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스나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보스나강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관통하는 강으로, 보스나강 계곡을 따라 산업 중심지를 형성하며 약 백만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사라예보 외곽 이그만산 기슭의 브레로 보스네에서 발원하여 북쪽으로 흐르며, 주요 지류로는 젤레즈니차, 밀랴츠카 등이 있다. 보스나강은 사라예보 주, 제니차-도보이 주 등을 지나 보산스키 샤마츠에서 사바강으로 합류하며, 비스코, 제니차, 도보이 등의 도시를 경유한다. 브레로 보스네는 관광지로도 유명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강 - 네레트바강
네레트바강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와 크로아티아를 흐르는 디나르알프스산맥의 주요 카르스트 강으로, 맑은 상류 협곡과 람사르 협약 등록 습지인 네레트바 삼각주를 이루며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지닌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강 - 브르바스강
브르바스강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발원하여 사바강으로 흘러드는 주요 강으로, 이름은 버드나무에서 유래했으며 래프팅 명소로도 알려져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한국어 위키백과의 링크가 위키데이터와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 보스나강 | |
|---|---|
| 지도 정보 | |
| 일반 정보 | |
![]() | |
| 지리 | |
| 국가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도시 | 비소코, 카칸, 제니차, 마글라이, 자비도비치, 도보이, 모드리차, 보산스키 샤마츠 |
| 길이 | 281.6km |
| 유역 면적 | 10810km2 |
| 평균 방류량 | 174m3/s |
| 발원지 | 브렐로 보스네 |
| 발원지 위치 | 이그만, 일리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발원지 좌표 | 43° 49′ 6.6″ N, 18° 16′ 11.9″ E |
| 발원지 고도 | 520m |
| 하구 | 사바 강 |
| 하구 위치 | 보산스키 샤마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하구 좌표 | 45° 4′ 0″ N, 18° 28′ 1″ E |
| 하구 고도 | 78m |
| 흐름 | 사바 강 |
2. 지리 및 구간
보스나강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중심부를 흐르며 보스나강 계곡을 형성한다. 이 계곡은 국가의 주요 공업 중심지이며, 약 백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으로, 주요 도시들이 강을 따라 자리 잡고 있다.
강의 발원지는 사라예보 교외 이그만 산 기슭에 위치한 브레로 보스네 (Vrelo Bosne) 샘이다. 이곳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주요 자연 랜드마크이자 관광지로 알려져 있다. 브레로 보스네에서 시작된 강물은 북쪽으로 흘러 보스니아 중심부를 관통하고, 최종적으로 보산스키 샤마츠에서 사바 강으로 합류한다. 보스나강은 전 구간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영토 내에만 흐르는 국내 하천이다.
강은 사라예보 주, 제니차-도보이 주, 도보이 지방, 포사비나 주를 지나며, 주요 경유 도시는 비소코, 제니차, 도보이, 모드리차, 보산스키 샤마츠 등이다. 보스나강의 주요 지류로는 젤레즈니차 (Željeznica), 밀랴츠카 (Miljacka), 포이니차 (Fojnica), 라슈바 (Lašva), 고스토비치 (Gostović), 우소라 (Usora), 스프레차 (Spreča) 등이 있다.
