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단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단길은 19세기 독일 지리학자 페르디난트 폰 리히트호펜이 처음 명명한, 중국과 서방을 잇는 교역로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이 길은 비단 외에도 다양한 상품, 문화, 사상, 종교의 교류를 촉진했으며, 육상, 해상, 초원, 오아시스 등 여러 경로를 통해 동서양을 연결했다. 2014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현대에는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과 연계되어 경제 협력 및 문화 교류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자흐스탄의 세계유산 - 실크로드: 창안-텐산 회랑 도로망
- 키르기스스탄의 세계유산 - 실크로드: 창안-텐산 회랑 도로망
비단길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시대 | 기원전 114년경 ~ 기원후 1450년경 |
유네스코 세계 유산 | 지정 유형: 문화 지정 기준: (ii), (iii), (iv), (vi) 지정 번호: 1442 지역: 아시아-태평양 |
명칭 | |
한국어 | 비단길 |
영어 | Silk Road |
독일어 | Seidenstraße |
중국어 (정체) | 絲綢之路 |
중국어 (간체) | 丝绸之路 |
중국어 (병음) | Sīchóu zhī lù |
카자흐어 | Ūly Jıbek jоly |
우즈베크어 | Buyuk Ipak yoʻli |
페르시아어 | جاده ابریشم |
이탈리아어 | Via della seta |
2. 명칭
'비단길'이라는 명칭은 19세기 독일의 지리학자 페르디난트 폰 리히트호펜이 처음 사용했는데, 이는 중국에서 주로 생산된 비단이 이 길을 통해 서방으로 수출되었기 때문이다.[175][164] 리히트호펜은 1877년에 출판한 자신의 저서 『Chinade』에서 "자이덴슈트라센(Seidenstraßende; "비단길"의 복수형)"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11][12] 그는 고대 중국에서 "서역"이라 불렸던 동투르키스탄을 동서로 횡단하는 교역로, 즉 "오아시스의 길(오아시스로드)"을 경유하는 루트를 비단길이라고 불렀다.
실크로드는 기원전 2세기경 중국 한나라가 중앙아시아를 탐험하고 정복하면서 개척되기 시작했다.[130] 장건은 흉노에 대항하여 월지와 동맹을 맺고 무역 파트너를 찾기 위해 서역으로 파견되었다.[48][130] 그는 페르가나의 대원, 트란속시아나의 월지, 박트리아의 대하 등을 방문하고, 파르티아, 메소포타미아, 인도 아대륙 등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했다.[49] 장건의 보고는 중국의 서쪽 확장에 경제적 이유를 제공했고, 만리장성을 쌓아 실크로드를 개척하는 계기가 되었다.[50]
리히트호펜의 제자인 스웨덴의 지리학자 스벤 헤딘은 중앙아시아 여행기 제목으로 '비단길'을 사용했고, 이 책은 1938년에 『The Silk Road』라는 제목으로 영어로 번역되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36]
현대에는 '실크 루트'라는 용어도 사용되는데, 이는 육로뿐 아니라 해상 교역로까지 포함하는 더 넓은 개념이다.[126]
하지만 '비단길'이라는 명칭이 서구 중심적이며, 실제 교역된 품목의 다양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있다. 워릭 볼은 로마 제국의 경제에 인도 및 아라비아와의 해상 향신료 무역이 중국과의 비단 무역보다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또한, 비단길의 남쪽 구간은 기원전 5000년경부터 옥을 운반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현재 중국에서는 '옥의 길'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도 한다.[169]
3. 역사적 전개
천마전투와 한-흉노 전쟁에서 승리한 후, 중국군은 중앙아시아에 진출하여 실크로드를 국제 무역의 주요 통로로 만들었다.[51] 중국은 천마를 얻기 위해 한-대원 전쟁에서 대원을 패배시키고, 매년 사절단을 파견하여 셀레우코스 시리아까지 진출했다.
이러한 연결은 로마 제국까지 확장된 실크로드 무역 네트워크의 시작을 알렸다.[57] 한나라 군대는 흉노에 대항하여 무역로를 순찰했고, 반초는 1세기경 타림 분지를 거쳐 카스피해 연안과 파르티아 국경까지 정복을 확장하고, 감영을 대진(로마)으로 파견했다.[59][60]
기원전 30년 로마의 이집트 정복 이후, 중국, 동남아시아, 인도, 중동, 아프리카, 유럽 간의 교류와 무역이 활발해졌다. 로마 제국은 동쪽 무역로를 계승하여 시민들에게 새로운 사치품을 제공했고, 제국 전체의 번영이 증가했다.[69] 한국 신라의 수도 경주에서 발견된 로마식 유리 제품은 로마 유물이 한반도까지 거래되었음을 보여준다.[68]
당나라 시대에는 탈라스 전투에서 이슬람 제국에 패배한 후, 중국의 제지술이 서쪽으로 전해져 이슬람 세계에 행정 혁신을 일으켰다.[171] 몽골 제국(원나라) 시대에는 바그다드를 점령하고 모스크바 공국을 점령하는 등, 다시 중국이 우위를 쥐었다.[170] 이후 베네치아 상인 마르코 폴로 일행은 원나라로 여행을 떠났고, 그 기록은 『동방견문록』으로 정리되어 후세에 큰 영향을 끼쳤다.
15세기 이후 오스만 제국의 성장과 대항해 시대의 개막으로 육상 실크로드는 점차 쇠퇴했다.
