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서캅카스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서캅카스어족은 자음 수가 많고 모음 수가 적으며 교착어이고 능격 언어라는 특징을 갖는 언어들의 어족이다. 이 어족의 언어들은 음운 체계에서 자음의 다양성과 모음의 단순함이 두드러지며, 역사적으로 모음이 자음에 흡수되어 자음 체계가 발달한 것으로 추정된다. 북서캅카스어족은 압하지-아바자어군, 체르케스어, 우비흐어로 분류되며, 우비흐어는 사어가 되었다. 이 어족은 북동캅카스어족과의 관계가 유력하며, 데네캅카스어족, 하티어, 인도유럽어족과의 연관성에 대한 가설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북서캅카스어족 - 카바르다어
카바르다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며 러시아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중동의 체르케스인 디아스포라에서 사용되고, 아디게어와 함께 체르케스어파로 분류되며,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하는 정서법을 사용하고 적은 모음과 많은 자음을 가진다. - 북서캅카스어족 - 압하스어
압하스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며 압하스인들이 주로 사용하는 언어로, 복잡한 자음 체계와 적은 수의 모음을 특징으로 하고, 압하지야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 사용자가 분포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압하지야의 공용어로서 보존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조지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조지아의 언어 - 라즈어
라즈어는 카르트벨리어족 언어 중 하나로 메그렐어와 함께 잔어파를 형성하며, 터키 북동부와 조지아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고 터키 알파벳 기반 문자와 조지아 문자로 표기되지만 공식적인 지위나 표준 문자가 없어 화자들은 터키어나 조지아어를 사용한다. - 튀르키예의 언어 - 그리스어
그리스어는 기원전 2000년경 발칸반도에서 기원하여 현대까지 사용되는 언어로, 미케네 문명의 선형 문자 B에서 시작해 페니키아 문자에서 유래한 알파벳으로 발전했으며, 고대 그리스어에서 코이네 그리스어를 거쳐 현대 그리스어로 변화하며 그리스와 키프로스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로서 유럽 언어와 과학 기술 용어에 큰 영향을 주었다. - 튀르키예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북서캅카스어족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이름 | 북서캅카스어족 |
다른 이름 | 서캅카스어족 아브하스-체르케스어족 아브하스-아디게어족 북폰토스어족 폰토스어족 |
지역 | 북캅카스(동유럽) |
어족 색상 | 캅카스 |
어족 | 세계 주요 어족 중 하나 |
조어 | 원시 북서캅카스어 |
글롯토코드 | abkh1242 |
글롯토코드 참조 | Abkhaz–Adyge |
하위 어족 | 아바즈기 체르케스 우비흐어 † |
하위 분류 | |
어파 | 아바자어 압하스어 아디게어 카바르디어 우비흐어 † |
언어 현황 | |
사용 현황 | 유네스코 세계 언어 지도에 등재 |
2. 주요 특징
북서캅카스어족에 속하는 모든 언어는 자음이 매우 많은 반면 모음은 수가 적다는 특징을 가진다. (예: 우비흐어는 83개의 자음을 가짐)[3] 또한 모두 교착어이며, 능격형의 격 표시를 하는 능격 언어이다.
2. 1. 음운
북서캅카스어족의 언어들은 자음이 매우 다양한 데 반해 모음은 이와 대비되게 2~3가지에 불과하다는 점을 공통적인 음운 특징으로 가진다.[3] 이러한 특징은 과거에 모음이 앞에 나온 자음과 합쳐져 줄어들면서 생긴 것이라고 추정된다. 예를 들어 오늘날의 북서캅카스어족에는 존재하지 않는 모음인 */i/와 */u/가 고대에 앞의 자음을 각각 경구개음화, 순음화시키며 사라졌다는 것이다.2. 1. 1. 독특한 자음 체계
북서캅카스어족의 언어들은 자음이 매우 다양한 데 반해 모음은 이와 대비되게 2~3가지에 불과하다는 점을 공통적인 음운 특징으로 가진다. 어떤 학자들은 이러한 특징이 과거에 모음이 앞에 나온 자음과 합쳐져 줄어들면서 생긴 것이라고 추정한다. 예를 들어 오늘날의 북서캅카스어족에는 존재하지 않는 모음인 */i/와 */u/가 고대에 앞의 자음을 각각 경구개음화, 순음화시키며 사라졌다는 것이다.이 어족 전체는 분석에 따라 2~3개의 음소적 모음이 부족하고 이차 조음을 포함한 풍부한 자음 체계를 갖는 특징을 지닌다.[3] 예를 들어, 우비크어는 두 개의 모음과 아프리카 남부를 제외하고는 아마도 가장 많은 자음 목록을 가지고 있었다.
