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레스와프 2세 로가트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레스와프 2세 로가트카는 1241년 레그니차 전투에서 아버지 헨리 2세가 사망한 후 실레지아 공작이 되었다. 그는 몽골의 침략 이후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 통치를 시작했으며, 주변 공작들과의 경쟁, 특히 대폴란드와 크라쿠프를 둘러싼 갈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볼레스와프 2세는 실레지아 공국 분할을 시도하며 동생들과의 갈등을 겪었고, 결국 영토를 분할해야 했다. 그는 브로츠와프 주교와도 갈등을 겪었고, 1270년대에 권력을 아들들에게 넘겨주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실레지아 공국은 분열되었고, 이는 폴란드 왕국 재건 이후 실레지아가 보헤미아에 종속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실레시아 공작 - 브와디스와프 2세 비그나니에츠
브와디스와프 2세 비그나니에츠는 볼레스와프 3세의 유언에 따라 폴란드를 분할 상속받아 통치했으나, 이복 형제들과의 갈등 및 내전으로 폐위되어 망명 후 폴란드 복위를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 1220년대 출생 - 프셰미수 1세
프셰미수 1세는 1239년부터 1257년까지 대폴란드를 통치한 공작으로, 몽골 침입 후 영토 회복, 브란덴부르크 변경백의 팽창주의에 대한 저항, 포즈난 수도 선정 및 왕궁 건설 등의 업적을 남겼다.
볼레스와프 2세 로가트카 | |
---|---|
기본 정보 | |
![]() | |
폴란드어 | Bolesław II Rogatka |
폴란드어 (별칭) | Bolesław II Łysy |
통치 | |
작위 | 폴란드 대공 |
이전 통치자 | 헨리크 2세 경건공 |
다음 통치자 | 콘라트 1세 |
통치 기간 | 1241년 |
작위 1 | 실레시아 공작 |
이전 통치자 1 | 헨리크 2세 경건공 |
다음 통치자 1 | 헨리크 3세 백공 |
통치 기간 1 | 1241년–1248년 |
작위 2 | 레그니차 공작 |
다음 통치자 2 | 헨리크 5세 |
통치 기간 2 | 1248년–1278년 |
가문 | |
가문 | 실레시아 피아스트 가문 |
개인 정보 | |
아버지 | 헨리크 2세 경건공 |
어머니 | 안나 프셰미슬리트카 |
배우자 | 헤트비히 폰 안할트 에우페미아 소피아 폰 디른 |
자녀 | 헨리크 5세 비만공 볼코 1세 엄격공 베르나르트 경쾌공 |
출생 추정 년도 | 1220년/1225년경 |
사망일 | 1278년 12월 26일/31일 |
2. 가계
볼레스와프 2세는 폴란드 대공 헨리 2세 경건공과 그의 아내 안나의 장남이었다. 안나는 프르셰미슬 왕인 오타카르 1세의 딸이었다. 그의 부계 조부모는 헨리 1세 더 비어디드와 실레시아의 헤드비지스였다. 그의 형제자매로는 미에슈코 (1242년 사망), 헨리 3세 백공 (1266년 사망), 콘라트 2세 (1274년 사망), 블라디슬라프 (1270년 사망), 그리고 프셰미스우 1세와 결혼한 엘리자베스 (1265년 사망)가 있었다.
볼레스와프 2세는 1241년 4월 9일 아버지 헨리 2세 경건공이 레그니차 전투에서 몽골군과 싸우다 전사하면서 실레지아 공작위를 계승했다. 아버지와 달리 통치자로서 준비가 미흡했던 그는 즉위 직후부터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
3. 즉위와 초기 통치 (1241년 - 1247년)
볼레스와프 2세와 그의 동생 미에슈코는 성년이었기에 섭정 없이 통치할 수 있었으나, 초기 몇 달 동안은 어머니 안나가 아들을 보좌했다. 일부 사료는 안나를 섭정으로 칭하기도 한다.
볼레스와프 2세는 아버지로부터 남부 비엘코폴스카와 크라쿠프를 물려받았지만, 다른 피아스트 가문 공작들이 이 지역을 노리고 반란을 일으켰다. 마워폴스카에서는 마조비아 공작콘라트 1세가 크라쿠프 공작 지위를 주장했고, 비엘코폴스카에서는 프셰미스우 1세와 볼레스와프 포보주니 형제가 아버지 브와디스와프 오도니츠의 영지를 되찾으려 했다.
결국 볼레스와프 2세는 1247년에 비엘코폴스카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해야 했다.
