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해함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해함대는 중화인민공화국 해군의 3개 함대 중 하나로, 칭다오에 사령부를 두고 롄윈강 이북의 황해 및 발해만 지역을 방어한다. 뤼순, 후루다오, 칭다오 기지를 포함하며, 북한과 인접한 해안선에서 롄윈강 남쪽까지 관할한다. 랴오닝 항공모함을 비롯한 구축함, 호위함, 코르벳, 잠수함 등 다양한 함정을 보유하고 있으며, 역대 지휘관과 정치 위원 명단이 공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함대 - 남해함대
남해함대는 1955년 창설되어 남중국해를 관할하며, 구축함, 호위함 등 다양한 함정을 운용하고, 2008년 소말리아 해적 퇴치 작전에 참여한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함대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함대 - 동해함대
동해함대는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함대로, 타이완 해협, 동중국해, 황해 방어 및 상륙 작전 지원을 주요 임무로 하며, 닝보에 사령부를 두고 다양한 함정을 운용한다. - 칭다오시 - 칭다오 방송
칭다오 방송은 1933년 칭다오 최초의 라디오 방송국에서 시작되어 여러 시기를 거쳐 2009년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국이 합병되어 설립되었으며, 현재 9개의 텔레비전 채널과 9개의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일부는 칭다오 방언으로 방송한다. - 칭다오시 - 자오저우만
자오저우만은 산둥반도 남부에 위치한 황해의 만으로, 칭다오시와 자오저우시를 접하며, 간척 사업으로 면적이 감소하고, 칭다오항 등 교통이 발달했으며, 환경 문제에 직면해 칭다오 시 정부가 보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보하이해 - 관동주
관동주는 1905년 러일 전쟁 이후 일본이 조차하여 설치한 지역으로, 뤼순항과 다롄을 개발하고 남만주 철도 부설 및 관리를 통해 경제적으로 발전시켰으며, 1945년 소련군에 점령된 후 1955년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었다. - 보하이해 - 보하이 해협
보하이 해협은 랴오둥반도와 산둥반도 사이에 있는 해협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은 자국 영토로 간주하며 해저 터널 건설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북해함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북해함대 |
원어명 | 北海舰队 |
영문명 | North Sea Fleet (NSF) |
별칭 | 북부전구 해군 (北部战区海军, Běibù Zhànqū Hǎijūn), Northern Theater Command Navy |
![]() | |
기본 정보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소속 |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 |
종류 | 함대 |
창설 | 1950년 |
모토 | 알 수 없음 |
주둔지 | 위치 해군 기지, 칭다오시, 산둥성, 중국 |
상위 부대 | 북부전구 |
담당 지역 | 알 수 없음 |
사령부 | 산둥성 칭다오시 |
지휘관 | 왕다중 (王大中, Wáng Dàzhōng) 해군 중장 |
정치위원 | 푸야오취안 (傅耀泉, Fù Yàoquán) 해군 중장 |
역사 | |
창설 | 1950년 9월 |
주요 사건 | 인민해방군 해군의 많은 첫 번째 기록을 세움 |
규모 | |
함정 수 | 알 수 없음 |
장비 | |
알 수 없음 | 알 수 없음 |
2. 위치와 방위구역
사령부는 칭다오시에 위치하고 있다. 북해함대의 방위 구역은 롄윈강 이북의 황해 및 발해만 지역으로, 수도의 해상 문호에 대한 주변 지역 경계 및 해상 위협에 대한 대처를 주 임무로 한다. 북한과 인접한 해안선(압록강 포함)에서 시작해서 롄윈강 남쪽 북위 35º10'까지 담당한다. 심양 군구, 베이징 군구, 지난 군구가 관할하는 9개 해안 지역을 방어한다.
1960년에 창설되었다. 함대 사령부는 칭다오에 있으며, 그 외에 후루다오와 뤼순에 기지를 두고 있다. 기함은 뤼저우급 구축함 "선양"이다.[1]
3. 역사
베이징을 포함한 동북 중국부 연안에서 소련군의 상륙을 막는다는 중요한 역할을 맡았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프리깃함과 구축함의 할당률이 3대 함대 중에서 가장 높았다. 그러나 동해함대와 남해함대와는 달리 한 번도 전투를 경험하지 못했다. 주요 임무는 롄윈강보다 북쪽인 발해와 황해의 방어이다.[1]
원자력 잠수함을 보유한 중국 유일의 함대였다. 현재 5척의 한형 원자력 잠수함과 1척의 샤형 원자력 잠수함이 산둥성칭다오의 장거좡 해군기지에 주둔하고 있었다. 과거 한급 원자력 잠수함 영해 침범 사건을 일으킨 적이 있으며, 오키나와와 사세보의 감시 임무도 수행하고 있다.[1]
북해함대 사령원(사령관)은 지난 군구 부사령원을 겸임한다.[1]
4. 주요 기지
기지명 설명 유치 해군 기지 본부[3] 장거좡 해군 기지 [3] 칭다오 함대 사령부[3] 뤼순 [3] 호로도 [3]
5. 편성
6. 역대 지휘관
다음은 역대 북해함대 지휘관 목록이다.