3. 1. 한반도와 실크로드
일본 나라현의 정창원(正倉院)에는 중국이나 페르시아에서 만들어진 보물들이 많이 보관되어 있다. 천평(天平) 시대에는 견당사(遣唐使)를 따라 페르시아인(ペルシア人) 이밀애(李密翳)[148][149]가 일본을 방문했다는 기록도 남아 있다. 이러한 사실들을 통해 당시 일본은 당나라 시대 동서 교통로의 동쪽 끝에 위치하고 있었다고 여겨지며, 정창원(正倉院)은 “실크로드의 동쪽 종착점”이라고 불리기도 한다.[150][151]
최근 일본의 학교 교육에서도 실크로드에 대해 가르치고 있지만, 역사나 헤딘의 저서 등에 관심을 가지는 일부 사람들을 제외하고는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과의 문화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NHK가 중국중앙텔레비전(中国中央電視台)과 함께 1980년에 공동 제작한 『NHK스페셜 실크로드-비단의 길-』이 방영되면서, 키타로(喜多郎)의 인상적인 테마 음악과 함께 실크로드라는 이름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일본에서는 실크로드라는 단어가 독특한 이국 정취(エキゾチシズム)와 향수(ノスタルジア)를 불러일으키는 말로 사용되며, 시안이나 신장, 우즈베키스탄, 이란, 터키 등지로의 해외여행 정보나 투어 광고에는 “실크로드”라는 문구가 자주 등장한다. 1980년대의 “실크로드 붐”에 힘입어[152], 1988년에 일본과 중국 양국 정부는 일중우호환경보호센터(日中友好環境保護センター)를 설립하기로 결정했다. 히라야마 이쿠오(平山郁夫)는 중국 정부와 함께 실크로드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록을 위해 노력했으며, 히라야마 이쿠오 실크로드 미술관(平山郁夫シルクロード美術館)을 설립하기도 했다.[153][154]
4. 주요 경로
비단길은 여러 경로로 구성되어 있었다. 고대 중국의 상업 중심지에서 서쪽으로 뻗어 나가면서, 육상 대륙간 비단길은 타클라마칸 사막과 뤄푸 호를 우회하는 북쪽과 남쪽 노선으로 나뉘었다.[18] 이러한 노선을 따라 이동하는 상인들은 "중계 무역"에 종사했는데, 상품은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기 전에 여러 번 손을 바꿨다".[18]
실크로드의 중국 쪽 기점을 장안(산시성 시안시)으로, 유럽 쪽 기점을 시리아의 안티오키아로 보는 견해가 있지만, 중국 쪽은 낙양, 유럽 쪽은 로마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일본이 실크로드의 동쪽 끝이었다는 견해도 있지만, 특정 국가나 조직이 설정한 것이 아니므로, 어디가 기점인지 명확하게 정해지는 성격의 것은 아니다.
4. 1. 초원길
유라시아 북방 초원 지대를 동서로 횡단하는 길로, 기원전 10세기부터 문명 교류의 주 통로로 사용되었다. 서쪽 끝은 카스피해 연안 혹은 발트해 남단이며, 흑해 동북편과 남러시아의 카스피해와 아랄해 연안을 지나 카자흐스탄과 몽골 고비 사막 북단 오르혼 강 연안으로 이어진다. 이후 동남쪽으로 방향을 바꾸면 중국 화북 지역과 한반도까지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이 길을 통해 1만 년 전 비너스상이 유라시아 초원 지대에 널리 퍼졌고, 기원전 4천~3천년경에는 채도 문화가 서아시아에서 동아시아로 전파되었다는 주장이 있어 '채도의 길'이라고도 불린다. 청동기나 로마의 유리도 이 길을 따라 전파되었다.
일본 사학계의 기마민족설에서는 고분문화기(3세기~5세기)의 기마 문화도 초원로를 통해 전달되었다고 본다. 스키타이족, 흉노, 돌궐 등 많은 유목민(유목 기마 민족)들이 동서 문화 교류의 역할을 담당했다.
4. 2. 오아시스길
서역을 가로질러 동서를 잇는 대상로는 “오아시스의 길”이라고 불린다.[136] 이 루트는 리히트호펜이 “실크로드”라고 명명했다. 낙양이나 장안(산시성 시안시)을 출발하여 오늘날 란저우시 부근에서 황하를 건너 하서회랑을 거쳐 돈황에 이른다.[136]여기서부터 주요 루트는 3개이다. 서투르키스탄[139] 이서(以西)는 여러 루트로 분기하고 있다. 이 루트 상에 살았던 소그드인이 당 시대(약 7세기~10세기경)에 실크로드 무역을 지배했다고 여겨진다.
- '''서역남도''' (막남로): 타클라마칸 사막 남쪽을 통과하는 루트.[136] 돈황에서 허톈, 야르칸트 등 쿤룬산맥 북쪽의 오아시스를 따라 카슈가르에서 파미르 고원에 이른다.[136] 오아시스의 길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기원전 2세기경 전한 시대에는 확립되어 있었다고 한다. 5세기에 법현은 서역남도를 통해 인도로 건너갔다.[136] 이 루트는 돈황을 떠나 롭노르 북쪽을 지나 로란을 경유하여 사막 남쪽 가장자리로 내려가는 방법과, 처음부터 롭노르 남쪽, 알친 산맥 북쪽 기슭을 따라 진행하는 방법이 있었지만, 4세기경 롭노르가 말라 로란이 쇠퇴하면서 물 보급 등이 어려워져 전자의 루트는 왕래가 어려워졌다. 거리적으로는 최단이지만, 매우 위험하고 고된 루트이다. 7세기에 현장은 인도에서 돌아오는 길에 이 루트를 통과하여 로란의 폐허에 들렀다고 『대당서역기』에 적혀 있으므로[136], 전자의 루트도 전혀 통행할 수 없는 상태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 13세기에 원의 수도를 방문한 마르코 폴로는 카슈가르에서 후자의 루트를 따라 돈황에 도착했다고 한다.
- '''천산남로'''(서역북도, 막북로, Northern Silkroad): 천산산맥 남쪽을 통과하는 루트.[136] 돈황에서 커얼러, 쿠차, 아크수를 거쳐 천산산맥 남쪽 기슭을 따라 카슈가르에서 파미르 고원에 이른다.[136] 서역남도와 거의 같은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가장 중요한 대상로로 사용되었다. 이 루트는 로란을 경유하여 커얼러에 나가는 방법과, 돈황 또는 약간 이전의 안시에서 일단 북상하여 하미에서 서쪽으로 진행하여 투루판을 지나 커얼러에 나가는 방법이 있었지만,[136] 로란이 쇠퇴하여 물을 얻을 수 없게 되면서 전자는 통행이 어려워졌다.
- '''천산북로''': 천산산맥 북쪽을 통과하는 루트.[136] 돈황 또는 약간 이전의 안시에서 북상하여 하미 또는 투루판에서 천산남로와 갈라져 우루무치를 지나 천산산맥 북쪽 기슭을 따라 일리강 유역을 거쳐 수이바에 이른다.[136] 기원후에 개척되었다고 한다. 사막을 지나는 위의 두 루트에 비해 물과 식량 조달이 용이하고, 평균 표고 5000m라고 하는 파미르 고원을 넘을 필요도 없다.
