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가리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준가리아는 알타이 산맥, 톈산 산맥, 타르바가타이 산맥에 둘러싸인 준가르 분지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이다. 21세기 이전에는 다양한 제국과 왕조의 지배를 받았으며, 현재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통제를 받는다. '준가리아'라는 이름은 몽골어에서 유래되었으며, 역사적으로 몽골 제국의 서부 지역을 가리켰다.

준가리아는 실크로드의 북쪽 경로가 지나가는 곳이었으며, 17세기 후반 준가르 칸국의 세력이 절정에 달했으나 청나라에 의해 멸망했다. 지리적으로는 준가르 분지를 중심으로 하며, 구르반퉁구트 사막이 위치해 있다. 이 지역은 다양한 광물 자원과 석유 매장량을 가지고 있으며, 농업과 목축업이 이루어진다. 주요 도시로는 우루무치, 이닝, 카라마이 등이 있으며, 한족, 몽골족, 위구르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장의 지리 - 타클라마칸 사막
    타클라마칸 사막은 톈산산맥 등에 둘러싸인 세계 최대 규모의 사구 사막으로, 비단길이 지나갔으며,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위치하고 사막화 방지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신장의 지리 - 토루가르트 고개
    토루가르트 고개는 중국과 키르기스스탄 국경에 위치한 해발 3,504m의 고개로, 실크로드의 일부였으며 현대에는 일대일로 정책의 핵심 연결 지점으로서 중요한 지정학적 요충지이다.
  • 중국의 생태지역 - 타클라마칸 사막
    타클라마칸 사막은 톈산산맥 등에 둘러싸인 세계 최대 규모의 사구 사막으로, 비단길이 지나갔으며,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위치하고 사막화 방지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중국의 생태지역 - 메콩강
    메콩강은 티베트 고원에서 발원하여 중국, 미얀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을 거쳐 남중국해로 흐르는 동남아시아의 주요 강으로, 다양한 문화권과 생태계를 연결하며 풍부한 생물 다양성과 어업 자원을 제공하고 수운 교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댐 건설, 환경 오염,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해 지속 가능한 관리가 요구된다.
중가리아
지도 정보
지리
위치신장 위구르 자치구 북부
면적약 777,000 km²
역사적 배경
명칭 유래몽골 제국 시대의 군사 단위 "왼쪽 날개" (Зүүн гар, Züün gar)에서 유래
주요 민족준가르족 (역사적), 위구르족, 한족, 카자흐족, 몽골족, 회족
역사17세기: 준가르 칸국의 중심지
18세기: 청나라에 의해 정복, 준가르족 학살
현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일부
지역 구분
주요 지역정거얼 분지
기타 명칭베이장 (북부 신장)
언어
사용 언어위구르어, 중국어, 카자흐어, 몽골어
기타
관련 용어남부 신장 (타림 분지)

2. 역사

신장톈산산맥을 기준으로 북쪽의 준가리아와 남쪽의 타림 분지로 나뉜다. 1759년 청나라가 신장을 정복했을 당시 준가리아에는 티베트 불교를 믿는 유목 민족인 준가르족이, 타림 분지에는 튀르크계 무슬림 농민들이 거주했다. 청나라는 이 두 지역을 처음에는 별도로 통치했지만,[3] 1760년 타림 분지를 평정한 후 '신장'이라는 하나의 지역으로 묘사하기 시작했다.[4] 1884년에는 신장성이라는 하나의 정치적 실체로 통합되었다.[5]

흉노 제국, 한나라, 선비족, 유연 카간국, 돌궐 제국, 당나라, 위구르 카간국 등 다양한 민족들이 이 지역을 지배하거나 통제했다. 1950년부터는 중화인민공화국의 통제하에 있다.

