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리도조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리도조류는 단세포 해양 조류로, 규산질 판으로 덮인 부동성 형태와 2개의 편모를 가진 편모성 형태를 가진다. 엽록체는 황색이며, 광합성 색소와 관상 크리스타를 가진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한다. 부동성 세포는 5~8개의 규산질 판으로 덮여 있으며, 편모 세포는 긴 부등편모를 갖는다. 볼리도조류는 전 세계 해양에 분포하며, 환경 DNA 조사를 통해 다양한 지역에서 발견된다. 계통 분류상 규조류의 자매군이며, 파르마조라고도 불린다. 현생 볼리도조류는 3속 14종이 알려져 있으며, 주로 부동 세포의 플레이트 특징에 따라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볼리도조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Bolidophyceae Guillou & Chrétiennot-Dinet |
이명 | "Parmophyceae" van den Hoek et al. |
타입 속 | Bolidomonas Guillou & Chrétiennot-Dinet = Triparma B.C.Booth & H.J.Marchant |
영어 이름 | 볼리도피세안, 볼리도파이트 |
분류 | |
도메인 | 진핵생물 |
계통군 | 디아포레티케스 |
계통군 | SAR 슈퍼그룹 |
계통군 | 스트라메노파이 |
문 | 오크로식물문 |
계통군 | Diatomista |
강 | 볼리도조강 |
목 | 파르마목 |
하위 분류 | |
목 | Bolidomonadales Parmales |
2. 특징
볼리도조류는 단세포성이며, 규산질 판으로 둘러싸인 부동성 형태와, 나출된 상태에서 2개의 편모를 가진 편모성 형태가 알려져 있다[13](아래 그림 2). 이 두 가지 형태는 원래 볼리도조류의 생활환에서 서로 다른 세대라고 생각된다. 부동 세포, 편모 세포 모두 소형이며, 단핵성(핵은 1개)이다[21][22]
볼리도조류의 엽록체는 황색이며, 1개가 4중막으로 둘러싸여 있고, 핵막과 넓게 융합되어 있다.[21][22] 틸라코이드는 보통 3개씩 겹쳐 틸라코이드 라멜라를 구성하며, 다른 틸라코이드 라멜라를 감싸는 주변 라멜라(거들 라멜라)를 가진다.[21][22] 색소체 DNA는 이 내연을 따라 링 형태로 분포하며, 엽록체에 피레노이드는 없다.[21][22] 광합성 색소로는 클로로필 ''a'', ''c''1/''c''2, ''c''3, 푸코산틴, 디아지노산틴/디아톡산틴, 제아잔틴 , β-카로틴을 포함한다.[21][22] 관상 크리스타를 가진 미토콘드리아가 1개 존재한다.[21][22]
볼리도조류의 부동성 세포는 구형이며, 직경 2–5µm이다.[13] 5개 또는 8개의 규산질 판으로 덮여 있으며,[13] 판은 원형의 shield plate, ventral plate, 삼방사형의 dorsal plate, girdle plate의 3–4가지 유형으로 분화되어 있다.[13] 이들 규산질 판은 세포질 내에서 형성된 규산 침착 소포(SDV) 내에서 형성된다.[13] 볼리도조류에서 shield plate와 ventral plate를 형성하는 SDV는 엽록체 주위에 형성된 후 세포막 바로 아래로 이동하는 반면, dorsal plate와 girdle plate를 형성하는 SDV는 처음부터 세포막 바로 아래에 형성된다.[13]
부동성 세포 안에는 4개 이상의 짧은 중심립이 존재한다.[13][14] 핵분열 시에는 양극에 중심립이 위치하는 핵외 방추사가 형성되며, 이것이 핵막을 유지한 채 세포질 터널 내로 이동한다.[13][14] 이윽고 염색체 동원체에 접하는 핵막의 일부가 붕괴하여 염색체가 동원체 미세소관과 결합, 염색체가 양극으로 분배된다.[13][14]
볼리도조류의 편모 세포는 직경 1–1.7 µm이며, 측면(복면)에서 전후로 뻗어 있는 긴 부등편모를 가진다.[21] 전편모에는 관상 소모가 돋아 있으며, 관상 소모 끝에는 3개의 정단모가 있다.[21] 후편모는 전편모보다 짧고, 끝은 가늘어진다(아크로네마).[21] ''Bolidomonas''(''Bolid''는 프랑스어로 Bolide, 즉 레이싱카를 의미)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유영 속도는 매우 빠르다.[21]
미세소관성 편모근 등의 편모 장치는 확인되지 않았다.[21] 기저 소체와 편모의 이행부에는 2개의 기저판이 있으며, 나선 구조 (transitional helix)는 존재하지 않는다.[21] 골지체는 편모 기부 근처에 존재한다.[21] 엽록체는 세포 배측에 위치하며, 안점은 없다.[21] 편모 세포는 편모가 배가하여 이분열한다.[21]
2. 1. 부동성 세포