4. 3. 바닷길 (해상 실크로드)

해상 실크로드(Maritime Silk Road) 또는 해상 실크 루트(Maritime Silk Route)는 역사적인 실크로드의 해상 부분으로,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인도 아대륙, 아라비아 반도, 동아프리카, 그리고 유럽을 연결했다. 기원전 2세기에 시작되어 15세기까지 번영했다.[25] 해상 실크로드는 주로 동남아시아의 오스트로네시아인(Austronesian peoples) 선원들이 대양을 항해하는 대형 장거리 항해용 봉합판(sewn-plank)과 묶음식(lashed-lug) 선박인 오스트로네시아 선박(Austronesian vessels)을 이용하여 건설되고 운영되었다.[26][27] 이 루트는 아라비아해 등에서 활동하던 페르시아인(Persian people)과 아랍인(Arab people) 상인들의 다우(dhow)선박[26]과 남아시아의 타밀(Tamils) 상인들도 이용했다.[26] 중국 또한 10세기부터 15세기까지 자체 무역선(선박(chuán))을 건조하여 이 루트를 따라 항해하기 시작했다.[28][38]
이 네트워크는 동남아시아의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의 더 오래된 해상 옥 루트(Maritime Jade Road)[29][30][31][32]뿐 아니라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 간의 해상 향신료 무역(spice networks)과 서아시아 해상 네트워크(Indo-Roman trade relations)의 발자취를 따랐으며, 현재 시대의 고대 해상 무역로와 일치했다.[33][34][35]
오스트로네시아의 탈라소크라시(thalassocracies)는 해상 실크로드 동부 지역, 특히 말라카 해협(Malacca Strait)과 방카 해협(Bangka Strait) 주변의 정치체(polities), 말레이 반도와 메콩 삼각주를 지배하며, 오스트로네시아 무역선의 주요 항로인 교지(Jiaozhi)(통킹 만)와 광저우(광저우)(중국 남부) (10세기 이후에는 취안저우(Quanzhou)도 포함)를 통과했다.[26] 보조 항로는 타이만(Gulf of Thailand)[24][36] 연안과 자바해(Java Sea), 셀레베스해(Celebes Sea), 반다해(Banda Sea), 술루해(Sulu Sea)를 통과하여 필리핀 북부와 타이완을 통해 주요 항로와 다시 연결되었다. 보조 항로는 동중국해(East China Sea)와 황해(Yellow Sea)까지 제한적으로 이어졌다.[24][39]
해상 실크로드의 서부 지역 주요 항로는 수마트라(Sumatra) 북단(또는 순다 해협(Sunda Strait)을 통해)에서 스리랑카(Sri Lanka), 인도 남부와 방글라데시(Bangladesh), 그리고 몰디브(Maldives)로 인도양(Indian Ocean)을 직접 가로지른다. 여기서부터 아라비아해(Arabian Sea)를 통해 오만만(Gulf of Oman)(페르시아만(Persian Gulf)으로), 아덴만(Gulf of Aden)(홍해(Red Sea)로)으로 이어지는 항로로 분기된다. 보조 항로는 벵골만(Bay of Bengal), 아라비아해 연안과 동아프리카(East Africa) 해안을 따라 잔지바르(Zanzibar), 코모로(Comoros Islands), 마다가스카르(Madagascar), 세이셸(Seychelles)까지 남쪽으로 이어졌다.[24][37]
"해상 실크로드"라는 용어는 육상 실크로드와의 유사성에서 유래한 현대적인 명칭이다. 육상 루트와 마찬가지로 동남아시아와 인도양을 통과하는 고대 해상 루트는 매우 긴 역사의 대부분 동안 특별한 이름이 없었다.[26] 현대적인 명칭에도 불구하고, 해상 실크로드는 비단이나 아시아 수출품뿐만 아니라 매우 광범위한 지역에서 다양한 상품의 교류를 포함했다.[38][39] 육상 실크로드와 여러 측면에서 크게 달랐으므로, 단순한 연장선으로 볼 수 없다. 해상 실크로드를 통해 여행하는 상인들은 육상 루트와 같은 지역 중계를 거치지 않고 해상 루트 전체 거리를 이동할 수 있었다. 배는 훨씬 더 많은 양의 상품을 운반할 수 있었고, 각 교환마다 더 큰 경제적 영향을 미쳤다. 배가 운반하는 상품은 카라반이 운반하는 상품과도 달랐다. 해상 루트의 상인들은 날씨와 해적(piracy)과 같은 다른 위험에 직면했지만, 정치적 불안정의 영향을 받지 않았고 분쟁 지역을 피할 수 있었다.[38]
4. 4. 기타 경로
차마고도는 중국 남서부에서 미얀마, 티베트를 거쳐 인도로 이어지는 경로로, 차와 말을 교역했다. '남서 실크로드'라고도 불리며, 주요 교역품이 차였기 때문에 차마고도라는 이름이 붙었다.[142] 통과하는 지명을 따서 '사천 운남 미얀마 인도 고도'라고도 부른다.[142]
차마고도는 크게 5개의 지선으로 나눌 수 있다.
