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륨 동위 원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륨(Bh)은 인공적으로 합성된 초우라늄 원소로, 안정 동위 원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보륨의 동위 원소는 질량수가 260부터 274까지 알려져 있으며, 핵종에 따라 반감기가 수 밀리초에서 수 분까지 다양하다. 보륨은 주로 입자 가속기에서 가벼운 원소를 충돌시켜 핵융합 반응을 통해 생성되며, 열 핵융합과 냉 핵융합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보륨은 더 무거운 원소의 붕괴 생성물로도 관찰된다.
보륨은 원자번호 107번의 인공 원소로, 안정 동위 원소가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표준 원자량은 정해져 있지 않다. 1981년에 처음 합성되었으며, 현재까지 260Bh부터 274Bh, 278Bh까지 총 16개의 동위 원소가 발견되었다. 이들 중 가장 안정한 동위 원소는 반감기가 약 0.9분인 274Bh이다.[45][46]
2. 동위 원소
보륨 동위 원소들은 대부분 알파 붕괴를 통해 붕괴하며, 일부는 자발 핵분열을 일으키기도 한다. 261Bh, 262Bh, 264Bh의 경우 자발 핵분열 비율이 5~30% 정도이다.2. 1. 주요 동위 원소
핵종 | Z (양성자) | N (중성자) | 동위 원소 질량 (u) | 반감기 | 붕괴 방식[38][39] | 붕괴 생성물 | 핵 스핀 |
---|---|---|---|---|---|---|---|
260Bh | 107 | 153 | 260.12166(26)# | 41(14) ms | α | 256Db | |
261Bh | 107 | 154 | 261.12146(22)# | 12.8(3.2) ms | α (95%?) | 257Db | (5/2-) |
SF (5%?) | 다양 | ||||||
262Bh | 107 | 155 | 262.12297(33)# | 84(11) ms | α (80%) | 258Db | rowspan=2| |
SF (20%) | 다양 | ||||||
262mBh | 107 | 155 | 262.12297(33)# | 9.5(1.6) ms | α (70%) | 258Db | rowspan=2| |
SF (30%) | 다양 | ||||||
264Bh[40] | 107 | 157 | 264.12459(19)# | 1.07(21) s | α (86%) | 260Db | rowspan=2| |
SF (14%) | 다양 | ||||||
265Bh | 107 | 158 | 265.12491(25)# | 1.19(52) s | α | 261Db | |
266Bh[41] | 107 | 159 | 266.12679(18)# | 2.5(1.6) s | α | 262Db | |
267Bh | 107 | 160 | 267.12750(28)# | 22(10) s [17(+14-6) s] | α | 263Db | |
270Bh[42] | 107 | 163 | 270.13336(31)# | 3.8(3.0) min | α | 266Db | |
271Bh[43] | 107 | 164 | 271.13526(48)# | 1# min | α | 267Db | |
272Bh[44] | 107 | 165 | 272.13826(58)# | 8.8(2.1) s | α | 268Db | |
274Bh[45] | 107 | 167 | 274.14355(65)# | 0.9 min[46] | α | 270Db |
2. 2. 핵 이성질체
보륨 동위 원소에서 핵 이성질 현상이 확인된 유일한 예는 동위 원소 262Bh이다.[38][39] 262Bh의 직접적인 합성은 바닥 상태와 이성질체 상태의 두 가지 상태를 생성한다. 바닥 상태는 알파 입자를 방출하며 10.08, 9.82, 9.76 MeV의 에너지를 갖는 알파 붕괴를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수정된 반감기는 84ms이다. 들뜬 상태 또한 알파 입자를 방출하며 10.37 및 10.24 MeV의 에너지를 갖는 알파 붕괴를 하며 수정된 반감기는 9.6ms이다.3. 핵합성
초우라늄 원소인 보륨은 입자 가속기에서 가벼운 원자핵을 충돌시켜 핵융합 반응을 유도하여 생성한다. 보륨의 대부분의 동위 원소는 이러한 방식으로 직접 합성될 수 있지만, 일부 더 무거운 동위 원소는 더 무거운 원자 번호를 가진 원소의 붕괴 생성물로만 관찰되었다.[16]
