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록조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황록조류는 단세포 또는 군체를 이루는 조류로, 엽록소 a와 c, 갈조소 등을 포함하는 특징을 가진다. 저장 물질로는 크리소라미나란을 가지며, 유주 세포는 길이가 다른 두 개의 편모를 갖는다. 체제는 단세포성, 군체성, 사상성, 다핵낭상성 등 다양하며, 세포 구조는 단핵에서 다핵까지 존재한다. 생식은 유주자나 자생 포자에 의해 이루어지며, 유성 생식은 드물게 관찰된다. 대부분 담수 정지 수역에 서식하며, 일부는 토양이나 해양에서도 발견된다. 분류 체계는 여러 차례 개정되었으며, 계통 분류상 다양한 그룹으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황록조류 - 풍선말과
풍선말과는 털말과의 하위 분류로, 아스테로시폰속, 풍선말속, 폴리클로리스속을 포함하며, 각 속은 특정 종 수를 가진다. - 황록조류 - 바우케리아과
바우케리아과는 물가닥말목에 속하는 조류 과로, 바우케리아속, 바우케리오프시스속, Vaucheriella속, Pseudodichotomosiphon속 등을 포함하며, 각 속은 다양한 종 또는 유일종을 가진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황록조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일반 정보 | |
![]() | |
| 학명 | Xanthophyceae |
| 명명자 | P.Allorge ex F.E.Fritsch, 1935 |
| 이명 | Heterokontae Luther, 1899 Heterochloridia Pascher, 1912 Tribophyceae Hibberd, 1981 Heteromonadida Leedale, 1983 Xanthophyta Hibberd, 1990 |
| 한국어 이름 | 황록색조강, 황록조강, 황록조, 황색편모조류 |
| 영어 이름 | yellow-green algae, xanthophytes, xanthophyceans, tribophytes, tribophyceans |
| 설명 | 식물 분류 및 생물 체계학 |
| 하위 분류 | |
| 하위 분류 | 본문 참조 |
2. 특징
황록조류는 단세포 또는 군체를 이루며, 대부분 현미경적 크기이지만 육안으로 볼 수 있는 것도 있다. 황조식물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47]
- 세포 내에 분화된 세포 기관을 갖는다.
- 동화 색소로서 엽록소 a와 엽록소 c 외에 갈조소(푸코크산틴) 등을 갖는다.
- 동화 저장 물질은 탄수화물의 일종인 크리소라미나린(전에는 로이코신 또는 류코신이라 불렀다)을 가진다.
- 유주자 세포에는 원칙적으로 길이가 다른 2개의 편모가 옆에 나 있다.
- 앞쪽에 난 긴 편모는 깃꼴 편모이며, 뒤쪽에 난 짧은 편모는 채찍꼴 편모이다.
- 2쌍의 세포편으로 싸인 내생 포자를 가진 것이 많다.
- 체세포는 2쌍의 세포편으로 되어 있는 것이 많다.
황록조류의 체제, 세포 구조, 세포벽, 편모 세포, 생식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라.
2. 1. 체제
황록조류는 단세포, 군체, 사상체, 다핵낭상 등 다양한 체제(몸의 구조)를 가진다.[47][48][37]- 단세포성: 세포벽으로 둘러싸인 부동성이며, 구형(보트리디오프시스속), 원통형(오피오키티움속; 그림 2a), 방추형으로 기질에 부착(카라키오프시스속; 그림 2b)하는 형태 등이 있다.[31][66][40]
- 군체성: 한천질에 싸인 팔멜라상 군체(그림 2c)나 세포가 밀착된 살시나상 군체(그림 2d)를 형성한다. 미스코코쿠스속은 분지하는 한천질 자루 끝에 구형 부동 세포가 존재한다.[66][31]
- 사상체: 트리보네마속과 같이 분지하지 않는 단열 사상체(그림 2e)나, 헤테로코쿠스속처럼 분지하는 사상체(그림 2f, g)가 있다.[31][66][40]
- 다핵낭상: 후센모속은 직경 수 mm에 달하는 다핵낭상부와 여기서 땅속으로 뻗는 분지된 가근부로 구성되며, 격벽이 없다.[31][40](그림 2h) 후시나시미드로속은 격벽이 없고 성기게 분지하는 사상체로 구성되며(그림 2i), 육안으로 보이는 매트를 형성하기도 한다.[31][66][40]
황록조류 중에는 단세포 편모성 및 아메바성 종도 보고되었지만,[47][48][37](그림 5a, b) 이들 중 상세한 연구를 통해 황록조류로 확인된 예는 없다.[47][69]
2. 2. 세포 구조
황록조류의 세포는 핵이 1개인 단핵성에서 핵이 여러 개인 다핵성까지 다양하다.[47] 핵분열 과정은 자세히 조사된 예가 적지만, 중심체가 양극에 위치하고 핵분열 중에도 핵막이 유지되는 완전한 폐쇄형 핵분열이 보고되었다.[47][48]보통 여러 개의 골지체가 핵에 면해 존재하지만, 후시나시미드로속에서는 골지체가 소포체(ER)와 미토콘드리아에 밀접하게 붙어있다.[47]
엽록체는 녹색을 띠며 보통 판 모양이고, 세포 외곽을 따라 1개에서 여러 개가 존재한다.[34][47][37][40] 엽록체의 가장 바깥쪽 막은 종종 핵막과 연결되어 있다.[34] 틸라코이드는 보통 3개씩 겹쳐져 틸라코이드 라멜라를 형성한다.[47][37][36] 보통 주변 라멜라(가드 라멜라)를 가지며, 색소체 DNA는 그 안쪽을 따라 고리 형태로 존재하지만, 주변 라멜라가 없고 색소체 DNA가 분산된 경우(Bumilleriala, Bumilleriopsisla 등)도 있다.[34][47][48][37][36]