2. 1. 브레로 보스네와 말라 보스나
보스나강의 발원지는 해발 520m (이전 자료에 따르면 해발 494.5m)[7]에 위치한 이고만 산 기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인 사라예보 외곽에 있는 브레로 보스네 샘이다.[6] 이 샘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주요 자연 랜드마크이자 관광지 중 하나이다.[8]강의 발원지부터 첫 번째 주요 지류인 젤레즈니차강(Željeznica)까지의 구간은 Mala Bosna|말라 보스나bs(작은 보스나)라고 불린다. 때로는 이 구간이 4km 하류의 밀랴츠카(Miljacka) 합류점까지 확장되어 불리기도 한다.[9] 발원지와 젤레즈니차강 사이에는 먼저 베체리차(Večerica)가 합류하고, 그 다음 부쿨라시(Bukulaš)가 합류한다. 말라 보스나 구간이 확장된 정의에 따르면, 먼저 오른쪽에서 젤레즈니차강이 합류하고, 약 600m 하류에서 이 지역 유일한 왼쪽 지류인 주예비나(Zujevina)가 합류한다. 이후 1.5km 하류에서 도브리냐(Dobrinnja, 일명 틸라바(Tilava))가, 그리고 2km 더 하류에서 밀랴츠카강이 오른쪽에서 합류한다.[9][10]
2. 2. 상류
보스나강 상류는 발원지에서 좌안 지류인 라슈바 강 하구 사이, 제니차 바로 상류까지의 구간을 말한다.[1] 이 구간은 사라예보 인근 일리자에서 시작하여 라슈바 강까지 이어지며, 일리야시와 카칸 사이의 넓은 계곡을 포함한다.[1] 상류 지역의 중심부에는 중세 유산을 간직한 비소코가 위치해 있다.[1]보스나강의 발원지는 사라예보 교외 이그만 산 기슭에 있는 브레로 보스네Vrelo Bosne|브렐로 보스네bs이다.[2] 브레로 보스네 샘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주요 자연 랜드마크이자 관광지로 알려져 있다.[2]
2. 3. 중류
보스나강 중류는 대부분 협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니차와 도보이 사이에는 가파른 경사면과 좁은 통로가 나타난다. 이 지역에는 브란두크, 마글라이, 도보이와 같은 여러 중세 유적이 있다.2. 4. 하류
보스나강의 하류는 강의 마지막 구간에 해당한다. 도보이에서부터 북쪽으로 방향을 틀어 보스니아 중심부를 지나 사바강으로 향하며, 포사비나의 저지대를 통과한다. 최종적으로 보산스키 샤마츠에서 사바강의 오른쪽 지류로 합류하는데, 이 지점의 해발 고도는 약 80m이다. 하류 구간에서 강은 모드리차, 보산스키 샤마츠 등의 도시를 지난다.3. 유역 및 지류
보스나강의 발원지는 해발 520m (이전 자료에 따르면 해발 494.5m)[7]에 위치한 이고만 산 기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인 사라예보 외곽에 있는 브레로 보스네 샘이다.[6] 이 샘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주요 자연 랜드마크이자 관광지 중 하나이다.[8]
발원지에서 가장 큰 지류인 젤레즈니차강까지의 초기 구간은 '말라 보스나'(Mala Bosna|작은 보스나bs)라고 불린다. 때로는 이 구간이 약 4km 하류의 밀랴츠카강 합류점까지 확장되어 언급되기도 한다.[9] 발원지와 젤레즈니차강 사이에는 먼저 베체리차강이, 그 다음 부쿨라시가 합류한다. 말라 보스나 구간이 확장된 지역에서는 먼저 우안으로 젤레즈니차강이 합류하고, 약 600m 하류에서 유일한 좌안 지류인 주예비나강이 합류한다. 이후 우안으로 1.5km 지점에서 도브리냐강(일명 틸라바강)이, 2km 지점에서 밀랴츠카강이 차례로 합류한다.[9][10]
보스나강은 크게 세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 상류: 발원지부터 좌안 지류인 라슈바강 하구 사이, 제니차 바로 상류까지의 구간이다. 이 구간은 사라예보 인근 일리자부터 라슈바강까지의 지역을 포함하며, 일리야시와 카칸 사이의 넓은 계곡을 지난다. 중세 유산을 간직한 비소코 지역이 이 구간의 중심부에 위치한다.
- 중류: 제니차와 도보이 사이의 구간으로, 대부분 협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파른 경사면과 좁은 통로가 특징이다. 브란두크, 마글라이, 도보이와 같은 여러 중세 유적이 있다.
- 하류: 도보이에서 사바강 합류점까지의 마지막 구간이다. 강은 북쪽으로 계속 흘러 보스니아 중심부를 통과하고 포사비나 저지대를 지나 보산스키 샤마츠에서 사바강의 우안 지류가 된다. 합류 지점의 해발고도는 약 80m이다.
