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차는 철도 차량의 차륜, 차축, 제동 장치 등을 포함하는 하부 구조로, 차량의 주행, 제동, 승차감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 철도는 초기에는 해외 기술에 의존했으나, 자체 기술 개발을 통해 산악 지형과 급곡선 구간에 적합한 대차를 개발해왔으며, 고속철도 도입과 함께 기술이 발전하여 세계적인 수준에 이르렀다. 대차는 차체 지지, 주행 안정성 확보, 곡선 구간 통과, 승차감 향상, 제동 기능 등을 수행하며, 현대에는 경량화, 저소음, 유지보수 편의성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조향 대차, 맥시멈 트랙션 대차, 편심 대차 등 특수한 목적을 위한 대차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도차량공학 - 자동 열차 운전 장치
    자동 열차 운전 장치는 열차 운행을 자동 제어하는 시스템으로, 국제 표준에 따라 자동화 수준이 GoA0(수동 운전)부터 GoA4(무인 운전)까지 분류되며, 안전성 및 효율성 향상에 기여하지만 오류 및 인적 실수 가능성도 존재하여 연구 개발이 진행 중이다.
  • 철도차량공학 - 가공 전차선
    가공 전차선은 전기 철도 차량에 전력을 공급하는 상부 전선 시스템으로, 트롤리선, 조가선, 행어 등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가선 방식과 장력 조절 장치가 존재하고 외부 요인에 의한 고장 위험과 시각 공해 등의 문제도 고려되어야 한다.
대차
개요
트램 보기
트램 보기
유형철도 차량 부품
용도철도 차량 하부 구조
관련 용어차축
현가 장치
철도 차량
바퀴
상세 정보
정의철도 차량의 차축과 현가 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 구조
기능레일 위에서 부드럽게 주행하도록 지원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고 분산
진동과 충격을 흡수
곡선 구간 주행 용이
구성 요소프레임
차축
현가 장치 (스프링, 댐퍼 등)
윤축 (바퀴와 차축의 조립체)
추가 기능제동 장치 장착 가능
견인 모터 장착 가능
기타
참고보기는 철도 차량의 성능과 승차감에 중요한 영향
다양한 유형과 설계 존재
트럭(truck)이라고도 불림

2. 역사적 배경

곡선에서의 보기 대차의 작동


철도 차량의 차륜은 차륜축에 고정되어 있으며, 초기 증기 기관차, 객차, 화차는 4륜, 즉 2축이었다. 차체가 커지고 무거워짐에 따라 더 많은 차륜·차축이 필요하게 되었지만, 2축 이상을 차체에 고정하면 곡선을 통과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2축이라도 고정된 상태에서 그 간격(고정 축거)이 길어지면, 이상적으로는 차륜축이 레일과 직각이 되어야 할 곳에서 각도가 어긋나(어택 각) 주행 저항이 커져 곡선 통과가 어려워진다.

보기 대차는 곡선에 따라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곡선 통과가 쉽다. 또한 승차감이나 주행 성능 면에서도 보기의 2축 사이에서 상하 진동을 어느 정도 균일하게 만들어 흔들림이 적고, 스프링 장치를 2단계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고정 차축차에 비해 유리하다. 스프링 장치를 대차 구조 내부에 포함시키는 형태가 많아 차체와 대차의 기능 분리가 이루어졌지만, 최근에는 침대 스프링(별도 설명)을 차체와의 사이에 두는 형태가 늘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2축 보기 대차는 차량 1량당 4축을 2축씩 작은 단위로 나누어 차체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3축 보기 대차나 4축 보기 대차, 또는 그것들을 여러 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2. 1. 한국 철도 대차 기술의 발전

한국 철도 초기에는 주로 일본과 미국 등 해외 기술에 의존했으나, 점차 자체 기술 개발 노력을 통해 한국 지형과 운행 조건에 맞는 대차를 개발해 왔다. 특히, 고속철도 도입과 함께 대차 기술은 비약적으로 발전했으며, 현재는 세계적인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한국의 대차 기술 발전은 산악 지형과 급곡선 구간이 많은 한국 철도 환경에서 안전성과 승차감을 동시에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두어 왔다.