지선 이름 | 경로 |
---|---|
마역로 | 막북의 오르혼 강 유역에서 카라코룸을 지나 장안이나 유주와 연결되며, 다시 화남을 거쳐 항저우나 광저우에 이르러 바닷길과 연결된다. 유목 민족들이 주로 이용하던 길이다. |
라마로 | 준가리아 분지에서 시작하여 고창 서부 투르판과 타림 분지 동편의 자루기루꾸(러잔)를 지나 티베트의 라싸를 거쳐 히말라야 산맥 기슭을 따라 북인도의 시킴에 이른 후, 다시 남하하여 인도 갠지스강 어구의 디무라리프데까지 이어진다. 5세기부터 토욕혼이 이용했으며, 7~9세기에는 티베트가 이 지역을 장악했다. 당나라와 티베트 간 우호 관계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당나라 사신이나 구법승들이 이 길을 통해 인도를 왕래했다. |
불타로 | 중앙아시아 카자흐스탄에서 출발하여 타슈켄트와 사마르칸트를 거쳐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발흐와 페샤와르(간다라)를 지나 인더스강 유역을 따라 중인도 서해안의 바루가자(현재 Surat)까지 이어진다. 동서남북 교통로의 중심 교차점에 위치하여 동서 문명 교류와 교역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기원전 2000년에 동부 유목 아리아인들이 만들었으며, 불교가 이 길을 따라 북상하여 중앙아시아를 거쳐 동방에 전파되었다. 법현, 현장 등 많은 구법승들이 이 길로 인도에 가서 수도했다. |
메소포타미아로 | 흑해와 카스피해 중간 지대에 있는 캅카스 북부를 기점으로 하여 트빌리시와 타브리즈를 경유해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유역을 따라 펼쳐진 메소포타미아를 관통한 후 페르시아만의 바스라 항까지 이어진다. 메소포타미아 문명이 개화한 지역을 지나며 고대 문명 전파에 크게 기여했다. |
호박로 | 북방의 발트해에서 시작해 모스크바와 키예프를 거쳐 유럽과 아시아 대륙의 접지인 콘스탄티노플과 에페수스(에베소)를 지나 지중해 연안을 따라 이집트 알렉산드리아까지 이어진다. 페니키아 시대부터 중요한 호박 무역로였다. |
5. 문화 교류
실크로드는 상품뿐만 아니라 사상과 문화도 교류되는 통로였다. 조로아스터교, 유대교, 불교, 기독교, 마니교, 이슬람교 등 여러 종교가 유라시아 전역으로 퍼져나갔다.[143][144] 특히 실크로드를 따라 자리 잡은 불교 사찰들은 외국인들에게 안식처를 제공하며 새로운 종교 전파에 기여했다.[111]
제리 H. 벤트리에 따르면, 실크로드를 통해 종교와 문화가 확산되면서 융합 현상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흉노는 중국의 농업 기술, 의복, 생활 방식을 받아들였고, 중국은 흉노의 군사 기술, 의복, 음악, 춤 등을 수용했다.[38]
비잔티움의 역사가 프로코피우스는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수도사들이 비단 제조법을 발견했다고 기록했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는 이들을 첩자로 파견하여 누에 알을 훔치게 했고, 그 결과 비잔티움 제국은 중세 유럽에서 비단 생산 독점권을 갖게 되었다.[74] 568년, 비잔티움 통치자 유스티누스 2세는 소그디아나 사절단을 맞이하여 사산 제국에 대항하는 동맹을 맺고, 중국 비단을 직접 거래할 수 있게 되었다.[75][76][77]
중국 당나라 역사서인 ''구당서''와 ''신당서''는 ''부린''(拂菻; 비잔티움 제국)이 이전의 ''대진''(大秦; 로마 제국)과 거의 같다고 기록했다.[63] 643년 콘스탄스 2세가 당 태종에게 사절을 보낸 것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부린'' 사절단이 중국을 방문했다.[63] ''송사''는 1081년 미카엘 7세 두카스가 송 신종에게 사절을 보낸 것이 마지막이라고 기록했다.[63]
''원사''에는 쿠빌라이 칸 궁정에서 활동한 비잔티움 출신 천문학자이자 의사에 대한 기록이 있다. 위구르족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외교관 라반 바르 사우마는 알군의 대표로 유럽을 여행하며 군사 동맹을 시도했다.[83][81]
''명사''에는 명나라를 건국한 홍무제가 1371년 비잔티움 상인을 통해 요한 5세 팔라이올로고스에게 왕조 건국을 알렸다는 기록이 있다.[63]
5. 1. 종교 전파
실크로드는 단순한 상품 교역로를 넘어, 불교, 조로아스터교, 마니교,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경교), 이슬람교 등 다양한 종교가 전파되는 통로였다.[143][144] 특히 불교는 실크로드를 통해 중앙아시아와 중국으로 전파되었으며, 간다라 미술과 같은 독특한 문화 양식을 낳았다.[172]불교는 기원 1세기경, 한나라 명제(58~75)가 서쪽으로 사신을 보냈다는 이야기에 따라 중국에 전래되었다.[145] 이 시기 불교는 동남아시아, 동아시아, 중앙아시아 전역으로 퍼지기 시작했다.[145] 대승불교, 상좌부 불교, 밀교는 실크로드를 통해 아시아 전역으로 퍼진 불교의 세 가지 주요 형태이다.[116]
불교 운동은 세계 종교사에서 최초의 대규모 선교 운동이었다. 중국 선교사들은 불교를 중국의 토착 도교와 융합시키기도 했다.[16] 붓다의 추종자 공동체인 승가는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며 붓다의 사상을 전파했다.[37] 쿠샨 제국의 지배 아래 기원 1세기 중반부터 3세기 중반까지 불교가 중국과 아시아 다른 지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여겨진다.[42] 불교 경전을 중국어로 처음 번역한 사람들은 파르티아인, 쿠샨인, 소그드인, 또는 쿠차인이었다.[37][38]
실크로드를 따라 불교가 전파되면서 갈등도 발생했다. 기원전 2세기 초 셀레우코스 왕조 사람들이 파르티아 때문에 이란과 중앙아시아로 추방되었고, 파르티아인들은 무역의 중개자 역할을 하게 되었다. 파르티아 학자들은 불교 경전을 중국어로 번역하는 데 참여했다. 실크로드의 주요 무역 중심지였던 메르브는 2세기 중반까지 주요 불교 중심지가 되었다.[47] 마우리아 왕조의 아소카 황제(기원전 268~239)가 불교를 공식 종교로 격상시키면서 실크로드를 따라 사람들 사이의 지식도 증가했다.[38]
기원 4세기부터 중국 순례자들도 실크로드를 통해 인도로 여행했는데, 법현의 인도 순례(395~414), 현장(629~644)과 혜초가 그 예이다.[117] 현장 승려의 여행은 16세기에 "서유기"라는 소설로 각색되었다.
