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는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에서 운행하는 전동차로, 1984년 대한민국 최초의 중형 전동차로 도입되었다. 스테인리스강 차체를 사용하고 자동 열차 제어 장치(ATO)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1990년대 8량으로 증결되었으며, 2010년대 후반부터는 신형 전동차로 교체되었다. 현재는 6M2T 또는 4M4T의 8량 편성으로 운행 중이며, 2025년까지 노후 전동차를 교체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자갈치역
    자갈치역은 1988년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한 지하철역으로, 토성역과 남포역 사이에 위치하며 자갈치시장, 국제시장, BIFF광장 등 다양한 시장과 명소가 주변에 있다.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토성역
    토성역은 1988년 부산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현재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지하역이며, 부산대학교병원 등과 인접해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 방면과 노포 방면으로 운행된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철도 차량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개요
차량 이름부산교통공사 1000계 전동차
운영 회사부산교통공사
노선 색상'#ff6600'
초대 1000계 전동차
초대 1000계 전동차
[[동래역 (부산)|동래역]]에 정차 중인 1000계 전동차
동래역에 정차 중인 1000계 전동차
차량 정보
편성 량수8량
궤간1,435 mm
전기 방식직류 1,500V 가공 가선 방식
편성 구조알 수 없음
동력 방식알 수 없음
용도지하철 구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MT비6M 2T, 4M 4T
제작 회사현대정공
대한조선공사(1세대)
현대로템(2세대)
우진산전(3세대)
제작 년도1984년 6월~1997년 2월
2015년 10월~2016년 3월
2017년 10월~2018년 2월
2020년 6월~9월
2023년 6월~2027년 예정
생산 량97편성 774량
사용 량51편성 408량
도입 단가알 수 없음
비고알 수 없음
성능
기동 가속도3.6 km/h/s
영업 최고 속도ATC/ATO 구간 80 km/h
설계 최고 속도100 km/h
감속도 (상용 최대)3.6 km/h/s
감속도 (비상)4.5 km/h/s
기관 출력알 수 없음
견인력알 수 없음
차량 크기
전체 길이17,500 mm
전체 폭2,750 mm
전체 높이3,670 mm
차량 무게Tc: 24.5 t, M1: 35.2 t, M2: 33.5 t, T': 25.7 t
편성 무게알 수 없음
대차 간 거리알 수 없음
축중알 수 없음
차량 정원 (선두차)113명
차량 정원 (중간차)124명
편성 정원알 수 없음
장치
제어 방식사이리스터 초퍼 제어(117, 135~138, 140~141, 143~144편성에 한함, 미쓰비시 THR-1L-2A형)
VVVF-IGBT 2레벨 1C4M제어 (현대로템 IPM)(121, 125, 130~131, 133~134, 139, 142, 145~151편성에 한함)
VVVF-IGBT PMSM(도시바)(101~116, 118~120, 122~124, 126~129, 132편성에 한함)
엔진알 수 없음
전동기 형식알 수 없음
기어비15:86 (5.73)
차륜 배열알 수 없음
차륜 직경알 수 없음
구동 장치직류 직권전동기 (Chopper제어)
농형 3상 유도전동기 (VVVF제어)
영구자석 동기전동기 (VVVF제어)
제동 방식발전제동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설계 회사일본차량제조, 마루베니
전동기 출력Chopper제어 전동차: 165 kW
VVVF제어 전동차: 218 kW
편성 출력Chopper제어 전동차: 3,960 kW(5760마력)
VVVF제어 전동차: 5,048(6848마력)
출력알 수 없음
보안 장치ATC/ATO (수동·자동운전)
구동 방식WN구동방식
대차일본차량제조ND317

2. 기술적 사양

1984년부터 1997년까지 제작된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는 대한민국의 지하철에서 유일하게 전장 18m급 3도어 차량이다.[6] 차체는 일본차량제조에서 설계된 올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되었으며, 초기 차량의 공기 스프링 대차 또한 일본차량제조에서 공급했다.

초기 차량(6량 31개 편성)의 주전동기, 전기자 초퍼 제어 장치, 정지형 인버터 장치는 일본 미쓰비시 전기 제품을 사용했다. 제동 방식은 독일 크노르-브렘제 제품인 PWM 아날로그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를 채택했으며, 주간제어기는 T자형 원핸들 방식이다. 초기에는 6량 편성으로 도입되었으나, 1994년부터 1997년까지 중간차 2량이 증결되어 현재는 8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전면 행선 표시기는 초기에는 방향막 방식이었으나, 2004년부터 2005년에 걸쳐 내장재 불연화 개조와 함께 LED 표시기로 교체되었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45개 편성 중 9개 편성(제21·25·30·31·33·34·39·42·45 편성)은 전기자 초퍼 제어에서 VVVF 인버터 제어로 교체되었다.

2025년까지 잔존하는 전기자 초퍼 제어 차량(25개 편성)과 2027년까지 VVVF 인버터 제어 차량(9개 편성)은 모두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다.

신 1000호대 3차 차량은 우진산전에서 제작하며, 차체는 더블 스킨 구조의 알루미늄 차체로 변경되었다. 좌석은 450mm에서 480mm로 확대되어 8인용으로 변경되었고, 모켓 시트에서 플라스틱 시트로 변경되었다. 또한 1호선 최초로 객실 내 액정 디스플레이와 스마트폰 무선 충전기가 설치되었다.

2. 1. 대한민국 최초의 중형, 자동운전 전동차

1984년 12월, 대한민국 최초의 중형전동차이자 스테인리스 철도차량이며(스테인레스강은 마루베니사에서 공급했으며, 4차 도입분부터는 모두 현대정공에서 담당), 대한민국에서 마지막으로 도입된 전기자 사이리스터 초퍼제어 차량이다. 2500V 1000A급 역도통 사이리스터 소자를 사용한, 프레온 비등 냉각식 전기자 초퍼 제어를 사용했으며, 측면에 요철이 많은 형태인 콜게이트 스테인리스 차체를 채택했다. 아날로그 ATC와 함께, 신호를 수신하여 운전을 제어한 TIS 장치를 가지고 있어 ATO 자동운전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국내 최초로 보조전원장치를 전동발전기(MG, MA)가 아닌 정지형 인버터(SIV)로 채택 및 쪽유리(상부개폐) 형태의 고무창틀을 채용했다.

