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에서 운행하는 전동차이다. STS301L 스테인리스강 차체에 GTO-VVVF 인버터 또는 IGBT-VVVF 인버터를 사용하며, 6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7년부터 도입되어 현재 1세대 차량(201~256편성)이 운행 중이며, 2026년부터 2세대 차량 도입이 예정되어 있다. 이 전동차는 소음 문제로 인해 이중창을 사용하는 등 개선 노력을 기울였으며, 영화 튜브에 등장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증산역 (양산)
    증산역(양산)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역으로, 2015년 9월 24일 영업을 개시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 고가역이며, 양산공영차고지, 아파트 단지, 상업시설이 인근에 위치하고 부산대양산캠퍼스역과 호포역 사이에 있다.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호포역
    호포역은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고가역으로, 1999년 개통 당시 종착역으로 시작하여 2008년 연장 개통으로 중간역이 되었으며, 2면 3선식 승강장을 갖추고 호포차량사업소 입고 열차가 종착한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철도 차량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기본 정보
동원역으로 들어가는 227편성
동원역에 진입하는 2000계 전동차 (2009년 2월 23일)
차량 이름부산교통공사 2000계 전동차
별칭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운영사부산교통공사
노선부산 도시철도 2호선
차량 정보
차체 색상'#5AB12F' (연두색)
편성량수6량
MT비3M 3T
차량 정원선두차: 113명
중간차: 124명
전체 편성 정원722명
전체 길이17500 mm
전체 폭2,750 mm
전체 높이3,640 mm
차량 중량Tc: 29.6 t
M1: 32.4 t
M2: 31.3 t
T: 24.6 t
전체 편성 중량179.9t
궤간1435 mm
성능
전기 방식직류 1500V
제어 방식VVVF-GTO 1C4M 제어 (알스톰)
VVVF-IGBT 2레벨 1C4M 제어 (히타치 기반 우진산전)
VVVF-IGBT 2레벨 1C4M 제어 (다원시스)
영업 최고 속도ATC/ATP/ATO 구간 80 km/h
설계 최고 속도100 km/h
기동 가속도3.0 km/h/s
감속도영업 시 3.5 km/h/s
(비상 시) 4.5 km/h/s
기어비14:99 (7.07)
구동 방식WN구동방식
구동 장치농형 3상 유도전동기 (알스톰 2R1X0100101형)
전동기 출력210 kW
제동 방식발전제동,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신호 장치ATC/ATP/ATO [수동 운전.자동 운전]
제작 정보
제작사한진중공업 (→현대로템)
한국철도차량 (→현대로템)
제작 연도1997년 (201)
1998년 (202~228)
2001년 (229~244)
2002년 (245~256)
2026년~2030년 (201~256)
생산량56개 편성 336량

2. 기술 사양

차체는 STS301L, STS304 경량 고장력 스테인리스를 사용하고 있다. 국내 최초로 스테인리스 차체에 외부 측면 비드(주름)가 없는 디자인을 적용했는데, 이는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서울교통공사 8000호대 전동차 2차분,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2차분,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2세대에도 적용되었다. 대차는 1차 지지부에 셰브론 고무, 2차 지지부에 에어스프링을 사용한 볼스터 방식을 채택했다. 신호 시스템은 봄바디어 사의 설비를 사용했고 ATP/ATO를 사용하여 ATC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무인 운전도 가능하다.[1][2]

2. 1. 추진제어장치

제작 당시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201~252편성은 모두 GEC 알스톰(GEC Alsthom)제 GTO 소자 VVVF 인버터를 사용했다.[1] 그러나 일부 편성은 장치 교체 공사가 실시되어, 201~219편성과 221편성은 현대로템의 IPM 모듈 VVVF 인버터(히타치 OEM)로 교체되었다.[2] 253~256편성은 다원시스제 IGBT 소자 2레벨 1C4M VVVF 인버터 제어로 교체되었다.

3. 배속

호포차량기지에 201~256편성이 6량으로 배속되어 있다.

4. 운행 구간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장산 - 양산

5. 편성

1편성은 6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M3T(3량의 동력차와 3량의 무동력차) 구조이다. 1C4M(1개의 VVVF 제어장치가 4개의 견인전동기를 제어) 방식이다.[1] 현재는 모두 6량 편성이지만, 장래에 8량 또는 최대 10량 편성까지 연장할 수 있다.[3]

5. 1. 편성표

(Tc1)2100호대
(M1)2600호대
(T1)2700호대
(M1)2800호대
(M2)2900호대
(Tc2)탑재 기기차량 번호전기형
2001

20282101

21282601

26282701

27282801

28282901

2928후기형
2029

20562129

21562629

26562729

27562829

28562929

2956



비고

6. 도입 역사

부산 도시철도 2호선 전동차는 1997년부터 도입되기 시작했다. 한진중공업, 한국철도차량(현대로템),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으며, 트레일러를 이용해 호포차량기지로 운반되었다. 초기 도입분은 한진중공업에서 제작되었으며, 우선석이 설치되어 있고 모든 측면 창문의 상부가 개폐 가능했다. 차량 번호 표시는 초기에는 녹색 문자였으나, 현재는 검은색 문자로 변경되었다. 이후 한국철도차량에서 제작된 도입분은 우선석 측면 창 상부는 개폐 가능하지만, 나머지 좌석은 측면 창이 고정되어 개폐가 불가능하며, 차량 번호 표시는 처음부터 검은색이었다.