실크로드를 따라 여러 불교 종파가 있었는데, 다르마굽타파와 설일체유부가 대표적이었다. 이들은 결국 대승불교로 대체되었다. 대승불교는 인도 북서부 또는 중앙아시아에서 시작된 것으로 보이며, 기원전 1세기에 형성되었고 처음에는 작았다.[38] 대승불교는 "물질적 현실의 불가사의함"을 강조했다.[21]
기원 5세기와 6세기 동안 상인들은 불교 전파에 큰 역할을 했다. 상인들은 불교의 가르침을 매력적인 대안으로 여겼고, 불교 사원을 지원했다. 그 대가로 불교도들은 상인들에게 머물 곳을 제공했다.[43][44] 상인들은 디아스포라를 형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고, 그들의 문화는 불교를 기반으로 하게 되었다.[48] 중국 지배 엘리트의 자발적인 개종은 불교가 중국 사회에 널리 퍼지게 했다.[50] 실크로드를 통한 불교 전파는 7세기경 중앙아시아에서 이슬람의 부상과 함께 사실상 종식되었다.

에페소 공의회에서 이단으로 규정된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는 동방에서 전교 활동을 펼쳐 페르시아 등지에서 세력을 형성했다. 중국에 전파된 것은 경교라고 불렸다. 781년에 새겨진 대진경교유행중국비는 부분적으로 시리아 문자와 시리아어가 사용되어, 고대 선교사들이 실크로드를 통해 중앙아시아와 중국까지 왕래했음을 보여준다.[143] [144]
5. 2. 예술 교류
비단길을 통해 헬레니즘, 페르시아, 인도, 중국 등 여러 지역의 예술 양식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특히, 간다라 미술은 그리스와 불교 예술이 융합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172]
이러한 예술적 교류는 불교의 발전 과정에서도 나타난다. 예를 들어, 쿠샨 제국 시대에는 부처가 처음으로 인간의 모습으로 묘사되었는데, 많은 학자들은 이것이 그리스의 영향이라고 설명한다. 그리스와 인도의 요소가 혼합된 양식은 이후 중국과 비단길을 따라 위치한 여러 나라의 불교 예술에서 찾아볼 수 있다.[172]
비단은 종교적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으며, 비단길을 따라 화폐처럼 사용되기도 했다.[172]
동쪽에서 서쪽으로 비단길을 통해 거래된 다양한 품목 중에는 예술품 제작에 사용되는 청금석이 있었다. 청금석은 금빛 반점이 있는 파란색 돌로, 가루로 만들어 안료로 사용되었다.[122]
5. 3. 기술 전파
당나라 때 비단길을 통해 중국의 제지 기술, 차, 도자기, 비단 등이 서쪽으로 전해졌다. 8세기 중엽 탈라스 전투에서 당나라가 이슬람 제국에 크게 패하면서, 포로로 잡힌 중국인 기술자들을 통해 제지술이 이슬람 세계로 전파되었고, 이후 유럽으로까지 전해졌다.[171] 이는 이슬람 세계에 행정 혁신을 가져왔고, 종이의 가볍고 편리하며 합리적인 가격은 지식의 생산과 보존을 용이하게 하여 서양 세계에 르네상스를 선사하고 인쇄 혁명을 촉발했다.[171]동방에서는 로마 제국과 페르시아 제국의 유리 그릇을 귀하게 여겼다.[170] 광저우에서 발굴된 기원전 1세기 초 서한 무덤에서 나온 로마 유리 그릇은 남중국해를 통해 로마의 상품이 수입되었음을 보여준다.[62]
6. 현대적 의의
'실크로드'라는 용어는 1877년 독일 지리학자 페르디난트 폰 리히트호펜이 처음 사용했지만, 20세기에 들어서야 학계와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166][167] 그러나 이 용어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워릭 볼은 로마 제국 경제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은 중국과의 비단 무역보다 인도 및 아라비아와의 해상 향신료 무역이었으며, 몽골 제국 시대까지 일관된 육로 무역 시스템은 없었다고 주장한다.[154][155][156]
실크로드는 단순한 무역로가 아니라 불교를 포함한 사상, 종교, 철학, 과학적 발견 등이 교류된 통로였다.[134] 이민자, 난민, 선교사, 장인, 외교관, 병사 등 다양한 사람들이 이 루트를 이용했으며, 페스트와 같은 질병도 실크로드를 통해 퍼져 흑사병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135]
1453년 오스만 제국이 흥성하면서 실크로드를 통한 동서 간의 무역은 단절되었다. 이는 유럽이 동방으로 가는 새로운 루트를 찾게 만들었고, 대항해 시대, 유럽의 식민주의, 세계화를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르코 폴로는 기록을 남긴 인물이다. 현대에는 유라시아 랜드브리지와 중국의 일대일로 구상(BRI) 등 역사적인 교역로를 통한 수송 확대를 목표로 하는 대규모 인프라 프로젝트를 '새로운 실크로드'라고 부르기도 한다.
6. 1. 일대일로 정책
2013년 시진핑 주석이 제창한 '일대일로' 정책은 육상 및 해상 실크로드를 현대적으로 재건하여 중국과 유라시아, 아프리카 국가들 간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79] 일대일로는 인프라 건설, 무역 확대, 문화 교류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며, 국제 사회의 큰 주목을 받고 있다.한편, 일대일로 프로젝트는 중국 주도로 추진되면서, 중국의 일대일로 계획의 문화 정책으로 이용될 우려도 있다.[156]
일대일로의 핵심 사업으로 자리매김한 동아시아에서 중국, 몽골, 카자흐스탄을 거쳐 러시아, 동유럽, 유럽 등으로 화물열차를 이용한 물류망이 개통되어 “철의 낙타”라고도 불린다.
6. 2. 유네스코 세계유산
2014년 6월 22일, 유네스코(UNESCO,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는 2014 세계유산회의에서 실크로드의 장안-천산 회랑 구간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였다.[123] 이는 실크로드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국제적으로 인정한 것이다. 유엔세계관광기구(UNWTO)는 1993년부터 평화와 이해 증진이라는 목표 아래 실크로드를 따라 지속 가능한 국제 관광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123]중국국가비단박물관은 실크로드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기념하기 위해 2020년 6월 19일부터 25일까지 "실크로드 주간"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124] 비슈케크와 알마티에는 각각 실크로드를 따라 동서로 뻗은 주요 도로가 있는데, 비슈케크에서는 키르기스어로 "지벡 조루"(Жибек жолу, Jibek Jolu), 알마티에서는 카자흐어로 "지벡 졸리"(Жібек жолы, Jibek Joly)라고 불린다.
