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로콜람스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로콜람스크는 1135년에 처음 언급된 도시로, 모스크바에서 랴잔으로 이어지는 수로에 노브고로드 공화국 상인들이 건설했다. 14세기 모스크바 대공국에 합병된 후 여러 차례의 전쟁과 지배 세력 교체를 겪었으며, 1781년 도시 지위를 얻었다. 산업 도시로 섬유, 식품, 건축 자재 공장이 있으며, 20세기 초에는 모스크바-리가 간 철도 노선이 통과했다. 부활 대성당, 성모 탄생 대성당 등 역사적 건축물이 있으며, 1941년 독일군 점령 후 소련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최근에는 매립지로 인한 환경 문제로 논란이 일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브고로드 공화국 - 베체
베체는 슬라브족의 민회 또는 평의회를 의미하며, 동유럽 부족 회의에서 기원하여 키예프 루스 시대 이전부터 존재했고, 전쟁과 평화 문제, 법률 채택, 통치자 선출 및 추방 등을 논의하는 기능을 수행한 최고 입법 및 사법 기관이었다. - 노브고로드 공화국 - 스타라야라도가
스타라야 라도가는 753년에 건설되어 동유럽 무역 중심지로 번성했으며 류리크 왕조의 초기 수도이자 노브고로드 공화국의 주요 무역 거점이었던 러시아 볼호프 강변의 역사적인 마을이다. - 모스크바주의 도시 - 두브나
두브나는 모스크바에서 북쪽으로 약 125km 떨어진 볼가 강변에 위치한 도시로, 원자력 연구를 위해 설립되었으며 두브나 합동핵연구소가 소립자 물리학 연구 등을 수행하고, 두브늄 원소의 이름이 유래되었다. - 모스크바주의 도시 - 드미트로프
드미트로프는 1154년에 건설되어 모스크바 대공국의 일부가 되었고, 1503년부터 1533년까지 전성기를 누렸으며, 역사적인 볼거리를 가지고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러시아의 도시 - 첼랴빈스크
첼랴빈스크는 러시아 첼랴빈스크주의 주도로, 우랄산맥 동쪽 미아스 강가에 위치하며 시베리아 횡단 철도 건설 후 교통과 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군수 산업 발달로 '탱코그라드'라 불렸으며, 2013년 운석 낙하 사건이 있었던 러시아의 주요 산업, 문화, 스포츠 중심지 중 하나이다. - 러시아의 도시 - 비르스크
비르스크는 1663년에 건설되어 1781년에 도시 지위를 얻었으며, 러시아 내 바시키르 공화국 소속 도시이자 비르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
| 볼로콜람스크 | |
|---|---|
| 지도 정보 | |
| 일반 정보 | |
![]() | |
| 러시아어 이름 | Волокола́мск |
| 도시 인구 (2021년) | 26,398명 |
| 도시 인구 (2010년) | 23,433명 |
| 도시 인구 (2002년) | 16,656명 |
| 도시 인구 (1989년) | 18,226명 |
| 최초 언급 | 1135년 |
| 행정 구역 | |
| 국가 | 러시아 |
| 연방 주체 | 모스크바 주 |
| 행정 구역 | 볼로콜람스키 군 |
| 자치 도시 | 볼로콜람스크 |
| 자치체 | |
| 지방 자치체 | 볼로콜람스키 자치구 |
| 도시 정착지 | 볼로콜람스크 도시 정착지 |
| 자치구 중심지 | 볼로콜람스키 자치구 볼로콜람스크 도시 정착지 |
| 기타 정보 | |
| 우편 번호 | 143600, 143602–143604, 143608 |
| 지역 번호 | 49636 |
2. 역사
볼로콜람스크는 1135년 부활 연대기에 처음 언급된 유서 깊은 도시이다.[2] 14세기부터 17세기 초까지 모스크바 대공국,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등 여러 세력의 각축장이 되었으며, 잦은 전쟁과 포위 공격을 겪었다. 특히 1613년 폴란드 왕 지그문트 3세 바사의 포위 공격을 견뎌낸 사건은 도시 문장에 요새가 묘사되는 결과를 낳았다.[2]
18세기 후반, 예카테리나 2세의 도시 개혁에 따라 볼로콜람스크는 도시 지위를 얻고, 신고전주의 양식의 도시 계획이 수립되었다. 19세기에는 산업화와 교통 발달로 경제적 성장을 이루었으며, 20세기 초에는 철도가 개통되면서 모스크바와 리가를 잇는 중요한 거점이 되었다.