2. 2. 차체, 제동장치

1세대 전동차(초창기 도입분)의 차체는 STS304 계열의 스테인리스강을 채택했으며, 측면에 스팟용접 흔적을 가리기 위해 요철이 많은 형태인 콜게이트 판을 덧대는 방식으로 되어있다.[6] 제동 장치는 회생 제동이 가능한 독일 KNORR사의 전기지령식 제동 장치를 사용한다.

2세대 전동차의 차체는 STS301L 계열의 경량 고장력 스테인리스 스틸을 채택했으며,[6] 제동 장치는 유진기공의 전기지령식 제동 장치를 사용한다.

2. 3. 주행부, 대차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는 MT 비율이 5:5 또는 4:6인 일반적인 전동차와 달리, 6M 2T 8량 편성으로 편성당 출력이 높아 기동 가속도가 3.6km/h/s로 다른 전동차에 비해 빠른 편이다. 2015년부터 도입된 2세대 차량은 4M 4T로 조성되었지만, 가속력은 3.6km/h/s를 유지한다. 1호선은 곡선반경이 좁고 급구배가 많아 감속 운행으로 인한 에너지 손실 및 운행 시간 지연을 방지하기 위해,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 회생제동과 발전제동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M1객차 하부에 Chopper 저항기를 다수 배치하였다. 대차는 세브론 고무를 사용한 다이렉트 마운트 에어스프링의 볼스터 대차(ND-317형)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2기형은 고정축거(대차의 앞 차축에서 뒷 차축까지의 거리)가 2200mm인 DT50형태의 대차를 사용한다.

2. 4. 실내 구성

대한민국의 전동차들 중 유일하게 3도어 전동차이며, 실내 좌석의 배치는 1세대 4-10-10-4식, 2세대 4-9-9-4식, 3세대 4-8-8-4식이다. 이는 설계 당시 일본에서 보편화됐던 18미터급 차체에 측면 3도어 설계를 그대로 적용했기 때문이다.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시행된 내장재 개조사업으로 4차 도입차량을 제외한 전 차량이 쪽유리(상부개폐형) 구조에서 노약자석 창문을 제외한 모든 창문이 통유리(밀폐형)로 교체됐다.

1984년부터 1988년까지 도입된 초·중기 도입차량은 객차 간 통로문이 양문형 구조에 도어 램프도 1등식이었으나, 1991년 이후의 후기 도입차량은 일반적인 단문형 출입문 및 3등식 도어 램프로 변경됐다. 초·중기 도입차량은 LED 안내기가 없었으나 8량화 사업 이후 새로 장착됐다.

초창기 도입차량 중 106~109, 113, 116, 121, 125, 130~131편성은 8량 장대화 사업으로 5·7차 도입분 중간차량이 혼합되어 운전실이 있는 1·8호차는 양문형, 중간차량은 단문형 통로문으로 구성되었으나, 2세대 차량부턴 객실간 자동통로문이 설치됐다.(단, 117 편성은 1991년 4차 도입때 새로 신조됐기 때문에 단문형이다.) 101~105, 110~112, 114~115, 118~120, 122~124, 126~129편성은 18량 모두 초창기 도입분 차량이라 모두 양문형이다.

차내. 출입문 사이가 10인석에서 9인석으로 변경되었다. (여성 배려칸 차내.)


최근에는 좌석을 450mm에서 480mm로 확대하고 8인용 좌석으로 변경했으며, 모켓 시트에서 플라스틱 시트로 변경했다. 또한 1호선 최초로 객실 내 액정 디스플레이와 스마트폰 무선 충전기가 설치되었다.

3. 8량화 사업 및 조성현황

1990년대 초반, 이용객 증가로 인해 전동차 혼잡도가 심해지자 이를 완화하기 위해 1994년부터 1997년까지 전 편성을 8량으로 늘리는 작업이 완료되었다. 이 과정에서 많은 편성들의 구성이 변경되었다.[6]

구 1000호대 전동차는 1-45편성까지 운행했으나, 2023년 6월 현재 11개 편성이 폐차되어 34개 편성이 운행하고 있다. 6M2T의 8량 열차 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colspan="8" |
 ◇◇ ◇◇ ◇◇  
10XY11XY12XY13XY14XY17XY18XY19XY
Tc1M1M2M1M2M1M2Tc2
※XY는 편성 번호



신 1000호대 전동차는 4M4T의 8량 편성으로, 다대포 연장에 따른 증차분 46-51편성(1차분) 6개 편성과 노후 차량 교체용 1-11편성(2차분) 11개 편성 등 총 17개 편성이 운행하고 있다.

colspan="8" |
 ◇◇ ◇◇ ◇◇  
10XY11XY12XY13XY14XY17XY18XY19XY
Tc1M1M2TTM1M2Tc2
※XY는 편성 번호



2025년까지 남아있는 전기자 초퍼 제어 차량(25개 편성)은 모두 신 1000호대 전동차(3차 차량)로 교체될 예정이며, VVVF 인버터로 교체된 9개 편성도 2027년까지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다.

4. 도입 과정

1984년부터 1997년까지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가 제작되었다. 이 전동차는 대한민국의 지하철에서는 유일하게 전장 18m급 3도어 차량이다.[6] 초기 차량의 차체는 일본차량제조에서 설계된 올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되었고, 공기 스프링 대차 또한 일본차량제조가 공급했다. 초기 차량 6량 31개 편성분의 주전동기, 전기자 초퍼 제어 장치, 정지형 인버터는 일본 미쓰비시 전기 제품을 사용했다. 제동 방식은 독일 크노르-브렘제의 PWM 아날로그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를 채택했으며, 주간제어기는 T자형 원핸들이다. 이후 1994년부터 1997년까지 중간차 2량이 증결되어 8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2004년부터 2005년에는 전면 행선 표시기가 방향막에서 LED 표시기로 교체되었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는 초퍼 제어 장치의 노후화 및 부품 확보를 위해 45개 편성 중 9개 편성이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으로 교체되었다.

2009년에는 초기 제작 차량이 법정 내구 연한(25년)에 도달했지만, 도시철도법 개정으로 최장 40년까지 사용 가능하게 되어 교체가 연기되었다. 이후 일부 편성은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되었고, 일부는 폐차되었다. 2025년까지 잔존 초퍼 제어 차량과 VVVF 인버터 제어 차량 모두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다.