모든 언어는 자음의 수가 매우 많은 반면(우비흐어는 83개의 자음을 가짐) 모음의 수가 적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모두 교착어이며, 능격형의 격 표시를 하는 능격 언어이다.
2. 1. 2. 단순한 모음 체계
북서캅카스어족의 언어들은 자음이 매우 다양한 데 반해 모음은 이와 대비되게 2, 3가지에 불과하다는 점을 공통적인 음운 특징으로 가진다. 어떤 학자들은 이러한 특징이 과거에 모음이 앞에 나온 자음과 합쳐져 줄어들면서 생긴 것이라고 추정한다. 예를 들어 오늘날의 북서캅카스어족에는 존재하지 않는 모음인 */i/와 */u/가 고대에 앞의 자음을 각각 경구개음화, 순음화시키며 사라졌다는 것이다.언어 재구성 연구에 따르면 자음 체계의 풍부함과 모음 체계의 빈약함은 역사적 과정의 결과일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순음화 및 구개음화와 같은 모음 특징이 인접한 자음으로 재배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원시어의 */ki/|/키/art는 /kʲə/|/켸/art이 되었고 */ku/|/쿠/art는 /kʷə/|/퀘/art이 되었을 수 있는데, 이는 기존 모음 */i/|/이/art와 */u/|/우/art을 잃는 대신 새로운 자음 /kʲ/|/키/art와 /kʷ/|/쿠/art을 얻게 된 것이다. 언어학자 존 콜라루소는 이러한 현상이 이전의 명사류 접두사 체계의 평준화 때문일 수도 있다고 추측했는데 (따라서 */w-ka/|/우카/art는 /kʷa/|/콰/art이 되었을 수 있음), 이는 우비크어 /ɡʲə/|/계/art와 카바르딘어 및 아브카스어 /ɡʷə/|/궤/art("심장")와 같은 쌍을 근거로 한다. 일부 학자들은 이와 같은 과정이 순후두음이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발달한 배경이라고 주장하는데, 원시 인도-유럽어는 한때 원시 북서 코카서스어와 인접해 있었다.
2. 1. 3. 역사적 변화
북서캅카스어족의 언어들은 자음이 매우 다양한 데 반해 모음은 이와 대비되게 2, 3가지에 불과하다는 점을 공통적인 음운 특징으로 가진다. 어떤 학자들은 이러한 특징이 과거에 모음이 앞에 나온 자음과 합쳐져 줄어들면서 생긴 것이라고 추정한다. 예를 들어 오늘날의 북서캅카스어족에는 존재하지 않는 모음인 */i/와 */u/가 고대에 앞의 자음을 각각 경구개음화, 순음화시키며 사라졌다는 것이다.[1]언어 재구성 연구에 따르면 자음 체계의 풍부함과 모음 체계의 빈약함은 역사적 과정의 결과일 수 있는데, 이 과정에서 순음화 및 구개음화와 같은 모음 특징이 인접한 자음으로 재배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원시어의 */ki/는 /kʲə/이 되었고 */ku/는 /kʷə/이 되었을 수 있는데, 이는 기존 모음 */i/와 */u/을 잃는 대신 새로운 자음 /kʲ/와 /kʷ/을 얻게 된 것이다. 언어학자 존 콜라루소는 이러한 현상이 이전의 명사류 접두사 체계의 평준화 때문일 수도 있다고 추측했는데 (따라서 */w-ka/는 /kʷa/이 되었을 수 있음), 이는 우비크어 /ɡʲə/와 카바르딘어 및 아브카스어 /ɡʷə/("심장")와 같은 쌍을 근거로 한다. 일부 학자들은 이와 같은 과정이 순후두음이 원시 인도-유럽어에서 발달한 배경이라고 주장하는데, 원시 인도-유럽어는 한때 원시 북서 코카서스어와 인접해 있었다.[1]
2. 2. 문법
