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캅카스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캅카스어족은 북캅카스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들을 묶어 놓은 가설적인 어족이다. 이 가설은 북서캅카스어족(압하스-아디게어족)과 북동캅카스어족(나흐-다게스탄어족)으로 분류되며, 두 어족 간의 주요 유사점은 음운 체계에 있지만 문법 구조는 상당히 다르다. 북서캅카스어족은 동사 구조가 복잡한 반면, 북동캅카스어족은 명사의 형태론이 발달했다. 북캅카스어족의 인칭 대명사와 숫자에 대한 비교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재구된 형태에 대한 이견이 존재한다. 북캅카스어족 가설은 모든 학자들에게 받아들여지는 것은 아니며, 방법론에 대한 비판과 함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캅카스어족 - 유럽의 언어
유럽의 언어는 인도유럽어족, 우랄어족, 튀르크어족 등 다양한 어족과 언어를 포함하며, 게르만어, 로망스어, 슬라브어 등 여러 언어가 사용되고, 유럽 연합은 24개의 언어를 공식 언어로 지정한다. - 북캅카스어족 - 데네캅카스어족
데네캅카스어족은 일부 언어학자들이 나데네어족, 시노티베트어족, 북캅카스어족 등을 포함하는 가설적인 어족으로 제시하며, 어휘 및 문법적 유사성을 근거로 하지만, 조어 재구의 어려움 등으로 비판도 존재한다. - 제안된 어족 - 오스트로어족
오스트로어족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을 하나의 어족으로 묶으려는 가설이었으나, 현재는 어휘적 증거 부족으로 지지를 받지 못한다. - 제안된 어족 - 인도태평양어족
북캅카스어족 | |
---|---|
개요 | |
이름 | 북캅카스어족 |
다른 이름 | 캅카스어족 |
인정 여부 | 논쟁 중 |
사용 지역 | 코카서스 |
분류 | 제안된 어족 |
하위 어족 | 북서캅카스어족 북동캅카스어족 (또는 알라로드어족) |
ISO 639-5 | ccn |
Glottolog | 해당 사항 없음 |
![]() |
2. 내부 분류
북캅카스어족 가설을 지지하는 언어학자들 사이에서도 내부 분류에 대한 의견은 일치하지 않는다. 북서캅카스어족과 북동캅카스어족으로 크게 나뉜다는 점은 대체로 받아들여지지만, 특히 북동캅카스어족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아직 합의된 바가 없다.
언어학자 세르게이 니콜라예프와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이 1994년에 제시한 분류는 다음과 같다.
아바르-안디–디도어
락–다르기와어
레즈기어
2. 1. 북서캅카스어족 (압하스-아디게어족)
북캅카스어족의 한 갈래이다. '''압하스-아디게어족''' 또는 북서캅카스어파라고도 불린다. 북캅카스어족 가설을 지지하는 언어학자들 사이에서는 북동캅카스어족과의 구분이 명확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분류는 니콜라예프 & 스타로스틴(1994)의 연구에 근거한다.2. 2. 북동캅카스어족 (나흐-다게스탄어족)
북동캅카스어족은 나흐-다게스탄어족이라고도 불린다. 북캅카스어족 가설을 지지하는 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북서캅카스어족과의 분리는 논란의 여지가 없는 것으로 여겨지지만, 북동캅카스어족 자체의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아직 일반적인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니콜라예프와 스타로스틴(1994)의 연구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 나흐어군
- 다게스탄어군
2. 2. 1. 나흐어군
나흐-다게스탄어족의 하위 분파 중 하나이다. 언어학자 니콜라예프와 스타로스틴이 1994년에 제시한 분류 체계에 따르면, 나흐-다게스탄어족은 나흐어군과 다게스탄어군으로 나뉜다.2. 2. 2. 다게스탄어군
다게스탄어군은 나흐-다게스탄어족의 주요 분파 중 하나이다. 다만 북동캅카스어족 내부의 세부 분류에 대해서는 아직 언어학자들 사이에 완전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니콜라예프와 스타로스틴(1994)의 연구에 따른 다게스탄어군의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아바르-안디어군–체즈어군
- 락어–다르긴어군
- 레즈기어군
3. 두 어족 간의 비교
북동캅카스어족과 북서캅카스어족 사이의 주요 유사점은 음운 체계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반면, 두 어족의 문법 체계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3. 1. 주요 유사점
두 어족 사이의 주요 유사점은 음운 체계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문법은 상당히 다르다.두 어족 모두 음성학적 복잡성이 높다는 특징을 가지며, 이중 조음의 광범위한 사용이 두드러진다. 서북캅카스어파의 우비흐어는 84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으며, 동북캅카스어파의 아르치어는 76개의 자음을 가진 것으로 여겨진다.
