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분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분격은 핀어군 언어, 사미어, 네덜란드어, 러시아어, 바스크어 등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는 문법 범주이다. 핀란드어와 에스토니아어는 부분격이 발달한 대표적인 언어로, 불확실한 정체성, 비결과적 동작, 불완료된 행위 등을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핀란드어에서는 단수 숫자 뒤, 비텔릭 동작, 감정 동사, 잠정적 문의, 불가산 명사, 구성, 'some' 또는 'any'에 해당하는 경우, 부정문, 비교 등 다양한 상황에서 부분격이 나타나며, 대격과 비교하여 비결과적 의미를 나타낸다. 사미어의 콜트 사미어에서는 단수에만 사용되며, 소유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네덜란드어에서는 형용사에 '-s'를 붙여 부분격을 표시하며, 양을 나타내는 단어 뒤에 사용되거나 비교급으로 사용된다. 러시아어는 부분성을 나타내기 위해 생격을 사용하지만, 일부 질량 명사에는 별도의 부분격이 존재한다. 바스크어에서는 -(r)ik를 붙여 부분격을 표시하며, 부정문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인도유럽어족 언어에서는 부분격이 직접적으로 존재하지 않지만, 속격의 용법 중 하나인 부분 속격이 부분격과 유사한 역할을 한다. 프랑스어의 부분 관사도 부분격과 비슷한 기능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격 - 주격
    주격은 문법에서 명사, 형용사, 대명사 등이 문장에서 주어 역할을 할 때 사용되는 격으로, 동사의 주어를 나타내며 많은 언어에서 발견된다.
  • 격 - 여격
    여격은 문법의 한 종류로, 간접 목적어, 소유, 방향 등을 표현하며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나고, 주어의 감정, 능력, 경험 등을 나타내거나 윤리 여격 형태로 이해관계를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부분격
개요
언어 유형굴절어, 교착어
사용 지역핀란드어
에스토니아어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
슬라브어파
튀르크어족
일본어
한국어
문법적 기능부분 나타냄
비결과 나타냄
비특정성 나타냄
핀란드어
명칭partitiivi (부분격)
기능비결과적인 동작
전체가 아닌 부분
수량 불특정
형태소-ta/-
예시Minä juon vettä (나는 물을 마신다 - 물의 일부를 마심)
Minä en juo vettä (나는 물을 마시지 않는다 - 물을 전혀 마시지 않음)
에스토니아어
명칭osastav kääne (부분격)
기능비결과적인 동작
전체가 아닌 부분
수량 불특정
형태소-t
예시Ma joon vett (나는 물을 마신다 - 물의 일부를 마심)
Ma ei joo vett (나는 물을 마시지 않는다 - 물을 전혀 마시지 않음)
리투아니아어
명칭dalinis linksnis (부분격)
기능비결과적인 동작
전체가 아닌 부분
수량 불특정
형태소-ą
예시Aš geriu vandens (나는 물을 마신다 - 물의 일부를 마심)
라트비아어
명칭daļējs loks (부분격)
기능비결과적인 동작
전체가 아닌 부분
수량 불특정
형태소-us
예시Es dzeru ūdens (나는 물을 마신다 - 물의 일부를 마심)
슬라브어파
러시아어일부 명사에서 나타남 (주로 남성 명사)
튀르크어족
예시튀르키예어에서 목적격이 부분격을 나타내는 경우 존재
일본어
조사"を (wo)"가 부분격을 나타내는 경우 존재
한국어
조사"을/를"이 부분격을 나타내는 경우 존재

2. 핀어군 언어

핀어군 언어에서 부분격은 불확실한 정체성과 비결과적 동작을 표현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핀란드어에스토니아어가 대표적인 예시이다.

핀란드어의 경우, 부분격은 '-a' 또는 '-ta'와 같은 어미를 가지며, 숫자 뒤, 비텔릭 동작, 감정 동사, 잠정적 문의, 불가산 명사, 구성, 부정문, 비교 등에 사용된다. 부분격은 더 오래된 탈격에서 유래했으며, 일부 표현에서 그 흔적이 남아있다. 핀란드어에는 고유의 미래 시제가 없기 때문에, 부분격은 현재와 미래를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을 제공한다.

에스토니아어의 부분격 체계는 핀란드어와 유사하다. 에스토니아어에서는 전체 대상 격과 부분 대상 격의 차이가 모음이나 자음의 양(장음 대 초장음)에만 있는 경우가 많아, 쓰기에서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완료된 동작을 나타낼 때는 부사를 추가하여 의미를 명확하게 하는 경우가 많다.

2. 1. 핀란드어

핀어군 언어인 핀란드어에서 부분격은 '-a', '-ta' 등의 어미를 통해 나타나며, 불확실한 정체성과 비결과적 동작을 표현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3] 예를 들어, 핀란드어에서 부분격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상황에서 사용된다.