엽록체는 많은 녹조류에서 보이는 뚜렷한 피레노이드가 없지만, 자세히 관찰하면 대부분 반매몰형(엽록체 표면에 위치하며 세포 안쪽으로 약간 돌출) 피레노이드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7][37] 이 피레노이드 기질에는 약간 떨어져 평행하게 늘어선 틸라코이드 라멜라가 가로지르고 있다.[47] 다른 이형편모조류에서 보고된 것처럼 피레노이드 바깥쪽을 덮는 캡 모양 소포는 보고되지 않았다.[47] 다만, 지질 과립(plastoglobuli)이 피레노이드 표면에 모여 있는 경우가 있다.[47] 또한, Tribonema viridela와 Vaucheria woroninianala에서는 기질 속에 틸라코이드가 들어가지 않은 돌출형 피레노이드 유사 구조가 보고되었지만, 이 구조가 실제로 피레노이드에 해당하는지는 명확하지 않다.[47]
클로로필로는 ''a'', ''c''1, ''c''2를 가지지만, 클로로필 ''c''의 양은 매우 적어 ''a'':''c'' 비율이 55:1에서 116:1 정도인 것으로 보고되었다.[34][47][36][48] 과거에 클로로필 ''e''가 보고된 적이 있지만, 이후 발견되지 않았다.[47] 카로티노이드로는 디아디노크산틴, 디아톡산틴, 헤테로크산틴, 보우케리아크산틴 에스테르, β-카로틴 등을 가진다.[34][47][48][36][43][44] 일부 종에서는 네오크산틴이나 크립토크산틴 모노에폭사이드 등이 소량 보고되었다.[47][44] 다른 이형편모조류에 흔한 푸코크산틴이 없기 때문에 '''엽록체는 녹색에서 황록색을 띤다'''.[47][37][40] 고농도 염산으로 처리하면 일부 종(전부는 아님)에서 청록색을 띠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크산토필 변화 때문으로 추정된다.[47] 다만, Pleurochloridellala 등은 푸코크산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파에오탐니온강으로 분류되었지만,[68] 계통적으로는 황록조류 기저에 위치하여 황록조류강으로 분류되기도 한다.[67][69]
저장 다당류는 다른 이형편모조류와 마찬가지로 β-1,3/1,6 글루칸인 크리소라미나린이며, 소포에 저장된다.[47][36] 엽록체 색깔이 매우 비슷한 녹조류와는 달리 녹말(α-1,4글루칸)을 저장하지 않아 요오드화 칼륨 용액으로 염색되지 않는다.[47][43][40][36] 또한, 세포질에 지질을 비교적 많이 저장한다.[40]
2. 3. 세포벽
황록조류의 세포는 보통 세포벽으로 둘러싸여 있다[47][37]。일반적인 세포벽처럼 하나로 이어진 경우도 있지만, 일부 황록조류는 반구형에서 원통형으로 점차 얇아지는 가장자리로 겹쳐진 두 부분으로 구성된 세포벽을 갖는다[47][37][40]。하지만 통상적인 상태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뚜렷하지 않다. 메틸렌 블루나 콩고 레드 등으로 염색하거나, 수산화 칼륨이나 수산화 나트륨 등의 알칼리 용액으로 세포벽을 변성시키거나, 유주자 방출로 모세포가 열개되는 등의 경우에 처음으로 두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47]。
이 두 부분은 크기가 같은 경우부터 극단적으로 다른 경우까지 다양하다. 트리보네마속(''Tribonema'') 등 사상성 종에서는 인접한 세포의 부분이 합쳐져 종단면에서 H형 구조를 이룬다[47][37][36]。
대부분의 황록조류(전부는 아님) 세포벽은 산에 의한 가수분해 처리 없이도 시프 시약에 강한 양성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이유는 명확하지 않다[47]。세포벽 조성에 대한 연구는 적지만, 셀룰로스가 포함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다[47][40][36]。두 부분으로 구성된 세포벽은 주성분이 산성 펙틴이라고 여겨지기도 한다[47][36]。또한 규산질을 포함한다는 보고도 있다[40]。
2. 4. 편모 세포
황록조류는 생활환 중 일시적인 시기에 유주자 등의 형태로 편모를 가진 세포를 형성한다.[47] 편모세포는 세포 아정단에서 생겨 앞뒤로 뻗어 있는 2개의 부등편모를 가진다.[47][37][36][48] 일반적으로 전편모가 더 길지만, 푸시나시미드로의 정자에서는 후편모가 더 길다.[47] 다른 스트라메노필과 마찬가지로, 전편모에는 관상 소모가 부착되어 있다.[47][37][48] 관상 소모의 선단모는 2개이다.[47]보통 후편모 기부에는 편모 팽윤부가 있으며, 1층의 색소 과립으로 이루어진 엽록체 내의 안점에 상대하고 있다.[47][37][40][36][48] 편모와 기저 소체의 이행부에는 1중 또는 2중 나선 구조(transitional helix)가 존재한다.[47][48][37] 편모세포에는 보통 2개의 엽록체가 세포 배복면에 배치되어 있지만, 복측에만 1개가 있는 경우도 있다.[47] 푸시나시미드로 정자는 엽록체를 갖지 않으며, 안점도 존재하지 않아 주광성을 나타내지 않는다.[47][36] 또한 푸시나시미드로 정자는 세포 전단에 프로보시스(proboscis)라고 불리는 설상 돌출 구조가 있으며, 미세관성 편모근 일부(root 3)가 발달한 것으로 지지된다.[47][37][36][40] 핵은 복측 엽록체에 접해 존재하며, 그 전방에 1개의 골지체, 전방에 수축포(삼투압 조절 구조)가 있다.[47][37][36][48] 편모세포 세포질에는 보통 내용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소포가 존재하며, 착생과 세포벽 형성에 관여한다고 생각된다.[47]