스윙 행거 방식 대차의 코일 스프링에 의한 枕ばね부(왼쪽). 상하 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오일 댐퍼가 설치되어 있다. 오른쪽은 윙 스프링 축상자 보호식 축상자 지지 장치.(국철 DT21B형)

  • 금속 스프링
  • 판스프링: 동일 무게에서는 코일 스프링보다 부담 하중이 작지만, 내부에서 마찰 손실이 있어 진동을 감쇠시키는 작용을 하며, 옛날에는 枕ばね에 선호하여 사용되었다.
  • 코일 스프링: 댐퍼로 진동을 감쇠시키는 수법이 일반화된 이후에 자주 사용되었다.
  • 엘리 고무 스프링: 금속 코일 스프링에 원통형으로 고무를 피복한 것으로, 고무에 의한 (특히 고주파의) 진동 감쇠가 기대된다. 쓰레기나 눈 등 이물질의 끼임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 토션바 스프링 (비틀림봉 스프링 S.I.G식 일본차량): 금속봉의 비틀림에 대한 복원력에 의한 탄성을 이용한 것이다.
  • 고무 스프링
  • 공기 스프링 (철도 차량 대차의 역사 참조)
  • 벨로우즈형: 세로로 주름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수직 하중은 받지만, 가로 변형에는 약하다.
  • 다이어프램형: 옹이를 엎어 놓은 듯한 형태로, 수직 하중 외에도 가로 변형에도 복원력이 작용하지만 용도에 따라 그 특성은 다르다.

2. 2. 해외 대차 기술의 발전 (참고)

세계 철도 대차 기술은 증기 기관차 시대부터 시작되어, 객차 및 화차의 대형화, 고속화 요구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해 왔다. 특히, 유럽과 일본은 고속철도 기술 개발과 함께 대차 기술을 선도해 왔으며, 다양한 방식의 대차가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 일축 대차: 하나의 차축으로 구성된 대차이다. 도큐 데하 200형의 연결 대차(TS-501)나 ED62 전기 기관차의 중간 대차(TR109) 등에서 채용되었다.

국철 ED62형 전기 기관차 14호의 TR109형 1축 중간 대차(사쿠마 레일파크)

  • 단대차: 고전적인 전차의 4륜 단차 등에 1차체에 1대 설치되어 있는 대차이다.[21] 대차가 대차틀에 대해 스프링을 거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체에 대한 회전(머리 흔들림) 기능은 갖지 않는다. 래디얼식 대차는 단대차의 차축을 전후 방향으로도 가동하는 구조로 하여 곡선 통과 성능을 향상시킨 대차로, J.G.Brill사나 볼드윈 로코모티브 웍스사, 그리고 니와 공업소 등이 1910년대에 제조했다. 문헌에 따라서는 "대차틀을 갖지 않고 차축을 직접 차체에 설치한 것"과 일반적인 2축차의 고정 베어링과 혼동되기 쉬운 정의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지만,[22] 고정 베어링이 스프링을 거쳐 하나의 차축이 대차틀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비해, 단대차는 두 개의 차축이 스프링을 거쳐 대차틀에 설치되어, 그 대차틀이 스프링을 거쳐 대차틀에 설치되어 있다.[23]

하코다테시 교통국 30형 단대차 Brill 21E를 장착한 차량의 예.