경우예시 및 설명
단수에서 숫자 뒤kolme taloa (세 채의 집)
비텔릭 동작 (불완전) 및 진행 중인 과정luen kirjaa (나는 책을 읽고 있다)
텔릭 동작 (대격 사용)luen kirjan (나는 그 책을 (전부) 읽을 것이다)
비텔릭 동사 (특히 감정 표현)rakastan tä taloa (나는 이 집을 사랑한다)
잠정적인 문의saanko lainata kirjaa? (그 책을 빌릴 수 있을까요?)
불가산 명사lasissa on maitoa (유리잔에 우유가 있다)
구성pala juustoa (한 조각의 치즈)
"some" 또는 "any" 사용onko teillä kirjoja? (책이 좀 있으세요?)
주격과 비교onko teillä kirjat? (그 (특정) 책들이 있습니까?)
부정문talossa ei ole kirjaa (집에 책이 없다)
비교 ("kuin" (~보다) 없이)saamista parempaa on antaminen (받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은 주는 것이다)



부분격은 더 오래된 탈격에서 유래했으며, 일부 표현에서 그 흔적이 남아있다. 예를 들어, 'kotoa' (집에서), 'takaa' (뒤에서)와 같이 '~에서'를 의미하는 경우에 나타난다.

일부 방언에서는 부분격 표지가 모음 변화로 나타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서부 핀란드 방언에서는 마지막 '-a'가 앞의 모음으로 동화되어 'suurii' → 'suuria' (몇몇 큰 --)와 같이 나타난다.

핀란드어에는 고유의 미래 시제가 없으므로, 부분격은 미래와 반대되는 현재를 구분하는 중요한 기준을 제공한다.[3] 'luen kirjaa'는 "나는 책을 읽고 있다"를 의미하는 반면, 'luen kirjan'은 "나는 그 책을 읽을 것이다"를 의미한다. 즉, 'luen'은 뒤따르는 단어의 격에 따라 "나는 읽는다", "나는 읽고 있다", "나는 읽을 것이다"를 의미할 수 있다. 부분격 형태인 'kirjaa'는 완료되지 않은 동작을 나타내므로 동사의 의미는 현재 시제이고, 대격 형태인 'kirjan'은 현재 시제 동사와 함께 사용될 때 계획된 미래 동작을 나타낸다.

2. 2.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의 부분격 체계는 핀란드어와 유사하다. 에스토니아어 문법에서는 "대격"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데, 이는 전체 대상 형태가 단수에서는 속격과 일치하고, 복수에서는 주격과 일치하기 때문이다.

많은 에스토니아어 단어에서 전체 대상 격과 부분 대상 격의 차이는 모음이나 자음의 양(장음 대 초장음)에만 있으며, 이는 쓰기에서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Linn ehitab kooli''라는 문장에서 ''kooli''를 장모음 "o"로 발음하면 "그 도시는 학교를 지을 것이다"라는 의미가 되고, 초장음 "o" (부분격)로 발음하면 "그 도시는 학교를 짓고 있다"라는 의미가 된다.

에스토니아어에서는 완료된 동작을 나타낼 때, 거의 항상 부사를 추가하여 의미를 명확하게 한다. 예를 들어, ''ma söön leiba''는 "나는 빵을 먹고 있다"를 의미하고, ''ma söön leiva '''ära'''''는 "나는 그 (전부) 빵을 먹을 것이다"를 의미한다.[3] 핀란드어와 달리 에스토니아어에는 발음에서도 단수 속격과 부분격이 동일한 단어가 있으므로, 이러한 부사 추가는 의미의 모호성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ma söön kala''는 "나는 생선을 먹고 있다"를, ''ma söön kala ära''는 "나는 그 (모든) 생선을 먹을 것이다"를 의미한다.

3. 사미어

사미어 중 이날리 사미어와 콜트 사미어에는 부분격이 존재하지만,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그 기능은 다른 격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3] 콜트 사미어의 경우 부분격은 단수에만 사용되며, 항상 소유격으로 대체될 수 있다.

3. 1. 콜트 사미어

사미어 중 콜트 사미어는 부분격을 가지고 있지만, 점차 사라지고 있으며 그 기능은 다른 격에 의해 대체되고 있다. 부분격은 단수에만 사용되며, 항상 소유격으로 대체될 수 있다. 부분격 표지는 '-d'이다.[3]

  • 6보다 큰 숫자 다음에 나타난다.
  • *: ''kääuʹc čâustõkkâd'': 여덟 개의 올가미
  • *: ''kääʹuc čâustõõǥǥ''으로 대체될 수 있다.
  • 특정 후치사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 *: ''kuäʹtted vuâstta'': ''kota''에 반대하여
  • *: ''kuäʹđ vuâstta''로 대체될 수 있다.
  • 비교급과 함께 사용하여 비교 대상을 나타낼 수 있다.
  • *: ''Kåʹlled pueʹrab'': 금보다 더 나은
  • *: ''pueʹrab ko kåʹll''로 대체될 가능성이 더 높다.