푸시나시미드로속 유주자(집합 유주자)는 대형이며 다수의 편모, 핵, 엽록체를 포함하는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모두 관상 소모를 갖지 않은 2개의 아등장 편모가 짝을 이루어 세포 전체에서 생겨난다.[47][37][36] 안점을 가지지 않으며, 주광성을 나타내지 않는다.[36] 편모 쌍 기부에는 각각 핵이 존재한다.[47][37]
2. 5. 생식
황록조류는 일반적으로 유주자(편모를 가진 포자)나 자생 포자(모세포와 같은 형태를 한 포자)에 의해 무성 생식을 한다[47][37][40]。 부동 포자(유주자와 유사하지만 편모를 가지지 않는 포자)를 형성하는 경우도 알려져 있다[47][40]。 사상성 종은 세포 분열에 의해 성장하며, 분단화에 의해서도 무성 생식을 한다[47][37]。 부셰리아속은 사상체의 선단부 원형질이 절단되어 다핵 다편모의 유주자(집합 유주자, 집합성 유주자 synzoospore)를 형성하며, 이것에 의해 무성 생식을 한다[47][37][36]。편모성 또는 아메바성 종은 2분열에 의해 무성 생식을 한다[47]。 이러한 종 중에는 내생적으로 세포벽을 형성하여 시스트가 되는 것도 보고되어 있다[47]。
유성 생식이 알려진 예는 극히 드물다[47]。 보트리디움속에서는 2개의 편모를 가진 동형 또는 이형 배우자의 접합에 의한 접합자 형성이 보고되어 있다[47][37]。 부셰리아속은 특별한 유성 생식 기관을 형성하며, 난기에서 형성된 난자와 조정기에서 형성된 2개의 편모를 가진 정자 사이에서 난생식을 한다[47][37]。 부셰리아속의 접합자(난포자 oospore)는 두꺼운 세포벽을 가지며 내구 세포로 기능하며, 발아하여 영양체를 형성할 때 감수 분열을 한다고 여겨졌지만[47][37][31], 배우자 형성 시 감수 분열을 한다는 것이 시사되고 있다[48]。
부셰리아의 난포자를 제외하고, 황록조류에서는 내구 세포의 보고는 적지만, 일부 종에서는 세포벽이 두꺼워져 아키네트(akinete)를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47][37]。 일부 종에서는 2개의 파트로 구성된 세포벽으로 둘러싸인 특수한 포자를 형성하는 것이 보고되어 있다[47]。
3. 생태
황록조류는 대부분 담수 정지 수역에 서식하며, 특히 고층 습원과 같이 pH가 낮은 환경에 많다.[47][37] 보통 개체 수는 적고 드물게 존재하며, 눈에 띄는 경우는 적지만, 트리보네마속(Tribonemala)은 대량 증식하여 수면에 조괴(藻塊)를 형성하기도 한다.[47][36][48] 토양에 서식하는 경우도 적지 않으며, 남극 등에서도 발견된다.[47][48][49][50] 또한, 설상(雪上)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51] 풍선말속(Botrydiumla)은 습한 토양 위에서 많이 발견된다.[40][31] 부세리아속(Vaucheriala)은 담수, 기수, 해수역의 흙 위나 육지의 토양 위에 서식하며, 장소에 따라 매트를 형성한다.[47][40][31]
낭설류바다 달팽이의 일종인 엘리시아 클로로티카(Elysia chloroticala)는 알에서 부화한 후 염습지에 서식하는 황록조류인 Vaucheria litoreala를 먹고, 그 엽록체를 자신의 세포 기관(식엽체)으로 보존하여 평생 광합성을 하며 살아간다.[47][52][53]
Heterococcusla는 지의류의 아나이보고사속(Verrucariala; 자낭균문유로티움강)의 공생 조류가 되기도 한다.[47]
Trypanochloris clausiliaela는 육생 갯민달팽이 껍질 위에서만 보고되고 있다.[54]
4. 계통 분류
다음은 대롱편모조식물의 계통 분류이다.[71][72]
{| class="wikitable"
|-
! 대롱편모조식물
|-
|
{| class="wikitable"
|-
! 카키스타류
|-
|
|-
! 파에이스타류
|-
|
{| class="wikitable"
|-
! Hypogyrista
|-
|
|-
! Chrysista
|-
|
{| class="wikitable"
|-
! Eustigmista
|-
|
|-
|
{| class="wikitable"
|-
! Phagochrysia
|-
|
{| class="wikitable"
|-
| 피코파구스강
|-
|
{| class="wikitable"
|-
| 신크로마강
|-
|
| Leukarachnionla |
| 황조류 |
|}
|}
|-
! Xanthophytina
|-
|
{| class="wikitable"
|-
| 침편모조류
|-
|
{| class="wikitable"
|-
| 갈조류
|-
|
{| class="wikitable"
|-
| 크리소메리스강
|-
|
| 파이오탐니오조류 |
| 황록조류 |
|}
|}
|}
|}
|}
|}
|}
|}
황록조류에 속하는 종들은 이전에는 녹조강에 포함되었다.[8] 1899년 뤼터(Lüther)는 길이가 다른 편모를 가진 녹조류를 위해 Heterokontae라는 그룹을 만들었다. 아돌프 파셔 (1914)는 Heterokontae를 황금조류에 포함시켰다. 1930년, 알로르제(Allorge)는 이 그룹을 황록조류로 개명했다.