  • 보기 대차: 전동차・객차 등에서 1차체에 2대 설치되는 대차이다. 기관차에는 사용 조건이나 요구 성능에 따라 1차체에 3대 또는 4대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이퀄라이저식 삼축 보기 대차의 예 (국철 TR71형)

  • 2축 보기 대차
  • 3축 보기 대차
  • 4축 이상의 보기 대차: 특수한 경우이다. 일본에서는 중량물을 운반하는 대물차에 사용될 뿐이다.
  • 복식 보기 대차

3. 주요 특징

대차는 철도 차량 하부에 위치하며, 차량 무게를 지탱하고 안전한 주행을 돕는 핵심 장치이다. 대차는 차체 지지, 주행 안정성 확보, 곡선 구간 통과, 승차감 향상, 제동, 구동(전동차의 경우)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6]

대차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6]


  • 대차 프레임: 주 프레임과 베어링 위치에 따라 내부 프레임 유형과 외부 프레임 유형으로 나뉜다.
  • 현가 장치: 대차 프레임과 차체 사이 충격을 흡수하며,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고무, 에어백 등이 사용된다.
  • 차륜 세트: 베어링과 각 끝에 바퀴가 있는 차축으로 구성된다.
  • 볼스터: 2차 서스펜션을 통해 대차 프레임에 연결되는 주요 크로스 멤버로, 철도 차량은 볼스터의 피벗 지점에서 지지된다.
  • 차축 박스 서스펜션: 차축 베어링과 대차 프레임 사이 충격을 흡수하며, 스프링과 슬라이더 또는 고체 고무 스프링을 사용한다.
  • 제동 장치: 브레이크 슈 또는 디스크 브레이크와 패드를 사용한다.
  • 변속기: (동력 차량의 경우) 견인 전동기 또는 토크 컨버터와 같은 구동 장치가 포함된다.


대차와 철도 차량 연결은 수직축 피벗(볼스터)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허용하며, 측면 지지대는 과도한 움직임을 방지한다. 현대적인 볼스터리스 대차 디자인은 서스펜션의 측면 움직임을 활용하여 회전 운동을 허용한다.[6]

기관차, 특히 구형 기관차의 대차는 객차의 보기 대차와는 모습이 다르다. 증기 기관차의 경우, 동륜은 축 스프링을 통해 대차 틀에 직접 부착되지만, 선륜·종륜으로 대차 틀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은 '''선대차'''·'''종대차'''라고 불린다. 일본국유철도에서는 형식에 '''LT'''[24]를 붙인다.

EH10형 이후 전기 기관차는 튼튼한 대차 틀을 가진 차체에 연결기가 장착되어 보기 대차로 구동하는 형태이지만, 그 이전 구형 전기 기관차는 증기 기관차와 마찬가지로 대차 틀에 동륜이 부착되었으며, 연결기는 그 대차 틀에 설치되어 있었다. 6개의 동륜을 가진 F형 기관차로, 2축 보기 대차 3조를 사용하는 것은 커브를 돌 때 선로에 대한 횡압이 커지지 않도록 '''중간 대차'''가 횡동하기 쉬운 특수한 구조가 사용된다.

여객차 대차는 일반적으로 다음 순서로 하중을 전달한다.

대차의 하중 전달 순서
차체
1. 차체 지지 장치 (상하·좌우 운동, 회전)
2. 대차 프레임
3. 축상자 지지 장치 (상하 운동)
4. 축상자 - 베어링 (차축 회전)
5. 윤축 (차축 - 차륜)
레일



일반적으로 1(차체 지지 장치)에는 회전 기구와 차체·대차 프레임 간 상하·좌우 운동을 받는 스프링과 댐퍼, 3(축상자 지지 장치)에는 축상자·대차 프레임 간 상하 운동을 받는 스프링 및 댐퍼가 설치된다. 차체 지지 장치에는 전후 견인력을 전달하는 장치와 제동 장치, 구동 장치(동력 대차의 경우)가 포함된다.

대차는 전후 방향이 고정되어 있으며, 차체와 대차 사이 견인력·제동력을 전달한다. 륜축이 레일을 따라 진행하므로 좌우 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며, 차체 흔들림이나 곡선에서 발생하는 좌우 이동을 대차가 흡수한다.[32]