4. 네덜란드어

네덜란드어에는 부분격이라고 불리는 '-s'로 끝나는 많은 형용사가 있다. 이 격은 더 오래된 격변화 체계의 소유격에서 파생되었으며, 네덜란드어 "veel", "weinig" 또는 "niets"(각각 많음, 적음, 없음)과 같이 양을 나타내는 단어 뒤에 사용된다.

: ''Dat is niets nieuw'''s'''.''

: 그것은 새로운 것이 아무것도 아니다.

: ''Men verwacht er veel goed'''s''' van.''

: 사람들은 그것에 많은 것을 기대한다.

부분격은 또한 비교급으로 사용될 수 있다.

: ''Heb je niets beter'''s'''?''

: 더 나은 것은 없니?

형용사가 이미 치경 마찰음으로 끝나는 경우(예: "suit"의 's'), "-s"가 떨어진다.

: ''Geef mij maar iets fri'''s'''.''

: 신선한 것을 줘.

: ''Dat is iets fantasti'''sch'''!''

: 그것은 환상적인 것이다!

5.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일반적으로 부분성을 나타내기 위해 생격을 사용한다. 그러나 일부 러시아어 질량 명사는 "두 번째 생격"이라고도 하는 별도의 부분격을 가지고 있다. 부분격은 고대 동슬라브어에서 ''*-ŏ''와 ''*-ŭ'' 어간 명사의 굴절이 합쳐지면서 생겨났으며, 이전의 ''*-ŭ'' 어간 생격 접미사가 특수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게 되었다.[1]

현대 러시아어에서 부분격의 사용은 종종 선택적이다. 많은 상황에서 부분격과 생격은 거의 동의어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чашка чаю|cháshka cháyuru(부분격)와 чашка чая|cháshka cháyaru(생격)는 모두 "차 한 잔"을 의미하고, много дыму|mnógo dýmuru(부분격)와 много дыма|mnógo dýmaru(생격)는 모두 "많은 연기"를 의미한다. 부분격 변형은 동사와 함께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выпить чаю|výpit' cháyuru는 "차를 마시다"를 의미한다. 반면 생격 변형은 질량 명사가 형용사의 수식을 받을 때 더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чашка горячего чая|cháshka goryáchevo cháyaru는 "뜨거운 차 한 잔"을 의미한다.[2]

6. 기타 언어

핀란드어에서는 격 어미 -ta/tä, -a/ä (단모음 뒤), -tta/ttä (e로 끝나는 어 뒤)에 의해 부분격이 표시된다. 현대 핀란드어에서는 다양한 용법이 있지만, 분할 가능한 불특정량의 것에 사용되며, 대격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면 불완전하거나 지속 중인 동작에 사용된다. 부정문의 목적어에는 항상 부분격이 사용된다.[3]


  • 미코는 닭을 (일부분) 먹었다.

6. 1. 바스크어

바스크어에서는 -(r)ik를 더함으로써 부분격을 표시하며, 부정문에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부정의 경우에만 사용된다[4]

  • 나는 빵을 가지고 있지 않다.
  • 아, 내게 돈이 있다면 좋을 텐데.

6. 2. 인도유럽어족

인도유럽어족의 언어에는 전용 부분격은 존재하지 않지만[7], 속격의 중요한 용법 중 하나인 '''부분 속격'''이 있으며, 부분격과 마찬가지로 "……의 일부분"을 나타낸다[8]

예를 들어 러시아어에서는 동작이 사물의 일부분만, 또는 불특정한 양을 대상으로 할 때, 주로 완료 동사의 직접 목적어로 생격(=속격)이 사용된다. 대격을 취하는 동사가 부정에서는 대격이 아닌 생격을 취하는 것이 보통이지만, 예외도 많다. 존재의 부정 또한 생격으로 표시된다[9]

  • 물을 조금 가져오세요.
  • 나는 돈이 없다.
  • 그는 기쁨을 몰랐다.


프랑스어의 부분 관사도 매우 비슷한 역할을 한다.

6. 3. 프랑스어

프랑스어의 부분 관사는 러시아어의 부분격(생격)과 매우 비슷한 역할을 한다.[9]

참조

[1] 서적 Istoricheskaya grammatika russkogo yazyka Prosveshcheniye 1990
[2] 서적 Govoritye i pishitye po-russki pravil'no Airis Press 2007
[3] 문서 1987
[4] 문서 1996
[5] 문서 "「持つ」「ある」の意味の直接法一人称単数能格+三人称単数絶対格"
[6] 문서 "「持つ」「ある」の意味の条件法一人称単数能格+三人称単数絶対格" 1996
[7] 문서 ロシア語版や英語版のWiktionaryではロシア語の第二生格(例:чай-чаю, снег-снегу)を分格(разделительный падеж, partitive)としている。
[8] 문서 1954
[9] 문서 196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