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랜드마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랜드마크는 원래 왕국이나 재산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설치된 물체를 의미했으나, 현재는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기념물, 건물 또는 기타 구조물을 통칭한다. 자연 랜드마크와 인공 랜드마크로 분류되며, 지리적 특징이나 역사적 중요성으로 인해 관광객에게 인기가 있는 장소를 지칭하기도 한다. 랜드마크는 도시의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방향을 찾는 데 도움을 주고 도시의 얼굴이 되어 친숙함과 강한 인상을 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랜드마크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정의특정 지역을 쉽게 식별하고 탐색하는 데 도움이 되는 눈에 띄는 지형지물 또는 구조물
사용 목적방향 찾기
위치 파악
여행
도시 계획
관광
유형
자연 랜드마크

나무
해변
인공 랜드마크건물
다리

기념물
조각상
기능
방향 설정여행자가 길을 찾거나 목적지를 찾을 때 유용한 지표
역사적 중요성특정 역사적 사건이나 문화를 기념하는 중요한 장소
관광 명소유명한 랜드마크는 관광객을 유치하고 지역 경제에 기여
도시 디자인도시 계획에서 특정 지역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도시 경관을 구성하는 요소
추가 정보
기타 용도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요소
정신적 지표
사회적, 문화적 정체성
법적 중요성토지 경계 설정, 재산 소유권 확인 등의 법적 목적으로도 사용
주의사항랜드마크는 고유한 식별 특징을 가지므로, 다양한 지역에서 같은 이름의 랜드마크가 존재할 수 있음
예시
국내 랜드마크국립 9·11 추모관
에펠탑
자유의 여신상
만리장성
피사의 사탑
콜로세움

2. 어원

고대 영어 'landmearc'(land + mearc(표시))는 왕국, 재산 등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해 설치된 물체를 묘사하는 데 사용되었다.[2] 1560년경부터 이러한 "랜드마크"의 이해는 "눈에 띄는 풍경의 물체"로 대체되었다.

'랜드마크'는 문자 그대로 탐험가 등이 특정 지역을 찾거나 통과하는 데 사용하는 지리적 특징을 의미했다.[3] 예를 들어,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타운 근처의 테이블 마운틴은 탐험 시대 동안 선원들이 아프리카 남단을 항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랜드마크로 사용되었다. 알렉산드리아의 등대와 로도스의 거상처럼 항해를 돕기 위해 인공 구조물이 건설되기도 했다.

현대적인 용법에서 랜드마크는 기념물, 건물 또는 기타 구조물과 같이 쉽게 알아볼 수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한다. 미국 영어에서는 주목할 만한 물리적 특징이나 역사적 중요성 때문에 관광객들에게 관심이 있을 만한 장소를 지정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 영국 영어에서는 길 안내와 같이 일상적인 항해에 자주 사용된다. 이것은 미국 영어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시 연구와 지리학에서 랜드마크는 친숙하거나 낯선 환경에서 방향을 찾는 데 도움이 되는 외부 참조 지점으로 정의된다.[4] 랜드마크는 종종 "큰 교회에서 왼쪽으로 돌고 다리 위에서 오른쪽으로 돌세요."와 같은 구두 경로 안내에 사용된다.

3. 유형

랜드마크는 자연 랜드마크와 인공 랜드마크로 분류된다. 랜드마크는 원래 항해를 돕기 위해 사용되었으며, 변형된 형태로는 해상 표지(seamark) 또는 주간 표지(daymark)가 있다. 이는 특징 없는 해안을 항해하는 선원을 돕기 위해 의도적으로 건설된 구조물이다.[6]

육지에서는 등대, 철탑과 같은 건축물, 국가나 지역을 상징하는 기념물, 건축물, 공간 등이 랜드마크 역할을 한다. 넓은 지역에서 눈에 띄는 특징적인 자연물이나 건축물, 사건도 랜드마크에 포함된다. 뉴욕자유의 여신상, 파리에펠탑은 도시와 국가를 상징하는 랜드마크이며, 나무, 산, 고층빌딩 등은 마을이나 도시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다.

케빈 린치는 저서 『도시의 이미지』에서 도시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로 랜드마크, 경로, 절점, 경계, 지역의 다섯 가지를 제시하며, 랜드마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랜드마크는 기념물, 특징적인 건축물·구조물 등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6]

랜드마크는 방향 확인에 도움을 주는 길잡이 역할을 하며, 도시 이미지를 결정짓는다. 랜드마크는 도시의 얼굴이 되어 주민들에게 친숙함을 주고, 방문객에게 강한 인상을 남긴다.