3. 1. 철도차량용 대차의 역할

철도차량용 대차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차체 지지: 차체의 무게를 차륜을 통해 레일에 전달하여 차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한다.[6]
  • 주행 안정성 확보: 직선 및 곡선 선로에서 차량의 안정적인 주행을 돕는다.[6]
  • 곡선 구간 원활 통과: 보기 대차는 회전 기능을 통해 곡선 구간을 부드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6]
  • 승차감 향상: 선로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개선한다.[6]
  • 제동 기능: 제동 장치를 통해 열차의 감속 및 정지를 제어한다.
  • 구동 장치 설치 (전동차의 경우): 동력 장치인 모터를 설치하여 열차에 추진력을 제공한다.[6]


이처럼 대차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기능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여러 가지 장치들이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3. 2. 철도차량용 대차의 구조와 구성 부품

철도차량용 대차는 차륜과 차축을 유지하고 차체의 무게를 차축에 전달하며, 주행 및 제동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2축 대차가 사용되지만, 일부에는 1축 또는 3축 대차도 사용된다.[4]

대차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6]

  • 대차 프레임: 주 프레임과 베어링의 위치에 따라 내부 프레임 유형과 외부 프레임 유형으로 나뉜다.
  • 현가 장치: 대차 프레임과 차체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며,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고무 에어백 등이 사용된다.
  • 차륜 세트: 베어링과 각 끝에 바퀴가 있는 차축으로 구성된다.
  • 볼스터: 2차 서스펜션을 통해 대차 프레임에 연결되는 주요 크로스 멤버로, 철도 차량은 볼스터의 피벗 지점에서 지지된다.
  • 차축 박스 서스펜션: 차축 베어링과 대차 프레임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며, 스프링과 슬라이더 또는 고체 고무 스프링을 사용한다.
  • 제동 장치: 브레이크 슈 또는 디스크 브레이크와 패드를 사용한다.
  • 변속기: (동력 차량의 경우) 견인 전동기 또는 토크 컨버터와 같은 구동 장치가 포함된다.


대차와 철도 차량의 연결은 수직축 피벗(볼스터)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허용하며, 측면 지지대는 과도한 움직임을 방지한다. 더 현대적인 볼스터리스 대차 디자인은 서스펜션의 측면 움직임을 활용하여 회전 운동을 허용한다.[6]

기관차, 특히 구형 기관차의 대차는 객차의 보기 대차와는 모습이 크게 다르다. 증기 기관차의 경우, 동륜은 축 스프링을 통해 대차 틀에 직접 부착되지만, 선륜·종륜으로 대차 틀에 대해 회전 가능한 것은 '''선대차'''·'''종대차'''라고 불린다. 일본국유철도에서는 형식에 '''LT'''[24]를 붙인다.

EH10형 이후의 전기 기관차는 튼튼한 대차 틀을 가진 차체에 연결기가 장착되어 보기 대차로 구동하는 형태이지만, 그 이전의 구형 전기 기관차는 증기 기관차와 마찬가지로 대차 틀에 동륜이 부착되었으며, 연결기는 그 대차 틀에 설치되어 있었다.

6개의 동륜을 가진 F형 기관차로, 2축 보기 대차 3조를 사용하는 것은 커브를 돌 때 선로에 대한 횡압이 커지지 않도록 '''중간 대차'''가 횡동하기 쉬운 특수한 구조가 사용된다.

3. 2. 1. 전체 구조

대차는 철도 차량 아래에 설치되어 바퀴와 차축을 지지하는 구조물이다. 영국에서는 '보이(bogie)', 북미에서는 '철도 트럭(railroad truck)' 또는 '트럭(truck)'이라고 불린다.[4]

대차의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6]

  • 대차 프레임: 주 프레임과 베어링의 위치에 따라 내부 프레임 유형과 외부 프레임 유형으로 나뉜다.
  • 현가 장치: 대차 프레임과 차체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며,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고무 에어백 등이 사용된다.
  • 차륜 세트: 베어링과 각 끝에 바퀴가 있는 차축으로 구성된다.
  • 볼스터: 2차 서스펜션을 통해 대차 프레임에 연결되는 주요 크로스 멤버로, 철도 차량은 볼스터의 피벗 지점에서 지지된다.
  • 차축 박스 서스펜션: 차축 베어링과 대차 프레임 사이의 충격을 흡수하며, 스프링과 슬라이더 또는 고체 고무 스프링을 사용한다.
  • 제동 장치: 브레이크 슈 또는 디스크 브레이크와 패드를 사용한다.
  • 변속기: (동력 차량의 경우) 견인 전동기 또는 토크 컨버터와 같은 구동 장치가 포함된다.