1905년 러시아 혁명 당시 볼로콜람스크는 섬유 공장이 밀집해 있어 대규모 노동 운동의 중심지였다. 1917년 10월 말, 10월 혁명으로 볼로콜람스크에 소비에트가 수립되었다. 대조국 전쟁 중이던 1941년 10월 27일부터 12월 20일까지 독일군에 점령되었으나, 빨치산이 볼로콜람스크 주변에서 독일군과 격렬하게 싸웠다.
2. 1. 초기 역사와 중세
1135년, 볼로콜람스크는 부활 연대기에 처음으로 언급되었다.[2] 볼로콜람스크는 벨리키 노브고로드에서 모스크바와 랴잔으로 이어지는 수로의 5km 포테지 (Волок|볼로크ru)에 건설되어 "라마 강가의 볼로크"라는 의미의 이름을 얻었다.1178년, 브세볼로드 3세가 도시를 불태우고 블라디미르-수즈달에 합병했다. 1231년, 야로슬라프 2세가 볼로콜람스크를 노브고로드에 반환했다. 루스에 대한 몽골의 침략 이후, 볼로콜람스크는 노브고로드와 블라디미르로 분할되었다. 1273년, 트베르 공국이 도시 점령에 실패했다.
14세기 전반, 모스크바의 이반 1세가 도시의 일부를 보야르 로디온 네스토로비치에게 주었고, 그는 노브고로드로부터 나머지 부분을 빼앗았다. 1345년, 모스크바의 시메온이 볼로콜람스크를 스몰렌스크 공작에게 주었다. 1371년, 리투아니아-모스크바 전쟁 (1368-72) 중 알기르다스가 볼로콜람스크를 포위했지만 함락시키지 못했다. 1383년, 용감한 블라디미르가 볼로콜람스크 근처에서 토크타미시를 격파했다. 1398년, 모스크바의 바실리 1세가 볼로콜람스크를 모스크바 대공국에 합병했다.
2. 2. 모스크바 대공국 시대
1462년, 러시아의 이반 3세가 볼로콜람스크를 그의 동생에게 주면서 이 도시는 본격적인 분할 상속 공국의 중심지가 되었다.[2] 이 공국의 첫 번째 공작은 단일 돔 석회암 부활 대성당을 세웠는데, 이 대성당은 현재까지 남아있다.
