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예보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라예보주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부에 위치하며, 면적은 1,276.9km²이다. 신석기 시대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일리리아인, 로마 제국, 보스니아 왕국, 오스만 제국 등의 지배를 거쳤다. 1461년에서 1463년 사이에 이사-베그 이사코비치가 현대 사라예보의 뿌리를 세웠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1994년 워싱턴 협정에 의해 사라예보주가 창설되었다. 9개의 지방 자치체를 관할하며, 사라예보를 포함하여 4개의 시로 구성된다. 경제적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가장 강력한 지역이며, 관광업, 식품 가공, 제조업, IT 산업 등이 주요 산업이다. 201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413,593명이며, 보스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라예보주 - 일리자
일리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위치한 도시로, 쾌적한 자연환경과 풍부한 역사, 관광 자원을 바탕으로 경제 회복과 관광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며 약 6만 6천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 사라예보주 - 브렐로보스네
브렐로보스네는 보스나 강의 발원지이자 로마 시대 유적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시대 건축물을 보유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자연 랜드마크로, 연간 6만 명 이상이 방문하는 관광 명소이며 축구 국가대표팀의 훈련 장소로도 활용된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주 - 투즐라주
투즐라주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에 속한 주로, 워싱턴 및 데이턴 협정을 통해 현재의 경계가 확정되었으며, 주도는 투즐라이고, 파노니안 호수와 스레브레니크 요새 등의 관광 명소와 발칸 반도 힙합 문화의 중심지로 알려져 있고, 크레카 탄광을 중심으로 광업이 발달했으며 예술가와 스포츠 스타들을 배출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주 -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
헤르체고비나네레트바주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주 중 하나로, 네레트바 강 계곡에 위치하며 아드리아 해에 접해 있고, 주도 모스타르를 중심으로 제조업과 관광 산업이 발달했으며, 크로아티아인과 보스니아인이 다수를 차지한다.
사라예보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사라예보 주 |
현지 이름 | 칸톤 사라예보 (보스니아어: Kanton Sarajevo) 사라예보 주 (크로아티아어: Sarajevska županija) 사라예보 칸톤 (세르비아어: Сарајевски кантон) |
유형 | 주 |
슬로건 | 없음 |
지리 | |
면적 | 1,276.9 km² |
행정 구역 | |
지방 자치체 수 | 9 |
수도 | 사라예보 |
인구 통계 | |
인구 | 701,118 명 |
정치 | |
주지사 | 세미르 실라이지치 |
기타 | |
웹사이트 | 없음 |
2. 역사
사라예보 지역은 신석기 시대 부트미르 문화를 시작으로, 고대에는 일리리아인들이 거주했다. 서기 9년 로마 제국의 지배 이후 일리자 지역에 도시가 건설되었다. 중세 시대에는 보스니아 왕국의 핵심 지역으로 Vrhbosna라는 정착지가 있었다.
1461년부터 1463년까지 오스만 제국의 이사-베그 이사코비치가 현대 사라예보의 기반을 마련했고, 이스탄불 다음으로 발칸 반도에서 중요한 도시로 성장했다. 이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으며 근대화되었고, 유고슬라비아 시대에는 1984년 동계 올림픽을 개최했으나,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피해를 입었다.
1994년 워싱턴 협정과 1995년 데이턴 협정으로 사라예보 주가 성립되었다.
2. 1. 선사 시대 및 고대
사라예보의 역사는 부트미르 문화가 산과 언덕을 터전으로 삼았던 신석기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대 시대에 사라예보 지역(주)은 일리리아인이 점령했다. 현지 부족인 다에시타테스는 이 지역 대부분을 통제했다. 그들은 호전적인 무리였으며, 마침내 서기 9년에 로마 통치에 저항한 마지막 일리리아 부족이었다. 로마 통치하에 이 지역에는 많은 도로와 오늘날의 일리자 꼭대기에 도시가 건설되었다. 중세 시대에 사라예보 주의 지역은 보스니아 왕국의 핵심 부분이었다. 지명인 Vrhbosna는 이 지역 어딘가에 존재했으며 당시 주목할 만한 정착지 중 하나였다.2. 2. 중세 및 오스만 제국 시대
오스만 제국의 정복 이후, 현지 무슬림 귀족인 이사-베그 이사코비치가 1461년에서 1463년 사이에 현대 사라예보의 뿌리를 세우면서 이 지역은 진정으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이 지역은 도시와 함께 성장하여 이스탄불 다음으로 발칸 반도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가 되었다.2. 3.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및 유고슬라비아 시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통치는 이 지역을 근대화하고 서구화했다. 유고슬라비아 치하에서 이 지역은 크게 발전하여 규모가 세 배 이상 커졌다. 산 사이에 있는 이상적인 지리적 위치 때문에 사라예보는 1984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진보는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해 많은 부분이 상쇄되었다.2. 4. 보스니아 전쟁과 사라예보 주 성립
사라예보 주는 1994년 워싱턴 협정에 의해 창설되었으며, 1995년 데이턴 협정에 의해 경계가 정해져 유고슬라비아 전쟁의 결과로 나타났다.3. 정치 및 행정
사라예보 주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의 주 중 하나이며, 주지사는 총리라고 불린다. 현 총리는 니하드 우크(2023년 3월 24일~)이다.[5] 총리는 내각을 두고 있으며, 주 정부는 주 개발 기관, 물품 비축 기관, 주 정보 및 통계 기관, 주 성장 계획 기관, 전문 소방대 등 여러 부처, 서비스 및 기관을 통해 운영된다.
사라예보 주는 9개의 지방 자치체로 나뉘며, 이들은 사라예보를 제외하고는 각 지역의 주요 정착지를 기반으로 한다.
3. 1. 지방 자치체
(도시)(자치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