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383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83년은 명나라 홍무 16년, 북원 천원 5년, 일본 남조 고와 3년, 북조 에이토쿠 3년, 쩐 왕조 쓰엉푸 7년, 고려 우왕 9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는 정지가 왜구를 물리친 관음포 대첩, 카스티야 국왕 후안 1세와 포르투갈의 베아트리스의 결혼, 포르투갈 국왕 페르난두 1세의 사망으로 인한 1383년-1385년 위기 발발 등이 있다. 1383년에는 앤 드 글로스터, 펠릭스 5세, 아마데우스 8세 등이 태어났으며, 아마데우스 6세, 요안니스 6세 칸타쿠제노스, 페르난두 1세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383년
연도 정보
세기14세기
간지계해년 (癸亥年)
주요 사건
발생고려,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으로 우왕 폐위 및 창왕 옹립
조선 건국 이전 이성계가 조선왕조의 실질적인 기반을 다진 해
명나라에서 왜구를 토벌하기 위해 일본 규슈 지역의 다자이후를 공격.
비잔티움 제국의 테살로니카가 튀르크족에게 점령.
포르투갈의 후앙 1세가 카스티야의 침략을 격퇴.
탄생교황 마르티누스 5세
유호인 (조선 초기 문신)
신숙주 (조선 초기 문신)
사망비잔티움 제국 황제 요안니스 6세
콘스탄티노스 6세
페르디난드 1세
카를로스 1세
세르게이
천문 현상
천문 현상일식 (10월 22일)

2. 연호

3. 사건


  • 관음포 해전에서 해도원수(海道元帥) 정지가 왜구를 무찔렀다.
  • 튜턴 기사단이 리투아니아에 대한 전쟁을 재개했다.
  • 단 1세가 아버지 라두를 계승하여 발라키아 공이 되었다. 그는 더네슈티 가문의 조상이다.
  • 라오 찬다가 라오 비람 데브를 계승하여 마르와르(현재 인도 서부)의 라토르 통치자가 되었다.
  • 뢰벤브로이 맥주가 처음 양조되었다.
  • 잉글랜드 서머싯주에 있는 퍼들리 헝거포드 성의 원래 안뜰이 완공되었다.
  • 란나의 쿠에나 왕에 의해 현재 태국의 왓 프라탓 도이 수텝 사원이 건립되었다.
  • 프랑스 파리에 있는 바스티유 요새의 건설이 완료되었다.

3. 1. 고려

해도원수 정지(1347~1391)가 여수 관음포에서 왜구를 무찔렀다.

3. 2. 유럽


  • 5월 17일 - 카스티야의 왕 후안 1세가 포르투갈의 베아트리스와 결혼하다.
  • 7월 7일 - 보의 제임스가 사망하면서 아카이아 공국(오늘날 그리스 남부)은 샤를 3세가, 타란토(이탈리아 동부)는 브런스비크-그뤼벤하겐 공작 오토가 통치하게 되었다. 앙주 공작 루이 1세는 라틴 제국(서부 터키)에 대한 권리를 상속받았으나 황제 칭호는 사용하지 않았다.[1]
  • 10월 22일 - 포르투갈의 왕 포르투갈의 페르난두 1세가 사망하고, 그의 딸 포르투갈의 베아트리스가 왕위를 계승하다. 베아트리스가 카스티야의 왕 후안 1세와 결혼하면서 포르투갈에서는 1383년-1385년 위기로 알려진 내전과 무정부 상태가 시작되었다.
  • 십자군의 일환으로 영국군이 플랑드르를 침공했으나 실패하다.
  • 포르투갈 왕 포르투갈의 페르난두 1세가 적출 남성 후계자 없이 사망하면서, 포르투갈카스티야 사이에 후계 분쟁이 발생하다.

3. 3. 기타 지역


  • 1383년 관음포에서 해도원수(海道元帥) 정지가 왜구를 무찔렀다.
  • 5월 17일 – 카스티야의 왕 후안 1세가 포르투갈의 베아트리스와 결혼했다.
  • 7월 7일 – 타란토와 아카이아 공국의 통치자이자 마지막 명목상의 라틴 황제였던 보의 제임스가 자녀 없이 사망했다.[1] 그 결과:
  • * 샤를 3세가 아카이아 공국(오늘날 그리스 남부)의 통치자가 되었다.
  • * 브런스비크-그뤼벤하겐 공작 오토가 나폴리의 조안나 1세의 홀아비로서 타란토(이탈리아 동부)의 통치자가 되었다.
  • * 앙주 공작 루이 1세가 라틴 제국(서부 터키)에 대한 권리를 상속받았지만, 황제 칭호는 사용하지 않았다.
  • 10월 22일 – 포르투갈의 왕 포르투갈의 페르난두 1세가 사망하고, 그의 딸 포르투갈의 베아트리스가 계승했다. 베아트리스가 카스티야의 왕 후안 1세와 결혼했기 때문에 포르투갈에서 1383년-1385년 위기로 알려진 내전과 무정부 상태가 시작되었다.
  • 튜턴 기사단이 이교도 리투아니아에 대한 전쟁을 재개했다.
  • 단 1세가 아버지 라두를 계승하여 발라키아 공이 되었다. 그는 더네슈티 가문의 조상이다.
  • 라오 찬다가 라오 비람 데브를 계승하여 마르와르(현재 인도 서부)의 라토르 통치자가 되었다.
  • 뢰벤브로이 맥주가 처음 양조되었다.
  • 잉글랜드 서머싯주에 있는 퍼들리 헝거포드 성의 원래 안뜰이 완공되었다.
  • 란나의 쿠에나 왕에 의해 현재 태국의 와트 프라탓 도이 수텝 사원이 건립되었다.
  • 프랑스 파리에 있는 바스티유 요새의 건설이 완료되었다.