볼리도조류의 부동성 세포는 구형이며, 직경 2–5µm이다.[13] 5개 또는 8개의 규산질 판으로 덮여 있으며,[13] 판은 원형의 shield plate, ventral plate, 삼방사형의 dorsal plate, girdle plate의 3–4가지 유형으로 분화되어 있다.[13] 이들 규산질 판은 세포질 내에서 형성된 규산 침착 소포(SDV) 내에서 형성된다.[13] 볼리도조류에서 shield plate와 ventral plate를 형성하는 SDV는 엽록체 주위에 형성된 후 세포막 바로 아래로 이동하는 반면, dorsal plate와 girdle plate를 형성하는 SDV는 처음부터 세포막 바로 아래에 형성된다.[13]부동성 세포 안에는 4개 이상의 짧은 중심립이 존재한다.[13][14] 핵분열 시에는 양극에 중심립이 위치하는 핵외 방추사가 형성되며, 이것이 핵막을 유지한 채 세포질 터널 내로 이동한다.[13][14] 이윽고 염색체 동원체에 접하는 핵막의 일부가 붕괴하여 염색체가 동원체 미세소관과 결합, 염색체가 양극으로 분배된다.[13][14]
2. 2. 편모성 세포
볼리도조류의 편모 세포는 직경 1–1.7 µm이며, 측면(복면)에서 전후로 뻗어 있는 긴 부등편모를 가진다.[21] 전편모에는 관상 소모가 돋아 있으며, 관상 소모 끝에는 3개의 정단모가 있다.[21] 후편모는 전편모보다 짧고, 끝은 가늘어진다(아크로네마).[21] ''Bolidomonas''(''Bolid''는 프랑스어로 Bolide, 즉 레이싱카를 의미)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유영 속도는 매우 빠르다.[21]미세소관성 편모근 등의 편모 장치는 확인되지 않았다.[21] 기저 소체와 편모의 이행부에는 2개의 기저판이 있으며, 나선 구조 (transitional helix)는 존재하지 않는다.[21] 골지체는 편모 기부 근처에 존재한다.[21] 엽록체는 세포 배측에 위치하며, 안점은 없다.[21] 편모 세포는 편모가 배가하여 이분열한다.[21]
2. 3. 세포 소기관
볼리도조류의 엽록체는 황색이며, 1개가 4중막으로 둘러싸여 있고, 핵막과 넓게 융합되어 있다.[21][22] 틸라코이드는 보통 3개씩 겹쳐 틸라코이드 라멜라를 구성하며, 다른 틸라코이드 라멜라를 감싸는 주변 라멜라(거들 라멜라)를 가진다.[21][22] 색소체 DNA는 이 내연을 따라 링 형태로 분포하며, 엽록체에 피레노이드는 없다.[21][22] 광합성 색소로는 클로로필 ''a'', ''c''1/''c''2, ''c''3, 푸코산틴, 디아지노산틴/디아톡산틴, 제아잔틴, β-카로틴을 포함한다.[21][22] 관상 크리스타를 가진 미토콘드리아가 1개 존재한다.[21][22]3. 생활사
4. 분포 및 생태
볼리도조류는 전 세계 해양에 널리 분포하지만 종에 따라 다른 분포 패턴을 보인다. ''Tetraparma pelagica'', ''Triparma laevis'', ''Triparma columnacea'', ''Triparma retinervis'', ''Triparma strigata''는 극지방에서 아열대 지역까지 널리 분포한다.[13] 반면, ''Pentalamina corona''는 남극 지역, ''Tetraparma catinifera'', ''Triparma verrucosa''는 북극 지역에 국한되지만, ''Tetraparma gracilis''는 양극 지방에 분포한다.[13] ''Tetraparma insecta'', ''Tetraparma silverae'', ''Tetraparma trullifera''는 아열대 지역에 국한되어 있으며, ''Triparma mediterranea''는 거의 지중해에 국한되어 있다.[13]
광범위한 환경 DNA 조사(Tara Oceans)에 따르면 볼리도조류는 피코플랑크톤 분획(직경 0.8–5 µm)에 존재하며, 리드 수는 최대 4%, 평균 1% 정도였다.[13] 북극·남극 지역에서는 최대 12%에 달한 예도 보고되었다.[13] 또한 담수역에서도 볼리도조류에 해당하는 환경 DNA가 보고되고 있다.[16]
볼리도조류의 비운동성 세포는 한수기에는 표층에서 심수층까지 분포하지만, 온수기에는 심수층에 국한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3] 다만, 편모 세포는 온수기에 표층에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13]
비운동성 볼리도조류의 외피와 매우 유사한 구조는 요각류나 크릴새우의 배설물에서 보고되었으며, 이러한 동물 플랑크톤의 먹이가 될 가능성이 있다.[13] 또한, 볼리도조류의 주요 포식자는 칼라 원생동물과 같은 소형 원생생물로 생각되지만,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13]
''Triparma laevis''와 ''Triparma strigata''의 배양주를 사용한 조사에 따르면, 비운동성 세포의 증식 온도는 0–10°C로 보고되었다.[13] 반면 편모 세포의 증식 온도는 그보다 높으며, ''Triparma eleuthera''의 편모 세포의 증식 온도는 16–24°C로 보고되었다.[13]