대차와 철도 차량의 연결은 수직축 피벗(볼스터)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을 허용하며, 측면 지지대는 과도한 움직임을 방지한다. 더 현대적인 볼스터리스 대차 디자인은 서스펜션의 측면 움직임을 활용하여 회전 운동을 허용한다.[6]

많은 여객차에서 사용되는 대차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하중을 전달한다.

대차의 하중 전달 순서
차체
1. 차체 지지 장치 (상하·좌우 운동, 회전)
2. 대차 프레임
3. 축상자 지지 장치 (상하 운동)
4. 축상자 - 베어링 (차축 회전)
5. 윤축 (차축 - 차륜)
레일



일반적으로 1(차체 지지 장치)에는 회전 기구와 차체·대차 프레임 간의 상하·좌우 운동을 받는 스프링과 댐퍼, 3(축상자 지지 장치)에는 축상자·대차 프레임 간의 상하 운동을 받는 스프링 및 댐퍼가 설치된다. 또한 차체 지지 장치에는 전후 견인력을 전달하는 장치와 제동 장치, 구동 장치(동력 대차의 경우)가 포함된다.

대차는 전후 방향이 고정되어 있으며, 차체와 대차 사이의 견인력·제동력을 전달한다. 륜축이 레일을 따라 진행하므로 좌우 방향의 움직임이 구속되며, 차체의 흔들림이나 곡선에서 발생하는 좌우 이동을 대차가 흡수한다.[32]

3. 2. 2. 차체 지지 장치

철도 차량의 차체와 대차 프레임 사이에는 하중을 전달하고 상하좌우 운동과 회전을 담당하는 장치가 있다.

  • 직접 마운트
  • 볼스터 대차
  • 볼스터리스 대차
  • 간접 마운트
  • 2차 서스펜션
  • 금속스프링
  • 판스프링
  • 코일스프링
  • 토션 바
  • 고무스프링
  • 공기스프링
  • 벨로즈형
  • 다이어프램형
  • 축스프링
  • 댐퍼
  • 수직 방향
  • 댐퍼: 침스프링이나 축스프링의 진동을 감쇠한다.
  • 수평 방향
  • 요댐퍼: 레일 방향으로 설치되어 대차의 자유 운동을 억제한다.
  • 트랜시버스 댐퍼: 차체 마루 아래의 핀과 대차를 침목방향으로 묶어, 차체의 횡방향 운동을 억제한다.
  • 자세제어 장치
  • 리액티브식
  • 세미 액티브식
  • 액티브식

3. 2. 3. 축상자 지지 장치

차륜축과 축상자를 대차 프레임에 연결하고, 상하 운동을 허용하면서 전후좌우 운동은 억제한다. 종류는 다음과 같다.

구분종류상세 종류
직접 마운트볼스터 대차
볼스터리스 대차
간접 마운트페데스탈식판스프링
코일스프링 단식(축스프링)
코일스프링 복식(윙스프링)
저널박스가 없는 것완충고무식(이코노미컬)
적층고무식(세브론)
원통안내식쉰들러식
판스프링 지지식민덴
S·SU민덴식
IS식
링크식알스톰
OK
모노링크식



차체- 스프링 - 차축이 수직으로 정렬되어 있을 때, 레일에 의해 상하 운동이 발생하면 스프링 아래의 무게가 가벼울수록 바퀴가 레일을 따라가기 쉬워지고, 스프링을 통해 차체에 전달되는 진동 충격도 줄어든다.[6] 철도 차량의 대차에서는 대차 프레임과 차축 상자 사이의 축 스프링 아래 부분이 이에 해당한다. 차축 상자 이하의 스프링 아래 질량뿐만 아니라, 축 스프링과 침대 스프링 사이(대차 프레임 등)의 질량도 가벼운 것이 바람직하며, 스프링 아래 질량과 스프링간 질량 경량화를 위해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80px