북서캅카스어족은 명사 체계가 비교적 단순하고 격이 몇 개 되지 않지만, 문장의 거의 모든 통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 고도로 교착적인 동사 체계를 가지고 있다.[7] 모든 언어는 자음의 수가 매우 많은 반면(우비흐어는 83개의 자음을 가짐) 모음의 수가 적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모두 교착어이며, 능격 언어이다.2. 2. 1. 교착어적 특징
명사 체계는 비교적 단순하여 대부분 5개를 넘지 않는 격을 가졌으나, 동사는 많은 접사와 함께 복잡한 교착어적 특징을 보인다.[7] 모든 유한 동사는 세 가지 인칭(절대격, 주격, 간접목적격)에 따라 일치하며, 다양한 목적어 표시 구문도 있다.[7] 동작 동사와 상태 동사가 구분되며, 동작 동사는 특히 복잡한 형태론을 가지고 있다. 동사의 형태소는 주어와 목적어의 인칭, 장소, 시간, 동작 방식, 부정 등 여러 가지 문법 범주를 나타낸다.2. 2. 2. 동사 중심 문장 구조
북서캅카스어족의 명사 체계는 비교적 단순하여 대부분 5개를 넘지 않는 격을 가졌으나, 동사는 많은 접사와 함께 복잡한 교착어적 특징을 보인다. 문장은 보통 동사가 마지막에 오고 명사보다 명사절이 먼저 오는 좌분지(left-branching) 언어이다.[7] 모든 유한 동사는 세 가지 인칭(절대격, 주격, 간접목적격)에 따라 일치하며, 다양한 목적어 표시 구문도 있다.[7] 동작 동사와 상태 동사가 구분되며, 동작 동사는 특히 복잡한 형태론을 가지고 있다. 동사의 형태소는 주어와 목적어의 인칭, 장소, 시간, 동작 방식, 부정 등 여러 가지 문법 범주를 나타낸다.모든 북서캅카스어는 좌방향 언어이므로, 동사는 문장 끝에 오고, 관계절과 같은 수식어는 명사 앞에 온다.
북서캅카스어는 일반적으로 문장에 유한 동사를 하나 이상 허용하지 않으므로, 인도유럽어족의 의미에서 종속절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동등한 기능은 광범위한 명사와 분사 형태의 비유한 동사 형태에 의해 수행되지만, 아브카스어는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제한적인 종속절을 발전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2. 3. 비유한 동사 형태
북서캅카스어족은 일반적으로 문장에 유한 동사를 하나 이상 허용하지 않으므로, 인도유럽어족에서 나타나는 종속절이 존재하지 않는다. 이와 동등한 기능은 광범위한 명사와 분사 형태의 비유한 동사 형태에 의해 수행되지만, 압하스어는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제한적인 종속절을 발전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7]3. 분류
북서캅카스어족에는 압하스어, 아바자어, 카바르디노어(동체르케스어), 아디게어(서체르케스어), 우비흐어 다섯 개 언어가 있다.[3][8] 이들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3. 1. 체르케스어 방언 연속체
체르케스어는 아디게어와 카바르디어 문어를 포함하는 일련의 방언들을 포괄하는 용어이다. 크게 3개의 하위 그룹으로 나뉜다.- 체르케스어파(Circassian languages) — 아디게어(서체르케스어), 카바르디노어(동체르케스어)
- 아브카스-아바자어파(Abazgi languages) — 아브카스어, 아바자어
- 우비흐어
우비흐어는 1992년 터키에 살던 마지막 화자가 사망하면서 사어가 되었다. 약 4만 명의 화자를 가진 아바자어도 소멸이 우려된다.