3. 1. 몽골의 침입과 그 영향
볼레스와프 2세는 1241년 4월 9일 아버지 헨리 2세 경건공이 레그니차 전투에서 바투 칸이 이끄는 몽골 침략군과 싸우다 전사한 후 실레지아 공작으로 즉위했다. 당시 그는 동생 미에슈코와 함께 성년에 도달한 유일한 상속자였다. 어머니 안나가 과도기를 도왔으며, 일부 자료에서는 이 기간을 섭정으로 칭하기도 한다. 몽골군은 실레지아 대부분을 정복했지만, 이후 헝가리 왕국으로 철수했다.
헨리 2세 사후, 실레지아 피아스트 가문은 폴란드 영토에서 지배력을 유지하기 어려웠다. 볼레스와프의 상속 영지(남부 대폴란드 공국 영토와 소폴란드 세니오레이트 주)는 인접한 피아스트 공작들에게 위협받았다. 1241년 7월, 마조비아의 콘라트 1세는 크라쿠프에서 폴란드 왕위를 차지하려 했다. 크라쿠프 총독 클레멘트 루쉬치의 지휘 아래 지역 귀족들이 강력히 저항했지만, 결국 콘라트의 우세한 군사력에 굴복했다. 볼레스와프의 무대응에 실망한 귀족들은 1243년 볼레스와프 5세 순결공을 크라쿠프 왕위에 옹립했다.[1]
대폴란드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졌다. 헨리 2세가 레그니차에서 패배했다는 소식을 들은 대폴란드의 프셰미슬 1세와 그의 형제 볼레스와프 경건공은 아버지 블라디슬라프 오도니치가 통치했던 칼리시 영지를 되찾고자 했다. 지역 귀족들은 그들을 진정한 상속자로 지지했다. 볼레스와프는 싸움을 피하고자 자신의 대폴란드 영토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했다. 그는 산토크와 미엔지제치 등 일부 지역을 유지하려 했지만, 1247년 대폴란드의 공작들은 결국 볼레스와프에게 대폴란드 영토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하도록 강요했다.
3. 2. 다른 피아스트 공작들과의 경쟁
볼레스와프 2세는 아버지 헨리 2세 경건공이 1241년 4월 9일 레그니차 전투에서 바투 칸이 이끄는 몽골 침략군과 싸우다 전사한 후 실레지아 공작으로 즉위했다. 당시 그는 동생 미에슈코와 함께 성년에 도달한 유일한 상속자였다. 어머니 안나가 과도기를 도왔으며, 일부 자료에서는 이 기간을 섭정으로 칭하기도 한다. 몽골군은 실레지아 대부분을 정복했지만, 이후 헝가리 왕국으로 철수했다.
헨리 2세가 죽은 후, 실레지아 피아스트 가문은 폴란드 영토에서 지배력을 유지할 수 없었다. 볼레스와프의 상속 영지, 즉 남부 대폴란드 공국 영토와 소폴란드 세니오레이트 주는 인접한 피아스트 공작들에 의해 위협받았다. 1241년 7월까지 그의 사촌 마조비아의 콘라트 1세는 크라쿠프에서 폴란드 왕위를 차지하려 했다. 크라쿠프 총독 클레멘트 루쉬치의 지휘를 받은 지역 귀족들은 강력하게 저항했지만 결국 콘라트의 우세한 군사력에 굴복해야 했다. 볼레스와프의 무대응에 실망한 그들은 1243년 크라쿠프 왕위에 오른 볼레스와프 5세 순결공을 지지하게 되었다.
대폴란드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벌어졌다. 헨리 2세가 레그니차에서 패배했다는 소식을 들은 후 대폴란드의 프셰미슬 1세 공작과 그의 형제 볼레스와프 경건공은 아버지였던 고 블라디슬라프 오도니치 공작이 한때 통치했던 칼리시 영지를 되찾았다. 지역 귀족들은 그들을 해당 영토의 진정한 상속자로 지지했다. 볼레스와프는 싸움을 피하기로 결정하고 자신의 대폴란드 영토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했다. 그는 산토크와 미엔지제치와 같은 일부 지역을 유지하려 했지만, 1247년 대폴란드의 공작들은 결국 볼레스와프에게 대폴란드 영토에 대한 모든 권리를 포기하도록 강요했다.