6. 1. 1차 도입분 (201~228편성, 1997~1998년)

1999년 6월 30일 1단계 구간 (호포~서면) 개통 때 단계적으로 도입되었다. 노약자석을 포함하여 측면 창문의 상부를 열고 닫을 수 있다. 차량 옆에 있는 차량 번호 표시가 녹색 글씨였으나, 현재는 검은색 글씨로 변경되었다. SLS중공업에서 불연재 개조가 이루어졌다.

201~219, 221편성의 추진제어장치는 알스톰 VVVF-GTO에서 우진산전 VVVF-IGBT로 교체되었다. 전력용 반도체 소자는 히타치의 3300V / 1500A (MBN1500E33E3)IGBT다. 한진중공업에서 제작되었으며, 1997년~1998년 초기 구간 (서면역 - 호포역) 개통 시에 도입되었다. 우선석이 설치되어 있고, 모든 측면 창문의 상부가 개폐 가능하다. 차량 번호 표시는 도입 초기에는 녹색 문자였으나, 현재는 검은색 문자로 변경되었다.

6. 2. 2차 도입분 (229~256편성, 2001~2002년)

2001년~2002년에 2단계 구간(서면~장산) 개통과 함께 순차적으로 도입되었다. 노약자석 쪽 창문은 상부를 열고 닫을 수 있지만, 나머지 좌석은 측면 창문이 통유리로 되어 있다. 차량 옆에 있는 차량 번호 표시는 검은색 글씨로 되어 있다. '''현대로템 의왕공장, 창원공장'''에서 불연재 개조가 이루어졌다.

현재 253~256편성은 알스톰 VVVF-GTO에서 히타치 제작소와 기술 제휴로 국산화한 다원시스 VVVF-IGBT로, 249~252편성은 알스톰 VVVF-GTO에서 우진산전 VVVF-IGBT로 추진제어장치가 교체되었다.

6. 3. 3차 도입분 (신201~256편성, 2026~2030년 예정)

노후 차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신 201~228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전기 편성(201~219, 221편성)의 우진산전 VVVF-IGBT 추진제어장치를 후기 편성(229~248편성)에 이식할 예정이다.[1] 2026년부터 2030년까지 1차 및 2차 차량 교체를 위해 총 56개 편성이 제조될 예정이다.[1]

7. 현황

현재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는 1세대(201~256편성)와 2세대(2026년부터 도입 예정)로 구분된다.

1세대 전동차는 1997년부터 2002년까지 도입되었으며, 대부분 우진산전 IGBT로 추진제어장치가 교체되었다. 일부 편성(249~252편성)은 알스톰 GTO에서 교체된 우진산전 IGBT를 유지하고 있으며, 253~256편성은 다원시스 IGBT로 교체되었다. 242편성은 출입문 구동방식이 스크류 모터 구동식으로 개조되었고, 247편성은 전조등이 LED로 교체되었다.

2세대 전동차는 2026년부터 도입될 예정이며, 1세대 전동차의 노후화에 따라 순차적으로 교체될 예정이다.

8. 테마 열차 운행

2014년 12월부터 2015년 1월까지 202, 216, 239, 251편성 전동차가 2015 눈꽃열차로 운행되었다. 2015년 8월에는 231편성과 246편성 전동차가 2015 바다열차로 운행되었고, 10월에는 234편성과 254편성 전동차가 부산경찰열차로 운행되었다. 2016년 10월에는 245편성 전동차가 부산경찰열차로, 11월 17일부터 12월 9일까지는 243편성과 245편성 전동차가 2016 지스타 테마열차로 운행되었다.

9. 소음 문제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개통 전부터 소음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 전동차의 대차는 1차 지지부에 셰브론 고무, 2차 지지부에 에어스프링을 사용하는 볼스터 방식이다. 셰브론 고무 방식 대차는 차륜의 사행동에 의한 소음을 고려해야 하지만, 설계 당시 이를 고려하지 않았다. 이는 서울 지하철 5호선서울교통공사 5000호대 전동차도 비슷하게 겪고 있는 문제였다.[1]

지하 구간에서 자갈 대신 콘크리트 도상을 사용한 것도 소음 문제의 원인이다. 2호선의 지상 구간은 양산선 및 호포~동원 구간뿐이고, 나머지 대부분의 구간은 지하로 주행한다. 자갈 도상은 호포~동원 구간에 불과하다. 자갈 도상은 자갈 사이의 빈 공간을 통해 소음을 흡수할 수 있지만, 콘크리트 도상은 소음이 잘 반사된다. 따라서 직선 주로에서는 큰 문제가 없지만, 곡선 주로에서는 엄청난 소음이 발생한다. 심지어 소음 수치가 93데시벨에 가까운 곡선 구간도 있다.[1]

부산교통공사는 극심한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면~금련산 구간 개통 이후 반입된 열차에 통유리 이중창을 사용했다.[1]

10. 특이 사항

2003년 영화 튜브에서 테러리스트 (박상민)의 테러 대상 전동차로 2차 도입분 246편성이 등장했으며, 7호선 1차 도입분 703편성과 흡사하게 스티커를 붙여서 촬영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ALSTOM Transport - Alstom Transport@Worldwide http://www.maps.tran[...]
[2] 웹사이트 부산도시철도 2호선 신호시스템 http://www.irail.net[...]
[3] 웹사이트 부산교통공사 - 전동차조성현황 http://www.subway.bu[...]
[4] 문서 220, 222~248편성에 한함
[5] 문서 201~219, 221, 249~252편성에 한함
[6] 문서 253~256편성에 한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