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지와라노 요리쓰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지와라노 요리쓰네는 가마쿠라 막부의 4대 쇼군으로, 구조 미치이에의 아들이다. 1219년 3대 쇼군 미나모토노 사네토모가 암살된 후, 황족 쇼군 옹립이 실패하자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증손을 쇼군으로 맞이했다. 1226년 쇼군으로 임명되었지만, 호조 마사코의 영향력 아래 명목상의 쇼군으로 지냈다. 이후 호조 씨와의 권력 다툼에서 밀려나 1244년 쇼군직을 아들에게 넘겨주고, 1246년 교토로 추방되었다. 1256년 39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사후 아들 요리쓰구도 사망하며 셋케 쇼군은 막을 내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56년 사망 - 쿠툭타이 카툰
    쿠툭타이 카툰은 몽케 칸의 총애를 받은 몽골 제국의 제1황후로, 이키레스 부족장 부투 큐레겐의 손녀이며 윌리엄 루브룩의 여행기에는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신자이자 바르투의 어머니로 기록되어 있다.
  • 1256년 사망 - 후지와라노 요리쓰구
    후지와라노 요리쓰구는 가마쿠라 막부의 5대 쇼군으로, 싯켄 호조 씨의 영향력 아래 있다가 호조 씨와의 대립으로 쇼군직에서 물러나 교토로 추방된 후 젊은 나이에 사망했다.
  • 1218년 출생 - 훌라구
    훌라구는 칭기즈 칸의 손자이자 툴루이의 아들로, 몽케 칸의 명을 받아 서방 원정을 이끌고 일 칸국을 건국하여 압바스 왕조를 멸망시키고 시리아를 정복했으며, 쿠빌라이 칸을 지지하고 문화와 과학 발전에 기여하다가 1265년에 사망했다.
  • 1218년 출생 - 루돌프 1세 (독일)
    루돌프 1세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백작으로, 독일 왕으로 재임하며 가문의 영지를 확장하고 오타카르 2세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오스트리아를 합스부르크 가문의 기반으로 만들었으며, 교황과의 관계 개선과 제국 내 평화 유지에 힘썼다.
  • 가마쿠라 막부의 정이대장군 - 미나모토노 요리이에
    미나모토노 요리이에는 가마쿠라 막부의 제2대 쇼군으로, 아버지 요리토모 사후 쇼군에 올랐으나 고케닌들의 반발과 권력 다툼으로 물러난 뒤 암살당해 가마쿠라 막부 초기의 권력 투쟁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가마쿠라 막부의 정이대장군 - 미나모토노 사네토모
    미나모토노 사네토모는 호조 씨의 영향력 아래 가마쿠라 막부의 3대 쇼군으로 즉위했으나, 뛰어난 와카 시인으로서 『금해와가집』을 남기고 송나라 문화에 관심을 가졌지만 조카 구교에게 암살당해 겐지 쇼군가의 혈통이 끊겼다.
후지와라노 요리쓰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후지와라노 요리쓰네
존칭종2위
이름후지와라노 요리쓰네
일본어후지와라 노 요리쓰네 (藤原 頼経)
가명구조 요리쓰네 (九条 頼経)
출생1218년 2월 12일
출생지교토, 일본
사망1256년 9월 1일
사망지교토, 일본
배우자다케 노 고쇼
자녀후지와라노 요리쓰구
도조
겐네
오토와카마루?
아버지구조 미치이에
어머니사이온지 린시
후지와라노 요리쓰네 서명
관직
직위쇼군
재위 기간1226년 2월 25일 ~ 1244년 6월 5일
군주고호리카와 천황
시조 천황
고사가 천황
싯켄호조 야스토키
호조 쓰네토키
전임미나모토노 사네토모
후임후지와라노 요리쓰구
가계
씨족구조 가문 (후지와라 북가 구조류)
기타 정보
아명산토라
법명교가
별칭시치조 쇼군

2. 생애

고셋케(五攝家) 중 하나인 구조 가문 당주 구조 미치이에의 삼남으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사이온지 긴쓰네의 딸인 도모코(倫子)이다. 아명은 미토라(三寅)로, 생년월일이 년·인월·인일로 인의 간지가 세 번 겹친 데서 비롯되었다.