2. 1. 어원

'''준가리아''' 또는 '''중가리아'''는 몽골어 '''준 가르'''(''Zűn Gar'') 또는 '''쥬윤 가르'''(''Jüün Gar'')에서 유래되었으며, '왼손'을 의미한다.[1] 이는 몽골 제국이 동몽골과 서몽골로 분열될 때 서부 몽골족(오이라트)이 왼쪽에 위치했던 것에서 유래되었다.[1] 분열 이후 서부 몽골 민족은 ''준 가르''라고 불렸다.[1]

2. 2. 근대 이전

기원전 1천 년경 이 지역에는 토하라족과 거시 왕국처럼 인도유럽어족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거주했다.[9][10] 한나라 시대에는 시안에서 우샤오링을 거쳐 서쪽으로 우웨이까지 연결되어 카슈가르에 이르는, 약 2600km 길이의 최북단 실크로드 궤도가 이 지역을 통과했다.[11]

6세기 후반에는 튀르크 제국의 이스테미가 이 지역을 상속받았다.[12]

17세기 후반, 갈단 보쇼그투 칸 시기에 준가르족의 세력이 절정에 달했으나, 1757~1759년경 청나라 제국에 의해 완전히 멸망했다.[8] 이후 이 지역의 영토는 대부분 준가르 정벌 전쟁 동안 청나라에 속하게 되었고(현재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몽골 북서부), 일부는 러시아령 투르키스탄에 속하게 되었다 (초기 카자흐 국가 지역인 제티수와 이르티쉬 강).[8]

중국에서 서쪽으로 가는 여행자는 톈산산맥 북쪽의 준가리아 또는 산맥 남쪽의 타림 분지를 통과해야 했다. 무역은 대개 남쪽 길을 따랐고, 이주는 북쪽 길을 따랐는데, 이는 타림이 페르가나 계곡과 이란으로 이어지는 반면, 준가리아는 탁 트인 스텝으로만 이어지기 때문이었다. 또한 타클라마칸 사막은 풀이 잘 자라지 않아 유목민들이 어려움을 겪었고, 주민들은 강이 산에서 사막으로 흘러드는 곳에 형성된 오아시스에 주로 살았다. 반면 준가리아는 상당한 양의 풀이 있고, 병사들을 주둔시킬 만한 마을이 거의 없으며, 서쪽에 뚜렷한 산악 장벽도 없었다.[13]

2. 3. 근대

청나라는 준가르 칸국을 멸망시킨 후, 한족과 회족을 이 지역으로 이주시켜 재정착을 시작했다.[13]

21세기 현재 이 지역에는 카자흐족, 키르기스족, 몽골족, 위구르족한족 등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1953년 이후, 신장 북부는 카라마이 유전을 비롯한 수자원 보존 및 산업 프로젝트에 종사할 숙련된 노동자들을 중국 전역에서 유치했으며, 이들은 대부분 한족이었다. 또한 성내 이주는 대부분 준가리아로 향했으며, 신장 남부의 빈곤한 위구르 지역에서 온 이주민들이 일자리를 찾기 위해 성도인 우루무치로 몰려들었다.

3. 지리

중국에서 서쪽으로 가는 여행자는 톈산산맥 북쪽의 준가리아 또는 산맥 남쪽의 타림 분지를 통과해야 한다. 무역은 대개 남쪽 길을 따랐고, 이주는 북쪽 길을 따랐다. 이는 타림이 페르가나 계곡과 이란으로 이어지는 반면, 준가리아는 탁 트인 스텝으로만 이어지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남쪽 길의 어려움은 타림과 페르가나 사이의 높은 산들이었으며, 타클라마칸 사막은 풀이 잘 자라지 않아 유목민들이 대상들을 약탈하지 않을 때는 어려움을 겪는다. 이 지역의 거주민들은 강이 산에서 사막으로 흘러드는 곳에 형성된 오아시스에 주로 살고 있다. 이곳에는 호전적이지 않은 농민들과 무역이 순조롭게 진행되는 데 관심이 있는 상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준가리아는 상당한 양의 풀이 있고, 병사들을 주둔시킬 만한 마을이 거의 없으며, 서쪽에 뚜렷한 산악 장벽도 없다. 따라서 무역은 남쪽으로, 이주는 북쪽으로 향했다.[13] 오늘날 대부분의 무역은 타림 서쪽의 산을 피하고, 현재 러시아가 더 발전했기 때문에 산맥 북쪽(준가리아 게이트 및 홀거스)인 일리 강 계곡을 통해 이루어진다.