볼리도조류와 근연인 조류인 규조류는 규산질로 이루어진 각을 가지고 있어, 규산이 없으면 증식할 수 없다.[13] 반면 볼리도조류는 규산질 외피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규산이 없어도 증식할 수 있다.[13] 고농도(100 µM)의 규산 존재 하에서는 완전한 규산질 판을 형성하지만, 저농도(10 µM)에서는 일부 규산질 판을 결여하며, 규산 농도 1 µM 이하가 되면 규산질 판을 결여하지만, 증식은 가능하다.[13] 또한, 여기에 규산을 첨가하면 다시 규산질 판을 형성한다.[16]
5. 계통 분류
다음은 대롱편모조식물의 계통 분류이다.[29][30]
{| class="wikitable"
|-
|대롱편모조식물
|-
|
{| class="wikitable"
|-
|카키스타류
|-
|
|-
|파에이스타류
|-
|
{| class="wikitable"
|-
|Hypogyrista
|-
|
|-
|Chrysista
|-
|
{| class="wikitable"
|-
|Eustigmista
|-
|
|-
|
{| class="wikitable"
|-
|Phagochrysia
|-
|
{| class="wikitable"
|-
|피코파구스강
|-
|
{| class="wikitable"
|-
|신크로마강
|-
|
Leukarachnion |
황조류 |
|}
|}
|-
|Xanthophytina
|-
|
{| class="wikitable"
|-
|침편모조류
|-
|
{| class="wikitable"
|-
|갈조류
|-
|
{| class="wikitable"
|-
|크리소메리스강
|-
|
|}
|}
|}
|}
|}
|}
|}
볼리도조류는 규조류의 자매군이다.[21][12] 1970년대에 처음 발견되었을 때는 칼라모나스의 휴면 세포로 생각되었으나,[17][18] 엽록체가 확인되면서 규조류 및 황금색조류 등 이형털조류와의 유연성이 시사되었다.[16][13][20] Booth & Marchant (1987)는 이들을 황금색조류강의 새로운 목인 파르마목()으로 분류했고,[19] 이 때문에 파르마조라고도 불린다.[16]
Guillou et al. (1999)는 태평양과 지중해에서 발견된 편모조류를 바탕으로 볼리도조강()을 설립하고,[13][21] 분자 계통 분석을 통해 규조류의 자매군임을 강력히 시사했다.[21][12]
Ichinomiya et al. (2011)의 연구로 파르마조가 볼리도조류와 동일 계통군임이 밝혀져,[13][22] 파르마목을 볼리도조강으로 분류하는 것이 제안되었다.[13][23]
2023년 현재 현생 볼리도조류는 3속 14종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8][13] 주로 부동 세포의 플레이트 특징 및 분자 형질에 기초해 분류된다.[16][13] 환경 DNA 조사를 통해 실체가 불분명한 계통군도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13] 볼리도조류(파르마조)의 화석 기록은 최소한 후기 백악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24]
5. 1. 계통
다음은 대롱편모조식물의 계통 분류이다.[29][30]{| class="wikitable"
|-
|대롱편모조식물
|-
|
{| class="wikitable"
|-
|카키스타류
|-
|
|-
|파에이스타류
|-
|
{| class="wikitable"
|-
|Hypogyrista
|-
|
|-
|Chrysista
|-
|
{| class="wikitable"
|-
|Eustigmista
|-
|
|-
|
{| class="wikitable"
|-
|Phagochrysia
|-
|
{| class="wikitable"
|-
|피코파구스강
|-
|
{| class="wikitable"
|-
|신크로마강
|-
|
Leukarachnion |
황조류 |
|}
|}
|-
|Xanthophytina
|-
|
{| class="wikitable"
|-
|침편모조류
|-
|
{| class="wikitable"
|-
|갈조류
|-
|
{| class="wikitable"
|-
|크리소메리스강
|-
|
|}
|}
|}
|}
|}
|}
|}
볼리도조류는 규조류의 자매군으로, 1970년대에 처음 발견되었으며,[17] 처음에는 칼라모나스의 휴면 세포로 생각되었다.[18] 그러나 엽록체의 존재가 확인되었고,[16][13] 규조류와 황금색조류 등 이형털조류와의 유연성이 시사되었다.[20] Booth & Marchant (1987)는 이 조류군을 황금색조류강의 새로운 목인 파르마목()으로 분류했으며,[19] 이 때문에 파르마조라고도 불린다.[16]
Guillou et al. (1999)는 태평양과 지중해에서 발견된 편모조류를 바탕으로 볼리도조강()을 설립했으며,[13][21] 분자 계통 분석을 통해 볼리도조류가 규조류의 자매군임을 강력하게 시사했다.[21][12]
Ichinomiya et al. (2011)의 연구를 통해 파르마조가 볼리도조류와 동일한 계통군에 속한다는 것이 밝혀졌으며,[13][22] 파르마목을 볼리도조강에 분류하는 것이 제안되었다.[13][23]