4. 실레지아 분할 (1248년 - 1251년)
1242년, 볼레스와프 2세는 아버지로부터 상속받은 실롱스크 공국을 분할하지 않고 모든 권력을 자신의 손에 넣으려 했다. 그 해, 바로 아래 동생 미에슈코가 자식 없이 죽자, 루부슈를 공국으로 하사받았던 그의 유산은 볼레스와프 2세의 영지에 통합되었다. 그러나 볼레스와프 2세는 동생들과의 공동 통치에 저항했고, 이는 반란으로 이어졌다. 반란을 일으킨 실롱스크 공가의 젊은 왕자들은 곧 볼레스와프 2세를 투옥했다. 이러한 사건들로 인해 볼레스와프 2세는 주위에 대해 극도로 의심 많은 성격을 가지게 되었고, 이는 국가 통치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반란을 종식시키기 위한 임시 협정으로, 1247년에 동생 헨리크 3세를 공국의 공동 통치자로 삼았다. 그러나 공동 통치는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고, 1년 후 두 사람은 공국을 레그니차=그워구프=루부슈와 브로츠와프로 양분했다. 또한 어린 동생들을 보호하기로 결정하여 볼레스와프 2세가 콘라트를, 헨리크 3세가 브와디스와프를 각각 맡게 되었다. 볼레스와프 2세는 장자로서 영지를 선택할 우선권이 있었고, 카차바와 비에르쥐피야크 강에서 금이 채취되는 레그니차를 선택했다.
레그니차를 선택한 것은 볼레스와프 2세와 브로츠와프 귀족들 사이의 분쟁을 심화시켰다. 귀족들은 헨리크 3세가 해당 지역을 영유하지 않는 것에 불만을 품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볼레스와프 2세는 레그니차 공국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력을 행사하게 되었지만, 점차 이 선택을 후회하며 브로츠와프를 되찾으려 시도했다. 헨리크 3세 또한 새롭게 얻은 공국을 포기할 의사가 없었고, 결국 전쟁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4. 1. 헨리크 3세와의 갈등과 협력
1242년, 볼레스와프의 형제들 중 차남인 미에슈코가 후계자를 남기지 않고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그의 루부스 영지는 볼레스와프에게 돌아갔고, 그의 남동생들은 하부 슐레지엔 영지를 공동 통치하게 되었다. 그러나 1247년 그의 형제 헨리 3세가 성년이 되자, 그는 그의 남동생들과 함께 볼레스와프에 반란을 일으켰고, 심지어는 그를 잠시 투옥하기도 했다.자유를 되찾기 위해 볼레스와프는 헨리 3세와 하부 슐레지엔의 레그니차와 브로츠와프 영지를 분할하는 협정을 맺었다. 추가적인 분할을 막기 위해 두 사람은 미성년 형제들에게 호의를 베풀 것을 약속했는데, 볼레스와프는 콘라트 1세에게, 헨리는 브와디스와프에게 각각 호의를 베풀기로 했다. 장남이었던 볼레스와프는 구역을 먼저 선택할 수 있었는데, 그는 레그니차 영지를 선택했다. 아마도 카차바 강과 비에르즈비악 강에서 금이 발견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볼레스와프는 곧 자신의 선택을 후회하고 브로츠와프를 되찾으려 했다.[1] 헨리 3세는 자신의 새로운 공국을 넘겨주는 것을 거부했고, 전쟁은 불가피해졌다.[1] 둘 다 전투 준비를 시작했지만 충분한 자금이 없었다.[1] 볼레스와프는 그의 아내 헤드비히의 친척인 아스카니아 가문에서 동맹을 구했다.[1] 헤드비히는 안할트 백작 헨리 1세의 딸이었다.[1] 마그데부르크의 빌브란트 대주교는 볼레스와프가 루부슈 지역의 절반을 그에게 매각한 후 자금을 기부했다.[1]
독일의 지원은 볼레스와프에게 그의 형제와의 전쟁에서 일시적인 이점을 가져다주었을 뿐이다.[1] 1249년, 그의 동생이자 공동 통치자인 콘라트 1세가 예상치 못하게 (파리에서 학업을 마친 후) 귀국했다.[1] 볼레스와프는 그를 파사우 주교로 제안했지만, 콘라트는 거절하고 실레지아에서 자신의 주장을 펼치기 시작했다.[1] 볼레스와프는 그에게 반대했고, 젊은 왕자는 볼레스와프의 오랜 적대자인 대폴란드 공작의 궁정으로 피신했다.[1] 얼마 지나지 않아 콘라트는 이중 결혼을 통해 프셰미스ł I 공작과 관계를 강화했다.[1] 대폴란드의 공작은 콘라트의 여동생 엘리자베스와 결혼했고, 콘라트는 프셰미스ł 공작의 여동생 살로메와 결혼했다.[1]