3. 2. 4. 윤축

차축과 차륜으로 구성되며, 철도 차량의 주행을 담당한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다.[6]

  • '''베어링'''
  • '''차축'''
  • '''차륜'''
  • '''저널박스'''(축받이, 축상)
  • '''대차 프레임''': 주요 프레임과 베어링이 바퀴 사이에 있는 내부 프레임 유형이거나, 더 일반적으로 주요 프레임과 베어링이 바퀴 외부에 있는 외부 프레임 유형일 수 있다.
  • '''현가 장치''': 대차 프레임과 철도 차량 차체 사이의 충격을 흡수한다. 일반적인 유형으로는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고무 에어백이 있다.
  • '''볼스터''': 주요 크로스 멤버는 2차 서스펜션을 통해 대차 프레임에 연결된다. 철도 차량은 볼스터의 피벗 지점에서 지지된다.
  • '''차축 박스 서스펜션''': 차축 베어링과 대차 프레임 사이의 충격을 흡수한다. 일반적으로 상하 운동을 허용하는 대차 프레임과 차축 베어링 사이의 스프링과 측면 움직임을 방지하는 슬라이더로 구성된다. 더 현대적인 디자인은 고체 고무 스프링을 사용한다.
  • '''제동 장치''': 바퀴의 답면에 눌려지는 브레이크 슈와 디스크 브레이크 및 패드,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있다.
  • '''변속기''': 동력 차량의 경우, 일반적으로 단일 속도 기어 박스가 있는 전기 구동 견인 전동기 또는 유압 구동 토크 컨버터와 같은 일종의 변속기가 있다.

3. 2. 5. 구동계 (전동차의 경우)

전동기의 회전력을 차축에 전달하여 열차에 추진력을 제공한다.

'''구성 요소:'''

  • 전동기의 장하(装荷) 방식과 동력 전달 구조
  • 차체장하
  • 스프링상장가(上装架)
  • 카르단식
  • WN식
  • 킬식
  • 링크식
  • 감속기어, 감속기
  • 역전기(逆轉機)

3. 2. 6. 제동계

철도 차량의 속도를 줄이거나 멈추게 하는 장치이다. 제동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 답면제동
  • 디스크제동
  • 드럼 제동
  • 제동 실린더
  • 제륜자
  • 브레이크 패드
  • 브레이크 슈


제동 장치는 바퀴의 답면에 눌려지는 브레이크 슈와 디스크 브레이크 및 패드, 이렇게 두 가지 주요 유형이 사용된다.[6]

3. 2. 7. 기타 장치

대차에는 다음과 같은 기타 장치들이 포함될 수 있다.

  • '''요댐퍼'''
  • '''트랜시버스 댐퍼'''
  • '''자세 제어 장치'''
  • '''활주 방지 장치'''
  • '''제설기'''
  • '''모래 살포 장치'''
  • '''속도 검출기'''
  • '''집전 장치'''(제3궤조 방식)

4. 현대적 응용

현대 한국 철도는 KTX를 비롯한 고속철도, 일반 여객 열차, 화물 열차, 도시철도(지하철) 등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각 열차의 특성과 운행 조건에 맞는 다양한 대차가 사용되고 있다.


  • 보기 대차: 1차체에 2~4대 설치되는 대차이다.
  • 종류: 2축 보기 대차, 3축 보기 대차, 4축 이상의 보기 대차(한국에서는 대물차에 사용) , 복식 보기 대차
  • 금속 스프링: 판스프링, 코일 스프링, 엘리 고무 스프링, 토션바 스프링(일본차량 S.I.G식)이 있다.
  • 판스프링: 과거 침대차에 사용되었다.
  • 코일 스프링: 댐퍼와 함께 사용된다.
  • 엘리 고무 스프링: 고무를 피복하여 진동 감쇠 및 이물질 끼임 방지 효과가 있다.
  • 고무 스프링
  • 공기 스프링: 벨로우즈형, 다이어프램형이 있다.