다대포 연장에 따라 현대로템제 신 1000호대 1차 차량 48량이 증비되었고,[7] 2015년2016년에 각각 2개, 4개 편성이 완성되었다.[8] 12월 1일에 2개 편성이 영업 운전에 투입되었으나,[9][10] 출입문 문제로 리콜되어 전면 교체되었다.[11]

2018년에는 도시바제 영구 자석 동기 전동기(PMSM)를 채용한 신 1000호대 전동차 5개 편성이 영업 운전에 투입되었다.[13] 2020년에는 현대로템이 추가 수주한 6개 편성이 투입되어 2021년까지 운행을 시작했다.[17]

2025년까지 잔존하는 전기자 초퍼 제어 차량을 교체하기 위해 우진산전에서 제작한 신 1000호대 3차 차량 25개 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 이 차량은 더블 스킨 구조의 알루미늄 차체를 사용하며, 좌석 및 편의 시설이 개선되었다. 2024년 6월 현재, 일부 편성이 출고되어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4. 1. 현대정공 제작차량

1987년 2단계 개통까지의 반입차량들은 동래역까지 철로로 운송한 후 트레일러로 운반했으며, 이후 차량들은 경부선과 연결된 부산진역 반입선을 통해 도입됐다.[6]

4. 1. 1. 101~124편성(총 24편성, 1984년~1986년)

1987년 2단계 개통까지의 반입차량들은 동래역까지 철로 운송을 한 후 트레일러로 운반했으며, 이후 차량들은 철로 운송으로 경부선과 연결된 부산진역 반입선을 통해 도입됐다.[6]

1984년부터 대한민국의 지하철에서는 유일하게 전장 18m급 3도어 차량이 제작되었다.[6] 차체는 일본차량제조에서 설계된 올 스테인리스강으로, 초기 차량의 공기 스프링 대차 또한 일본차량제조가 공급했다. 초기 차량 6량 31개 편성분의 주전동기, 전기자 초퍼 제어 장치, 정지형 인버터 장치는 일본의 미쓰비시 전기 제품이다. 제동 방식은 독일의 크노르-브렘제 제품인 PWM 아날로그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를 채용하고 있다. 주간제어기는 T자형 원핸들이다.

4. 1. 2. 125~145편성(총 21편성, 1987년~1997년)

현대정공(현. 현대로템) 창원 공장에서 제작되어 경부선 부산진역을 거쳐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도시철도 부산진역에서 노포차량기지까지 철로로 운송되었다.[6] 1984년부터 1997년까지 제작된 이 전동차는 대한민국의 지하철에서 유일하게 전장 18m급 3도어 차량이다.[6]

차체는 일본차량제조에서 설계한 올 스테인리스강 재질이며, 초기 차량의 공기 스프링 대차 역시 일본차량제조에서 공급했다. 초기 차량 6량 31개 편성의 주전동기, 전기자 초퍼 제어 장치, 정지형 인버터는 일본 미쓰비시 전기 제품이다. 제동 방식은 독일 크노르-브렘제의 PWM 아날로그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를 사용하며, 주간제어기는 T자형 원핸들이다. 처음에는 6량 편성으로 도입되었으나, 1994년부터 1997년까지 중간차 2량이 증결되어 현재는 8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전면 행선 표시기는 초기에는 방향막 방식이었으나, 2004년부터 2005년까지 내장재 불연화 개조와 함께 LED 표시기로 교체되었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초퍼 제어 장치의 노후화와 부품 수급 문제로 인해 45개 편성 중 9개 편성(21, 25, 30, 31, 33, 34, 39, 42, 45편성)은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으로 교체되었다.

2009년, 초기에 제작된 차량이 법정 내구 연한(25년)에 도달했지만, 도시철도법 개정으로 5년마다 안전 진단을 받는 조건으로 최장 40년까지 사용이 가능해져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후 1~5편성과 10, 11, 12, 14, 15, 18편성은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되었고, 1~5편성은 2018년까지, 10, 11, 12, 14, 15, 18편성은 2021년까지 폐차되었다. 이 중 1편성은 노포 차량사업소에 보존되어 있다.

2025년까지 남아있는 전기자 초퍼 제어 차량(25개 편성)은 모두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VVVF 인버터로 교체된 9개 편성도 2027년까지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다.

4. 2. 현대로템 제작차량

1984년부터 1997년까지 제작되었다. 대한민국의 지하철에서는 유일하게 전장 18m급 3도어 차량이다.[6] 차체는 일본차량제조에서 설계된 올 스테인리스강으로, 초기 차량의 공기 스프링 대차 또한 일본차량제조가 공급했다. 초기 차량 6량 31개 편성분의 주전동기, 전기자 초퍼 제어 장치, 정지형 인버터 장치는 일본의 미쓰비시 전기 제품이다. 제동 방식은 독일의 크노르-브렘제 제품인 PWM 아날로그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를 채용하고 있다. 주간제어기는 T자형 원핸들이다. 처음에는 6량 편성으로 도입되었지만, 1994년부터 1997년에 걸쳐 중간차 2량이 증결되어 현재는 8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전면의 행선 표시기는 처음에는 방향막이었지만, 2004년부터 2005년에 걸쳐 내장재 불연화 개조와 함께 LED 표시기로 교체되었다.

2015년부터 2016년에 걸쳐, 초퍼 제어 장치의 노후화 및 부품 확보를 위해 45개 편성 중 9개 편성(제21·25·30·31·33·34·39·42·45 편성)은 전기자 초퍼 제어에서 VVVF 인버터 제어로 교체되었다.

2009년에는 초기에 제작된 차량이 법정 내구 연한(제작 후 25년)에 도달했지만, 같은 해 도시철도법이 개정되어 5년마다 안전 진단을 실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최장 40년까지 사용 가능하게 됨에 따라, 이 시점에서는 교체가 실시되지 않았다.

그 후, 제1~5편성과 제10·11·12·14·15·18편성은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되었으며, 전자는 2018년까지, 후자는 2021년까지 폐차되었다. 이 중 제1편성은 노포 차량사업소에 보존되어 있다.

2025년까지 잔존한 전기자 초퍼 제어 차량(25개 편성)은 모두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VVVF 인버터로 교체된 9개 편성도 2027년까지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다.