단세포 편모 조류인 모나드형 종과 때로는 아메바형 종은 일부 저자에 의해 원생동물 또는 원생생물에 포함되기도 했다.[9][10]
4. 1. 하위 분류
황록조류는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풍선말목 (Botrydiales) - 풍선말
- 꼭지말목 (Mischococcales)
- 리조클로리스목 또는 헛발녹색말목 (Rhizochloridales)
- 트리보네마목 (Tribonematales)
- 바우케리아목 (Vaucheriales) - 바우케리아
- 미분류 목
- ''Dictyosphaeriopsis''
- ''Groenlandiella''
- ''Pelagocystis''
- ''Pseudopleurochloris''
- ''Raphidosphaera''
- ''Xanthophycomonas''
19세기에는 엽록체 색깔이 비슷하여 녹조류로 분류했다.[47] [36] 그러나 19세기 말부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 조류군으로 인식되었다.[47]
- 명확한 피레노이드가 없다.
- 판 모양의 황록색 엽록체를 가진다.
- 저장 물질로서 전분이 없고 지질을 가진다.
- 2개의 측성 엽록체와 1개의 편모를 가진 편모 세포를 형성한다. (실제로는 앞뒤로 뻗은 2개의 불등편모이지만, 당시에는 오해했다.)
처음에는 Confervales로 녹조류의 한 무리로 분리했지만, 곧 독립된 분류군으로 취급되었고, 불등모강 (Heterokontae)이나 황록조류강 (황록조강, Xanthophyceae)으로 불렀다.[47] 20세기 전반에는 아돌프 파셔에 의해 다수의 황록조류가 기재되었다.[47]
약 90속 600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47] [30] 하지만 대부분의 황록조류는 드물게 발견되며, 최초 기재 이후 보고가 없는 것도 많다.[47] 특히 편모성을 가진 클로라모에바목(아래 그림 5a)이나 아메바성인 리조클로리스목(아래 그림 5b) 중에서, 확실하게 황록조류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난 예는 없다.[47] [69] 아메바성인 클로라라크니온(아래 그림 5c)이나 클라미도믹사는 과거 황록조류강으로 분류했지만, 이후 연구에서 황록조류가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전자는 켈코조아문 클로라라크니온조강, 후자는 오크로식물문 신크로마조강에 속한다.[55] [56] [57] [58]
또한, 황록조류강으로 분류했던 조류의 일부는 세포의 미세 구조, 편모 세포의 형태, 광합성 색소 조성 등이 전형적인 황록조류와는 다르다는 것이 밝혀져, 진정안점조강으로 나뉘었다.[59] [60] [61] [62] 진정안점조강은 황록조류강과 마찬가지로 오크로식물문에 속하지만, 계통적으로 가깝지 않다. 황록조류 중에는 진정안점조강으로 옮겨야 할 조류가 아직 남아 있다고 생각된다.[47] [69]
황금색 조류로 분류했던 몇몇 조류가 계통적으로 다르다는 것이 나타나, 새로 설립된 파에오타무니온조강으로 분류했다.[68] 설립 당시부터 파에오타무니온조강에는 2개의 계통군 (파에오타무니온목, 플레우로클로리데라목)이 존재했지만, 이후 연구에서 후자는 황록조류의 자매군이라는 것이 나타났다.[63] [65] 그래서 플레우로클로리데라목(Phaeobotrysla, Pleurochloridellala 포함)을 황록조류강으로 분류하기도 한다.[67] [69]
황록조류는 대략 체제에 따라 분류된다.[30] [47] (아래 표 1). 하지만, 분자 계통학 연구에서 이 분류군의 대부분이 단계통이 아니라는 것이 나타났고 (아래 그림 6), 이 분류 체계는 계통 관계를 반영하지 않는다.[63] 몇몇은 속 수준에서도 단계통군이 아니라는 것도 나타났다.[63] 황록조류의 대부분은 드물게 발견되기 때문에, 상세하게 연구된 종은 제한되어 있고, 계통 관계를 반영한 분류 체계의 재구축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023년 현재). 후시나시미도목과 그 외 (트리보네마목)의 2목으로 나눈 체계도 있지만[64], 이 체계도 명백히 계통 관계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47]
4. 2. 계통
다음은 대롱편모조식물의 계통 분류이다.[71][72]{| class="wikitable"
|-
! 계통 분류
|-
|
{| class="wikitable"
|-
! 대롱편모조식물
|-
|
{| class="wikitable"
|-
! 카키스타류
|-
|
|-
! 파에이스타류
|-
|
{| class="wikitable"
|-
! Hypogyrista
|-
|
|-
! Chrysista
|-
|
{| class="wikitable"
|-
! Eustigmista
|-
|
|-
|
{| class="wikitable"
|-
! Phagochrysia
|-
|
{| class="wikitable"
|-
| 피코파구스강
|-
|
{| class="wikitable"
|-
| 신크로마강
|-
|
| Leukarachnion |
| 황조류 |
|}
|}
|-
! Xanthophytina
|-
|
{| class="wikitable"
|-
| 침편모조류
|-
|
{| class="wikitable"
|-
| 갈조류
|-
|
{| class="wikitable"
|-
| 크리소메리스강
|-
|
| 파이오탐니오조류 |
| 황록조류 |
|}
|}
|}
|}
|}
|}
|}
|}
|}
황록조류에 속하는 종들은 이전에는 녹조강에 포함되었다.[8] 1899년 뤼터(Lüther)는 길이가 다른 편모를 가진 녹조류를 위해 Heterokontae라는 그룹을 만들었다. 파셔(Pascher, 1914)는 Heterokontae를 황금조류에 포함시켰다. 1930년, 알로르제(Allorge)는 이 그룹을 황록조류로 개명했다.