1251년 최종 충돌이 일어났다. 볼레스와프는 콘라트를 지원한 프셰미스ł I과 헨리 3세의 연합군에 의해 패배했다. 볼레스와프는 마침내 자신의 영토를 분할하고 그워구프 공국을 콘라트에게 양도하는 데 동의했다.[1] 볼레스와프는 레그니차 지역만을 유지했다.[1]
4. 2. 콘라트 1세와의 갈등
1249년, 그의 동생이자 공동 통치자였던 콘라트 1세가 파리에서 학업을 마치고 예상치 못하게 귀국했다. 볼레스와프 2세는 그에게 파사우 주교직을 제안했지만, 콘라트 1세는 이를 거절하고 슐레지엔에서 자신의 영지에 대한 권리를 주장하기 시작했다. 이에 볼레스와프 2세는 콘라트 1세에 반대했고, 콘라트 1세는 볼레스와프 2세의 오랜 적대자였던 대폴란드 공작의 궁정으로 피신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콘라트 1세는 이중 결혼을 통해 프셰미스ł I 공작과 관계를 강화했는데, 대폴란드의 공작은 콘라트의 여동생 엘리자베스와 결혼했고, 콘라트는 프셰미스ł 공작의 여동생 살로메아와 결혼했다.1251년, 헨리 3세는 콘라트 1세의 주장을 지지하며 프셰미스우 1세와 함께 볼레스와프 2세의 군대를 격파했다. 결국 볼레스와프 2세는 자신의 영토를 분할하는 데 동의하여 콘라트에게 그워구프를 넘겨주었고, 자신은 레그니차 지역만을 보유하게 되었다.
볼레스와프 2세는 헨리크 3세가 사망할 때까지는 그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지만, 그의 막내 동생이자 반항적이고 완고한 성격의 글로고프 공작 콘라트 1세와는 적대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1257년, 콘라트 1세는 볼레스와프 2세를 레그니차의 거성에서 유괴했다. 볼레스와프 2세는 수 개월 후에 보석금을 지불하고 풀려났지만, 얼마의 보석금을 지불했는지는 알려져 있지 않다. 1271년, 볼레스와프 2세는 콘라트 1세의 영지였던 부브르 인근의 볼레스와비에츠를 빼앗았다.
5. 브로츠와프 주교와의 갈등 (1252년 - 1261년)
볼레스와프 2세는 자신의 공국에 대한 완전한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 2년이 더 걸렸으며, 그의 형인 헨리크 3세의 도움을 받았다. 볼레스와프 2세는 다른 피아스트 공작들과, 특히 대폴란드 공작들과 브로츠와프의 토마스 1세 주교와 몇 가지 합의를 했다. 그러나 볼레스와프 2세는 주교가 어린 공작들을 지지하려는 경향을 보인 것에 대해 결코 용서하지 않았다.[1]
볼레스와프 2세와 브로츠와프 주교의 갈등은 1257년에 더욱 심각한 지경에 이르렀는데, 볼레스와프 2세가 블레니 성에서 주교를 감금했기 때문이다. 볼레스와프 2세는 즉시 파문당했다. 그의 형제들이 즉시 개입하여 합의를 이끌어냈다. 1261년, 볼레스와프 2세는 많은 공물을 지불하고 브로츠와프 대성당 앞에서 공개적인 참회를 했다. 그는 이전에 1248년과 1249년에 두 번 파문당했고, 인근 귀족들에게 그를 상대로 십자군을 일으키라는 요청이 있었다. 그는 나중에 주교로부터 용서를 받았고, 이전의 두 번의 파문은 철회되었다.[1]
6. 말년 (1262년 - 1278년)
1270년대에 볼레스와프 2세는 점차 아들들에게 권력을 넘겨주었다. 1273년에는 장남 헨리 5세에게 야보르 공국을 주었다. 1277년, 독일의 루돌프 1세와 동맹을 맺고, 그의 요청에 따라 조카 헨리 4세를 납치했는데, 이는 1270년에 사망한 동생 브와디스와프의 유산을 둘러싼 갈등 때문이었다.
헨리 4세를 구출하기 위해 보헤미아 왕 오토카르 2세, 글로구프의 헨리 3세, 프셰미스우 2세가 연합하여 1277년 4월 24일 스톨레츠 전투가 벌어졌다. 볼레스와프 2세의 군대는 열세였으나, 아들 헨리 5세의 활약으로 승리했다. 이후 협상을 통해 헨리 4세는 석방되었고, 볼레스와프 2세는 시로다실롱스카 공국의 3분의 1을 얻었다.