2025년까지 잔존하는 전기자 초퍼 제어 차량(25개 편성)을 완전히 교체하기 위해 25개 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 이 차량은 신 1000호대 3차 차량으로, 제조 회사는 현대로템에서 우진산전으로 변경되었으며, 차체는 더블 스킨 구조의 알루미늄 차체가 되었다. 좌석을 450mm에서 480mm로 확대하여 8인용 좌석으로 변경되었으며, 모켓 시트에서 플라스틱 시트로 변경되었다. 또한 1호선 최초로 객실 내 액정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었고, 스마트폰 무선 충전기가 설치되었다. 2024년 6월 현재, 제17편성을 제외한 제12편성부터 제29편성이 우진산전을 출고했으며, 제22편성까지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제17편성은 2023년 12월 29일 제조 장소인 우진산전에서 제동 시스템 작동 불량으로 탈선 사고가 발생하여 수리 중이다.

4. 2. 1. 146~151편성(총 6편성, 2015년 10월 31일~2016년 3월 1일) / 신101~신111편성 (11편성, 2017년 10월 31일~2018년 2월 1일, 2020년 6월 3일~9월 1일)

2세대 열차는 신평~다대포해수욕장역 연장 구간 배차에 대응하고 초창기에 도입된 노후 차량을 교체하기 위해 제작되었다. 146~151편성은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 대구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공항철도 직통열차, 공항철도 2000호대 전동차와 소리가 흡사하고 동일한 타입으로 구성되었으며, 신101~신111편성은 일본 도시바가 독자 개발한 PMSM(영구자석 동기전동기) 기반의 VVVF-IGBT 인버터를 채용하여, 게이힌 급행 전철 1000형 전동차를 비롯한 큐슈여객철도 305계 전동차와 흡사한 구동음이다.[6] 그 외에도 기존의 현대정공 제작차량과는 달리 현대로템 제작차량은 운전실에 CCTV 감시용 모니터가 설치되었다.

1호선 다대포 연장(7.98km)이 결정됨에 따라 기존 차량 54량의 중간 전동차 VVVF화 개조와 함께 현대로템제 신 1000호대 1차 차량 6개 편성 48량이 증비되었다.[7] 2015년에 2개 편성이[8], 2016년에 4개 편성이 완성되어 8월에 국토교통부로부터 형식 증명을 취득했다. 12월 1일에 2개 편성이 영업 운전에 투입되었지만[9][10], 출입문 구동 장치의 고장으로 리콜되어 전면 교체되었다.[11]

편성 번호는 구 1000호대에서 연번인 46-51이 부여되었다. 차량은 초퍼 갱신차와 동일한 현대로템제 IGBT 소자 VVVF 인버터 제어이지만, 구 1000호대에 있던 비드가 없어졌고, 좌석을 450mm로 확대한 것으로 인해 착석 정원이 감소, MT비는 4M4T, 실내등에 LED를 사용하는 등, 동일 형식임에도 사양이 상당히 변경되었다.

부산교통공사 1호선의 개통부터 사용된 5개 편성 40량의 노후 차량을 대체하기 위한 신조가 결정되었으며, 현대로템이 수주했다.[12] 2018년 7월 12일부터 총 5개 편성이 영업 운전에 투입되었다.[13] 편성 번호는 기존 차량의 것을 계승했다.

주 전동기에는 도시바제 영구 자석 동기 전동기(PMSM)를 채용하였으며[14][15], 한국 철도 차량에서 PMSM을 탑재하는 것은 본 차량이 최초가 되었다. PMSM을 채용한 주 회로 시스템의 채용으로 기존 시스템 대비 30% 이상의 소비 전력량 절감이 예상된다.[16]

2018년 9월 11일, 현대로템이 구형 차량 교체용 2차분 6개 편성 48량을 5560억에 추가 수주하여, 2020년에 투입되어 2021년까지 모든 편성이 운행을 시작했다.[17]

4. 3. 조선공사 제작차량 (12량)

조선공사 다대포 공장에서 노포차량기지까지 육로 운송에 많은 제약이 있어 해상 운송으로 해운대 동백섬까지 운반 후, 트레일러로 노포기지까지 이동하는 방식으로 반입되었다.

4. 4. 우진산전 제작차량

2025년까지 잔존하는 전기자 초퍼 제어(25개 편성) 차량을 완전히 교체하기 위해 25개 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 이 차량은 신 1000호대 3차 차량으로, 제조 회사가 현대로템에서 우진산전으로 변경되었다. 차체는 더블 스킨 구조의 알루미늄 차체가 되었고, 좌석, 객실, 스마트폰 무선 충전기 등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2024년 6월 현재, 제17편성을 제외한 제12편성부터 제29편성이 우진산전을 출고했으며, 제22편성까지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제17편성은 2023년 12월 29일 제조 장소인 우진산전에서 제동 시스템 작동 불량으로 탈선 사고가 발생하여 수리 중이다.[17]

4. 4. 1. 112~145편성(총 34편성, 2023년 6월 1일~2027년)

2025년까지 잔존하는 전기자 초퍼 제어(25개 편성) 차량을 완전히 교체하기 위해 25개 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 이 차량은 신 1000호대 3차 차량으로, 제조 회사는 현대로템에서 우진산전으로 변경되었으며, 차체는 더블 스킨 구조의 알루미늄 차체가 되었다.

좌석을 450mm에서 480mm로 확대하여 8인용 좌석으로 변경되었으며, 좌석도 모켓 시트에서 플라스틱 시트로 변경되었다. 또한 1호선 최초로 객실 내 액정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었고, 스마트폰 무선 충전기가 설치되었다. 2024년 6월 현재, 제17편성을 제외한 제12편성부터 제29편성이 우진산전을 출고했으며, 제22편성까지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제17편성은 2023년 12월 29일 제조 장소인 우진산전에서 제동 시스템 작동 불량으로 탈선 사고가 발생하여 수리 중이다.

5. 편성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는 8량 1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량 자체는 서울 지하철처럼 10량으로 증결이 가능하지만, 스크린도어 설치 시 미사용 구간을 통유리와 기계실로 막아 10량 증결은 불가능하다.[21] 1994년부터 1997년까지 중간차 2량을 증결하여 현재는 8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전면 행선 표시기는 초기에는 방향막이었으나, 2004년부터 2005년에 걸쳐 LED 표시기로 교체되었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는 초퍼 제어 장치 노후화 및 부품 확보를 위해 9개 편성이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으로 교체되었다.

2009년 도시철도법 개정으로 최장 40년까지 사용 가능하게 되어 교체가 연기되었으나, 이후 일부 편성은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되어 폐차되었다. 2025년까지 잔존 초퍼 제어 차량(25개 편성)과 VVVF 인버터 제어 차량(9개 편성)도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다.