핵융합 반응은 관련된 에너지에 따라 "열" 핵융합과 "냉" 핵융합으로 구분된다. 열 핵융합 반응에서는 매우 가볍고 높은 에너지를 가진 투사체가 악티늄족 원소와 같이 매우 무거운 표적을 향해 가속되어 높은 여기 에너지(약 40–50 MeV)를 갖는 복합 핵을 생성한다. 이 복합 핵은 핵분열을 일으키거나 여러 개(3~5개)의 중성자를 방출할 수 있다.[17] 반면, 냉 핵융합 반응에서 생성된 융합 핵은 비교적 낮은 여기 에너지(약 10–20 MeV)를 가지므로 핵분열을 일으킬 확률이 낮다. 융합 핵이 바닥 상태로 냉각될 때, 하나 또는 두 개의 중성자만 방출하면 되기 때문에 중성자가 더 많은 생성물을 만들 수 있다.[16] 이는 실온에서 핵융합이 달성되었다고 주장하는 상온 핵융합과는 다른 개념이다.[18]
3. 1. 냉각 핵융합
초우라늄 원소인 보륨은 입자 가속기에서 가벼운 원소를 충돌시켜 핵융합 반응을 유도하여 생성된다. 보륨의 대부분의 동위 원소는 이러한 방식으로 직접 합성될 수 있지만, 일부 더 무거운 동위 원소는 더 높은 원자 번호를 가진 원소의 붕괴 생성물로만 관찰되었다.[16]관련된 에너지에 따라, 전자는 "열" 및 "냉"으로 구분된다. 열 핵융합 반응에서는 매우 가볍고 고에너지의 투사체가 매우 무거운 표적(예: 악티늄족 원소)을 향해 가속되어, 높은 여기 에너지(~40–50 MeV)에서 화합물 핵을 생성하며, 이 핵은 핵분열하거나 여러 개(3~5개)의 중성자를 증발시킬 수 있다.[17] 냉 핵융합 반응에서 생성된 융합 핵은 비교적 낮은 여기 에너지(~10–20 MeV)를 가지며, 이는 이러한 생성물이 핵분열을 겪을 확률을 감소시킨다. 융합 핵이 바닥 상태로 냉각되면, 단지 하나 또는 두 개의 중성자만 방출하면 되므로, 더 많은 중성자 과잉 생성물을 생성할 수 있다.[16] 후자는 실온 조건에서 핵융합이 달성되었다고 주장하는 개념과는 구별된다(상온 핵융합 참조).[18]
다음 표에는 ''Z'' = 107인 화합물 핵을 형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표적과 투사체의 다양한 조합이 포함되어 있다.
표적 | 투사체 | CN | 시도 결과 |
---|---|---|---|
208Pb | 55Mn | 263Bh | |
209Bi | 54Cr | 263Bh | |
209Bi | 52Cr | 261Bh | |
238U | 31P | 269Bh | |
243Am | 26Mg | 269Bh | |
248Cm | 23Na | 271Bh | |
249Bk | 22Ne | 271Bh |
1976년 두브나에 위치한 공동원자핵연구소 과학자들은 냉각 핵융합 반응을 사용하여 보륨 합성을 처음 시도하였다. 1981년 GSI팀에 의해 하슘이 처음으로 성공적으로 합성되기 전의 일이다. 그들은 두 개의 자발 핵분열 활동을 감지했는데, 하나는 반감기가 1–2 ms이고 다른 하나는 반감기가 5 s였다. 다른 냉각 핵융합 반응의 결과에 기반하여, 그들은 각각 261Bh와 257Db에 의한 것이라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나중에 증거에 따르면 261Bh에 대한 SF 분기가 훨씬 낮아져 이 할당에 대한 신뢰도가 감소했다. 둠늄 활동의 할당은 나중에 258Db로 변경되었으며, 보륨의 붕괴가 놓쳤다고 추정했다. 2 ms SF 활동은 33% EC 분기에서 비롯된 258Rf에 할당되었다. GSI팀은 1981년 그들의 발견 실험에서 이 반응을 연구했다. 262Bh의 5개의 원자가 유전적 모자식 붕괴의 상관 관계 방법을 사용하여 감지되었다.[19] 1987년, 두브나의 내부 보고서에 따르면 그 팀은 261Bh의 자발 핵분열을 직접 감지할 수 있었다. GSI팀은 1989년에 이 반응을 추가로 연구하여 1n 및 2n 여기 함수를 측정하는 동안 새로운 동위원소 261Bh를 발견했지만 261Bh에 대한 SF 분기를 감지할 수 없었다.[20] 그들은 2003년에 새로 개발된 불화 비스무트(III) (BiF3) 표적을 사용하여 연구를 계속했으며, 이는 262Bh와 딸 핵종 258Db에 대한 붕괴 데이터에 대한 추가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었다. 1n 여기 함수는 이전 데이터의 정확성에 대한 의심이 제기된 후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LBNL) 팀에 의해 2005년에 재측정되었다. 그들은 262Bh의 18개의 원자와 261Bh의 3개의 원자를 관찰했으며 262Bh의 두 이성질체를 확인했다.[21]
2007년, LBNL의 팀은 가장 가벼운 보륨 동위원소 260Bh를 찾기 위해 크롬-52 발사체를 사용하여 유사한 반응을 처음으로 연구했다.
