 롯데백화점과 롯데시네마 영화관이 있는 쇼핑몰이 있다.[4]
2011년 국토해양부 조사에 따르면, 수원역과 AK플라자 인근 버스 정류장은 하루 평균 탑승객 77,326명, 하차객 63,255명으로 경기도에서 가장 붐비는 곳으로 나타났다.[5]
5. 승차량 변동
경부선과 분당선의 승차량은 다음과 같이 변동되었다.[25]
노선 | 승차 인원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경부선 | 41,786명 | 45,382명 | 48,178명 | 48,256명 | 35,786명 | 38,661명 | 40,273명 | 42,867명 | 45,864명 | 44,539명 | 43,971명 | 44,762명 | 43,334명 | 42,782명 | 41,657명 | 41,475명 | 40,605명 | 39,683명 | 39,804명 | 39,373명 | 24,933명 | 24,820명 | 28,361명 | 미집계 |
분당선 | 미개통 | 6,763명 | 12,609명 | 14,089명 | 14,752명 | 15,305명 | 16,386명 | 16,823명 | 11,661명 | 13,061명 | 15,056명 | 미집계 |
5. 1. 수도권 전철
수도권 전철의 승차 인원은 다음과 같다.[25]연도 | 1일 평균 승차 인원 | |
---|---|---|
경부선 | 분당선 | |
2000년 | 41,786명 | 미개통 |
2001년 | 45,382명 | |
2002년 | 48,178명 | |
2003년 | 48,256명 | |
2004년 | 35,786명 | |
2005년 | 38,661명 | |
2006년 | 40,273명 | |
2007년 | 42,867명 | |
2008년 | 45,864명 | |
2009년 | 44,539명 | |
2010년 | 43,971명 | |
2011년 | 44,762명 | |
2012년 | 43,334명 | |
2013년 | 42,782명 | 6,763명 |
2014년 | 41,657명 | 12,609명 |
2015년 | 41,475명 | 14,089명 |
2016년 | 40,605명 | 14,752명 |
2017년 | 39,683명 | 15,305명 |
2018년 | 39,804명 | 16,386명 |
2019년 | 39,373명 | 16,823명 |
2020년 | 24,933명 | 11,661명 |
2021년 | 24,820명 | 13,061명 |
2022년 | 28,361명 | 15,056명 |
5. 2. 일반열차
2004년 4월 1일 KTX 개통 이전에는 경부선을 운행하는 일반열차로 새마을호와 무궁화호가 하루 88회 정차하였으나, KTX 개통 이후에는 무궁화호만 하루 84회 정차하고 있다.[25]연도별 일반열차 승차 인원은 다음과 같다.
6. 인접한 역
급행
완행
급행
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