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몬히메 (이치조 요시야스의 아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몬히메는 미나모토노 요시토모와 유라노마에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가마쿠라 막부를 세운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동복 여동생(혹은 언니)이다. 이치조 요시야스의 아내가 되어 쿠죠 요시츠네의 부인을 낳았으며, 고토바 천황의 유모를 배출하는 등 가문의 연결고리 역할을 했다. 겐큐 원년(1190년) 고령 출산으로 사망했으며, 요리토모가 깊이 슬퍼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보몬히메의 후손들은 가마쿠라 막부 쇼군으로 추대되기도 했다. 출생 연도에 대한 논쟁이 있으며, 46세 또는 36세에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헤이안 시대의 공경의 아내 - 켄슌몬인 신다이나곤
겐슌몬인 신다이나곤은 겐슌몬인의 뇨보로 궁에 들어가 신다이나곤이라는 호칭을 받았으며, 다이라노 고레모리와 결혼하여 로쿠다이를 낳고 겐페이 전쟁, 남편 장인의 사망, 아들의 처형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여성이다. - 헤이안 시대의 공경의 아내 - 지부쿄노츠보네
지부쿄노츠보네는 종2위 타이라노 토키코를 모시고 모리사다 친왕의 유모가 되어 지부쿄로 불렸으며, 겐페이 전쟁 이후에도 살아남아 권세를 누리다 1231년에 사망했다. - 1190년 사망 - 사이교
사이교는 헤이안 시대 말기부터 가마쿠라 시대 초기의 승려이자 시인으로, 무사 가문 출신이었으나 23세에 출가하여 일본 각지를 유랑하며 불도를 수행하고 와카를 지었으며, 그의 시는 불교적 사상과 자연에 대한 깊은 애정을 담고 있고, 특히 《산가슈》를 통해 후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190년 사망 - 하카니
하카니는 12세기 페르시아 시인으로, 감옥 시로 유명하며 페르시아 문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 미나모토노 요시토모의 자녀 - 미나모토노 요리토모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가마쿠라 막부를 개창하고 최초의 세이이타이쇼군이 된 무장으로, 헤이지의 난 이후 유배되었다가 반 다이라 씨 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막부를 설립했으나, 권력 다툼과 낙마 사고사 등 논란 속에 일본 봉건 사회의 기틀을 마련했다. - 미나모토노 요시토모의 자녀 - 미나모토노 요시쓰네
미나모토노 요시쓰네는 겐페이 전쟁에서 활약했지만 이복형과의 갈등으로 자결한 비극적인 무장으로, 일본 대중문화에서 영웅적인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다.
| 보몬히메 (이치조 요시야스의 아내)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보몬히메 (坊門姫) |
| 이명 | 후지와라노 소시 (藤原宗子) |
| 생몰년도 | 몰년 미상 |
| 신분 | 여방 |
| 가족 관계 | |
| 아버지 | 보몬 노리야스 (坊門信保) |
| 어머니 | 미상 |
| 남편 | 이치조 노리야스 (一条能保) |
| 자녀 | 이치조 사네쓰네 (一条実経) 이치조 이에쓰네 (一条家経) 각명 (覚明) 도겐 (道玄) 이에코 (家子, 구조 미치이에 (九条道家)의 정실) |
| 기본 정보 | |
| 이름 | 보몬히메 (坊門姫) |
| 생몰년도 | 몰년 미상 |
| 신분 | 여방 |
| 가족 관계 | |
| 아버지 | 보몬 노부모리 (坊門信盛) |
| 어머니 | 미상 |
| 남편 | 이치조 요시야스 (一条良経) |
| 자녀 | 이치조 다카요시 (一条高能) 이치조 가네사다 (一条兼定) |
2. 약력
보몬히메는 미나모토노 요시토모와 유라노마에 사이에서 태어난 딸로, 가마쿠라 막부를 연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동복 여동생(혹은 동복 언니)이다.[1][2] 아버지 요시토모가 헤이지의 난에서 죽임을 당하고, 동복 형제인 요리토모와 마레요시가 유배된 후, 보몬히메는 고토 모토모토에게 맡겨져 수도에서 몰래 숨겨져 길러졌다 (헤이지모노가타리(平治物語)).[3][4]
미나모토노 요시토모의 딸로 어머니는 유라고젠이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와는 동복남매이다. 남편은 이치죠 요시야스이며, 아들 이치죠 타카요시와 쿠죠 요시츠네, 사이온지 킨츠네에게 시집간 딸들, 고토바 천황의 유모 다이나곤노산이 야스코를 두었다.