:209Bi + 52Cr → 260Bh + n
그 팀은 260Bh의 8개의 원자를 성공적으로 감지했으며, 10.16 MeV의 에너지를 가진 알파 입자를 방출하며 256Db로 알파 붕괴했다. 알파 붕괴 에너지는 N=152 닫힌 껍질의 지속적인 안정화 효과를 나타낸다.[22]
두브나의 팀은 또한 1976년에 새로운 원소에 대한 그들의 새롭게 확립된 냉각 핵융합 접근 방식의 일환으로 납-208 표적과 망가니즈-55 발사체 간의 반응을 연구했다.
:208Pb + 55Mn → 262Bh + n
그들은 비스무트-209와 크롬-54 간의 반응에서 관찰된 것과 동일한 자발 핵분열 활동을 관찰했으며, 이를 다시 261Bh와 257Db에 할당했다. 나중에 증거에 따르면 이들은 258Db와 258Rf로 재할당되어야 한다. 1983년, 그들은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여 실험을 반복했다: 화학적으로 분리된 붕괴 생성물에서 알파 붕괴를 측정하는 것이다. 팀은 262Bh의 붕괴 생성물에서 알파 붕괴를 감지할 수 있었으며, 보륨 핵의 형성에 대한 일부 증거를 제공했다. 이 반응은 나중에 LBNL의 팀에 의해 현대적인 기술을 사용하여 자세히 연구되었다. 2005년 그들은 262Bh의 33개 붕괴와 261Bh의 2개 원자를 측정하여, 1개의 중성자를 방출하는 반응에 대한 여기 함수와 두 262Bh 이성질체의 일부 분광 데이터를 제공했다. 2개의 중성자를 방출하는 반응에 대한 여기 함수는 2006년 반응 반복에서 추가로 연구되었다. 팀은 1개의 중성자를 방출하는 반응이 209Bi 표적과의 해당 반응보다 더 높은 반응 단면적을 가졌으며, 이는 예상과 반대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 이유를 이해하기 위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23][24]
다음 표는 보륨 동위 원소를 직접 생성하는 차가운 핵융합 반응에 대한 단면적과 여기 에너지를 제공한다. 굵은 글씨로 표시된 데이터는 여기 함수 측정에서 파생된 최대값을 나타낸다.
발사체 | 표적 | CN | 1n | 2n | 3n |
---|---|---|---|---|---|
55Mn | 208Pb | 263Bh | 590 pb, 14.1 MeV | ~35 pb | |
54Cr | 209Bi | 263Bh | 510 pb, 15.8 MeV | ~50 pb | |
52Cr | 209Bi | 261Bh | 59 pb, 15.0 MeV |
3. 2. 열핵융합
초우라늄 원소인 보륨은 입자 가속기에서 가벼운 원소를 충돌시켜 핵융합 반응을 유도하여 생성된다. 보륨의 대부분의 동위 원소는 이러한 방식으로 직접 합성될 수 있지만, 일부 더 무거운 동위 원소는 더 높은 원자 번호를 가진 원소의 붕괴 생성물로만 관찰되었다.[16]관련된 에너지에 따라, 전자는 "열" 및 "냉"으로 구분된다. 열 핵융합 반응에서는 매우 가볍고 고에너지의 투사체가 매우 무거운 표적(예: 악티늄족 원소)을 향해 가속되어, 높은 여기 에너지(~40–50 MeV)에서 화합물 핵을 생성하며, 이 핵은 핵분열하거나 여러 개(3~5개)의 중성자를 증발시킬 수 있다.[17]
다음 표에는 ''Z'' = 107인 화합물 핵을 형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표적과 투사체의 다양한 조합이 포함되어 있다.