보스나강은 여러 주를 통과한다. 사라예보주에서 시작하여 제니차-도보이주와 포사비나주를 차례로 흐른다. 강은 북쪽으로 흐르면서 비소코, 제니차, 마글라이, 도보이, 모드리차, 보산스키 샤마츠 등의 주요 도시들을 지난다.

보스나강은 보스나 강 계곡을 형성한다. 이 계곡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업의 중심지이며, 약 백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주요 생활권이다.
주요 지류는 다음과 같다.
| 구분 | 주요 지류 |
|---|---|
| 우안 지류 | 젤레즈니차강, 밀랴츠카강, 류비나, 미소차, 스타브냐, 트르스토니차강, 즈고슈차강, 고스토비치강, 크리바야강, 스프레차강 |
| 좌안 지류 | 주예비나강, 포이니차강, 라슈바강, 우소라강 |
4. 역사
보스나강 유역은 역사적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고대부터 인간 거주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특히 중세 시대에는 보스니아 왕국의 중심지였으며, 강을 따라 주요 도시들이 자리 잡고 발전해 왔다.
4. 1. 중세 시대
보스나강 중류 지역은 대부분 협곡 지형이며, 제니차와 도보이 사이에는 가파른 경사면과 좁은 통로가 나타난다. 이 지역에는 브란두크, 마글라이, 도보이 등 여러 중세 시대 유적이 남아 있다.4. 2. 근현대
보스나강 계곡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공업 중심지로 발전하였다. 이 지역은 백만 명에 가까운 인구가 거주하는 곳이며, 사라예보, 제니차, 도보이, 모드리차, 보산스키 샤마츠 등 주요 도시들이 강을 따라 자리 잡고 있다.5. 관광
보스나강의 발원지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인 사라예보 외곽, 이그만 산 기슭 해발 520m(이전 자료 494.5m)[7]에 위치한 브레로 보스네 샘이다.[6] 브레로 보스네의 샘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주요 자연 랜드마크이자 관광지 중 하나이다.[8]
6. 환경 문제
주어진 원본 자료에는 보스나강의 환경 문제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해당 섹션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환경 문제와 관련된 정보가 필요하다.
참조
[1]
웹사이트
Places: 197162 (Bathinus (river))
https://pleiades.sto[...]
Pleiades
2017-01-22
[2]
서적
Ilirike
https://books.google[...]
Filozofski fakultet u Sarajevu
[3]
기타
Historia Romana
http://latin.packhum[...]
Unknown
[4]
서적
Aevvm Dolabellae – Dolabelino Doba
https://www.academia[...]
Centar za balkanološka ispitivanja, Akademija nauka i umjetnosti
[5]
서적
Onomastička analiza bosanskohercegovačkih srednjovjekovnih administrativnih tekstova i stećaka
http://web.ffos.hr/p[...]
Sveučilište Josipa Jurja Strossmayera
2015-03-30
[6]
서적
PLAN UPRAVLJANJA SPOMENIKOM PRIRODE VRELO BOSNE 2020-2030
http://mpz.ks.gov.ba[...]
2023-11-14
[7]
간행물
Komparativna istraživanja režima ishrane, rasta, plodnosti i strukture populacija lipljena u rijekama Bosni i Plivi
http://aibus.pmf.uns[...]
Institute of Biology - PMF University of Sarajevo
2023-11-14
[8]
서적
PLAN UPRAVLJANJA SPOMENIKOM PRIRODE VRELO BOSNE 2020-2030
http://mpz.ks.gov.ba[...]
2023-11-14
[9]
간행물
Komparativna istraživanja režima ishrane, rasta, plod nosti i strukture populacija lipljena u rijekama Bosni i Plivi
http://aibus.pmf.uns[...]
Institute of Biology - PMF University of Sarajevo
2023-11-14
[10]
서적
The Geography of Bosnia and Herzegovina Between East and West
Springer Nature
[11]
서적
Bosnia A Short History
New York University Press
[12]
서적
Historija Bošnjaka
BZK Preporo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