작은 교회, 사찰, 모스크, 신사망루, 취수탑, 굴뚝과 같은 건축물도 마을이나 좁은 지역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용 지도, 휴대전화를 이용한 길 안내 지도 등의 전자지도에서는 유명한 건물 등을 랜드마크로 취급하여, 지도에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건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안내하기도 한다.

3. 1. 자연 랜드마크

자연 랜드마크는 이나 고원과 같은 특징적인 지형이 될 수 있다. 자연 랜드마크의 예로는 히말라야 산맥의 에베레스트 산, 남아프리카의 테이블 마운틴, 터키의 아라랏 산, 오스트레일리아의 울루루, 일본의 후지산, 미국의 그랜드 캐니언 등이 있다. 기념수나 침엽수와 같은 나무도 지역 랜드마크 역할을 할 수 있다. '퀸즈 오크', '행잉 오크', '센테니얼 트리'와 같이 이름이 붙여진 랜드마크 나무들도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뿌리목'''으로 알려진 쓰러진 나무의 밑둥은 고해상도 지도와 오리엔티어링 스포츠에서 길찾기 보조 수단으로 사용된다.[5]

3. 2. 인공 랜드마크

현대적인 의미에서 랜드마크는 보통 기념물이나 특정 지역, 도시 또는 국가의 상징으로 사용되는 두드러지고 독특한 건물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국가도시랜드마크
Japan|일본영어도쿄도쿄 타워
USA|미국영어워싱턴 D.C.백악관
USA|미국영어뉴욕자유의 여신상,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
France|프랑스프랑스어파리에펠탑
Russia|러시아ru모스크바성 바실리 성당
대한민국|한국한국어서울롯데월드 타워
Italia|이탈리아it로마콜로세움
UK|영국영어런던빅벤
Japan|일본일본어오사카츠텐카쿠
China|중국중국어베이징자금성
Egypt|이집트영어기자대피라미드
Brasil|브라질pt리우데자네이루구세주 그리스도상
India|인도영어나르마다통일의 상
Slovensko|슬로바키아sk브라티슬라바브라티슬라바 성
Suomi|핀란드fi헬싱키헬싱키 대성당
USA|미국영어시애틀스페이스 니들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시드니시드니 오페라 하우스
Deutschland|독일de베를린브란덴부르크 문
Canada|캐나다프랑스어퀘벡 시프롱트낙 성
France|프랑스프랑스어낭시스타니슬라 광장
Canada|캐나다영어토론토CN 타워
Polska|폴란드pl바르샤바문화과학궁전
België|벨기에nl브뤼셀아토미움
USA|미국영어세인트루이스게이트웨이 아치
Chile|칠레es이스터 섬모아이



교회의 첨탑모스크첨탑은 종종 매우 높고 수 마일 떨어진 곳에서도 보이기 때문에 건축된 랜드마크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시청 탑과 종탑도 종종 랜드마크의 성격을 갖는다.[6]

타이베이 101


파르테논 신전


사그라다 파밀리아

4. 도시와 랜드마크

도시의 랜드마크는 육지에서 방향을 잡는 데 도움을 주는 등대, 철탑과 같은 건축물이나 국가, 지역을 상징하는 기념물, 건축물, 공간을 의미한다. 넓은 지역에서 눈에 띄는 특징적인 자연물, 건축물이나 사건도 포함한다. 뉴욕의 자유의 여신상, 파리의 에펠탑은 도시, 국가를 상징하는 랜드마크이며, '''나무''', '''산''', '''고층빌딩''' 등은 마을이나 도시의 랜드마크이다. 도시계획이나 도시론 분야에서 1970년대-1980년대부터 자주 사용되기 시작했다.

케빈 린치는 저서 『도시의 이미지』[6]에서 도시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로 랜드마크(Landmarks, 지표), 경로(Paths, ), 절점(Nodes, 연결점), 경계(Edges, 가장자리), 지역(Districts, 지역)의 다섯 가지를 제시하며, 특히 랜드마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랜드마크는 기념물, 특징적인 건축물·구조물 등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랜드마크는 방향 확인에 유용한 길잡이 역할을 하며, 도시 이미지를 결정짓는다. 획일적인 건물이 반복되는 도시에서는 방향 감각을 잃기 쉽고, 도시 인상도 흐려진다. 랜드마크는 도시의 얼굴이 되어 주민에게 친숙함을 주고 방문객에게 강한 인상을 남긴다.

