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탄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동탄역은 2010년 2월 26일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개통되면서 종착역으로 영업을 시작한 역이다. 섬식 승강장과 반밀폐형 스크린도어를 갖춘 지상역으로, 동탄 신도시 주민들을 위한 역이다. 병점역에서 분기되는 지선에 위치하며, 역 번호는 P157-1이다. 역명 결정 당시 화성시와 오산시 간의 갈등이 있었으며, 최종적으로 화성시의 의견을 수용하여 서동탄역으로 결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산시의 전철역 - 오산역
오산역은 경기도 오산시에 위치한 지상역으로, 경부선과 경부고속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지나가며 복합환승센터 개통으로 교통 편의성이 향상되었고, 일반열차와 전철이 정차하는 오산시의 중심 역이다. - 오산시의 전철역 - 오산대역
오산대역은 경기도 오산시 갈곶동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 역으로, 세교신도시 개발로 추가 건설되었으며, 역명은 오산대학교에서 유래되었지만 오산역이 더 가깝고, 2면 4선의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를 갖춘 지상역이다. - 2010년 개업한 철도역 - 진례역
진례역은 2010년에 개통하여 화물 및 여객 영업을 시작했으며, 경전선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하는 지상역이다. - 2010년 개업한 철도역 - 경주역
경주역은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철도역으로, KTX, SRT 등 고속열차와 일반열차가 운행하며, 동해선 광역전철도 정차하고, 신라 시대 유물을 전시하는 문화재 전시관을 운영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남영역
남영역은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지상역으로, 1974년 개통되었으며, 섬식 승강장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과 경원선을 연결하는 중요한 환승 거점 역할을 한다.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역 - 용산역
용산역은 대한민민국의 철도역으로, KTX 호남고속철도 개통 이후 용산역은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주요 출발역으로, 현재는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경원선과 같은 열차를 포함한 다양한 고속 및 일반 열차를 운행하며, 대형 복합쇼핑몰인 아이파크몰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서동탄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역 정보 | |
이름 | 서동탄역 |
로마자 표기 | Seodongtan-yeok |
한자 표기 | 東 |
다른 이름 | 서쪽 동탄 |
주소 | 경기도 오산시 외삼미로 15번길 87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노선 | 병점기지선 |
승강장 | 1면 2선 |
구조 | 지상역 |
개업일 | 2010년 2월 26일 |
일일 승객 수 (2012년) | 2,448명 |
역 번호 | P157-1 |
시설 정보 | |
플랫폼 수 | 1 |
선로 수 | 2 |
노선 정보 | |
노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병점기지선 |
이전 역 | 병점 |
상세 정보 | |
역 등급 | 3급 |
기점으로부터 거리 | 병점 기점 2.2 km |
연천 기점 | 118.8 km |
관리역 | 평택관리역 |
전보 약호 | (미제공) |
승차 인원 (2022년) | 1,274명 |
승강 인원 (2022년) | 2,438명 |
지도 정보 | |
이미지 정보 | |
![]() | |
![]() |
2. 역사
- 2010년 2월 26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서동탄역 개통과 함께 종착역으로 영업 개시[1]
- 2010년 2월 27일 오전 11시에 개통식이 열렸으며, 전날인 2월 26일 첫차부터 영업을 시작했다.[1]
서동탄역은 병점차량사업소 옆에 있으며, 주로 동탄 신도시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위한 역이다.[1] 동탄인덕원선 건설 후 서동탄선은 동탄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다.[1] 이 역은 화성시와 오산시의 경계에 있는 병점차량사업소 내부에 있다.[1] 인근에 동탄신도시가 있으며, 동탄신도시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건설되었다.[1]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철과 한국철도공사(KORAIL) 소속 광운대역발 열차 또는 일부 광운대역 이남 역 발차 열차는 이 역을 종착역으로 하고 있다(평일 아침 2회만 의정부역발 이 역 종착이라는 예외가 있다).[1]
3. 역 구조
서동탄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역사는 승강장 북동쪽에 있으며, 승강장과 과선교로 연결되어 있다. 출구는 1번과 2번 두 곳이 있다.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1. 승강장
서동탄역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반밀폐형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3. 2. 배선도
서동탄역과 병점차량사업소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노선색 | 의미 |
---|---|
style="background-color:; width:50px;" | | 수도권 전철 1호선 |
참고:
- `routemap` 템플릿은 위키텍스트에서 지원하지 않아 제거했습니다. 원본 소스에 있던 텍스트 정보("서동탄역과 병점차량사업소의 배선도는 다음과 같다.")는 유지했습니다.
- 노선색 정보는 표를 사용하여 가독성을 높였고, `` 템플릿을 사용하여 노선색을 표현하도록 수정했습니다.
4. 역 번호
역 번호는 병점역에 달린 분기지선의 의미로 P157-1이다. 역 번호 맨 앞에 붙은 P는 분기선에 부여되는데, 수도권 전철 1호선 경부선-장항선 가산디지털단지역~신창역 구간의 역들은 P1○○ 형태의 역 번호를 사용하고 있다.[1] 이 역은 이 구간에서 다시 분기된 노선에 있는 역이다.[1] 병점역(역 번호 P157)에서 분기된 후 만나는 첫 번째 역이라는 의미에서 P157-1을 역 번호로 사용하고 있다.[1] 이 때문에 광명역(P144-1)과 함께 대한민국에서 역 번호가 가장 긴 전철역이다.[1]
5. 역 주변
서동탄역은 동탄신도시 서쪽에 인접한 경기도 오산시 세마동에 위치한 역이다. 병점차량사업소 내에 역사가 있으며, 오산시가 부지를 제공하고 화성시가 역사 건축비를 부담하여 인근 동탄1신도시 주민들의 교통 편의를 위해 신설되었다. 이 역을 시·종착역으로 하는 열차는 광운대역까지 운행하는 일부 전동차이며, 심야에는 3편성이 주박한다.[1]
화성시와 오산시 경계에 있는 병점차량사업소 내부에 위치하며, 인근 동탄신도시 주민들의 편의를 위해 건설되었다. SRT 동탄역은 이 역에서 직선거리로 약 4km 떨어져 있다.[1]
5. 1. 버스 노선
동탄신도시 순환 버스 노선으로 701-1번, 709번, 709-1번이 있다.6. 역명 논란
화성시와 오산시 경계에 서동탄역이 위치해 있었기 때문에, 역명 결정 당시 두 지자체 간 갈등이 있었다.
오산시는 역이 속한 부지 대부분이 오산시 외삼미동에 속하므로 역명을 '''삼미'''로 주장하였다.
반면 화성시는 오산시가 비용 분담을 거절했고, 화성시가 단독으로 지자체 분담금 1600억원을 부담했다는 점을 들어[10] 동탄신도시의 이름을 딴 '''서동탄'''으로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11]
2009년 10월 14일, 한국철도공사는 역명심의를 통해 화성시의 의견을 수용하여 역명을 '''서동탄역'''으로 결정하였다.[12] 이에 반발한 오산시 시민단체는 서동탄역 역명 지정 취소 소송을 제기하기도 하였다.[12]
7. 승차량 변동
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