1219년(겐포 7년) 3대 쇼군 미나모토노 사네토모가 암살되자, 막부는 황족을 쇼군으로 옹립하고자 교토로 사자를 보냈지만 고토바 상황의 거부로 실패했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여동생 보몬히메의 증손 미토라(당시 2세)를 가마쿠라로 데려왔다. 조큐의 난 이후 1225년(가테이 원년) 미토라는 관례를 올리고 '요리쓰네'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1226년(가테이 2년) 가마쿠라 막부의 4대 쇼군으로 임명되었다.

1230년(간기 2년) 2대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이에의 딸 다케노 고쇼(15세 연상)와 결혼했으나, 초기 7년간은 호조 마사코가 실권을 대행하여 쇼군은 명목상 존재였다. 성장하면서 도쿠소케와 싯켄 정치에 불만을 품은 세력과 결탁, 싯켄 호조 쓰네토키와 대립했다. 1244년(간겐 2년) 쇼군직을 아들 후지와라노 요리쓰구에게 넘겨주고, 1245년(간겐 3년) 출가하여 법명을 행하(行賀)라 칭했다. 출가 후에도 '오오도노(大殿)'로 불리며 막부 내 세력을 유지했으나, 1246년(간겐 4년) 호조 도키요리에 의해 교토로 추방되었다.

1247년(호지 원년) 미우라 야스무라 등의 가마쿠라 귀환 시도가 실패하고, 1251년(겐초 3년) 아시카가 야스우지의 영지 몰수 사건에 연루되었다. 1252년(겐초 3년) 아들 요리쓰구가 쇼군직에서 해임되고, 아버지 구조 미치이에도 사망했다. 1256년(고겐 원년) 8월 11일(양력 9월 1일) 39세로 사망했고, 다음 달 아들 요리쓰구도 사망했다. 당시 유행하던 역병이 원인으로 추정되나, 구조 가문 3대의 연이은 죽음에 의문을 품는 시각도 있다. 요리쓰네와 요리쓰구 2대를 셋케 쇼군, 후지와라 쇼군, 구교(公卿) 쇼군이라고 부른다.

2. 1. 가마쿠라 막부 쇼군 취임

1219년(겐포 7년), 3대 쇼군 미나모토노 사네토모가 암살되자, 가마쿠라 막부고토바 천황에게 황족 쇼군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다. 막부는 미나모토노 요리토모의 여동생 보몬히메의 증손인 2세의 미토라를 가마쿠라로 맞이하였다. 1225년(가로쿠 원년) 관례를 올리고 '요리쓰네'라는 이름을 얻었다.[27] 1226년(가로쿠 2년) 가마쿠라 막부의 4대 쇼군으로 임명되었다.[28] 1230년(간기 2년) 2대 쇼군 미나모토노 요리이에의 딸 다케노 고쇼와 결혼했다. 요리쓰네가 쇼군으로 있던 초기에는 호조 마사코가 실권을 대행했고, 쇼군은 명목상의 존재였다.

2. 2. 권력 강화 시도와 좌절

호조 요시토키호조 마사코 남매가 내세운 꼭두각시 쇼군이었던 요리쓰네는 덴푸쿠 2년(1234년)에 정실 다케노 고쇼가 사망하는 등 쇼군으로서의 실권은 없었다. 하지만 성장하면서 싯켄 야스토키의 차남인 도모토키(朝時)를 필두로, 호조 도쿠소케(得宗家)나 싯켄 정치에 불만을 품은 세력들이 요리쓰네에게 모이면서 차츰 막부 내에서 권력을 굳혀갔다.[28] 또한 아버지 구조 미치이에와 외할아버지 사이온지 기미쓰네가 간토모시쓰기(關東申次)를 맡아 조정과 막부 양쪽으로 권력을 떨치기 시작한 것도 당시 심각한 문제로 떠올랐다. 더욱이 호조씨와의 양호한 관계를 바라던 기미쓰네가 사망하고, 기미쓰네와는 달리 호조씨에 대한 반감을 가지고 있던 미치이에가 간토신차가 되면서 막부에 의한 정치에 개입을 시도하기에 이른다.[28]