볼레스와프 2세는 헨리 3세와는 우호 관계를 유지했지만, 동생 글로고프 공작 콘라트 1세와는 적대 관계였다. 1257년 콘라트 1세는 볼레스와프 2세를 납치했다가 몇 달 후 풀어주었고, 1271년에는 볼레스와프 2세가 콘라트 1세의 영지였던 볼레스와비에츠를 빼앗았다.
6. 1. 외교 관계
1277년, 볼레스와프 2세는 독일의 루돌프 1세와 동맹을 맺었다. 이로 인해 보헤미아의 오토카르 2세와의 관계가 긴장되었다. 볼레스와프 2세는 루돌프 1세의 요청에 따라 오토카르 2세의 동맹이자 자신의 조카인 브로츠와프의 헨리 4세를 납치하여 레그니차 성에 가두었다.오토카르 2세, 글로구프의 헨리 3세, 프셰미스우 2세는 연합을 맺었으나, 스톨레츠 전투에서 볼레스와프 2세의 아들 헨리 5세에게 패배했다. 이후 협상을 통해 헨리 4세는 석방되었고, 볼레스와프 2세는 시로다실롱스카 공국의 3분의 1을 얻었다.
6. 2. 사망과 유산
1273년, 볼레스와프 2세는 장남인 헨리크 5세에게 야보르를 주었다.[1] 1277년에는 로마왕루돌프 1세와 동맹을 맺고, 그의 요청에 따라 조카인 헨리크 4세를 납치했는데, 이는 1270년에 사망한 동생 브와디스와프의 유산을 둘러싼 갈등 때문이었다.[1]헨리크 4세를 구출하기 위해 보헤미아 왕 오토카르 2세, 글로고프 공작 헨리크 3세, 비엘코폴스카 공작 프셰미스우 2세가 연합하여 1277년 4월 24일 스트레츠 전투가 벌어졌다.[1] 볼레스와프 2세의 군대는 열세였으나, 아들 헨리크 5세의 활약으로 승리했다.[1] 이후 협상을 통해 헨리크 4세는 석방되었고, 볼레스와프 2세는 시로다 시롱스카를 얻었다.[1]
볼레스와프 2세는 1278년 12월 26일 (혹은 31일)에 사망하여 레그니차의 도미니코회 수도원에 매장되었다.[1] 그의 영토는 세 아들 헨리크 5세, 볼코 1세, 베르나르트에게 분할 상속되었다.[1]
볼레스와프 2세의 통치 시기, 실롱스크 공국은 분열되었고, 이후 실롱스크 제후들은 독일과 보헤미아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되었다.[1]
7. 결혼과 자녀
볼레스와프 2세는 1242년에 안할트 백작 하인리히 1세의 딸인 헤드비지(1259년 12월 21일 사망)와 처음 결혼했다. 그들은 일곱 명의 자녀를 두었다.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그네스 | 1243/50년경 | 1265년 3월 13일 | 뷔르템베르크 백작 울리히 1세와 결혼. 슈투트가르트 슈티프트키르체에 매장 |
비만공 하인리히 5세 | 1248년경 | 1296년 2월 22일 | |
헤드비지(야드비가) | 1250/55년경 | 1280년 이후 | 1265/70년경 마조비아 공작 콘라트 2세와 결혼. |
엄격공 볼코 1세 | 1252/56년경 | 1301년 11월 9일 | 크셰슈프에서 사망, 크셰슈프 수도원에 매장. |
경쾌공 베르나르트 | 1253/57년경 | 1286년 4월 25일 | 레그니차의 도미니크 수도원에 매장. |
콘라트 | 요절 | ||
카타리나 | 1286년 4월 25일 | 레그니차의 도미니크 수도원에 매장. |
1261년, 볼레스와프 2세는 포메라니아 공작 삼보르 2세의 딸인 오이페미아(알렌타 또는 이올란타 또는 아델하이드라고도 불림)(1245년경 출생 - 1309년 2월 15일경 사망)와 두 번째로 결혼했다.
1270년경, 그는 디른 가문의 소피아를 정부로 두기 시작했다. 그들은 아들 야로스와프를 낳았지만, 그는 유아기에 사망했다. 심각한 병에 걸리고 남편의 외도에 깊이 상처받은 오이페미아는 1275년 고향인 포메라니아로 도망쳤다. 그들의 결혼은 무효로 간주되었다. 1277년 볼레스와프 2세는 마침내 정부와 결혼했지만, 이 결혼은 공작이 1278년에 사망할 때까지 불과 몇 달밖에 지속되지 않았다. 오이페미아는 볼레스와프 2세가 죽은 후 실레시아로 돌아왔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