6. 3. 지속적인 연구와 보존 노력
유네스코(UNESCO,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는 '실크로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실크로드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문화 간 대화를 촉진하는 등 실크로드에 대한 고고학적 발굴, 문헌 연구, 문화유산 보존 노력을 꾸준히 지원하고 있다.[123]2014년 6월 22일, 유네스코는 2014 세계유산회의에서 실크로드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하였다. 유엔세계관광기구(UNWTO)는 1993년부터 평화와 이해 증진을 목표로 실크로드를 따라 지속 가능한 국제 관광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123]
중국국가비단박물관은 실크로드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것을 기념하여 2020년 6월 19일부터 25일까지 "실크로드 주간"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124] 비슈케크와 알마티에는 각각 실크로드를 따라 동서로 뻗은 주요 도로가 있는데, 비슈케크에서는 키르기스어로 "지벡 조루"(Жибек жолу, Jibek Jolu), 알마티에서는 카자흐어로 "지벡 졸리"(Жібек жолы, Jibek Joly)라고 불린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Silk Road
http://www.nationalg[...]
2022-01-25
[2]
웹사이트
Eurasian winds toward Silla
https://web.archive.[...]
Miho Museum
2009-03-01
[3]
서적
Ancient Glass Research Along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4]
서적
The Silk Roads: Highways of Culture and Commerce
UNESCO
[5]
서적
The Silk Road in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6]
뉴스
Ancient bottom wipers yield evidence of diseases carried along the Silk Road
https://www.theguard[...]
2018-05-18
[7]
웹사이트
Land-Based Empires 1450 to 1750
https://www.khanacad[...]
[8]
웹사이트
Eurasian winds toward Silla
https://web.archive.[...]
2009-03-14
[9]
웹사이트
The Horses of the Steppe: The Mongolian Horse and the Blood-Sweating Stallions Silk Road in Rare Books
http://dsr.nii.ac.jp[...]
2017-02-23
[10]
서적
(Unspecified)
[11]
서적
The Silk Roads: Highways of Culture and Commerce
Berghahn Books
[12]
간행물
Richthofen's "Silk Roads": Toward the Archaeology of a Concept
2007-06-01
[13]
웹사이트
Did Richthofen Really Coin 'the Silk Road'?
https://edspace.amer[...]
[14]
뉴스
The Silk Road still casts a spell, but was the ancient trading route just a western invention?
https://www.theguard[...]
2024-10-06
[15]
웹사이트
Silk Route talk irritates Dalrymple. His new book says India, not China, ruled trade, ideas
https://theprint.in/[...]
2024-08-29
[16]
뉴스
The Golden Road by William Dalrymple review – when India ruled the world
https://www.theguard[...]
2024-10-06
[17]
서적
The Silk Road: Two Thousand Years in the Heart of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9-03-07
[18]
서적
Ways of the World: A Global History
https://archive.org/[...]
Bedford/St. Martin's
[19]
학술지
Silk Roads or Steppe Roads? The Silk Roads in World History
[20]
서적
A Modern Chinese Journey to the West: Economic Globalisation And Dualism
Nova Science Publishers
[21]
서적
Between Winds and Clouds: The Making of Yunnan
Columbia University Press
[22]
웹사이트
History and Legend of Sino-Bangla Contacts
http://www.fmprc.gov[...]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2013-04-17
[23]
뉴스
Seminar on Southwest Silk Road held in City
http://www.weeklyhol[...]
2013-04-17
[24]
서적
Early Exchange between Africa and the Wider Indian Ocean World
Palgrave Macmillan
[25]
웹사이트
Maritime Silk Road
https://web.archive.[...]
2017-09-11
[26]
학술지
The Maritime Silk Road: History of an Idea
https://web.archive.[...]
2016
[27]
학술지
The Southeast Asian Ship: An Historical Approach
1980-09-01
[28]
학술지
Early Voyaging in the South China Sea: Implications on Territorial Claims
2015-08-01
[29]
학술지
Recent advances in the Iron Age archaeology of Taiwan
2000-01-01
[30]
뉴스
Notes from central Taiwan: Our brother to the south
https://www.taipeiti[...]
2021-12-24
[31]
뉴스
Birthplace of Austronesians is Taiwan, capital was Taitung: Scholar
https://www.taiwanne[...]
2021-12-24
[32]
서적
Paths of Origins: The Austronesian Heritage in the Collections of the National Museum of the Philippines, the Museum Nasional Indonesia, and the Netherlands Rijksmuseum voor Volkenkunde
ArtPostAsia
[33]
서적
Lost Kingdoms of Early Southeast Asia: Hindu-Buddhist Sculpture 5th to 8th century
https://www.research[...]
Yale University Press
[34]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III: Artefacts languages, and texts
Routledge
[35]
서적
The Maritime Silk Road: Global Connectivities, Regional Nodes, Localities
https://library.oape[...]
Amsterdam University Press
[36]
서적
The Tongking Gulf Through History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2011
[37]
서적
The Maritime Silk Road: Global Connectivities, Regional Nodes, Localities
https://library.oap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22
[38]
서적
The Maritime Silk Road: Global Connectivities, Regional Nodes, Localities
https://library.oap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22
[39]
서적
The Maritime Silk Road: Global Connectivities, Regional Nodes, Localities
https://library.oape[...]
Amsterdam University Press
2022
[40]
뉴스
Treasures of Ancient Altai Nomads Revealed
http://astanatimes.c[...]
2017-02-23
[41]
뉴스
Additional Berel Burial Sites Excavated
http://astanatimes.c[...]
2017-02-23
[42]
서적
Worlds Together Worlds Apart
https://archive.org/[...]
Norton
[43]
학술지
Use of silk in ancient Egypt
1993-03-04
[43]
웹사이트
Use of Silk In Ancient Egypt
http://www.silk-road[...]
2007-05-03
[44]
간행물
Hellenes and Romans in Ancient China (240 BC – 1398 AD)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partment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2012-08
[45]
서적
Global Security Watch: Central Asia
Praeger
2010
[46]
서적
Sogdian Language and Literat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3
[47]
서적
Sino-Platonic Papers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University of Pennsylvania Department of East Asia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48]
웹사이트
Silk Road, North China
http://www.megalithi[...]
2011-07-13
[49]
서적
Story of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五洲传播出版社
2011-04-17
[50]
서적
The Great Wall: China Against the World, 1000 BC – AD 2000
https://books.google[...]