톈산 산맥이 준가리아와 타림 분지(타클라마칸)를 분리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지형도


일리 강


톈산 천지


카나스 호


바얀불락 초원


준가리아에서는 , 보리, 귀리, 사탕무가 재배되며, , , 이 사육된다. 밭은 연중 눈이 덮인 산에서 녹은 물로 관개된다. 준가리아에는 석탄, , 매장량과 대규모 유전이 있다.

3. 1. 준가얼 분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지리: 준가르 분지 (황색, 신장 위구르 자치구 북부), 투르판 분지와 하미 분지 (적색, 신장 위구르 자치구 동부), 타림 분지 (청색,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남부)


'''준가얼 분지'''(중국어: 准噶尔盆地, 병음: Zhǔngá'ěr Péndì)는 삼각형 모양의 분지로, 중심부에 구르반퉁구트 사막이 있다. 북서쪽으로는 타르바가타이 산맥, 북동쪽으로는 알타이 산맥, 남쪽으로는 톈산 산맥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14] 분지의 동쪽 모서리는 간쑤성과 중국의 나머지 지역으로 이어진다. 남쪽에서는 우루무치에서 투르판 분지로 이어지는 길이 있으며, 남서쪽에서는 톈산 산맥의 보로호로 산맥 지맥이 분지를 상부 일리강과 분리한다.

산맥 북쪽의 틈새만이 습한 공기가 분지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하여, 타림 분지와 달리 반사막 지대를 형성하여 얇은 식생층이 자랄 수 있게 한다. 이는 야생 박트리아 낙타, 저보아 등의 개체수를 유지하기에 충분하다.[15]

준가얼 분지는 고생대-플라이스토세 암석의 두꺼운 층이 있는 구조 분지로, 대규모의 유전이 있다.[16] 중국에서 두 번째로 큰 구르반퉁구트 사막은 분지 중앙에 있다.[17]

준가얼 분지에는 단일 유역 중심이 없다. 준가리아 최북단 지역은 북극해로 배수되는 이르티쉬강 유역에 속한다. 나머지 지역은 여러 개의 내륙 분지로 나뉜다. 이르티쉬강 남쪽의 울룬구르강은 울룬구르호로 흘러든다. 남서부는 아이비호로 배수된다. 서부-중앙부에서는 개울이 마나스호와 아이리크호를 포함하는 내륙호 그룹으로 흘러든다. 지질 시대 동안 훨씬 더 큰 호수("옛 마나스 호")가 오늘날의 마나스 호 지역에 위치해 있었는데, 현재 그 호수로 흘러드는 개울뿐만 아니라 당시에도 옛 마나스 호로 흘러들었던 이르티쉬강과 울룬구르강에 의해 물이 공급되었다.[18]

근처 시베리아의 차가운 기후는 준가얼 분지의 기후에 영향을 미쳐 온도를 낮추고, 남쪽의 더 따뜻하고 건조한 분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강수량을 제공한다. 주변 산에서 분지로 흘러드는 물은 여러 호수를 공급한다. 생태적으로 풍부한 서식지에는 전통적으로 초원, 습지, 강이 포함되었으나, 현재 대부분의 토지는 농업에 사용된다.[15]

우루무치, 이닝, 카라마이가 주요 도시이며, 다른 작은 오아시스 마을이 산기슭 지역에 점점이 흩어져 있다.