구 1000호대 전동차는 1~45편성까지 운행했으나, 2023년 6월 현재 11개 편성이 폐차되어 34개 편성이 운행 중이다. 신 1000호대 전동차는 총 17개 편성이 운행 중이다.

2025년까지 잔존하는 전기자 초퍼 제어 차량 25개 편성을 완전히 교체하기 위해 신 1000호대 3차 차량 25개 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 이 차량은 제조 회사가 우진산전으로 변경되었으며, 더블 스킨 구조의 알루미늄 차체를 사용한다. 좌석은 450mm에서 480mm로 확대된 8인용 좌석으로 변경되었으며, 모켓 시트에서 플라스틱 시트로 변경되었다. 또한 1호선 최초로 객실 내 액정 디스플레이와 스마트폰 무선 충전기가 설치되었다.

5. 0. 1. Unit 구조

6M2T 또는 4M4T 구조로, 총 3개 Unit으로 구성되어 있다.

  • Chopper 제어 전동차: 1C8M 제어 (M1 동력객차에 장착된 Chopper 제어장치 1개가 M1~M2 견인전동기 8개를 일괄 제어)
  • VVVF-IGBT 제어 전동차: 1C4M 2군 제어 (M1 동력객차에 장착된 2개의 VVVF 제어장치가 각각 M1~M2 견인전동기 8개를 4개씩 일괄 제어)


6M2T의 8량 열차 편성으로, 구 1000호대 전동차는 1-45편성까지 운행했으나, 2023년 6월 현재 11개 편성이 폐차되어 현재는 34개 편성이 운행하고 있다.

노포 → 다대포해수욕장
 ◇◇ ◇◇ ◇◇  
10XY11XY12XY13XY14XY17XY18XY19XY
Tc1M1M2M1M2M1M2Tc2
※XY는 편성 번호



4M4T의 8량 편성으로, 신 1000호대 전동차는 다대포 연장에 따른 증비용 46-51편성(1차분) 6개 편성 및 노후 차량 교체용 1-11편성(2차분) 11개 편성 등 총 17개 편성이 운행하고 있다.

노포 → 다대포해수욕장
 ◇◇ ◇◇ ◇◇  
10XY11XY12XY13XY14XY17XY18XY19XY
Tc1M1M2TTM1M2Tc2
※XY는 편성 번호


5. 0. 2. 편성도(Chopper제어)

부산교통공사에서는 M'객차를 M1, M 객차를 M2로 지칭한다.[22]

객차번호구성
10XXTc (운전실, 방송장치, ATC, ATO장치)
11XXM1 (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12XXM2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13XXM1 (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14XXM2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17XXM1 (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18XXM2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19XXTc (운전실, 방송장치, ATC, ATO장치)



colspan="8" |
 ◇◇ ◇◇ ◇◇  
10XY11XY12XY13XY14XY17XY18XY19XY
Tc1M1M2M1M2M1M2Tc2
※XY는 편성 번호



6M2T의 8량 열차 편성으로, 구 1000호대 전동차는 1~45편성까지 운행했으나, 2023년 6월 현재 11개 편성이 폐차되어 현재는 34개 편성이 운행하고 있다.

5. 0. 3. 편성도(VVVF제어)

부산교통공사에서는 M'객차를 M1, M 객차를 M2로 지칭하며, 아래 표에도 이를 적용하였다.

◇◇◇◇
10XX11XX12XX13XX14XX17XX18XX19XX
TcM1M2T1T2M1M2Tc[23]
←노포※XX는 편성 번호 다대포해수욕장



객차번호구성
10XXTc (운전실, 방송장치, ATC, ATO장치)
11XXM1 (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12XXM2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13XXT1 (무동력객차)
14XXT2 (무동력객차)
17XXM1 (팬터그래프, 추진제어장치, 견인전동기(TM))
18XXM2 (보조전원장치, 공기압축기, 축전지, 견인전동기(TM))
19XXTc (운전실, 방송장치, ATC, ATO장치)



2015년부터 2016년에 걸쳐, 초퍼 제어 장치의 노후화 및 부품 확보를 위해 45개 편성 중 9개 편성(제21·25·30·31·33·34·39·42·45 편성)은 전기자 초퍼 제어에서 VVVF 인버터 제어로 교체되었다. 2025년까지 잔존한 전기자 초퍼 제어 차량(25개 편성)은 모두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VVVF 인버터로 교체된 9개 편성도 2027년까지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다.

6. 배속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의 배속 현황은 다음과 같다.

차량 번호소속비고
101~105, 110~112, 114~115, 117~131, 149~151편성노포차량기지8량
106~109, 113, 116, 132~148편성신평차량기지8량, 106~109, 113, 116편성은 과거 노포차량기지 소속
117편성노포차량기지8량, 1991년 신조 당시 신평차량기지 소속


  • 중검수는 모두 노포차량기지에서 이루어진다.[6]
  • 구 1000호대 전동차는 1~45편성까지 운행했으나, 2023년 6월 현재 11개 편성이 폐차되어 34개 편성이 운행하고 있다.
  • 신 1000호대 전동차는 다대포 연장에 따른 증비용 46~51편성(1차분) 6개 편성과 노후 차량 교체용 1~11편성(2차분) 11개 편성 등 총 17개 편성이 운행하고 있다.

7. 현재 운행 구간

다대포해수욕장~노포

8. 현황

현재 운행 중인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는 다음과 같다.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현황
세대차호도입 시기비고
2세대121 편성1986년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교체되었다.
신 137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37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125 편성1987년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2015년 8월 신형 냉방기로 바뀌었다.
신 138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38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130 편성1988년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신 140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40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131 편성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신 141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41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133 편성1991년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신 143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43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134 편성1991년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신 144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44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139 편성1994년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140 편성신 140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30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30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41 편성신 141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31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31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42 편성1994년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143 편성신 143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33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33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44 편성1994년신 144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34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34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45 편성1997년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2세대 전동차는 1984년부터 1997년까지 제작되었다. 대한민국의 지하철에서는 유일하게 전장 18m급 3도어 차량이다.[6] 차체는 일본차량제조에서 설계된 올 스테인리스강으로, 초기 차량의 공기 스프링 대차 또한 일본차량제조가 공급했다. 초기 차량 6량 31개 편성분의 주전동기, 전기자 초퍼 제어 장치, 정지형 인버터 장치는 일본의 미쓰비시 전기 제품이다. 제동 방식은 독일의 크노르-브렘제 제품인 PWM 아날로그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를 채용하고 있다. 주간제어기는 T자형 원핸들이다. 처음에는 6량 편성으로 도입되었지만, 1994년부터 1997년에 걸쳐 중간차 2량이 증결되어 현재는 8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전면의 행선 표시기는 처음에는 방향막이었지만, 2004년부터 2005년에 걸쳐 내장재 불연화 개조와 함께 LED 표시기로 교체되었다.