단세포 편모 조류인 모나드형 종과 때로는 아메바형 종은 일부 저자에 의해 원생동물 또는 원생생물에 포함되어 왔다.[9][10] 예를 들어, Heterochloridina(예: Doflein and Reichenow, 1927-1929[11])의 형태로, Xanthomonadina 강으로, Heterochloridea 및 Rhizochloridea 목으로(예: Deflandre, 1956[12]), Heterochlorida 목으로 (예: Hall, 1953,[13] Honigberg 외, 1964[14]), Heteromonadida 목으로(예: Leedale, 1983[15]), 또는 Heterochloridia 아강으로(예: Puytorac 외, 1987[16]) 분류되었다. 이러한 그룹은 양계통 원생생물이라고 불리며, ICZN과 ICN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따라 이러한 그룹의 이름이 출판되었다.
Lüther (1899)에 따른 분류:[19][20]
| 강 | 이분포조강 |
|---|---|
| 목 |
| 강 | 이분편모조강 |
|---|---|
| 목 |
Fritsch (1935)는 황록조류 강에서 다음의 목들을 인정했다:[22]
| 목 | 과 | 예시 |
|---|---|---|
| 녹색미세편모조목 | ||
| 녹색구균목 | ||
| 녹색사상목 | ||
| 녹색사이폰목 | 곤봉말과 | 곤봉말 |
스미스(1938)의 분류에서, 황록조강에는 6개의 목이 있으며, 이는 황금조식물문에 속한다.
| 목 | 예시 |
|---|---|
| 이색클로리스목 | 클로로크로모나스 |
| 리조클로리다목 | 클로라라크니온 |
| 이색캡사목 | 클로로사쿠스 |
| 이색털목 | 트리보네마 |
| 이색구균목 | 보트리디옵시스 |
| 이색사이폰목 | 보트리디움 |
Pascher (1939)는 이분엽편모조류에 6개의 강을 포함시켰다:[23]
| 강 |
|---|
| 헤테로클로리디네아 |
| 리조클로리디네아 |
| 헤테로캅시네아 |
| 헤테로코키네아 |
| 헤테로트리키네아 |
| 헤테로시포니네아 |
Copeland (1956)은 이 그룹을 바우케리아강(Vaucheriacea)으로 취급했다:[24]
| 계 | 원생생물계 |
|---|---|
| 문 | 갈조류 |
| 아문 | 이형편모조강 |
| 강 | 바우케리아강 |
| 과 |
판 덴 호크, 만, 얀스(van den Hoek, Mann and Jahns, 1995)가 제시한 분류에서 엽체의 조직 수준에 따라 7개의 목이 있다.
| 목 | 설명 | 예시 |
|---|---|---|
| 클로라모에발레스목 | 편모를 가진 생물 | Chloromeson |
| 리조클로리달레스목 | 아메바 모양의 생물 | Rhizochloris, Myxochloris |
| 헤테로글로에알레스목 | 팜멜로이드(4분자포자) 생물 | Gloeochloris |
| 미스코코칼레스목 | 구형 생물 | Chloridella, Botrydiopsis, Characiopsis, Ophiocytium |
| 트리보네마탈레스목 | 사상체 조직 | Tribonema, Heterococcus, Heterodendron |
| 보트리디알레스목 | 관상체 조직; 유성 생식은 동배우자생식 또는 이형 배우자 생식 | Botrydium |
| 보케리아레스목 | 관상체 조직; 유성 생식은 난생식 | Vaucheria |
이들은 Ettl(1978)의 분류와 동일한 목이며,[25] Pascher(1939)의 고전적인 연구를 업데이트한 것이다. 초미세 구조 및 분자 계통 발생학 연구에 따르면 미스코코칼레스목은 측계통군일 수 있으며, 트리보네마탈레스목과 보트리디알레스목은 다계통군일 수 있으며,[26] 분열 내의 관계가 정리될 때까지 최대 두 개의 목만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27]
Maistro 등(2009)에 따르면 비공식적인 그룹은 다음과 같다:[28]
- 보트리디옵시스강 분지군
- 클로렐라강 분지군
- 트리보네마강 분지군
- 바우체리아강 분지군
단세포 편모조류, 아메바성 및 팔멜라 형태 분류군은 이 연구에 포함되지 않았다.
