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정도호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정도호부는 702년 당나라가 현재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무싸(濟木薩) 지역에 설치한 도호부이다. 돌궐 부족을 통제하고 실크로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되었으며, 이주(哈密)와 서주(高昌)를 관할했다. 안사의 난과 토번의 공격으로 당나라와 서역의 연결이 끊겼지만, 790년 토번에게 점령될 때까지 존속했다. 이후 위구르 카간국, 장의조 등을 거쳐 고창 왕국에 복속되었다. 북정도호부는 금만현, 윤태현, 보류현 등의 현과 한해군, 천산군, 이오군 등의 군을 관할했으며, 돌기시, 견곤, 참철 등 여러 민족이 통치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당나라의 도호부 - 안북도호부
안북도호부는 당나라가 669년 한해도호부에서 개칭한 행정구역으로, 후돌궐의 성장에 따라 치소를 여러 차례 옮기며 유목민족을 관할했으나 안사의 난 이후 권한을 상실했고 관련 연구가 더 필요한 상태이다. - 당나라의 도호부 - 안동도호부
안동도호부는 668년 당나라가 고구려를 정복한 후 평양에 설치한 행정구역으로, 군사 주둔 및 현을 관할하며 동북아시아 정세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고구려 유민과 신라의 압력으로 위치를 옮기다 폐지되었다. - 중국의 역사 - 연호
연호는 군주의 권위와 통치권을 상징하며, 군주의 즉위와 함께 사용되는 칭호로, 고대 중국에서 시작되어 동아시아 국가들에 영향을 주었고, 현대에는 일본, 중화민국, 북한 등에서 사용된다. - 중국의 역사 - 관찰사
관찰사는 중국, 한국, 일본에서 지방 행정 감찰관직으로, 당나라 채방처치사에서 시작되어 관찰처치사로 개칭되며 명칭이 유래되었고, 한국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정착하여 각 도에 파견된 종2품 문관직으로 지방 행정 전반에 걸쳐 권한을 행사했다.
북정도호부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도호부 |
설치 시기 | 661년 |
폐지 시기 | 790년 |
관할 지역 | 이리 강 유역 톈산산맥 북부 |
중심지 | 베이팅 (현재 신장 자치구 지무싸얼 몽골족 자치현) 비쉬발리크 |
언어 | 중국어 |
역사 | |
시대 | 당나라 |
사건 | 640년: 서돌궐 정복 661년: 북정도호부 설치 702년: 안서사진에서 분리 702년: 정주대도호부로 승격 756년: 격하 790년: 토번에 의해 함락 |
행정 | |
속주 | 이무군 금만주 윤환주 창려주 북정주 천산주 연주 |
군사 | |
주둔 군대 | 북정진병 |
인물 | |
역대 도호 | 기필하력 배행검 요숭 장현우 곽건관 양경술 왕회 이원충 마린 이사업 제갈충 두희간 조지 원광정 양습곤 이익 |
로마자 표기 | |
중국어 병음 | Běitíng Dà Dūhùfǔ |
2. 역사
702년 측천무후는 정주(짐사르현)에 북정도호부를 설치하고 이주(하미)와 서주(고창)를 관할하게 했다.[5] 정주는 지금의 톈산산맥 중부 북쪽 기슭에 있는 지무싸(濟木薩) 오아시스에 해당한다. 돌궐의 여러 부족이 중가리아에 흩어져 거주하였기 때문에, 그들을 진무(鎭撫)하여 산 남쪽에 있는 실크로드를 침범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5]
이후 안사의 난, 토번의 진출 등을 겪으며 당과 서역의 정치적 관계가 단절되었으나, 790년 안서도호부와 더불어 토번에게 함락될 때까지 존속하였다.[5]
2. 1. 설치 배경
702년 중가리아에 흩어져 거주하던 돌궐(突厥) 여러 부족을 진무(鎭撫)하고, 산 남쪽에 있는 실크로드를 침범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5] 이후 안사의 난, 토번의 진출 등을 겪으며 당과 서역의 정치적 관계가 단절되었으나, 790년 안서도호부와 더불어 토번에게 함락될 때까지 존속하였다.[5]2. 2. 북정 도호부 설치 (702년)
702년, 측천무후는 정주(짐사르현)에 북정 도호부를 설치하고 이주(하미)와 서주(고창)를 관할하게 했다.[5] 정주는 지금의 톈산산맥 중부 북쪽 기슭에 있는 지무싸(濟木薩) 오아시스에 해당한다. 돌궐의 여러 부족이 중가리아에 흩어져 거주하였기 때문에, 그들을 진무(鎭撫)하여 산의 남쪽에 있는 실크로드를 침범하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5]2. 3. 토번의 공격과 안사의 난 (8세기 중반)