Grove Press
2011-04-17
[51]
서적
Inner Mongolia People's Publishing Corp
[52]
서적
Ancient China and its Enemies
[53]
서적
Selenium in the Environment
CRC Press
[54]
서적
City of Heavenly Tranquility: Beijing in the History of China
Oxford University Press
[55]
서적
The Silk Roads: A Brief History with Documents
Bedford/St. Martin's
[56]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57]
서적
[58]
서적
The Harper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from 3500 B.C. to the Present
HarperCollins Publishers
[59]
웹사이트
Ban Chao
http://www.britannic[...]
[60]
서적
The Silk Road: Two Thousand Years in the Heart of Asi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1]
서적
Old World Encounters: Cross-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s in Pre-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62]
서적
When Glass Was Treasured in China
Brepols Publishers
2002
[63]
웹사이트
East Asian History Sourcebook: Chinese Accounts of Rome, Byzantium and the Middle East, c. 91 B.C.E. – 1643 C.E.
http://www.fordham.e[...]
Fordham University
2016-09-16
[64]
서적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Later Han to the Three Kingdoms (23–220 AD)
Koninklijke Brill
2007
[65]
서적
Han Foreign Re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66]
학술지
The rise of the Maritime Silk Road about 2000 years ago: Insights from Indo-Pacific beads in Nanyang, Central China
2022
[67]
서적
When Glass Was Treasured in China
Brepols
2002
[68]
웹사이트
Proto–Three Kingdoms of Korea {{!}} Silk Road
https://en.unesco.or[...]
2017-02-23
[69]
서적
Geography
https://penelope.uch[...]
[70]
서적
Natural Histories
[71]
서적
Declamations Vol. I
null
[72]
백과사전
Sogdian Trade
http://www.iranicaon[...]
2011-11-04
[73]
서적
The First English Explorer: The Life of Anthony Jenkinson (1529–1611) and His Adventures on the Route to the Orient
Matador
2016
[74]
웹사이트
Silk Road
https://www.livius.o[...]
2010-11-14
[75]
서적
Transnationalism in Ancient and Medieval Societies, the Role of Cross Border Trade and Travel
McFarland & Company
2012
[76]
서적
Sogdian Painting: the Pictorial Epic in Oriental Art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1
[77]
서적
Agricultural and Pastoral Societies in Ancient and Classical History
Temple University Press
2001
[78]
서적
Medieval Researches from Eastern Asiatic Sources: Fragments Towards the Knowledge of the Geography and History of Central and Western Asia from the 13th to the 17th Century, Vol. 1
Routledge
2000
[79]
간행물
Christians in China before 1500
1914
[80]
서적
The Mongols and the West, 1221–1410
Pearson Education
2005
[81]
웹사이트
Rabban bar Sauma: Mongol Envoy
https://www.britanni[...]
2016-09-16
[82]
서적
From Yuan to Modern China and Mongolia: The Writings of Morris Rossabi
Brill
2014
[83]
서적
From Yuan to Modern China and Mongolia: The Writings of Morris Rossabi
Brill
2014
[84]
서적
On the Knowledge Possessed by the Ancient Chinese of the Arabs and Arabian Colonies: And Other Western Countries, Mentioned in Chinese Books
https://archive.org/[...]
Trübner & Company
1871
[85]
서적
Cambridge History of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86]
서적
A History of China
Cosimo
2005
[87]
서적
The Silk Road: Trade, Travel, War and Faith
Serindia
2004
[88]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89]
서적
Military Culture in Imperial China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90]
서적
China and her neighbours, from ancient times to the Middle Ages: a collection of essays
Progress Publishers
1981
[91]
서적
History of Navigation in Ancient China
Ocean Press
1989
[92]
서적
Columbia Chronologies of Asian History and Culture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0
[93]
서적
Aidan of Lindisfarne: Irish Flame Warms a New World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4
[94]
논문
Chronology of Türkic languages and linguistic contacts of early Türks
http://altaica.narod[...]
2017-06-12
[95]
서적
Global Security Watch: Central Asia
Praeger
2010
[96]
서적
East Asia: A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History
Houghton Mifflin
2006
[97]
서적
The Dynasties of China: A History
Carroll and Graf
2003
[98]
서적
Transfer of Buddhism Across Central Asian Networks (7th to 13th Centuries)
Brill
2016
[99]
서적
Global Security Watch: Central Asia
Praeger
2010
[100]
서적
Uzbekistan
Bradt Travel Guides
2016
[101]
서적
Uzbekistan
Bradt Travel Guides
2016
[102]
논문
The role of the ortoq in the Mongol Empire in forming business partnerships
https://www.tandfonl[...]
2019
[103]
웹사이트
The Pax Mongolica
http://www.silk-road[...]
null
[104]
논문
Yangzhou, 1342: Caterina Vilioni's Passport to the Afterlife
2024
[105]
서적
Epidemics and pandemics: their impacts on human history
https://archive.org/[...]
2005
[106]
서적
The Great Mortality: An Intimate History of the Black Death, the Most Devastating Plague of All Time
Harper
[107]
웹사이트
The Silk Road: Connecting People and Cultures
https://festival.si.[...]
Festival
2018-07-02
[108]
학술지
The Armenians and the East India Company in Persia in the Seventeenth and Early Eighteenth Centuries
[109]
웹사이트
The Metropolitan Museum's Excavations at Nishapur
https://www.metmuseu[...]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1-07
[110]
서적
An Economic and Social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1300–191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111]
서적
Old World Encounters: Cross-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s in Pre-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12]
학술지
Urban and nomadic isotopic niches reveal dietary connectivities along Central Asia's Silk Roads
2018-03-26
[113]
학술지
Nomadic ecology shaped the highland geography of Asia's Silk Roads
https://discovery.uc[...]
2017-03-08
[114]
웹사이트
Belief Systems Along the Silk Road
http://asiasociety.o[...]
Asia Society
2016-11-17
[115]
백과사전
Maritime Buddhism
https://oxfordre.com[...]
Oxford University Press
2018-12-20
[116]
학술지
China's Southwestern Silk Road in World History
http://worldhistoryc[...]
[117]
웹사이트
Ancient Silk Road Travellers
http://www.silk-road[...]
