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광역시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광역시기는 부산광역시를 상징하는 기이다. 현재는 하얀색 바탕에 부산광역시의 공식 로고와 "부산광역시" (한국어), "BUSAN METROPOLITAN CITY" (영어) 글자가 함께 디자인되어 있다. 과거에는 여러 차례 디자인이 변경되었으며, 각 기는 부산의 특징과 비전을 담아 디자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광역시의 상징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 부산광역시의 상징 - 부산찬가
    부산찬가는 1984년 부산광역시 시민 공모로 제정된 부산 노래로, 오륙도의 아름다움과 부산 시민의 희망찬 삶을 경쾌한 멜로디와 가사로 표현하며 "갈매기 떼 나는 곳 동백꽃도 피는 곳 아 너와 나의 부산"이라는 구절로 잘 알려져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기 - 경상북도기
    경상북도기는 녹색 바탕에 경상북도의 영문 이니셜과 태양, 백색 곡선 등을 조합하여 도의 정체성과 미래 비전을 나타내는 깃발이며, 2001년 1월 1일에 제정되었다.
  • 대한민국의 시도기 - 대전광역시기
    대전광역시기는 무궁화와 '대'자를 형상화한 심볼마크를 중심으로 디자인되었으며, 쾌적한 삶, 과학기술 도시, 역동적인 도약을 염원하는 시민의 꿈을 담고 초록색, 금색, 하얀색을 사용한다.
  • 대한민국의 기 - 대한민국의 국기
    대한민국의 국기는 흰색 바탕에 태극 문양과 건곤감리 4괘로 구성되어 음양의 조화와 하늘, 땅, 물, 불을 상징하며, 1882년 처음 사용되어 1948년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고, 국기법에 따라 제작 및 게양되며 훼손 시 처벌받는다.
  • 대한민국의 기 - 국기에 대한 맹세
    대한민국 국기에 대한 맹세는 국기에 대한 경례 시 행하는 맹세로, 시대 변화에 따라 내용이 수정되어 왔으나, 맹세 강요에 대한 양심의 자유 침해 논란도 있다.
부산광역시기
기본 정보
부산광역시기
부산광역시기
비율2:3
채택일2023년 5월 17일
요소하얀색 바탕 가운데에 부산광역시의 공식 로고가 그려져 있고 로고 하단에 "부산광역시"(한국어), "BUSAN METROPOLITAN CITY"(영어)라는 글자가 쓰여져 있는 디자인

2. 디자인

현재 사용되는 부산광역시기는 하얀색 바탕 가운데에 부산광역시의 공식 로고가 그려져 있다. 로고 아래쪽에는 "부산광역시"라는 한국어 글자와 "BUSAN METROPOLITAN CITY"라는 영어 글자가 함께 표기되어 있다.

2. 1. 디자인 변천 과정

부산광역시청은 2023년 2월 28일부터 3월 8일까지 새로운 도시 브랜드 및 슬로건 디자인에 대한 시민 선호도 온·오프라인 조사를 진행했다.[2] 이후 2023년 3월 10일에 열린 도시브랜드위원회에서 해당 디자인을 최종 확정했다.[2] 새롭게 확정된 브랜드는 2023년 3월 21일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열린 부산광역시 브랜드 선포식을 통해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3]

부산광역시청은 현재 사용 중인 로고 디자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1][4]

  • 부산(Busan)의 영어 첫 글자인 B와 S를 기본 형태로 삼아 부산의 가치와 비전을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특히 인공지능 이미지를 접목한 3차원(3D) 입체 로고라는 점이 특징이다.
  • 로고에 사용된 자주색-마젠타와 파란색-시안 색상의 조합은 부산 시민의 포용과 화합을 의미한다. 또한 입체적인 색감은 부산의 과거, 현재, 미래가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모습을 나타낸다.