보몬히메 사후, 그녀의 딸은 구조 료게이에게 시집가 구조 미치이에와 준토쿠 천황의 중궁 릿코를 낳았고, 다른 딸은 사이온지 킨츠네에게 시집가 사이온지 사네우지와 린시를 낳았다. 보몬히메의 손자에 해당하는 구조 미치이에와 린시가 결혼하여 그 자녀들이 오섭가 중 구조, 이치조, 니조 가문을 일으켰다. 또한 구조 미치이에와 린시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 중에는 후지와라노 요리쓰네가 있다.
보몬히메의 출생년도에 대해서는 예로부터 학자 간에 논쟁이 있었다. 많은 자료에서는 요리토모의 여동생 설이 유력하지만, 『아즈마카가미(吾妻鏡)』 겐큐 원년 (1190년) 4월 20일조에 적힌 향년 46세에서 역산하면 1145년생으로, 1147년생인 요리토모의 누나가 된다. 『헤이지모노가타리(平治物語)』에서는 헤이지의 난 (헤이지 원년 (1159년) 12월 9일) 때, < 올해 6살이 된다 > 라고 쓰여있다. 츠노다 분에이는 46세의 산욕로 인한 사망은 부자연스러우며, 『아즈마카가미』에 쓰여진 향년 卌六(46)은 卅六(36)의 오기이며, 『헤이지모노가타리』에 쓰여진 연령에 따른다고 하였다. 누키 타츠토는 『아즈마카가미』에 쓰여진 향년을 중시하고, 그에 따른다고 했다.
[1]
서적
吾妻鏡
이후 귀족인 이치죠 요시야스의 아내가 되어, 닌안 2년(1167년)에는 쿠죠 요시츠네의 부인을,[3] 안겐 2년(1176년)에는 적자 타카요시를 낳았다.[1][2] 이 친척 관계는 거병하여 아즈마국의 주인이 된 형제 요리토모에게 중요한 수도와의 접점이 되었고, 요시야스는 보몬히메를 고토바 천황의 유모로 천거했다(실제로는 딸 야스코가 출사).[5] 또한 요리토모는 보몬히메 자신에게도 몇 개의 지토직을 부여했다.[5]
겐큐 원년(1190년) 4월 20일, 고령 출산으로 인한 난산이 원인이 되어 향년 46세(또는 3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요리토모가 깊이 슬퍼했다는 것이 『아즈마카가미(吾妻鏡)』에 잘 나타나 있으며, 추선 법요가 가마쿠라의 쇼초쥬인에서 거행된 사실도 『아즈마카가미(吾妻鏡)』에 기재되어 있다.
3. 가족 관계
4. 자손
요리토모 사후, 가마쿠라 막부에서 겐지 쇼군이 단절되자, 요리토모의 동생인 보몬히메의 핏줄로 증손자 후지와라노 요리쓰네를 4대 쇼군으로 맞이했다. 가마쿠라 쇼군의 7대 고레야스 친왕과 8대 히사아키 친왕은 5대손이고, 9대 모리쿠니 친왕은 6대손에 해당한다. 고레야스 친왕과 모리쿠니 친왕은 구조 미치이에의 자손 (각각 증손자와 5대손)이자, 후지와라노 요리쓰네ㆍ후지와라노 요리쓰구 부자의 친척이기도 하다.
5. 출생년도에 대한 논쟁
참조
[2]
서적
公卿補任
[3]
서적
明月記
1200-07-13
[4]
서적
愚管抄
[5]
서적
広島県史
広島県
1984-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