최근에는 경량화, 저소음, 유지보수 편의성 향상 등을 위한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4. 1. 특수 대차

궤간 분리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일부 대차는 두 가지 다른 궤간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가변 궤간 차축(VGA)을 장착하고 있다. 여기에는 ZNTK 포즈난의 SUW 2000 시스템이 포함된다.[11]

레디얼 조향 대차(래디얼 대차)는 개별 차축이 전체 대차가 회전하는 것 외에도 곡선에 맞춰 정렬될 수 있도록 한다. 비 레디얼 대차의 경우, 차축이 많을수록 바퀴 플랜지와 레일의 마찰로 인해 곡선 주행이 더 어려워진다. 레디얼 대차의 경우, 차륜 세트가 곡선을 통해 능동적으로 조향하여 바퀴의 플랜지-레일 인터페이스의 마모를 줄이고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미국에서는 레디얼 조향이 EMD 및 GE 기관차에 구현되었다. EMD 버전은 HTCR로 지정되었으며, 1993년에 처음 판매된 SD70 시리즈의 표준 장비로 제작되었다. 작동하는 HTCR은 엇갈린 결과를 보였으며 구매 및 유지 관리 비용이 비교적 높았다. EMD는 이후 레디얼 구성 요소가 제거된 HTCR인 HTSC 대차를 도입했다. GE는 1995년에 AC4400CW 및 이후 에볼루션 시리즈 기관차의 구매자 옵션으로 자체 버전을 도입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높은 구매 및 유지 관리 비용으로 인해 제한적인 채택을 받았으며, 고객은 일반적으로 신형 및 재건 기관차에 GE Hi-Ad 표준 대차를 선택했다.

19세기의 철도 차량에 설치된 자기 조향 차축의 구성은 레디얼 조향의 원리를 확립했다. 클렘슨 시스템[13]은 각 차축이 중앙 피벗에 장착된 프레임에 장착된 3개의 차축을 포함했다. 중앙 차축은 가로로 미끄러질 수 있었다. 3개의 차축은 직선에서 평행을 유지하고 곡선에서 끝 차축을 방사형으로 이동시키는 연결 장치로 연결되어 있어 세 개의 차축이 모두 레일에 직각을 유지했다.[14] 영국 엔지니어 존 제임스 데이비지 클렘슨이 발명한 이 구성은 1883년 영국에서 특허를 받았다.[15] 이 시스템은 맨 섬 및 맨스 노던 철도와 같은 영국 협궤 철도 차량에 널리 사용되었다.[16] 홀드패스트 베이 철도 회사(나중에 글레넬그 철도 회사)는 광궤 노선을 위해 1880년 미국 길버트 & 부시 회사에서 클렘슨 구성의 객차를 구입했다.