Adl 등(2005, 2012)에 따르면:[27][29]
| 목 | 속 |
|---|---|
| 트리보네마목 | 보트리디움, 부밀레리오프시스, 카라키옵시스, 클로로메손, 헤테로코쿠스, 오피오키티움, 스파에로소루스, 트리보네마, 잔토네마 |
| 바우케리아목 | 바우체리아 |
19세기에 엽록체의 색조 유사성 등으로부터, 당시 알려진 황록조류는 녹조류로 분류되었다[47][36]。하지만 19세기 말부터 명료한 피레노이드를 결여한 판 모양의 황록색 엽록체를 가지고, 저장 물질로서 전분을 결여하고 지질을 가지며, 2개의 측성 엽록체와 1개의 편모 (실제로는 앞뒤로 뻗은 2개의 불등 편모이지만, 당시에는 오해하여 이렇게 생각했다)를 가진 편모 세포를 형성하는 조류군으로 인식되게 되었다[47]。처음에는 Confervales로 녹조류의 한 무리로 분리되었지만, 이윽고 독립된 분류군으로 취급되게 되었고, 불등모강 (Heterokontae)이나 황록조류강 (황록조강, Xanthophyceae)의 이름이 제창되었다[47]。이윽고 20세기 전반에는 아돌프 파셔(Adolf Pascher)에 의해 다수의 황록조류 (2017년 현재 알려진 속의 약 2/3)가 기재되었다[47]。
약 90속 600종 정도가 기재되어 있다[47][30]。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대부분의 황록조류는 비교적 드문 존재이며, 최초 기재 이후 보고가 없는 것도 많다[47]。특히 편모성을 가진 것 (클로라모에바목)이나 아메바성인 것 (리조클로리스목) 중에서, 확실하게 황록조류강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난 예는 없다[47][69]。아메바성의 클로라라크니온이나 는 옛날에는 황록조류강으로 분류되었지만, 그 후의 연구에서 이것들은 황록조류가 아니라, 전자는 켈코조아문클로라라크니온조강, 후자는 오크로식물문신크로마조강에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55][56][57][58]。
| 5a. 는 단세포 편모성. |
| 5b. 는 단세포 아메바성. |
| 5c. 클로라라크니온 (클로라라크니온조강)은 아메바성이며, 옛날에는 황록조류로 분류되었다. |
| 5d. (진정안점조강)는 황록조류로 분류되었다. |
또한, 황록조류강으로 분류되었던 조류의 일부 (, , (위 그림 5d), 등)는 세포의 미세 구조나 편모 세포의 형태, 광합성 색소 조성 등의 점에서 전형적인 황록조류와는 다르다는 것이 밝혀져, 진정안점조강 ()으로 나뉘었다[59][60][61][62]。진정안점조강은 황록조류강과 마찬가지로 오크로식물문 (불등모식물문)에 속하지만, 그 안에서는 계통적으로 가깝지 않다。또한, 황록조류 중에는 진정안점조강으로 옮겨야 할 조류가 아직 남아 있다고 생각되고 있다[47][69]。
황금색 조류 (일부는 황록조류)로 분류되었던 몇몇 조류가 계통적으로 이들과 다르다는 것이 나타나, 새로 설립된 파에오타무니온조강으로 분류되었다[68]。설립 당시부터 파에오타무니온조강에는 2개의 계통군 (파에오타무니온목, 플레우로클로리데라목)이 존재한다는 것이 알려졌지만, 그 후의 연구에서 후자는 황록조류의 자매군이라는 것이 나타났다[63][65]。그 때문에, 이 플레우로클로리데라목 (, 포함)을 황록조류강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67][69]。
위의 편모성, 아메바성을 포함하여, 황록조류는 대략 그 체제에 따라 분류되고 있다[30][47] (아래 표 1)。하지만, 분자 계통학 연구로부터, 이 의미에서의 분류군의 대부분이 단계통이 아니라는 것이 나타났고 (아래 그림 6), 이 분류 체계는 계통 관계를 반영한 것은 아니다[63]。몇몇 (, )은 속 수준에서도 단계통군이 아니라는 것도 나타났다[63]。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황록조류의 대부분은 드물게 발견되기 때문에, 상세하게 연구된 종은 제한되어 있고, 계통 관계를 반영한 분류 체계의 재구축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2023년 현재)。후시나시미도목과 그 외 (트리보네마목의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의 2목으로 나눈 체계도 있지만[64], 이 체계도 명백히 계통 관계를 반영하고 있지 않다[47]。
{| class="wikitable"
|-
|'''6'''. 황록조류강의 계통 가설의 예[65][63]
B = 풍선말목, M = 미스코콕스목, T = 트리보네마목, V = 후시나시미도목
|-
|
{| class="wikitable"
|-
! '''황록조류강'''
|-
|
{| class="wikitable"
|-
! 플레우로클로리데라목
|-
|
|-
! '''황록조류강(협의)'''
|-
|
{| class="wikitable"
|-
! clade C
|-
|
{| class="wikitable"
|-
| M
|-
|
| M |
| T |
|}
|-
|
{| class="wikitable"
|-
! clade V
|-
|
{| class="wikitable"
|-
| V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M
|-
! clade B
|-
|
{| class="wikitable"
|-
| M
|-
|
{| class="wikitable"
|-
| M
|-
|
| M |
| M |
|}
|}
|}
|}
|-
|
{| class="wikitable"
|-
| V
|-
! clade T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T
|-
|
| T |
| M |
|}
|-
|
{| class="wikitable"
|-
| T
|-
|
| B |
| M |
|}
|}
|}
|}
|}
|}
|}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0 auto"
|'''표 1'''. 황록조류의 분류 체계의 예[30][47][66][31][67][69]
|-
|* '''황록조류강''' ex
- * 플레우로클로리데라목 (이 목은 파에오타무니온조강의 1목으로 제창되었지만[68], 계통적으로는 아마 황록조류의 자매군이며 (위 그림), 황록조류강으로 분류되는 경우도 있다[67][69]。)
- **: 단세포 부동성, 푸코산틴을 포함한다.