2023년 현재, 현생 볼리도조류는 3속 14종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8][13] 주로 부동 세포를 덮는 플레이트의 특징 및 분자 형질에 기초하여 분류된다.[16][13] 또한 환경 DNA 조사를 통해 실체가 불분명한 몇몇 계통군의 존재가 시사되고 있다.[13] 볼리도조류(파르마조)의 화석 기록은 적어도 후기 백악기로 거슬러 올라간다.[24]
볼리도조강의 분류 체계는 다음과 같다.[8][13]
볼리도조강 & | ||||||||||||||
* 파르마목 & | : 시노님: 볼리도모나스목 & | * † & | † & | * 펜타라미나과 | : 원형 shield plate 2개, 큰 ventral plate 1개, 삼방사형 girdle plate 2개。 | † & | * 트리파르마과 & | *: 시노님: 볼리도모나스과 & | : 원형 shield plate 2개, 소형 ventral plate 1개, 삼방사형 dorsal plate 1개와 girdle plate 3개。 | & | : 시노님: & | **: 원형 shield plate 2개, 대형 ventral plate 1개, 삼방사형 dorsal plate 1개와 girdle plate 3개。 단, 규산질 플레이트를 갖지 않는 편모 세포만 알려진 종도 포함된다. |
5. 2. 분류
1970년대에 볼리도조류의 부동 세포가 처음 발견되었을 때는 칼라모나스강의 시스트(휴면 세포)로 추정되었다.[17][18] 그러나 엽록체의 존재와 이형털조류와의 유연성이 시사되었고,[16][13] Booth & Marchant (1987)는 이 조류군을 황금색조류강의 새로운 목인 '''파르마목'''(Parmales)으로 분류했다.[19] 파르마조의 규산질 플레이트는 일부 규조류의 증대 포자를 덮는 규산질 인편과 유사하여 규조류와의 유연성이 시사되었다.[20]Guillou et al. (1999)는 태평양과 지중해에서 발견한 편모조류를 바탕으로 볼리도조강(Bolidophyceae)을 설립하고, 규조류의 자매군임을 시사했다.[13][21][12] Ichinomiya et al. (2011)의 연구를 통해 파르마조가 볼리도조류와 동일 계통군임이 밝혀졌고, 파르마목을 볼리도조강에 분류하는 것이 제안되었다.[13][22] 또한 Bolidomonas영어는 Triparma영어와 거의 동일한 생물의 생활환에서의 다른 세대라는 것이 밝혀져, Bolidomonas영어는 Triparma영어에 포함되었다.[13][23]
2023년 현재, 현생 볼리도조류는 3속 14종 정도가 알려져 있으며,[8][13] 주로 부동 세포의 플레이트 특징 및 분자 형질에 기초하여 분류된다.[16][13] 과와 속의 분류는 플레이트의 배열 양식에 기초한다.[16][13] 환경 DNA 조사를 통해 실체가 불분명한 계통군이 존재할 가능성도 시사되고 있다.[13] 볼리도조류의 화석 기록은 후기 백악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24]
5. 3. 하위 분류
볼리도조강(Bolidophyceae)은 1999년에 Guillou & Chretiennot-Dinet에 의해 설정되었다.[28][7] 파르마목(Parmales)은 Booth & Marchant가 1987년에 황금색조류강의 새로운 목으로 분류했으며,[19] 이 조류는 파르마조라고도 불린다.[16]Guillou et al. (1999)의 연구에서 볼리도조류가 규조류의 자매군이라는 것이 밝혀졌다.[13][21][12] 이후 파르마조가 볼리도조류와 동일 계통군에 속한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파르마목을 볼리도조강에 분류하는 것이 제안되었다.[13][22]
2023년 현재, 현생 볼리도조류는 3속 14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8][13] 주로 부동 세포에서 세포를 덮는 플레이트의 특징 및 분자 형질에 기초하여 분류되며, 특히 과와 속의 분류는 플레이트의 배열 양식에 기초한다.[16][13] 또한 환경 DNA 조사를 통해 실체가 불분명한 몇몇 계통군의 존재가 시사되고 있다.[13] 볼리도조류(파르마조)의 화석 기록은 적어도 후기 백악기로 거슬러 올라간다.[24]
볼리도조류 3속의 부동 세포에서의 규산질 플레이트 구성은 아래와 같다.
볼리도조류의 분류 체계는 아래 표와 같다.[8][13]
참조
[1]
논문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2015
[2]
논문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ttps://hal.archives[...]
2016
[3]
웹사이트
Alverson Lab, University of Arkansas
https://diatoms.org/[...]
[4]
논문
Bolidomonas: A New Genus with Two Species Belonging to a New Algal Class, the Bolidophyceae (Heterokonta)
http://epic.awi.de/1[...]
1999-04
[5]
논문