[118]
서적
Chotscho: Facsimile-Wiedergaben der Wichtigeren Funde der Ersten Königlich Preussischen Expedition nach Turfan in Ost-Turkistan
http://dsr.nii.ac.jp[...]
Dietrich Reimer (Ernst Vohsen)
[119]
학술지
A Mathematic Expression of Art: Sino-Iranian and Uighur Textile Interactions and the Turfan Textile Collection in Berlin
http://heiup.uni-hei[...]
[120]
서적
The Silk Road: A New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21]
학술지
Judaism and the Silk Route
[122]
웹사이트
The Silk Road and Beyond: Travel, Trade, and Transformation
http://www.artic.edu[...]
[123]
웹사이트
Objectives
http://silkroad.unwt[...]
[124]
웹사이트
Announcement about the Silk Road Week, 19-25 June 2020-China Silk Museum
http://www.chinasilk[...]
[125]
문서
Ūly Jıbek jоly, جاده ابریشم, Via della seta
[126]
웹사이트
The Silk Road
http://www.nationalg[...]
2019-07-26
[127]
웹사이트
Eurasian winds toward Silla
http://www.miho.or.j[...]
2009-03
[128]
서적
Ancient Glass Research Along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09
[129]
서적
The Silk Roads: Highways of Culture and Commerce
UNESCO Publishing / Berghahn Books
[130]
서적
Silk Road: Monks, Warriors & Merchants
https://archive.org/[...]
Odyssey Books
[131]
서적
The Silk Road in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32]
웹사이트
Proto–Three Kingdomsof Korea Silk Road
https://en.unesco.or[...]
[133]
서적
Old World Encounters: Cross-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s in Pre-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34]
서적
Old World Encounters: Cross-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s in Pre-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35]
뉴스
Ancient bottom wipers yield evidence of diseases carried along the Silk Road
https://www.theguard[...]
2016-07-22
[136]
문서
訳書は、スヴェン・ヘディン『シルクロード』 西義之訳、白水社、のち中公文庫、2003年。本書は往年のシルクロードに沿った自動車道路建設に向けた調査旅行の顛末に関するものであって、昔日の交易路そのものについて論じた書ではない。
[137]
뉴스
習近平主席がモンゴル国のエルベグドルジ大統領と会談、両国の全面的な戦略パートナーシップの絶え間な位発展を推進すると強調
http://jp.xinhuanet.[...]
2015-11-11
[138]
뉴스
習近平主席が中露蒙首脳会議に出席
http://j.people.com.[...]
2015-07-10
[139]
문서
現在のウズベキスタン、トルクメニスタンなどを含む地域。
[140]
서적
Zheng He: China and the Oceans in the Early Ming Dynasty, 1405–1433
Pearson Longman
[141]
서적
世界航海史上の先駆者 鄭和
清水書院
2017-08-30
[142]
웹사이트
Sub-regional workshop for South Asian Silk Roads Transboundary Serial Nomination and Cultural Landscape Initiatives, 19-21 May, 2021, Kathmandu, Nepal
http://whc.unesco.or[...]
UNESCO
2021-05-13
[143]
웹사이트
大秦景教流行中国碑拓本
http://www.for.aichi[...]
古代文字資料館
2021-04-03
[144]
웹사이트
Belief Systems Along the Silk Road
http://asiasociety.o[...]
2016-11-17
[145]
서적
Old World Encounters: Cross-Cultural Contacts and Exchanges in Pre-Modern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146]
학술지
China's Southwestern Silk Road in World History
http://worldhistoryc[...]
2009-12-02
[147]
웹사이트
Ancient Silk Road Travellers
http://www.silk-road[...]
2009-10
[148]
문서
眩人
[149]
문서
続日本紀
736
[150]
서적
シルクロードと日本文化
白水社
1982
[151]
웹사이트
宝物について
https://shosoin.kuna[...]
宮内庁
2021-04-03
[152]
간행물
中国側から見る日中経済協力 : 1979~1988年の『人民日報』の対中ODA 報道を中心に
OUFC
2014-03-10
[153]
서적
世界遺産年報2015
日本ユネスコ協会連盟
2014
[154]
서적
世界遺産年報2005
日本ユネスコ協会連盟
2005
[155]
웹사이트
SILK ROADS DIALOGUE, DIVERSITY & DEVELOPMENT
https://en.unesco.or[...]
[156]
뉴스
中国『経済ベルト』戦略 / シルクロード 世界遺産
読売新聞
2014-06-23
[157]
웹인용
The Silk Road
http://www.nationalg[...]
2022-01-25
[158]
웹인용
Eurasian winds toward Silla
http://www.miho.or.j[...]
Miho Museum
2009-03
[159]
서적
Ancient Glass Research Along the Silk Road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09
[160]
서적
The Silk Roads: Highways of Culture and Commerce
UNESCO
2001
[161]
서적
The Silk Road in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162]
뉴스
Ancient bottom wipers yield evidence of diseases carried along the Silk Road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6-07-22
[163]
웹사이트
Land-Based Empires 1450 to 1750
https://www.khanacad[...]
[164]
웹사이트
The Horses of the Steppe: The Mongolian Horse and the Blood-Sweating Stallions {{!}} Silk Road in Rare Books
http://dsr.nii.ac.jp[...]
2017-02-23
[165]
서적
2007
[166]
서적
The Silk Roads: Highways of Culture and Commerce
Berghahn Books
2009
[167]
학술지
Richthofen's "Silk Roads": Toward the Archaeology of a Concept
2007
[168]
웹사이트
Did Richthofen Really Coin 'the Silk Road'?
https://edspace.amer[...]
[169]
서적
The Silk Road: Two Thousand Years in the Heart of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4-09
[170]
서적
도시로 보는 유럽사
사우
2020
[171]
서적
2020
[172]
웹사이트
실크로드
https://terms.naver.[...]
2023-02-21
[173]
서적
옥스퍼드 세계사
교유서가
2020
[174]
서적
2020
[175]
서적
2020
[176]
서적
2020
[177]
서적
2020
[178]
서적
2020
[179]
뉴스
중국에서 스페인까지 연결된다. 세계에서 가장 긴 철도 '이신어우'
http://news.jkn.co.k[...]
재경일보
2015-04-25
[180]
서적
1000년
민음사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