2. 2. 디자인 의미

부산광역시청은 부산광역시의 현행 로고 디자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1][4]

  • 부산(Busan)의 영어 이니셜인 B, S를 모티브로 하여 부산의 가치와 비전을 상징화했으며 인공지능 이미지를 접목한 3차원 입체 로고라는 점이 특징이다.
  • 자주색-마젠타, 파란색-시안 색상 간의 조합은 부산 시민의 포용과 화합을 나타낸다. 입체적인 색감은 부산의 과거, 현재, 미래가 부드럽게 연계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2. 3. 색상

(White)시안
(Busan Flobal Light blue)자주
(Busan Open Violet)파랑
(Busan Original Blue)마젠타
(Busan Dynamic Magenta)회색
(Gray)CMYK0–0–0–090–30–0–075–100–0–0100–80–0–00–100–0–00–6–5–66RGB255–255–25526–179–25564–0–2550–51–255255–0–25587–81–82웹 색상#FFFFFF#1AB3FF#4000FF#0033FF#FF00FF#575253


3. 과거의 기

부산광역시는 부산직할시 시절을 포함하여 과거에 사용했던 두 종류의 기가 있다. 첫 번째 기는 1962년에 제정되었으며, 두 번째 기는 1995년에 제정되어 2023년까지 사용되었다.

3. 1. 제1대 기 (1962년 ~ 1995년)

부산직할시기 (1962년 5월 31일 ~ 1995년 4월 10일)


부산직할시는 1962년 5월 31일부터 1995년 4월 10일까지 사용된 기이다. 파란색 바탕 가운데에 승리, 발전을 뜻하는 V자 문양, 부산을 뜻하는 자음 ㅂ자·ㅅ자가 결합된 문양, 부산을 상징하는 오륙도 문양이 결합된 금색 로고가 그려져 있다.[5][6]

색상파랑금색
CMYK73–62–0–440–7–63–9
RGB38–54–142233–216–87
웹 색상#263F8E#E9D857


3. 2. 제2대 기 (1995년 ~ 2023년)

부산광역시기 (1995년 4월 11일 ~ 2023년 5월 16일)


부산광역시청은 1995년 3월 28일에 부산광역시의 새로운 로고를 제정했다. 이는 1995년 1월 1일을 기해 시행된 부산직할시에서 부산광역시로의 명칭 변경, 부산광역시의 행정 구역 확장, 같은 해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등 지방자치·세계화 시대에 걸맞는 현대 감각을 가진 로고 디자인을 반영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파란색 바탕 가운데에 부산광역시의 은색 로고가 그려진 기를 함께 제정했다.[7]

이 로고와 기는 1995년 4월 11일부터 2023년 5월 16일까지 사용되었다.[6] 부산광역시청은 제2대 로고 디자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8]

색상파랑은색하양
CMYK100–50–0–420–0–0–270–0–0–0
RGB0–75–149187–187–187255–255–255
웹 색상#004B95#BBBBBB#FFFFFF


참조

[1] 웹인용 부산소개 : 부산의 상징 : 기관상징 : 상징마크, 마스코트 : 부산광역시 https://www.busan.go[...] 2024-02-10
[2] 웹인용 디자인 시민 선호도 조사 https://www.busanbra[...] 2024-02-09
[3] 웹인용 부산시 새 도시브랜드 ‘상징·슬로건 디자인’ 확정 https://www.busan.go[...] 2024-02-09
[4] 뉴스 “부산시 새 도시브랜드 어느 것이 좋을까요? 투표해 주세요!” https://www.busan.co[...] 2024-02-10
[5] 서적 내고장상징물총람 https://memory.libra[...] 경기도청 2024-02-10
[6] 웹인용 부산시정 10년사 https://www.busan.go[...] 부산광역시청
[7] 뉴스 부산시 새 상징마크·市旗 확정 https://www.busan.co[...] 2024-02-10
[8] 웹인용 부산광역시 - 해양수도부산 - 부산의 상징 - CI(기관로고) - 슬로건 https://web.archive.[...] 2024-0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