3. 1. 1. 아디게어
아디게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언어 중 하나이다. 러시아와 중동 지역에 걸쳐 50만 명의 화자가 있으며, 그중 터키에 28만 명, 러시아에 12만 5천 명(아디게 공화국에서 공용어임), 요르단에 4만 5천 명, 시리아에 2만 5천 명, 이라크에 2만 명, 이스라엘에 4천 명이 있다. 미국에도 소규모 공동체가 있다. 주요 방언으로는 테미르고이 방언, 아바제흐 방언, 샤프수흐 방언, 브제두흐 방언 등 네 가지가 있으며, 터키의 마지막 우비흐어 화자들이 사용하는 하쿠치 아디게어와 같은 여러 소규모 방언들도 있다. 아디게어는 50~60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지만, 모음은 단 세 개뿐이다. 자음과 자음군은 아브카스-아바자 방언보다 복잡하지 않다.3. 1. 2. 카바르디노어
카바르디노어는 100만 명이 넘는 화자를 보유하고 있다. 터키에 55만 명, 러시아에 45만 명이 거주하며, 러시아에서는 카바르디노-발카리아 공화국과 카라차이-체르케스 공화국의 공식 언어이다. 카바르디노어는 북서캅카스어족에서 자음이 가장 적은 언어 중 하나로, 다소 특이한 격렬음 마찰음(ejective fricative)과 소수의 모음을 포함하여 48개의 자음을 가지고 있다. 카바르디노어 자체는 테렉 방언과 같이 문어로 사용되는 표준어와 베슬레네이 방언을 포함한 여러 방언을 가지고 있으며, 베슬레네이 방언은 테렉 방언과 아디게어 모두와 상호 이해 가능하다. 아디게어와 달리 카바르디노어는 원시 체르케스어(Proto-Circassian language)에 존재했던 많은 자음들을 잃었는데, 예를 들어 /ʃʷʼ, ʐʷ, ʂʷ, ʐ, ʂ, tsʷ, dzʷ/|/ʃʷʼ, ʐʷ, ʂʷ, ʐ, ʂ, tsʷ, dzʷ/und 자음들은 /fʼ, v, f, ʑ, ɕ, f, v/|/fʼ, v, f, ʑ, ɕ, f, v/und로 변화했다.3. 2. 압하스-아바자어 방언 연속체
압하스-아바자어파는 압하스어와 아바자어로 구성된다. 이 두 언어는 서로 매우 유사하여 같은 언어의 방언으로 간주될 수도 있지만, 각각 다른 방언에서 상실된 음소를 보존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1] 압하스어는 압하지야와 터키에서 사용되며, 아바자어는 주로 러시아와 터키에서 사용된다.3. 2. 1. 압하스어
압하스어는 압하지야(사실상 독립 공화국이지만, 법적으로는 조지아 자치 지역)에서 10만 명의 화자가 있으며, 공용어로 사용된다. 터키에도 알려지지 않은 수의 화자가 있다. 20세기 초부터 문어로 사용되어 왔다. 압하스어와 아바자어는 같은 언어의 방언으로 간주될 수 있지만, 각각 다른 방언이 상실한 음소를 보존하고 있다. 압하스어는 특이한 자음군과 세계에서 가장 작은 모음 체계 중 하나로 특징지어진다. 단 두 개의 구별되는 모음, 개방 모음 /a/와 중 모음 /ə/만을 가지고 있다. 구개음화 또는 순음화 자음 옆에서는 /a/는 [e] 또는 [o]로, /ə/는 [i] 또는 [u]로 발음된다. 주요 방언으로는 압하지야의 압주이 방언과 브집 방언, 그리고 터키의 사즈 방언이 있다.3. 2. 2. 아바자어
아바자어는 약 4만 5천 명의 화자가 있으며, 그중 3만 5천 명은 러시아에, 1만 명은 터키에 거주한다. 아바자어는 문어로 사용되지만, 공식 언어는 아니다. 압하스어와 마찬가지로 음소 자음이 두 개뿐이라는 특징을 공유한다. 아바자어는 압하스어보다 음운론적으로 더 복잡하며, 조지아어에서 볼 수 있는 것과 유사한 많은 자음 군집이 특징이다. 주요 방언으로는 타판트(Tapant)와 아슈카르(Ashkhar) 두 가지가 있다. 일부 방언은 압하스어와 부분적으로 상호 이해 가능하다. 약 4만 명의 화자를 가진 아바자어도 소멸이 우려된다.3. 3. 우비흐어