표적 | 투사체 | CN | 시도 결과 |
---|---|---|---|
238U | 31P | 269Bh | |
243Am | 26Mg | 269Bh | |
248Cm | 23Na | 271Bh | |
249Bk | 22Ne | 271Bh |
2006년,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LBNL)는 우라늄-238 표적과 인-31 투사체의 반응을 처음으로 연구했다. 이는 우라늄-238 표적을 사용한 융합 반응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의 일환이었다.
: 238U + 31P → 264Bh + 5 n
결과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지만, 예비 결과에 따르면 자발 핵분열의 관측이 나타났으며, 이는 아마도 264Bh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25]
2004년, 현대 물리학 연구소(IMP) (중국 란저우)의 연구팀은 새로운 동위원소 265Bh을 합성하고 266Bh에 대한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해 아메리슘-243 표적과 가속된 마그네슘-26 핵 간의 핵반응을 연구했다.
: 243Am + 26Mg → 269-xBh + x n (x = 3, 4, or 5)
두 차례의 실험에서, 연구팀은 3개, 4개, 5개의 중성자를 방출하는 반응에 대한 부분적인 여기 함수를 측정했다.[26]
큐륨-248 표적과 가속된 나트륨-23 핵 간의 반응은 2008년, 일본의 이화학연구소(RIKEN)의 연구팀에 의해 처음 연구되었다. 이 연구는 266Bh의 붕괴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그들이 주장한 니호늄의 붕괴 연쇄에서 나타나는 붕괴 생성물이다.[27]
: 248Cm + 23Na → 271-xBh + x n (x = 4 or 5)266Bh의 9.05–9.23 MeV의 에너지를 갖는 알파 입자 방출에 의한 붕괴는 2010년에 추가로 확인되었다.[28]
열융합 경로를 통해 보륨을 합성하려는 최초의 시도는 1979년, 두브나의 연구팀에 의해 수행되었다. 이들은 가속된 네온-22 핵과 버클륨-249 표적 간의 반응을 이용했다.
: 249Bk + 22Ne → 271-xBh + x n (x = 4 or 5)
이 반응은 1983년에 반복되었다. 두 경우 모두, 그들은 보륨 핵으로부터의 자발 핵분열을 감지할 수 없었다. 최근 보륨에 대한 열융합 경로가 재조사되어, 보륨의 최초의 화학 연구를 가능하게 할 더 긴 수명의, 중성자가 풍부한 동위원소를 합성할 수 있게 되었다. 1999년, LBNL의 연구팀은 장수명 267Bh (5개 원자)와 266Bh (1개 원자)의 발견을 주장했다.[29] 이후, 이 두 핵종은 모두 확인되었다.[30] 스위스 베른의 파울 셔러 연구소(PSI)의 연구팀은 보륨의 화학에 대한 최초의 결정적인 연구에서 6개의 267Bh 원자를 합성했다.
다음 표는 보륨 동위 원소를 직접 생성하는 열핵융합 반응의 단면적과 여기 에너지를 제공한다. 굵게 표시된 데이터는 여기 함수 측정에서 파생된 최댓값을 나타냅니다. +는 관찰된 출구 채널을 나타냅니다.
발사체 | 표적 | CN | 3n | 4n | 5n |
---|---|---|---|---|---|
26Mg | 243Am | 271Bh | + | + | + |
22Ne | 249Bk | 271Bh | ~96 pb | + |
3. 3. 붕괴 생성물
보륨 동위 원소는 더 높은 원자 번호를 가진 원소(예: 마이트너륨)의 붕괴 연쇄에서 검출되었다. 마이트너륨은 질량수가 262에서 274 사이인 붕소 핵으로 알파 붕괴를 거치는 7개의 동위 원소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母) 마이트너륨 핵은 뢴트게늄, 니호늄, 플레로븀, 모스코븀, 리버모륨, 또는 테네신의 붕괴 생성물일 수 있다.[37]예를 들어, 2010년 1월 두브나 팀(JINR)은 테네신의 알파 붕괴 연쇄를 통해 붕소-274를 생성물로 확인했다.