4. 탄생

1383년에는 여러 인물들이 태어났다.


  • 4월 30일 - 앤 드 글로스터
  • 9월 4일 - 펠릭스 5세, 아마데우스 8세
  • 11월 9일 - 니콜로 3세 데스테
  • 날짜 불명 - 에우제니오 4세[2], 기쿠치 카네토모, 시타마, 지쿠운 도렌, 마졸리노, 야마요시 유키모리, 요한

4. 1. 실존 인물


  • 4월 30일 – 앤 드 글로스터(Anne of Gloucester), 잉글랜드 백작 부인, 에드워드 3세 국왕의 손녀 (사망 1438년)
  • 9월 4일
  • * 펠릭스 5세(Antipope Felix V) (사망 1451년)
  • * 아마데우스 8세, 사보이아 공작 (사망 1451년)
  • 11월 9일 – 니콜로 3세 데스테(Niccolò III d'Este), 페라라 후작 (사망 1441년)
  • 날짜 불명
  • * 에우제니오 4세, 제207대 교황 (사망 1447년)[2]
  • * 기쿠치 카네토모(菊池兼朝),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무장, 기쿠치 씨(菊池氏) 제18대 당주 (사망 1444년)
  • * 시타마(志玉), 무로마치 시대 동대사의 승려 (사망 1463년)
  • * 지쿠운 도렌(竺雲等連), 무로마치 시대 임제종 승려 (사망 1471년)
  • * 펠릭스 5세, 대립교황 (사망 1451년)
  • * 마졸리노(Masolino),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 (사망 1440년)
  • * 야마요시 유키모리(山吉行盛),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사망 1459년)
  • * 요한, 프팔츠-노이마르크트 공작 (사망 1443년)

5. 사망

1383년에 사망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 3월 1일 - 아마데우스 6세, 사보이 백작 (1334년 출생)
  • 3월 3일 - 우고 3세, 아르보레아 백작
  • 4월 30일 - 가네요시 친왕(가네요시 친왕일본어), 일본 남북조 시대의 황족 (1329년? 출생)
  • 6월 5일 - 드미트리 콘스탄티노비치, 러시아 공작 (1324년 출생)
  • 6월 8일 - 토마스 드 로스, 제4대 드 로스 남작, 잉글랜드 십자군 (1338년 출생)
  • 6월 15일 - 요하네스 6세 칸타쿠제노스, 비잔티움 제국 황제 (1292년 출생)
  • 7월 7일 - 자크 드 보, 라틴 황제 (칭호)
  • 10월 22일 - 페르난두 1세, 포르투갈 국왕 (1345년 출생)
  • 12월 7일 - 벤체슬라스 1세, 룩셈부르크 공작 (1337년 출생)
  • 12월 23일 - 보르본의 베아트리체, 보헤미아 왕비 (1320년 출생)
  • 12월 28일 - 요시카와 쓰네아키(요시카와 쓰네아키일본어), 일본 남북조 시대의 무장, 요시카와 씨 당주 (생년 미상)
  • 오사키 나오모치(오사키 나오모치일본어), 일본 남북조 시대의 무장, 무쓰 다자키 씨의 초대 당주 (1327년 출생)
  • 마테오스 칸타쿠제노스, 동로마 제국 공동 황제, 모레아 데스포타트 통치자 (1325년 출생)
  • 날짜 불명 - 라두 1세, 왈라키아 공작

5. 1. 실존 인물


  • 3월 1일 - 아마데우스 6세, 사보이 백작 (1334년 출생)
  • 3월 3일 - 우고 3세, 아르보레아 백작
  • 4월 30일 - 가네요시 친왕(가네요시 친왕일본어), 일본 남북조 시대의 황족 (1329년? 출생)
  • 6월 5일 - 드미트리 콘스탄티노비치, 러시아 공작 (1324년 출생)
  • 6월 8일 - 토마스 드 로스, 제4대 드 로스 남작, 잉글랜드 십자군 (1338년 출생)
  • 6월 15일 - 요하네스 6세 칸타쿠제노스, 비잔티움 제국 황제 (1292년 출생)
  • 7월 7일 - 자크 드 보, 라틴 황제 (칭호)
  • 10월 22일 - 페르난두 1세, 포르투갈 국왕 (1345년 출생)
  • 12월 7일 - 벤체슬라스 1세, 룩셈부르크 공작 (1337년 출생)
  • 12월 23일 - 보르본의 베아트리체, 보헤미아 왕비 (1320년 출생)
  • 12월 28일 - 요시카와 쓰네아키(요시카와 쓰네아키일본어), 일본 남북조 시대의 무장, 요시카와 씨 당주 (생년 미상)
  • 오사키 나오모치(오사키 나오모치일본어), 일본 남북조 시대의 무장, 무쓰 다자키 씨의 초대 당주 (1327년 출생)
  • 마테오스 칸타쿠제노스, 동로마 제국 공동 황제, 모레아 데스포타트 통치자 (1325년 출생)
  • 날짜 불명 - 라두 1세, 왈라키아 공작

참조

[1] 서적 The Routledge Companion to the Crusad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 웹사이트 Eugenius IV pope https://www.britanni[...] 2021-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