플레우로클로리데라과
* ,
- * 클로라모에바목
- **: 단세포 편모성。(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황록조류강으로의 소속은 의문시되고 있다)
클로라모에바과
* ; 클로라모에바속 ; ; & ; 등
- * 리조클로리스목
- **: 아메바성。(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황록조류강으로의 소속은 의문시되고 있다)
리조클로리스과
*: 아메바로 껍질을 결여한다.
** 리조클로리스속 등
믹소클로리스과
*: 다핵의 대형 아메바 (변형체)를 형성한다.
** 믹소클로리스속
스티피토콕스과 ex
*: 세포는 깔때기 모양의 껍질 (로리카) 안에 있으며, 사상 가족을 뻗고 있다.
** 스티피토콕스속 (스티피토콕스) & 등
- * 헤테로그레에아목 ex
- **: 부동 세포가 한천질로 싸여진 팔메라상 군체를 형성하고, 세포는 편모를 결여하지만 때때로 수축포나 안점을 가진다.
헤테로그레에아과 ex
* ; ; 등
- * 미스코콕스목
- **: 부동성 단세포에서 군체성, 명료한 세포벽을 가진다.
플레우로클로리스과
*: 단세포, 단핵성.
** ; ; ; ; 플레우로클로리스속 ; () 등
보트리디옵시스과
*: 단세포, 큰 다핵 세포가 된다.
** 보트리디옵시스속 (풍선말속[37]) , nom. cons.; 등
보트리오클로리스과
*: 세포가 밀접하여 군체를 형성한다.
** 보트리오클로리스속 ; ; 등
글로에오포디움과
*: 단세포성, 층상의 한천질 줄기에 의해 기질에 부착한다.
** 글로에오포디움속
미스코콕스과
*: 분기하는 한천질 줄기의 각각 선단에 세포가 있는 수지상 군체를 형성한다.
** 미스코콕스속 (미쇼코코쿠스속[31])
클로로페디아과
*: 세포가 밀착된 판상 군체를 형성한다.
** 클로로페디아속
트리파노클로리스과 ex
*: 세포는 원형에서 성형으로 키세르가이의 껍질 위에 부착되어 있다.
** 트리파노클로리스속
스키아지움과
*: 단세포성 또는 군체성. 세포는 원통형, 세포벽은 2부 구성.
** 부밀레리오프시스속 ; 센트리트락투스속 , nom. cons.; 클로로세티움속 ; 오피오키티움속 , nom. cons. 등
- * 트리보네마목
- **: 사상체.
네오네마과
*: 한천질의 외피로 싸인 단열 또는 다열의 세포열로 이루어지며, 세포 간은 밀착되어 있지 않다.
** ;
트리보네마과
*: 단열 무분지 사상체이며, 세포벽은 보통 2부 구성.
** ; 트리보네마속 & ; 크산토네마속 등
헤테로덴드론과
*: 단열 분지 사상.
**
헤테로콕스과 ()
*: 분지 사상체이며, 단열에서 다열, 위유조직의 기부와 단부의 직립지로 분화되어 있다. 세포벽은 2부 구성이 아니다.
** 헤테로콕스속 등
- * 풍선말목
- **: 다핵 낭상이며 다수의 엽록체를 포함하는 팽윤부와, 거기에서 지중으로 뻗는 무색의 가근부로 이루어진다.
풍선말과
* 풍선말속
- * 후시나시미도목 &
- **: 선단 성장하는 다핵 낭상의 분지 사상체이며 생식기 등에만 격벽이 형성된다.
후시나시미도과
* {{efn2|name="Asterosiphon"|후시나시미도목으로 분류되는 예[47] 외에, 풍선말목 풍선말과로 분류되는 예
참조
[1]
논문
Heterocontées ou Xanthophycées?
[2]
서적
The Structure and Reproduction of the Algae. Volume I. Introduction, Chlorophyceae, Xanthophyceae, Chrysophyceae, Bacillariophyceae, Cryptophyceae, Dinophyceae, Chloromonadineae, Euglenineae, Colourless Flagellat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논문
Über Chlorosaccus eine neue Gattung der Süsswasseralgen
[4]
논문
Notes on the taxonomy and nomenclature of the algal classes Eustigmatophyceae and Tribophyceae (synonym Xanthophyceae)
1981-02
[5]
서적
An illustrated Guide to Protozoa
Society of Protozoologists
[6]
서적
Handbook of Protoctista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7]
서적
Plant Taxonomy and Biosyste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Algae
https://archive.org/[...]
University Press, Cambridge; The Macmillan Company, New York
[9]
문서
[10]
논문
Las nuevas clasificaciones de los organismos eucarióticos unicelulares. Protistología versus Protozoología
http://repositorio.f[...]
[11]
서적
Lehrbuch der Protozoenkunde
G. Fischer
[12]
서적
Traité de Zoologie
Masson et Cie
[13]
서적
Protozoology
https://archive.org/[...]
Prentice-Hall
[14]
논문
A revised classification of the phylum Protozoa
[15]
서적
An illustrated Guide to Protozoa
Society of Protozoologists
[16]
서적
Précis de protistologie
Lubrecht & Cramer Ltd
[17]
웹사이트
Xanthophyceae
https://www.algaebas[...]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2020
[18]
서적
Seaweeds of the British Isles
British Museum (Natural History)
[19]
논문
Über Chlorosaccus eine neue Gattung der Süsswasseralgen
[20]
문서
https://www.biodiver[...]