715년, 토번 제국이 북정도호부를 공격했다.[5]735년, 돌궐이 정주를 공격했다.[5]
755년, 안사의 난이 발생하여 당나라는 수도를 보호하기 위해 서역에서 20만 명의 병사를 철수시켰다.[5]
764년, 토번 제국이 하서 회랑을 침략하여 량주를 점령하면서, 안서와 북정이 당나라와 단절되었다. 그러나 안서와 북정 도호부는 곽심과 이원충의 지휘 하에 비교적 피해를 입지 않았다.[5]
780년, 이원충은 당 덕종에게 비밀 서신을 보낸 후 북정 도호부의 도호 장군으로 정식 임명되었다.[5]
781년, 토번 제국이 이주를 점령했다.[5]
789년, 승려 오공은 정주를 지나가다가 그곳의 중국 사령관이 양희고임을 알게 되었다.[5]
790년, 토번 제국이 정주를 점령했다.[5]
2. 4. 당나라와의 재연결 시도와 토번의 점령 (8세기 후반)
755년, 안사의 난이 발생하여 당나라는 수도를 보호하기 위해 서역에서 20만 명의 병사를 철수시켰다.[5] 764년, 토번 제국이 하서 회랑을 침략하여 량주를 점령하면서 안서와 북정은 당나라와 단절되었다. 그러나 안서와 북정 도호부는 곽심과 이원충의 지휘 아래 비교적 피해를 입지 않았다.[5]780년, 이원충은 당 덕종에게 비밀 서신을 보낸 후 북정 도호부의 도호 장군으로 정식 임명되었다.[5] 781년, 토번 제국이 이주를 점령했다.[5] 789년, 승려 오공은 정주를 지나가다가 그곳의 중국 사령관이 양희고임을 알게 되었다.[5] 790년, 토번 제국이 정주(짐사르현)를 점령했다.[5]
2. 5. 토번 지배 이후
위구르 카간국은 티베트가 서주를 정복한 직후 이 지역을 점령했고, 이후 이 지역은 두 제국 간의 국경이 되었다.[1]장의조는 848년, 사주(둔황)에서 티베트 통치에 반기를 들었다. 850년에는 이주를, 851년에는 서주를, 866년에는 정주를 탈환했다. 그러나 그는 곧 정주와 서주, 그리고 륜대(Ürümqi)를 고창 왕국에 잃었다. 876년에는 이주 또한 고창 왕국에 점령되었다.
2. 6. 장의조의 활약과 고창 왕국 복속 (9세기)
장의조는 848년 사주(둔황)에서 티베트 통치에 반기를 들었다. 850년에는 이주를, 851년에는 서주를, 866년에는 정주를 탈환했다. 그러나 그는 곧 정주와 서주, 그리고 륜대(Ürümqi)를 고창 왕국에 잃었다. 876년에는 이주 또한 고창 왕국에 점령되었다.[1]3. 부속 관할
북정도호부에는 현(縣), 군(軍), 16기미주(16羈縻州)가 부속 관할로 있었다.
- 현(縣): 금만현, 윤태현, 보류현
- 군(軍): 한해군, 천산군, 이오군
- 16기미주(16羈縻州): 염치주(鹽治州), 염록주(鹽祿州), 음산주(陰山州), 대막주(大漠州), 윤태주(輪台州), 금만주(金滿州), 현지주(玄池州), 가계주(哥系州), 인면주(咽面州), 금부주(金附州), 동염주(東鹽州), 서염주(西鹽州), 질륵주(叱勒州), 가슬주(迦瑟州), 풍락주(馮洛州), 고서주(孤舒州)
- 통치 민족: 돌기시, 견곤, 참철
3. 1. 현(縣)
현 이름 |
---|
금만현 |
윤태현 |
보류현 |
3. 2. 군(軍)
군(軍) 이름 |
---|
한해군 |
천산군 |
이오군 |
3. 3. 16기미주(16羈縻州)
주(州) 이름 | 한자 |
---|---|
염치주 | 鹽治州 |
염록주 | 鹽祿州 |
음산주 | 陰山州 |
대막주 | 大漠州 |
윤태주 | 輪台州 |
금만주 | 金滿州 |
현지주 | 玄池州 |
가계주 | 哥系州 |
인면주 | 咽面州 |
금부주 | 金附州 |
동염주 | 東鹽州 |
서염주 | 西鹽州 |
질륵주 | 叱勒州 |
가슬주 | 迦瑟州 |
풍락주 | 馮洛州 |
고서주 | 孤舒州 |
3. 4. 통치 민족
- 돌기시
- 견곤
- 참철
4. 역대 도호 장군
이름 | 재임 기간 |
---|---|
장송 | 722년 |
개가운 | 736년 |
이공 | 756년 |
이원충 | 780년 |
양습고 | 789년 |
5. 문화 유적
참조
[1]
웹사이트
Silk Roads: the Routes Network of Chang'an-Tianshan Corridor
http://whc.unesco.or[...]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21-04-17
[2]
웹사이트
舊唐書
http://ctext.org/wik[...]
2017-08-03
[3]
웹사이트
舊唐書
http://ctext.org/wik[...]
2017-08-03
[4]
웹사이트
佛說十力經
https://suttacentral[...]
2017-09-04
[5]
웹사이트
네이버 사전
http://100.naver.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