3. 2. 생태

준가리아는 준가리아 분지 반사막으로 알려진 반사막 스텝 생태 지역이다. 식생은 주로 낮은 관목인 ''Anabasis brevifolia''로 구성되어 있다. 삭사울 덤불 ''(Haloxylon ammodendron)''과 ''Ephedra przewalskii''의 키 큰 관목지는 분지 가장자리 근처에서 발견할 수 있다. 텐산 산맥과 알타이 산맥에서 내려오는 시냇물은 ''Nitraria roborovsky, N. sibirica, Neotrinia splendens,'' tamarisk ''(Tamarix sibirimosissima)'' 및 버드나무 ''(Salix ledebouriana)''와 함께 포플러 ''(Populus diversifolia)''의 군락을 지원한다.

준가리아 분지 반사막의 북동쪽 부분은 고비 사막 국립공원 내에 있으며, 아시아 야생 당나귀 ''(Equus hemionus)'', 사막가젤 ''(Gazella subgutturosa)'' 및 야생 쌍봉낙타 ''(Camelus ferus)''의 무리가 서식하고 있다.

이 분지는 프르제발스키 말 ''(Equus przewalskii)''의 마지막 서식지 중 하나였으며, 한때 야생에서 멸종되었지만 이후 몽골과 중국의 일부 지역에 재도입되었다.[1]

4. 정치 구분 (주요 도시)

지역주요 도시
신장 북부우루무치 시, 카라마이 시, 창지, 보얼타라, 이리
신장 동부투루판 시, 하미 시


5. 경제

준가리아에서는 , 보리, 귀리, 사탕무를 재배하며, , , 을 사육한다. 밭은 연중 눈이 덮인 산에서 녹은 물로 관개된다. 석탄, , , 석유, 천연 가스 등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특히 준가얼 유전은 이 지역 경제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6. 교통

철도는 란신선, 그 서쪽으로의 연장선인 북강선, 란신선 제2 복선, 징이훠선 등이 있다. 도로는 G312 국도, G217 국도, G216 국도, G7 & G70 고속도로, 3014 고속도로(G3014 쿠이툰-알타이 고속도로), 3015 고속도로(G3015 쿠이툰-타청 고속도로) 등이 있다.

넓은 지역이므로 비행장우루무치시 외에, 하미시, 투루판시, 카라마이시, 알타이시 등 주요 도시에 있다.

7. 민족

한족, 몽골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위구르족은 비교적 적다.

참조

[1] 서적 Xinjiang: China's Muslim Borderland https://books.google[...] M.E. Sharpe 2004-03-15
[2] 웹사이트 Ethnic Resistance and State Environmental Policy: Uyghurs and Mongols http://digitallibrar[...]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2009-08
[3] 서적 Liu & Faure 1996 https://books.google[...]
[4] 서적 Liu & Faure 1996 https://books.google[...]
[5] 서적 Liu & Faure 1996 https://books.google[...]
[6] 서적 Liu & Faure 1996 https://books.google[...]
[7] 서적 Liu & Faure 1996 https://books.google[...]
[8] 문서 Dzungaria
[9] 문서 Hill (2009)
[10]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Silk Road, North China http://www.megalithi[...] C.Michael Hogan, the Megalithic Portal, ed. A. Burnham
[12] 문서 The Empire of the Steppes: A History of Central Asia
[13] 문서 Grosset, 'The Empire of the Steppes'
[14] 백과사전 Jungar Basin http://www.britannic[...] 2008-02-13
[15] 웹사이트 2008-02-13
[16] 웹사이트 Geochemistry of oils from the Junggar Basin, Northwest China http://aapgbull.geos[...] AAPG Bulletin, GeoScience World 2008-02-13
[17] 웹사이트 2008-02-13
[18] 간행물 Tectonic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for evolution of the Manas Lake http://jal.xjegi.com[...]
[19] 뉴스 Nature Nature Publishing Group, Norman Locky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