2015년부터 2016년에 걸쳐, 초퍼 제어 장치의 노후화 및 부품 확보를 위해 45개 편성 중 9개 편성(121·125·130·131·133·134·139·142·145 편성)은 전기자 초퍼 제어에서 VVVF 인버터 제어로 교체되었다.

2009년에는 초기에 제작된 차량이 법정 내구 연한(제작 후 25년)에 도달했지만, 같은 해 도시철도법이 개정되어 5년마다 안전 진단을 실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최장 40년까지 사용 가능하게 됨에 따라, 이 시점에서는 교체가 실시되지 않았다.

그 후, 101~105편성과 110·111·112·114·115·118편성은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되었으며, 전자는 2018년까지, 후자는 2021년까지 폐차되었다. 이 중 101편성은 노포차량사업소에 보존되어 있다.

2025년까지 잔존한 전기자 초퍼 제어 차량(25개 편성)은 모두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VVVF 인버터로 교체된 9개 편성도 2027년까지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다.

3세대 전동차는 2025년까지 잔존한 전기자 초퍼 제어 차량 25개 편성을 대체하기 위해 도입될 예정이다.

8. 1. 1세대분

1984년부터 1997년까지 제작된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1세대는 대한민국의 지하철에서 유일하게 전장 18m급 3도어 차량이다.[6] 차체는 일본차량제조에서 설계된 올 스테인리스강으로, 초기 차량의 공기 스프링 대차 또한 일본차량제조가 공급했다. 초기 차량 6량 31개 편성분의 주전동기, 전기자 초퍼 제어 장치, 정지형 인버터 장치는 일본의 미쓰비시 전기 제품이다. 제동 방식은 독일의 크노르-브렘제 제품인 PWM 아날로그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를 채용하고 있다. 주간제어기는 T자형 원핸들이다. 처음에는 6량 편성으로 도입되었지만, 1994년부터 1997년에 걸쳐 중간차 2량이 증결되어 현재는 8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전면의 행선 표시기는 처음에는 방향막이었지만, 2004년부터 2005년에 걸쳐 내장재 불연화 개조와 함께 LED 표시기로 교체되었다.

2015년부터 2016년에 걸쳐, 초퍼 제어 장치의 노후화 및 부품 확보를 위해 45개 편성 중 9개 편성(121·125·130·131·133·134·139·142·145 편성)은 전기자 초퍼 제어에서 VVVF 인버터 제어로 교체되었다.

2009년에는 초기에 제작된 차량이 법정 내구 연한(제작 후 25년)에 도달했지만, 같은 해 도시철도법이 개정되어 5년마다 안전 진단을 실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최장 40년까지 사용 가능하게 됨에 따라, 이 시점에서는 교체가 실시되지 않았다.

그 후, 101~105편성과 110·111·112·114·115·118편성은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되었으며, 전자는 2018년까지, 후자는 2021년까지 폐차되었다. 이 중 101편성은 노포차량사업소에 보존되어 있다.

또한, 2025년까지 잔존한 전기자 초퍼 제어 차량(25개 편성)은 모두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VVVF 인버터로 교체된 9개 편성도 2027년까지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구 101 편성1984년2018년부산 최초의 전동차라는 상징을 가지고 있어, 차량기지에 보존되어 있다.
2000년 6월 탈선 사고를 겪었다.
구 102 편성
구 103 편성
구 104 편성
구 105 편성오송기지로 회송됐다가 부산진역으로 다시 회송한 적이 있다.
구 106 편성2023년편성번호가 112편성으로 변경됐으며 탈선 사고를 겪었다.
구 107 편성편성번호가 114편성으로 바뀌었다.
구 108 편성1985년2024년편성번호가 115편성으로 바뀌었다.
구 109 편성편성번호가 118편성으로 바뀌었다.
구 110 편성2021년2015년 11월 신형 냉방기로 개조되었다.
구 111 편성
구 112 편성
구 113 편성2023년
구 114 편성2021년2015년 11월 신형 냉방기로 개조되었다.
구 115 편성1986년
구 116 편성2024년
구 117 편성1991년2015년 10월 신형 냉방기로 개조되었다.
구 118 편성1986년2021년2015년 9월 신형 냉방기로 개조되었다.
구 119 편성2024년2015년 7월 신형 냉방기로 개조가 이루어졌다.
구 120 편성
121 편성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교체되었다.
신 137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37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구 122 편성2024년2015년 9월 신형 냉방기로 개조되었다.
구 123 편성1987년
구 124 편성2015년 7월 신형 냉방기로 바뀌었다.
125 편성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2015년 8월 신형 냉방기로 바뀌었다.
신 138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38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구 126 편성2024년2015년 8월 신형 냉방기로 바뀌었다.
구 127 편성2015년 9월 신형 냉방기로 바뀌었다.
구 128 편성
구 129 편성2015년 7월 신형 냉방기로 시범 교체했다.
130 편성1988년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신 140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40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131 편성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신 141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41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구 132 편성1991년2024년
133 편성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신 143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43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134 편성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신 144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44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구 135 편성2024년
구 136 편성2025년 예정
구 137 편성1994년신 137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21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21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구 138 편성신 138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25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25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39 편성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140 편성운행 중신 140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30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30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41 편성운행 중신 141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31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31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42 편성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143 편성운행 중신 143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33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33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44 편성운행 중신 144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34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34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45 편성1997년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8. 2. 2세대분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121 편성1986년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교체되었다.
신 137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37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구 122 편성1987년2024년2015년 9월 신형 냉방기로 개조되었다.
구 123 편성
구 124 편성2015년 7월 신형 냉방기로 바뀌었다.
125 편성1987년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2015년 8월 신형 냉방기로 바뀌었다.
신 138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38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구 126 편성1987년2024년2015년 8월 신형 냉방기로 바뀌었다.
구 127 편성2015년 9월 신형 냉방기로 바뀌었다.
구 128 편성
구 129 편성2015년 7월 신형 냉방기로 시범 교체했다.
130 편성1988년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신 140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40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131 편성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신 141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41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구 132 편성1991년2024년
133 편성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신 143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43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134 편성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신 144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44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구 135 편성2024년
구 136 편성2025년 예정
구 137 편성1994년신 137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21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21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구 138 편성신 138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25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25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39 편성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140 편성운행 중신 140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30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30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41 편성운행 중신 141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31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31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42 편성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143 편성운행 중신 143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33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33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44 편성운행 중신 144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34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34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45 편성1997년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바뀌었다.