이러한 상황은 요리쓰네와 싯켄 쓰네토키와의 관계를 악화시켰고, 결국 간겐 2년(1244년) 쓰네토키에 의해 쇼군직을 아들 후지와라노 요리쓰구에게 넘겨주게 된다.[28] 이듬해인 간겐 3년(1245년)에는 가마쿠라의 구원수량원(久遠壽量院)에서 출가하여 법명을 교가(行賀)로 칭했다. 출가 후에도 '오오도노(大殿)'라 불리며 막부 내에 세력을 행사했지만, 나고야 미쓰토키(名越光時) 등 호조 도쿠소케에 반대하는 세력들이 요리쓰네를 중심으로 싯켄을 배척하려 한 움직임이 찰지되었고, 싯켄 도키요리에 의해 간겐 4년(1246년)에 교토로 추방되어, 로쿠하라(六波羅)의 와카마쓰도노(若松殿)로 옮겨졌다. 이 사건으로 아버지 미치이에도 간토신차에서 파면되고 칩거당한다.(미야 소동)[29]

호지 원년(1247년)에는 미우라 야스무라·미쓰무라(光村) 형제에 의한 요리쓰네의 가마쿠라 귀환 시도가 있었지만 실패한다.(호지의 난)[29] 겐초 3년(1251년) 아시카가 야스우지(足利泰氏)가 자신의 자유 출가가 문제가 되어 영지를 몰수당한 사건도 미치이에·요리쓰네 부자가 관여된 것으로 보인다.[29] 겐초 3년(1252년)에는 요리쓰네의 아들이었던 요리쓰구도 쇼군직에서 해임되어 교토로 추방되었다.[29]

2. 3. 사망

고겐 원년(1256년) 8월 11일(양력 9월 1일) 39세로 사망하였다. 요리쓰네가 사망한 다음 달에 마치 뒤를 따르듯 아들 요리쓰구도 사망하였다. 이 무렵 일본 내에 돌고 있던 역병이 원인이 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오부 다카유키는 구조 집안 3대가 단기간에 잇따른 죽음을 맞이한 것에 의심을 품고 이들의 죽음에 누군가의 관여가 있었던 것은 아닐까 추측하고 있다.[29] 요리쓰네와 요리쓰구 2대를 일본 역사에서는 셋케 쇼군, 후지와라 쇼군, 구교(公卿) 쇼군이라고 부른다.

3. 관위 역임

다음은 후지와라노 요리쓰네의 관위 역임 내역이다.

날짜관위 및 관직
1225년 12월 29일관례
1226년 1월 27일정5위하, 우콘노에노곤노쇼조(右近衛權少將) 임관, 세이이타이쇼군 선하[2]
1226년 3월 12일천황이 아니면 사용이 금지된 색을 쓰는 것이 허가됨
1226년 3월 25일종4위상, 우콘노에노츄조(右近衛中將) 전임
1226년 4월 8일정4위하 (우콘노에노츄조는 그대로)
1232년 1월 30일빈고 곤노카미(權守) 겸임
1232년 2월 27일종3위 (우콘노에노츄조, 빈고 곤노카미는 그대로 겸임)
1233년 1월 28일곤노주나곤(權中納言) 전임
1235년 12월 21일정3위 (곤노주나곤은 그대로)
1235년 10월 8일무쓰·데와 아제치(按察使) 겸임
1235년 11월 19일종2위 (곤노주나곤, 아제치직은 그대로)
1236년 7월 20일정2위 (곤노주나곤은 그대로), 민부경(民部卿) 겸임, 아제치에서 물러남
1238년 2월 24일고에몬노카미(右衛門督) 겸임 (민부경에서 물러남)
1238년 2월 25일게비이시(檢非違使) 벳토 겸임
1238년 3월 7일곤노다이나곤(權大納言) (게비이시 벳토, 고에몬노카미는 그대로)
1238년 4월 18일곤노다이나곤, 게비이시 벳토, 고에몬노카미직 사임
1244년 4월 28일세이이타이쇼군직 사임
1245년 7월 5일출가, 법명 교가(行賀)