2. 3. 혼란 시대와 근세
1613년, 볼로콜람스크는 폴란드 왕 지그문트 3세 바사가 이끄는 군대의 포위를 견뎌냈다. 이 사건은 도시 문장에 도시 요새가 묘사되는 계기가 되었다.[2] 이 시기 볼로콜람스크는 주로 북동쪽으로 17km 떨어진 요셉-볼로콜람스크 수도원과 밀접하게 관련되었다.2. 4. 근대
1781년, 볼로콜람스크는 도시 지위를 얻었고, 신고전주의적인 도시 계획이 수립되었다.[2] 19세기에는 공장 건설과 근교 농산물 집산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20세기 초에는 모스크바-리가 간 철도 본선이 근처를 지나가게 되었다.2. 5. 현대
1905년 러시아 제1차 혁명 당시 볼로콜람스크는 섬유 공장이 밀집해 있어 대규모 노동 운동의 중심지였다.[2] 1917년 10월 말, 10월 혁명으로 볼로콜람스크에 소비에트가 수립되었다.[2] 대조국 전쟁 중이던 1941년 10월 27일부터 12월 20일까지 독일군에 점령되었으나, 빨치산이 볼로콜람스크 주변에서 독일군과 격렬하게 싸웠다. 전쟁으로 파괴된 볼로콜람스크는 1950년대에 복구되었고, 1960년대에는 주변 농촌 지역을 병합했다.3. 행정 구역 및 자매 도시
행정 구역 틀 내에서 볼로콜람스크는 볼로콜람스키 군의 행정 중심지이다.[3] 행정 구역으로서 7개의 농촌 지역과 함께 볼로콜람스키 군에 '볼로콜람스크 시'로 통합되어 있다.[3] 지방 자치체로서 볼로콜람스크 시는 '볼로콜람스크 도시 정착촌'으로 볼로콜람스크 지방 자치구에 통합되어 있다.[4]
볼로콜람스크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4. 산업
오늘날 볼로콜람스크는 산업 도시이며, 섬유 공업 외에도 식품, 건축 자재 등의 공장이 입지해 있다. 2006년에는 3M의 화학 제품 공장도 세워졌다. 모스크바-리가 간을 잇는 러시아 연방 고속도로 M9가 통과한다.
5. 문화 및 관광
볼로콜람스크에는 부활 대성당(15세기), 성모 탄생 대성당(1535년), 성모 옹호 성당(1695년), 성 니콜라이 성당(1864년), 이오시프 볼로콜람스크 수도원(16세기-17세기) 등 여러 종교 건축물이 있다.
5. 1. 주요 건축물
- 부활 대성당 (15세기): 1462년에 러시아의 이반 3세가 볼로콜람스크를 그의 동생에게 주면서 이 도시는 본격적인 분할 상속 공국의 중심지가 되었고, 이 공국의 첫 번째 공작이 단일 돔 석회암으로 건설하였다.
- 성모 탄생 대성당 (1535년): 안드레이 볼로츠키 공작 통치 시대의 주요 기념물로 비야즈미시 수도원에 있는 3개 돔 대성당이다.
- 성모 옹호 성당 (1695년):

성모 보호 성당 - 성 니콜라이 성당 (1864년)
- 요셉-볼로콜람스크 수도원 (16세기-17세기): 1613년, 볼로콜람스크는 지그문트 3세 바사의 포위를 견뎌냈으며, 그 당시 볼로콜람스크는 주로 북동쪽으로 떨어진 요셉-볼로콜람스크 수도원과 관련이 있었다.

요시프-볼로콜람스크 수도원
5. 2. 기타
알렉산드르 베크의 1944년 소설 《볼로콜람스크 고속도로》(«Волоколамское шоссе»)는 1941년 10월 볼로콜람스크에서 모스크바로 이어지는 도로를 따라 제316 소총 사단의 병력들이 펼친 방어 전투를 약간 소설화한 이야기이다.[6]온라인 게임 워 썬더에는 "볼로콜람스크"라는 지상군 맵과 "볼로콜람스크 주변"이라는 더 큰 버전이 등장한다. 이 맵은 너무 넓고 크다는 이유로 플레이어들로부터 비판을 받는다.[6]
6. 환경 문제
볼로콜람스크에는 논란이 많은 매립지가 있다. 매립지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호흡기 질환을 겪으면서 여러 차례 항의 시위가 벌어졌다. 러시아 당국은 아직 이 문제에 대해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7]
참조
[1]
간행물
2010Census
[2]
서적
Энциклопедия Города России
Большая Российская Энциклопедия
[3]
문서
Resolution #123-PG
[4]
문서
Law #1/2005-OZ
[5]
웹사이트
Volokolamski pravac
http://www.urbanbook[...]
[6]
웹사이트
Volokolamsk - War Thunder Wiki
https://wiki.warthun[...]
[7]
웹사이트
A 'mini-Chernobyl' in Moscow's suburbs
https://www.aljazeer[...]
[8]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3-05-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