2세대 전동차는 1984년부터 1997년까지 제작되었다. 대한민국의 지하철에서는 유일하게 전장 18m급 3도어 차량이다.[6] 차체는 일본차량제조에서 설계된 올 스테인리스강으로, 초기 차량의 공기 스프링 대차 또한 일본차량제조가 공급했다. 초기 차량 6량 31개 편성분의 주전동기, 전기자 초퍼 제어 장치, 정지형 인버터 장치는 일본의 미쓰비시 전기 제품이다. 제동 방식은 독일의 크노르-브렘제 제품인 PWM 아날로그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를 채용하고 있다. 주간제어기는 T자형 원핸들이다. 처음에는 6량 편성으로 도입되었지만, 1994년부터 1997년에 걸쳐 중간차 2량이 증결되어 현재는 8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전면의 행선 표시기는 처음에는 방향막이었지만, 2004년부터 2005년에 걸쳐 내장재 불연화 개조와 함께 LED 표시기로 교체되었다.

2015년부터 2016년에 걸쳐, 초퍼 제어 장치의 노후화 및 부품 확보를 위해 45개 편성 중 9개 편성(121, 125, 130, 131, 133, 134, 139, 142, 145편성)은 전기자 초퍼 제어에서 VVVF 인버터 제어로 교체되었다.

2009년에는 초기에 제작된 차량이 법정 내구 연한(제작 후 25년)에 도달했지만, 같은 해 도시철도법이 개정되어 5년마다 안전 진단을 실시하는 것을 조건으로 최장 40년까지 사용 가능하게 됨에 따라, 이 시점에서는 교체가 실시되지 않았다.

그 후, 101~105편성과 110·111·112·114·115·118편성은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되었으며, 전자는 2018년까지, 후자는 2021년까지 폐차되었다. 이 중 101편성은 노포 차량사업소에 보존되어 있다.

또한, 2025년까지 잔존한 전기자 초퍼 제어 차량(25개 편성)은 모두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며, VVVF 인버터로 교체된 9개 편성도 2027년까지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다.

8. 3. 3세대분

3세대 전동차는 2025년까지 기존의 전기자 초퍼 제어 차량 25개 편성을 완전히 대체하기 위해 도입될 예정이다. 제조 회사는 현대로템에서 우진산전으로 변경되었으며, 차체는 더블 스킨 구조의 알루미늄 차체로 제작되었다.

좌석은 450mm에서 480mm로 확대되어 8인용 좌석으로 변경되었고, 모켓 시트에서 플라스틱 시트로 바뀌었다. 또한 1호선 최초로 객실 내 액정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었으며, 스마트폰 무선 충전기가 설치되었다. 2024년 6월 현재, 제17편성을 제외한 제12편성부터 제29편성이 우진산전을 출고했으며, 제22편성까지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 제17편성은 2023년 12월 29일 제조 장소인 우진산전에서 제동 시스템 작동 불량으로 탈선 사고가 발생하여 수리 중이다.[17]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121 편성1987년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교체되었다.
신 137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37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125 편성1987년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교체되었다.
2015년 8월 신형 냉방기로 교체되었다.
신 138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38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130 편성1988년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교체되었다.
신 140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40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131 편성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교체되었다.
신 141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41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133 편성1991년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교체되었다.
신 143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43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134 편성1991년|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교체되었다.
신 144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이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을 구 144편성 열차에 이식할 예정이다.
구 136 편성1994년2025년 예정
구 137 편성신 137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21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21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구 138 편성신 138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25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25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39 편성1994년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교체되었다.
140 편성운행 중신 140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30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30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41 편성운행 중신 141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31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31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42 편성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교체되었다.
143 편성운행 중신 143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33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33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44 편성운행 중신 144편성 열차 운행 시작 시 134편성 열차의 1997년산 M칸 6량으로 교체될 예정이며 TC칸 2량의 편성번호를 134편성으로 변경할 예정이다.
145 편성1997년운행 중추진제어장치가 사이리스터 초퍼 제어에서 현대로템 VVVF-IGBT(IPM)로 교체되었다.


9. 내장재 교체 사업(2004~2005년)

2004년부터 2005년에 걸쳐 전면 행선 표시기를 방향막에서 LED 표시기로 교체하면서 내장재 불연화 개조를 실시하였다.[6]

10. 전동차 대수선 사업

1984년부터 1997년까지 제작된 부산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는 대한민국 지하철에서는 유일하게 전장 18m급 3도어 차량이다.[6] 초기 차량의 대차는 일본차량제조에서 공급했으며, 주전동기, 전기자 초퍼 제어 장치, 정지형 인버터 장치는 미쓰비시 전기 제품이다. 제동 방식은 독일 크노르-브렘제 제품인 PWM 아날로그 전기 지령식 브레이크를 사용하고, 주간제어기는 T자형 원핸들이다. 초기에는 6량 편성이었으나, 1994년부터 1997년까지 중간차 2량이 증결되어 현재는 8량 편성으로 운행되고 있다.

2004년부터 2005년에는 전면 행선 표시기가 방향막에서 LED 표시기로 교체되었다. 2009년에는 초기 제작 차량이 법정 내구 연한(25년)에 도달했지만, 도시철도법 개정으로 최장 40년까지 사용 가능하게 되어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초퍼제어 장치 노후화 및 부품 확보 문제로 9개 편성은 VVVF 인버터 제어로 교체되었다.

이후 제1~5편성과 제10·11·12·14·15·18편성은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되어 2018년(제1~5편성)과 2021년(제10·11·12·14·15·18편성)까지 폐차되었다. 이 중 제1편성은 노포차량사업소에 보존되어 있다. 2025년까지 잔존한 전기자 초퍼 제어 차량(25개 편성)과 VVVF 인버터로 교체된 9개 편성도 2027년까지 신 1000호대 전동차로 교체될 예정이다.