4. 계보


  • 아버지: 구조 미치이에
  • 어머니: 사이온지 도모코(西園寺倫子)[31] - 사이온지 기미쓰네의 딸
  • 아내: 미나모토노 기쿠코(源鞠子, 다케노 고쇼) - 미나모토노 요리이에의 딸
  • 아내: 후지와라노 지카요시(藤原親能)의 딸
  • * 아들: 후지와라노 요리쓰구(藤原頼嗣, 1239-1256)
  • * 아들: 도조(道增)
  • * 아들: 미나모토노 메구미(源惠)

5. 전설

이바라키현가시마시미야나카에 있는 가시마 신궁의 백마제는, 요리쓰네간토 지방으로 내려왔을 때 신탁으로 악래왕을 퇴치했기 때문에, 가시마 신궁의 신전에서 궁중에서 행해지던 백마절회를 거행한 것이 기원이라고 한다.[32]

6. 등장 작품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Google books
[2]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Google books
[3] Google books
[4] 서적 Jinnō Shōtōki Google books
[5] Google books
[6] Google books
[7] Google books
[8] Google books
[9] Google books
[10] Kotobank 九条頼経
[11] 서적 現代語訳 吾妻鏡9 執権政治 吉川弘文館
[12] 서적 第9回平塚市遺跡調査・研究発表会 : 誌上発表 平塚市
[13] 서적 日本城郭全集 第4巻 : 東京・神奈川・埼玉 人物往来社
[14] 서적 日本城郭大系 第6巻 : 千葉・神奈川 新人物往来社
[15] 서적 鎌倉幕府連署制の研究 岩田書院
[16] 서적 鎌倉幕府連署制の研究 岩田書院
[17] 서적 日本の歴史 7 鎌倉幕府
[18] 서적 鎌倉幕府連署制の研究 岩田書院
[19] 서적 金沢北条氏の研究 八木書店
[20] 간행물 院政期摂関家における大殿について 日本史研究
[21] 서적 鎌倉幕府連署制の研究 岩田書院
[22] 서적 北条時宗のすべて 新人物往来社
[23] 서적 北条時頼 吉川弘文館
[24] 서적 鎌倉北条氏の興亡 吉川弘文館
[25] 서적 鎌倉・室町人名事典 新人物往来社
[26] 서적 東北の田村語り 三弥井書店
[27] 논문 호조 요시토키·야스토키의 권력 확대과정에 관한 고찰 동북아문화연구
[28] 문서 《아즈마카가미》는 요리쓰네의 의지에 의한 것이라고 적었지만 당시의 상황을 감안할 때 믿기 어렵다(이시이 스스무 「일본의 역사 제7, 가마쿠라 막부」 중공문고, 1974년, 415페이지).
[29] 문서 요시카와 홍문관 발행 「가마쿠라 호조씨의 흥망」, 신인물왕래사 「가마쿠라·무로마치 인명사전」의 구조 요리쓰네 항목(모두 오부에 의한 집필) 등.
[30] 문서 가로쿠 원년 12월 29일은 율리우스력으로 [[1226년]] 1월 28일이다.
[31] 문서 『존비분맥(尊卑分脈)』에는 도모코(綸子), 『햐쿠렌쇼(百錬抄)』에는 淑子로 되어 있다.
[32] 문서 아베 미키오 「도호쿠의 타무라 이야기」미야이 서점〈미야이 민속 선서〉, 2004년 1월 21일, 76페이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