[21]
논문
Zur Gliederung der Heterokonten (Kieine Beiträge zur Kenntnis unserer Mikroflora 3).
https://www.biodiver[...]
[22]
서적
The Structure and Reproduction of the Algae. Volume I. Introduction, Chlorophyceae. Xanthophyceae, Chrysophyceae, Bacillariophyceae, Cryptophyceae, Dinophyceae, Chloromonadineae, Euglenineae, Colourless Flagellat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
서적
Heterokonten
http://bibdigital.rj[...]
Akad. Verlagsges (1937–1939)
[24]
서적
The Classification of Lower Organisms
https://archive.org/[...]
Pacific Books
[25]
서적
Xanthophyceae
Gustav Fischer Verlag
[26]
논문
Morphological convergence characterizes the evolution of Xanthophyceae (Heterokontophyta): evidence from nuclear SSU rDNA and plastidial rbcL genes
https://www.research[...]
[27]
논문
The new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eukaryotes with emphasis on the taxonomy of protists
[28]
논문
Phylogeny and taxonomy of Xanthophyceae (Stramenopiles, Chromalveolata)
2009-08
[29]
논문
The revised classification of eukaryotes
2012-09
[30]
웹사이트
Xanthophyceae
https://www.algaebas[...]
[31]
서적
藻類学総説
内田老鶴圃
[32]
논문
Notes on the taxonomy and nomenclature of the algal classes Eustigmatophyceae and Tribophyceae (synonym Xanthophyceae)
[33]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34]
웹사이트
黄緑色藻
https://photosyn.jp/[...]
日本光合成学会
2020-05-12
[35]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36]
서적
バイオディバーシティ・シリーズ (3) 藻類の多様性と系統
裳華房
[37]
서적
藻類多様性の生物学
内田老鶴圃
[38]
서적
文部省 学術用語集 植物学編 (増訂版)
丸善
[39]
서적
植物系統分類の基礎
北隆館
[40]
서적
Algae
Benjamin Cummings
[41]
서적
The Protistan Cell Surface
Springer Vienna
[42]
간행물
"''Characiopsis'' Borzì belongs to the Eustigmatophyceae"
[43]
서적
Plant Taxonomy and Biosystema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4]
간행물
The chloroplast pigments of the algal classes Eustigmatophyceae and Xanthophyceae. II. Xanthophyceae
[45]
서적
Handbook of the Protists
Springer
[46]
간행물
Distribution of the mitochondrial deviant genetic code AUA for methionine in heterokont algae
[47]
서적
Handbook of the Protists
Springer
[48]
서적
Algae: An introduction to phyc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49]
간행물
Genotypic and phylogenetic diversity of new isolates of terrestrial Xanthophyceae (Stramenopiles) from maritime sandy habitats
[50]
간행물
Unrecognized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soil algae from maritime Antarctica (Fildes peninsula, King George Island)
[51]
간행물
Phylogeny and lipid profiles of snow-algae isolated from Norwegian red-snow microbiomes
[52]
간행물
FISH labeling reveals a horizontally transferred algal (Vaucheria litorea) nuclear gene on a sea slug (Elysia chlorotica) chromosome
[53]
간행물
Genome analysis of Elysia chlorotica egg DNA provides no evidence for horizontal gene transfer into the germ line of this kleptoplastic mollusc
[54]
웹사이트
"''Trypanochloris'' Geitler, 1935"
https://www.algaebas[...]
2024-04-11
[55]
간행물
Cytology and ultrastructure of Chlorarachnion reptans (Chlorarachniophyta divisio nova, Chlorarachniophyceae classis nova)
[56]
서적
Unravelling the Alga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Algal Systematics
CRC Press
[57]
간행물
The taxonomic position of ''Chlamydomyxa labyrinthuloides''
[58]
간행물
Revisiting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Synchroma grande''
[59]
간행물
Observations on the cytology and ultrastructure of the new algal class, Eustigmatophyceae
[60]
간행물
The chloroplast pigments of the algal classes Eustigmatophyceae and Xanthophyceae. I. Eustigmatophyceae
[61]
간행물
"''Pseudostaurastrum limneticum'', a eustigmatophycean alga with astigmatic zoospores: morphogenesis, fine structure, pigment composition and taxonomy"
[62]
간행물
Zoosporogenesis, morphology, ultrastructure, pigment composition, and phylogenetic position of ''Trachydiscus minutus'' (Eustigmatophyceae, Heterokontophyta)
[63]
간행물
Phylogeny and taxonomy of xanthophyceae (Stramenopiles, Chromalveolata)
[64]
간행물
Revisions to the classification, nomenclature, and diversity of eukaryotes
[65]
간행물
Multigene phylogeny, morphological observation and re-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lead to the description of the Phaeosacciophyceae classis nova and four new species of the Heterokontophyta SI clade
[66]
서적
淡水微生物図鑑 原生生物ビジュアルガイドブック
誠文堂新光社
[67]
서적
岩波 生物学辞典 第5版
岩波書店
[68]
간행물
Phaeothamniophyceae classis nova: a new lineage of chromophytes based upon photosynthetic pigments, rbcL sequence analysis and ultrastructure
[69]
서적
Syllabus of plant families. Adolf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Ed. 13. Part 2/1
Borntraeger Science Publishers
[70]
웹인용
Xanthophyceae
http://algaebase.org[...]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71]
논문
Higher Level Classification of All Living Organisms
2015
[72]
논문
Protistes Eucaryotes: Origine, Evolution et Biologie des Microbes Eucaryotes
https://hal.archives[...]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