10. 0. 1. 회로 차단기(단류기) 교체

2011년 10월 31일 범내골역 화재사고 보고서에서 회로차단기(단류기)의 구조적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에 따라 추진제어장치 교체사업으로 지정된 7차 도입분 전동차를 제외한 모든 전동차의 회로 차단기를 우진산전 제품으로 교체했다. 그러나 이후 2014년 7월 17일 발생한 시청역 화재사고에서 교체된 회로 차단기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부실 교체 의혹이 제기되었다.

10. 0. 2. 지붕도막재 재도포 및 다이어프램(연결통로막) 교체

2011년 10월 31일 범내골역 화재사고 보고서에서 회로차단기 구조적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로 인해 추진제어장치 교체사업으로 지정된 7차 도입분 전동차를 제외한 모든 전동차의 회로 차단기를 우진산전 제품으로 교체했다. 그러나 2014년 7월 17일 발생한 시청역 화재사고에서 교체된 회로 차단기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부실교체 의혹이 제기되었다.[1]

DCH 방식 보조전원장치의 노후화와 1차 도입분 차량에 장착된 GTO 방식 보조전원장치의 부품 단종으로 인해, 7차 도입분 9개 편성(121, 125, 130, 131, 133, 134, 139, 142, 145편성)의 보조전원장치를 기존 DCH 방식에서 IGBT 방식으로 교체하는 사업이 진행되었다. 139편성을 시작으로 보조전원장치 개조사업이 진행되었다.[1]

10. 0. 3. 보조전원장치 (SIV) 교체사업

2011년 10월 31일 범내골역 화재사고 보고서에서 회로차단기의 구조적 문제가 지적되었다. 이로 인해 추진제어장치 교체사업 대상으로 지정된 7차 도입분 전동차를 제외한 모든 전동차의 회로 차단기를 우진산전 제품으로 교체했다. 그러나 2014년 7월 17일 발생한 시청역 화재사고에서 교체된 회로 차단기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부실 교체 의혹이 제기되었다.[1]

기존 Chopper 제어장치의 노후화와 부품 단종으로 부품 확보가 어려워지면서, 총 9개 편성이 현대로템 VVVF-IGBT(IPM) 방식으로 부품 교체가 이루어졌다. 이로써 9개 편성의 추진제어장치 교체 사업이 완료되었다.[1]

소자 교체 시기는 다음과 같다. (현재 12개 전 편성 개조 완료)[1]

편성교체 시기비고
125, 137, 143편성2015년 9월Chopper 방식에서 VVVF-IGBT 방식으로 교체, 신형 LED 전조등 교체, 운전실 개조
129편성2015년 12월Chopper 방식에서 VVVF-IGBT 방식으로 교체, 신형 LED 전조등 교체, 운전실 개조
126, 133~134편성2016년 5월Chopper 방식에서 VVVF-IGBT 방식으로 교체, 신형 LED 전조등 교체, 운전실 개조
130, 144편성2016년 11월Chopper 방식에서 VVVF-IGBT 방식으로 교체, 신형 LED 전조등 교체, 운전실 개조



현재 125~126, 129~130, 133~134, 137~138, 143~144, 147~148편성은 추진제어장치가 노후화되어, Chopper 제어 방식에서 현대로템의 VVVF-IGBT(IPM) 제어 방식으로 교체되었다. 이들 전동차는 시운전을 거쳐 운행 중이며, 신분당선서울교통공사 일부 전동차와 동일한 구동음 및 소자를 사용한다.[1]

10. 0. 4. 추진제어장치 교체사업(완료)

2011년 10월 31일 범내골역 화재사고 보고서에서 지적된 회로차단기 구조적 문제로 말미암아, 추진제어장치 교체사업으로 지정된 7차 도입분 전동차를 제외한 모든 전동차의 회로 차단기를 우진산전 제품으로 교체했다. 그러나 이후 2014년 7월 17일 발생한 시청역 화재사고에서 교체된 회로 차단기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면서 부실 교체 의혹이 끊이질 않았다.[6]

참조

[1] pdf Traction And Aux https://www.global.t[...]
[2] 문서 三菱電機 MB-3288-A
[3] 문서 三菱電機 THR-1L-2A
[4] 문서 현대로템
[5] 문서 부산지하철 1호선 전동차 제작
[6] 문서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및 3호선
[7] 뉴스 현대로템, 부산지하철 1호선 전동차 납품 http://biz.chosun.co[...] ChosunBiz 2013-11-15
[8] 뉴스 부산도시철도 1호선에 투입될 신형 전동차 http://isplus.live.j[...] 중앙일보 2015-11-19
[9] 뉴스 1호선 신조 전동차 기존구간 운행 개시 http://www.humetro.b[...] 부산교통공사 2016-12-02
[10] 뉴스 부산교통공사, 1호선 신조 전동차 기존구간 운행 개시 http://www.ajunews.c[...] ajnews 2016-12-01
[11] 뉴스 부산지하철 신형 전동차 출입문 구동장치 '전면 리콜' http://www.focus.kr/[...] 포커스뉴스 2017-03-22
[12] 뉴스 현대로템 부산1호선 전동차 40량 수주…528억원 규모 http://www.yonhapnew[...] 聯合ニュース 2016-03-11
[13] 뉴스 부산도시철도 1호선에 스마트전동차…방송음량·냉방 자동조절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8-07-12
[14] 뉴스 韓国で永久磁石同期電動機を採用した車両が運行開始 -30%以上の消費電力量を削減- http://www.toshiba.c[...] 東芝インフラシステムズ 2018-07-31
[15] 뉴스 韓国で永久磁石同期電動機を採用した車両の運転開始 https://railf.jp/new[...] 鉄道ファン 2018-08-01
[16] 문서 부산지하철 1호선 전동차 주회로 시스템
[17] 뉴스 현대로템, 556억원에 부산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 48량 수주 http://biz.chosun.co[...] 朝鮮日報 2018-09-11
[18] 문서 미쓰비시 THR-1L-2A형 사용 편성
[19] 문서 특정 편성
[20] 문서 특정 편성
[21] 웹인용 부산교통공사 - 전동차조성현황 http://www.subway.bu[...] 2009-10-08
[22] 문서 특정 편성
[23] 문서 특정 편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