우비흐어는 아디게어와 압하스어 양쪽과 유사점을 지닌 언어이다. 우비흐어 화자들은 아디게어를 사용하기 시작했고, 테브픽 에센치의 사망으로 1992년 10월 7일 우비흐어는 멸종되었다.[1] 조르주 뒤메질은 우비흐어 내부에 방언적 분화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지만, 그가 1965년에 기술한 다른 형태는 더 이상 조사되지 않았다.[1] 81개의 자음을 가진 우비흐어는, 광범위한 클릭 체계를 가진 남아프리카의 Kx'a 어족과 Tuu 어족을 제외하고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자음 목록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1] 인두음화된 자음과 치찰음 사이의 4방향 위치 대조가 있었다.[1] 우비흐어는 문어 형태를 갖지 못한 유일한 북서캅카스어였다.[1]4. 다른 어족과의 관계
북서캅카스어족은 어근 대부분이 단음절이며, 많은 어근이 단일 자음으로 이루어져 있고, 광범위한 동음이의어가 나타나는 등 여러 요인으로 인해 원시 북서캅카스어 재구성이 어렵다. 이러한 이유로 다른 어족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 또한 어렵다.[12]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일부 학자들은 북서캅카스어족과 다른 어족과의 관계에 대한 여러 가설을 제시했다.
- 북동캅카스어족(나흐-다게스탄어족): 체첸어와 아바르어 등을 포함하는 북동캅카스어족과의 계통 관계가 유력하게 거론되며, 이 둘을 묶어 북캅카스어족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 인도유럽어족: 인도유럽어족과의 관계(폰틱어족)에 대한 가설도 제기되었다.
4. 1. 하티어와의 관계
많은 어휘가 단음절로 되어 있고 동음이의어가 많은 등 몇 가지 독특한 특징들이 있어 언어학적 분석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한편 일부 학자들은 다른 어족들과의 상위 관계를 추측하는 여러 가설을 세우기도 하는데, 인근의 북동캅카스어족과 자주 함께 묶이는 경향이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인정되지 않는 소수설인 데네캅카스어족에 속한다는 가설이 잘 알려져 있다. 이외에 히타이트어가 아나톨리아에 들어오기 전에 쓰이던 고대 하티어(Hattic)와 연관되어 있다는 주장도 있다.일부 학자들은 북서 코카서스어족(체르케스어족)과 멸종된 하티어 사이의 유사성을 발견했다. 하티어는 기원전 약 1800년경 인도유럽어족의 히타이트어에 의해 대체될 때까지 고대 하투사(현재 보가즈쾨이) 주변 지역인 아나톨리아(터키)에서 사용되었다. 조지아의 역사가 시몬 야나샤는 북코카서스어와 카르트벨리어족(남코카서스어족), 하티어, 그리고 고대 아나톨리아의 다른 언어들을 포함하는 상위어족으로서 '헤토-이베리아어'(또는 '원이베리아어')라는 명칭을 제안했다. (이 명칭에서 '이베리아'는 기원전 4세기부터 기원후 5세기까지 존재했던 동조지아를 중심으로 한 왕국인 코카서스 이베리아를 가리키는 것이며, 이베리아반도와는 관련이 없다.)