작은 교회, 사찰, 모스크, 신사망루, 취수탑, 굴뚝 같은 건축물도 마을이나 좁은 지역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용 지도, 휴대전화를 이용한 길 안내 지도 등의 전자지도에서 유명한 건물 등을 특히 "랜드마크"로 취급하여, 지도 화면에 실물을 본뜬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그 건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안내하는 경우가 있다.

지역적인 특징물은 랜드마크가 될 수 있다(할리우드 사인)

4. 1. 한국의 랜드마크

경복궁

5. 랜드마크의 기능과 역할

육지의 방향 감각을 알려주는 랜드마크는 등대, 철탑과 같은 건축물, 국가나 지역을 상징하는 상징적인 '''기념물''', '''건축물''',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넓은 지역에서 눈에 띄는 특징적인 자연물, 건축물이나 사건도 포함한다. 뉴욕자유의 여신상, 파리에펠탑은 도시, 국가를 상징하는 랜드마크이며, '''나무''', '''산''', '''고층빌딩''' 등은 마을이나 도시의 랜드마크이다. 도시계획이나 도시론 분야에서 1970년대 - 1980년대부터 자주 사용되기 시작했다.[6]

케빈 린치의 『도시의 이미지』에서는 도시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로 '''랜드마크'''(Landmarks, 지표), '''경로'''(Paths, ), '''절점'''(Nodes, 연결점), '''경계'''(Edges, 가장자리), '''지역'''(Districts, 지역)의 다섯 가지를 제시했는데, 특히 "랜드마크"의 존재가 중요시되었다. '''기념물'''(기념비), 특징적인 건축물·구조물 등 쉽게 알아볼 수 있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6]

이러한 랜드마크는 방향을 확인할 때 편리한 길잡이 역할을 하며, 그 도시의 이미지를 결정짓는다. 똑같은 건물이 계속되는 도시에서는 사람들이 방향 감각을 잃게 되고, 그 도시의 인상이 남지 않는다. 랜드마크는 그 도시의 얼굴이 되어 주민들에게 친숙함을 주는 동시에 방문객에게 강한 인상을 준다.

또한 작은 교회, 사찰, 모스크, 신사망루, 취수탑, 굴뚝과 같은 건축물도 마을이나 좁은 지역의 랜드마크가 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용 지도, 휴대전화를 이용한 길 안내 지도 등의 전자지도에서 유명한 건물 등을 특히 "랜드마크"로 취급하여, 지도 화면에 실물을 본뜬 아이콘을 표시하거나, 그 건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안내하는 경우가 있다.

6. 랜드마크 관련 작품


  • 신토 가네토 감독의 1953년 일본 영화로, 베를린 국제영화제 국제평화상을 수상한 『연기 나는 곳이 보이는 곳』
  • 일본 판타지 노벨 대상을 수상한 소설 『철탑 무사시노선』
  • 1997년 일본 영화 『철탑 무사시노선』

참조

[1] 웹사이트 LANDMARK meaning in the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https://dictionary.c[...] 2020-08-02
[2] 웹사이트 Online Etymology Dictionary http://www.etymonlin[...] 2016-01-25
[3] 웹사이트 Landmarker https://landmarker.o[...]
[4] 서적 The image of the city MIT Press 1960
[5] 간행물 International Specification for Control Descriptions https://www.orientee[...] International Orienteering Federation 2018
[6] 서적 The image of the city 岩波書店 2007 # 신장판 발행일
[7] 서적 랜드마크 ; 도시들 경쟁하다 효형출판 2014-02-25
[8] 웹인용 랜드마크 doopedia.co.kr/doope[...] 두산그룹 2023-06-10
[9] 웹인용 알기쉬운 도시계획 용어집 https://urban.seoul.[...] 서울특별시 2023-06-10
[10] 웹인용 토지이용 용어사전 https://www.eum.go.k[...] 국토교통부 2023-06-10
[11] 웹인용 랜드마크 (토지이용 용어사전) https://terms.naver.[...] 2023-06-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