: → +
: → +
: → +
: → +
: → +
다음은 붕소 동위 원소의 붕괴로 관찰된 목록이다.
참조
[1]
웹사이트
Synthesis of SH-nuclei
http://www.ensarfp7.[...]
2016-08-12
[2]
논문
Review of even element super-heavy nuclei and search for element 120
2016
[3]
논문
Lightest Isotope of Bh Produced via the 209Bi(52Cr,n)260Bh Reaction
https://journals.aps[...]
2023-07-02
[4]
논문
The NUBASE2020 evaluation of nuclear physics properties *
2021-03-01
[5]
논문
Synthesis and spectroscopic properties of transfermium isotopes with Z = 105, 106 and 107
https://www.osti.gov[...]
2023-07-02
[6]
논문
Production and Decay Properties of 272 111 and its Daughter Nuclei
https://journals.jps[...]
2023-07-02
[7]
논문
New isotope 265Bh
https://link.springe[...]
2023-07-02
[8]
논문
Production of 266Bh in the 248Cm(23Na,5n)266Bh reaction and its decay properties
https://journals.aps[...]
2023-07-02
[9]
문서
Not directly synthesized, occurs in decay chain of 282Nh
[10]
논문
New isotope 286Mc produced in the 243Am+48Ca reaction
2022
[11]
문서
Not directly synthesized, occurs in decay chain of 287Mc
[12]
문서
Not directly synthesized, occurs in decay chain of 288Mc
[13]
문서
Not directly synthesized, occurs in decay chain of 294Ts
[14]
논문
The NUBASE2020 evaluation of nuclear physics properties *
2021-03-01
[15]
문서
Not directly synthesized, occurs in decay chain of 290Fl and 294Lv; unconfirmed
[16]
논문
Creating superheavy elements
[17]
논문
Discovery of the element with atomic number 112 (IUPAC Technical Report)
[18]
논문
Electrochemically induced nuclear fusion of deuterium
[19]
논문
Identification of element 107 by α correlation chains
http://www-alt.gsi.d[...]
2012-11-19
[20]
논문
Element 107
[21]
문서
Entrance Channel Effects in the Production of 262,261Bh
http://rnc.lbl.gov/n[...]
Nelson et al., ''LBNL repositories 2005''
2008-03-04
[22]
논문
Lightest Isotope of Bh Produced via the Bi209(Cr52,n)Bh260 Reaction
[23]
논문
Excitation function for the production of 262Bh (Z=107) in the odd-Z-projectile reaction 208Pb(55Mn, n)
https://zenodo.org/r[...]
[24]
문서
Excitation function for the production of 262Bh (Z=107) in the odd-Z-projectile reaction 208Pb(55Mn, n)
http://repositories.[...]
Folden et al., ''LBNL repositories''
2008-02-29
[25]
웹사이트
Hot fusion studies at the BGS with light projectiles and 238U targets
http://www-wnt.gsi.d[...]
2011-07-19
[26]
논문
New isotope 265Bh
[27]
논문
Decay Properties of 266Bh and 262Db Produced in the 248Cm + 23Na Reaction
[28]
논문
Decay Properties of 266Bh and 262Db Produced in the 248Cm+23Na Reaction—Further Confirmation of the [sup 278]113 Decay Chain—
[29]
논문
Evidence for New Isotopes of Element 107: 266Bh and 267Bh
https://zenodo.org/r[...]
[30]
서적
Handbook of Nuclear Chemistry
[36]
논문
Observation of one correlated α-decay in the reaction 58Fe on 209Bi→267109
[37]
웹사이트
Interactive Chart of Nuclides
https://web.archive.[...]
Brookhaven National Laboratory
2008-06-06
[38]
웹인용
Universal Nuclide Chart
http://www.nucleonic[...]
Nucleonica
2012-08-06
[39]
문서
약자:
[40]
문서
[41]
문서
[42]
문서
[43]
문서
[44]
문서
[45]
문서
[46]
저널
Synthesis of a New Element with Atomic Number Z=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