많은 북서 코카서스어족(아디게인)의 성에는 "Hath" 또는 "Hatti"와 같은 접두사가 있으며, 한 아디게 부족은 "하투크와이"(Хьатыкъуай|하티콰이ady)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Хьаты("Hatti") + Кхъуэ("남성 또는 아들")에서 유래; "Hatti의 아들"이라는 의미).[9]
4. 2. 인도유럽어족과의 관계
북서캅카스어족이 인도유럽어족과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추측이 제기된 바 있다.[10][11] 그 시기는 현재로부터 약 1만 2천 년 전으로 추정되며, 이 가설상의 원시 언어는 프로토폰틱어(Proto-Pontic)라고 불리지만, 널리 받아들여지지는 않는다.두 원시 언어 사이에는 광범위한 접촉이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유사성은 이러한 영향 때문일 수 있다. 과거 아나톨리아에서 사용되었던 인도유럽어족이 아닌 하티어와의 관련성이 논의되고 있다.[12]
4. 3. 북캅카스어족 가설
많은 어휘가 단음절로 되어 있고 동음이의어가 많은 등 몇 가지 독특한 특징들이 있어 언어학적 분석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한편 일부 학자들은 다른 어족들과의 상위 관계를 추측하는 여러 가설을 세우기도 하는데, 인근의 북동캅카스어족과 자주 함께 묶이는 경향이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인정되지 않는 소수설인 데네캅카스어족에 속한다는 가설이 잘 알려져 있다. 이외에 히타이트어가 아나톨리아에 들어오기 전에 쓰이던 고대 하티어와 연관되어 있다는 주장도 있다.많은 언어학자들은 북서캅카스어족과 북동캅카스어족을 하나의 북캅카스어족으로 분류하며, 때로는 간단히 캅카스어족(관련이 없다고 여겨지는 카르트벨리어족(남캅카스어족)과 구분하기 위해)이라고 부른다. 이 가설은 세르게이 A. 스타로스틴과 세르게이 니콜라예프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되었는데, 그들은 음운 대응과 공유된 형태론적 구조를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관계가 증명되었다는 데에는 의견 일치가 없다.
하티어와의 관련성이 논의되고 있다.[12]
체첸어와 아바르어 등을 포함하는 북동 코카서스어족(나흐-다게스탄어족)과의 계통 관계가 유력시되고 있다(북코카서스어족). 그 외에도 인도유럽어족과의 관계(폰틱어족)에 대한 설이 있다.
4. 4. 데네-카우카시아어족 가설
일부 학자들은 북서캅카스어족이 다른 어족들과 상위 관계를 가진다는 가설을 세우기도 한다. 인근의 북동캅카스어족과 자주 함께 묶이며, 더 나아가 데네캅카스어족에 속한다는 가설이 알려져 있다. 이외에 히타이트어가 아나톨리아에 들어오기 전에 쓰이던 고대 하티어(Hattic)와 연관되어 있다는 주장도 있다.[12]데네-카우카시아어족 가설은 북카프카스어족(북서캅카스어족 포함), 바스크어, 부르샤스키어, 예니세이어족, 중국-티베트어족, 나-데네어족을 연결한다. 그러나 이 가설은 인도유럽어족, 우랄어족, 알타이어족 등을 연결하려고 시도하는 노스트라틱어족 가설보다 더 불확실한 가설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uni-jena.[...]
2017-05-20
[2]
서적
Languages of the USSR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문서
Hoiberg, Dale H. (2010)
[4]
웹사이트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018-06-03
[5]
간행물
Numerical Simulation of Vowel Quality Systems: The Role of Perceptual Contrast
[6]
간행물
Is Kabardian a vowel-less language?
[7]
문서
Nichols, Johanna (1986)
[8]
문서
Chirikba, Viacheslav (1996)
[9]
문서
Burney, Charles (2004)
[10]
문서
Colarusso, John (2003)
[11]
문서
Colarusso, John (1997)
[12]
논문
Northwest Caucasian Languages and Hattic
[13]
웹인용
UNESCO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http://www.unesco.or[...]
2018-0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