5. 관련 주제

참조

[1] 서적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http://unabridged.me[...] Merriam-Webster
[2] 서적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https://ahdictionary[...]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4-11-24
[3] 서적 Oxford Dictionaries Online http://www.oxforddic[...] Oxfo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Oxford Learner's Dictionaries - Find definitions, translations, and grammar explanations at Oxford Learner's Dictionaries http://www.oxfordadv[...] 2018-05-08
[5] 서적 British Railway Carriages of the 20th Century - Volume 1: The end of an era, 1901-22 Guild Publishing
[6] 간행물 How Bogies Work http://www.jrtr.net/[...] 2018-11-30
[7] 웹사이트 Bogie truck for railway and like vehicles https://patents.goog[...] 2018-05-08
[8] 웹사이트 AAR M-1003 Certified Truck Component Manufacturing http://www.columbusc[...] Columbus Castings 2014-11-19
[9]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http://www.sctco.com[...] Standard Car Truck Company 2014-11-19
[10] 웹사이트 trucks http://www.hosam.com[...] 2018-05-08
[11] 웹사이트 ČVUT.cz - Čapek, Kolář http://www.railway20[...] 2010-05-12
[12] 웹사이트 Truck (bogie) - Visual Dictionary http://www.infovisua[...] 2018-05-08
[13] 웹사이트 US511685A https://patents.goog[...] 2024-10-29
[14] 서적 Little coastal railways of the Adelaide Plains 1873–1929 self-published 1986
[15] 간행물 Obituary. James Lyons-Cleminson, 1840-1896 https://www.icevirtu[...] ICE Virtual Library 2022-01-28
[16] 웹사이트 Cleminson flexible six-wheeled waggon - Festipedia http://www.festipedi[...] 2024-10-27
[17] 문서 吉川1989。
[18] 문서 持永芳文・宮本昌幸 編著 『鉄道技術140年の歩み』 コロナ社2012年 p160、p162。
[19] 문서 固定軸受は単台車などと呼ばれることもあるが、固定軸受・単台車・一軸台車はそれぞれ構造が異なるものである。
[20] 서적 日本国有鉄道編 『鉄道辞典(下巻)』、日本国有鉄道発行、1958年、p.998-1000「【台車の構造(電気機関車の)】」。
[21] 문서 英語のsingle truck car が由来とされる。
[22] 서적 日本国有鉄道編 『鉄道辞典(下巻)』、日本国有鉄道発行、1958年、p.1000・1002「【台車の種類】6 単台車」
[23] 문서 ばね装置が固定軸車が1段階なのに対し単台車は2段階にあるということでもある。
[24] 문서 英語のLeading Truck(先台車)の頭文字より。
[25] 문서 Hはドイツ語のHaupt(主の意)から。英語の Main としなかった理由は、[[主電動機]]の形式に Motor for Traction を略した'''MT'''が使われていたため。
[26] 문서 両端に付いているが、双方向に運転されるので、一般に両方とも先台車と言う。
[27] 서적 日本国有鉄道編 『鉄道辞典(下巻)』、日本国有鉄道発行、1958年、p.1000「【台車の種類】3 動軸台車及び電動台車」
[28] 서적 日本国有鉄道編 『鉄道辞典(下巻)』、日本国有鉄道発行、1958年、p.1000「【台車の種類】1 主台車」
[29] 서적 日本国有鉄道編 『鉄道辞典(下巻)』、日本国有鉄道発行、1958年、p.1000・1002「【台車の種類】4 付随台車」
[30] 서적 日本国有鉄道編 『鉄道辞典(下巻)』、日本国有鉄道発行、1958年、p.1000「【台車の種類】2 先台車および従台車」
[31] 서적 日本国有鉄道編 『鉄道辞典(下巻)』、日本国有鉄道発行、1958年、p.1000「【台車の種類】5 関節台車」
[32] 문서 厳密には他の2軸の回転もあるがこれは上下動に分解して受ける。
[33] 문서 実際には上揺れ枕 - 台車枠間が一連の揺れ装置(左右動を行なう)をなしているが、これで代表させる。
[34] 문서 『日本車輛製品案内 昭和5年(NSK型トラック)』 p.15
[35] 문서 野元浩『電車基礎講座』p.97
[36] 서적 鉄道辞典(下巻) 日本国有鉄道発行 1958
[37] 문서
[38] 문서
[39] 문서
[40] 문서
[41] 서적 鉄道辞典(下巻) 日本国有鉄道発行 1958
[42] 서적 鉄道辞典(下巻) 日本国有鉄道発行 1958
[43] 서적 鉄道辞典(下巻) 日本国有鉄道発行 1958
[44] 문서
[45] 문서
[46] 문서
[47] 문서
[48] 문서
[49] 문서
[50] 문서
[51] 문서
[52] 문서
[53] 문서
[54] 간행물 曲線を円滑に通過するための操舵技術 https://doi.org/10.1[...] 計測自動制御学会
[55] 문서
[56] 문서
[57] 문서
[58] 문서
[59] 문서
[60] 서적 鉄道辞典(下巻) 日本国有鉄道発行 1958
[61] 서적 日本の内燃動車 成山堂書店
[62] 서적 鉄道青春時代 - 国電 (1) 電気車研究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