가능한 동계어 목록이 제안되었으나, 양쪽 어족의 대부분의 형태소가 매우 짧고(종종 단일 자음만으로 구성) 대부분의 동계어는 차용어이거나 단순한 우연의 일치일 수 있다.
3. 2. 주요 차이점
북동캅카스어족은 명사의 형태론이 매우 복잡한 특징을 보인다. 예를 들어, 체즈어에서는 위치와 관련된 이동을 나타내는 일련의 처격 격 접미사들이 결합하여 126개에 달하는 처격 접미사 배열을 생성한다. 이는 분석에 따라 명사 격으로 설명되기도 한다.반대로, 북서캅카스어족의 명사 체계는 형태론적으로 비교적 단순하여 일반적으로 두세 개의 격만을 구별한다. 그러나 매우 복잡한 동사 구조를 통해 이를 보완한다. 주어, 직접 목적어, 간접 목적어, 수혜자 목적어 및 대부분의 장소 관련 기능들이 동사 안에서 표현된다.
3. 3. 일부 비교
아래는 북캅카스 조어에 대해 여러 학자들이 재구한 인칭 대명사와 숫자의 일부 비교이다. 학자마다 재구한 형태가 다르며 이견이 존재한다.[4]
'''약어''': PN = 원시 나흐어, PDL = 원시 다르기-락어, PLK = 원시 레즈기-키날루그어, PAAT = 원시 아바르-안디-체즈어, PNEC = 원시 북동캅카스어족, PNWC = 원시 북서캅카스어족, PNC = 원시 북캅카스어족
숫자 | PNEC (S) | PNEC (N) | PNWC (Ch) | PNWC (Co) | PNC (S) |
---|---|---|---|---|---|
1 | *c(h)a | #c(ʕ)V | *za | *cHǝ̆ | |
2 | *qʷ’a | *t’qʷ’a | *t’q’o | *q̇Hwǟ | |
3 | *ɬeb (?) | *λ:ə | *(y-)x̂ə/a | *ƛHĕ | |
4 | *əmq(ʷ)’i | *p’λ’a | *hĕmq̇ɨ | ||
5 | *x̂ʷə | #(W)=ƛƛi/ƛƛwi | *sx̂ʷə | *(w-/y-)ćx̂ə | *f_ɦä̆ |
6 | *renɬə- | *ɬʷə | *(w-)x̂cə | *ʔrǟnƛ_E | |
7 | *u̯ərδ (?) | *bδə | *ʡĕrŁ_ɨ̆ | ||
8 | *mbərδ | --- | *(w-/y-)ɣə/a | *bǖnŁ_e (˜-a) | |
9 | *wərč’ | *bğʷʲə | *-ɣə́ | *ʔĭlć̣wɨ | |
10 | *wəc’ | *bć’ʷə | *(p-/w-)źə́/źá | *ʡĕnc̣Ĕ |
'''약어''': PNEC (S) = 슐츠, PNEC (N) = 니콜스, PNWC (Ch) = 치리크바, PNWC (Co) = 콜라루소, PNC (S) = 스타로스틴 & 니콜라예프
4. 비판
북캅카스어족의 통일성을 모든 학자들이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며, 북캅카스어족의 관련성을 인정하는 일부 학자들조차 니콜라예프와 스타로스틴이 사용한 방법론을 받아들이지 않는다.[9]
참조
[1]
서적
North Caucasian Etymological Dictionary
http://starling.rine[...]
Asterisk Press
1994
[2]
간행물
ASJP World Language Trees of Lexical Similarity: Version 4 (October 2013)
https://asjp.clld.or[...]
2013
[3]
웹사이트
JAZYKY KAVKAZU
http://www.phil.muni[...]
2016-09-28
[4]
문서
PN = Proto-Nakh, PDL = Proto-Lak-Dargwa, PLK = Proto-Lezghian-Khinalug, PAAT = Proto-Avar-Andi-Tsezic, PNEC = Proto-Northeast Caucasian, PNWC = Proto-Northwest Caucasian, PNC = Proto-North Caucasian
[5]
간행물
Personalität in den ostkaukasischen Sprachen
Munich Working Papers in Cognitive Typology
2007
[6]
문서
Schulze considers this to be a loanword from Proto-Indo-European
[7]
문서
Ubykh/Proto-Adyghe–Kabardian/Proto-Abkhaz–Tapant. These forms are difficult to reconcile.
[8]
문서
Probably the original 1st plural inclusive.
[9]
논문
Nikolaev and Starostin's "North Caucasian Etymological Dictionary" and the Methodology of Long-Range Comparison: an assessment
Paper presented at the 10th Biennial Non-Slavic Languages (NSL) Conference, Chicago
1997-05-08
[10]
서적
North Caucasian Etymological Dictionary
http://starling.rine[...]
Asterisk Press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