Phylogenetic analyses of Bolidophyceae (Heterokontophyta) using gene sequences support their sister group relationship to diatoms
2001-03
[6]
논문
Diversity and oceanic distribution of the Parmales (Bolidophyceae), a picoplanktonic group closely related to diatoms
http://hal.upmc.fr/h[...]
2018-04-06
[7]
간행물
AlgaeBase
http://www.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2016-10-25
[8]
웹사이트
Class Bolidophyceae
https://www.algaebas[...]
2024-05-03
[9]
웹사이트
Order Parmales
https://www.algaebas[...]
2024-05-11
[10]
서적
Algae: An introduction to phy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1]
서적
The Diatom World
Springer Dordrecht
[12]
논문
Phylogenetic analyses of Bolidophyceae (Heterokontophyta) using rbc L gene sequences support their sister group relationship to diatoms
[13]
논문
Bolidophyceae, a sister picoplanktonic group of diatoms–a review
[14]
논문
Mitotic spindle formation in ''Triparma laevis'' NIES-2565 (Parmales, Heterokontophyta)
[15]
논문
Transcriptomic insights into the life history of bolidophytes, the sister lineage to diatoms
[16]
논문
培養株確立によって明らかとなってきた未知の藻類: パルマ藻
[17]
논문
北太平洋における現生コッコリソフォリーデ の分布
[18]
논문
Siliceous nanoplankton. II. Newly discovered cysts and abundant choanoflagellates from the Weddell Sea, Antarctica
[19]
논문
Parmales, a new order of marine chrysophytes, with descriptions of three new genera and seven new species
[20]
서적
The Chromophyte Algae: Problems and Perspectives
Clarendon Press
[21]
논문
"Bolidomonas: a new genus with two species belonging to a new algal class, the Bolidophyceae (Heterokonta)"
[22]
논문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armales (Heterokonta/Heterokontophyta/Stramenopiles) from the Oyashio region
[23]
논문
Diversity and oceanic distribution of the Parmales (Bolidophyceae), a picoplanktonic group closely related to diatoms
[24]
논문
Re-examination of ''Archaeomonas mirabilis'' from the Late Cretaceous reveals its true identity as the oldest known fossil Parmales (Bolidophyceae)
[25]
논문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http://journals.plos[...]
2015
[26]
논문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ttps://hal.archives[...]
2016
[27]
웹사이트
Alverson Lab, University of Arkansas
https://diatoms.org/[...]
[28]
간행물
AlgaeBase
http://www.algaebase[...]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2016-10-25
[29]
논문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2015
[30]
논문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ttps://hal.archives[...]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