사령관 | 정치 위원 |
---|---|
위안위보 | 바이원치 |
류창이 | 딩추성[1] |
마충취안 | 루런찬[2] |
야오쇼우쿤 | 이야오차이[3] |
양리 | 궈빙쿤 |
쑤쥔 | 캉즈창 |
마신춘 | 리창루 |
취전모 | 리스톈 |
왕지잉 | 장하이윈 |
장딩파 | 푸훙지 |
딩이핑 | 천셴펑 |
장잔난 | 우화양 |
쑤스량 | 리광 |
다나카 | 왕덩핑 |
추옌펑 | 바이원치 |
위안위바 |
6. 1. 사령원
이름 | 취임일 | 비고 |
---|---|---|
류창이 | ||
마충취안 | ||
야오쇼우쿤 | ||
양리 | ||
쑤쥔 | ||
마신춘 | ||
취전모 | ||
왕지잉 | ||
장딩파 | ||
딩이핑 | ||
장잔난 | ||
쑤스량 | ||
다나카 | ||
추옌펑 | ||
위안위바 | 현 사령관 |
6. 2. 정치 위원
딩추성[1]루런찬[2]
이야오차이[3]
궈빙쿤
캉즈창
리창루
리스톈
장하이윈
푸훙지
천셴펑
우화양
리광
왕덩핑
바이원치
7. 보유 함정
북해함대는 다양한 종류의 함정을 보유하고 있다.
- 구축함:
함번 | 함명 | 함급 | 취역일 |
---|---|---|---|
112 | 하얼빈 | 뤼후급 구축함 | 1994년 5월 |
113 | 칭다오 | 뤼후급 구축함 | 1996년 3월 |
115 | 선양 | 뤼저우급 구축함 | 2006년 10월 |
116 | 스자좡 | 뤼저우급 구축함 | 2007년 3월 |
117 | 시닝 | 뤼양 III형 구축함 | 2017년 1월 |
118 | 우루무치 | 뤼양 III형 구축함 | 2018년 1월 |
119 | 구이양 | 뤼양 III형 구축함 | 2019년 2월 |
120 | 청두 | 뤼양 III형 구축함 | 2019년 11월 |
121 | 치치하얼 | 뤼양 III형 구축함 | 2020년 8월 |
122 | 탕산 | 뤼양 III형 구축함 | 2020년 8월 |
123 | 화이난 | 뤼양 III형 구축함 | 2021년 1월 |
124 | 카이펑 | 뤼양 III형 구축함 | 2021년 4월 |
101 | 난창 | 난창급 구축함 | 2020년 1월 |
102 | 라싸 | 난창급 구축함 | 2021년 3월 |
103 | 안산 | 난창급 구축함 | 2021년 11월 |
- 호위함:
함명 | 함급 | 취역일 |
---|---|---|
단둥 (543) | 장후 I형 (053H1형) | 1985년 5월 |
옌타이 (538)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1년 6월 |
옌청 (546)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2년 6월 |
린이 (547)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2년 9월 |
웨이팡 (550)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3년 3월 |
다칭 (576)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5년 1월 |
한단 (579)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5년 8월 |
우후 (539)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7년 6월 |
르자오 (598)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8년 1월 |
자오좡 (542)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9년 2월 |
- 코르벳함:
함번 | 함명 | 취역일 |
---|---|---|
501 | 신양 | 2015년 3월 |
591 | 무순 | 2014년 7월 |
590 | 위해 | 2014년 3월 |
581 | 영구 | 2013년 8월 |
580 | 대동 | 2013년 5월 |
- 잠수함: 공격형 원자력 잠수함 (한(漢)급, 상(商)급), 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샤(夏)급, 진(晋)급), 재래식 잠수함 (밍급 잠수함, 쏭급 잠수함, 우한급 잠수함, 골프급 잠수함)
7. 1. 항공모함
랴오닝 (16) - 2012년 9월 취역[1]7. 2. 구축함
함번 | 함명 | 함급 | 취역일 |
---|---|---|---|
112 | 하얼빈 | 뤼후급 구축함 | 1994년 5월 |
113 | 칭다오 | 뤼후급 구축함 | 1996년 3월 |
115 | 선양 | 뤼저우급 구축함 | 2006년 10월 |
116 | 스자좡 | 뤼저우급 구축함 | 2007년 3월 |
117 | 시닝 | 뤼양 III형 구축함 | 2017년 1월 |
118 | 우루무치 | 뤼양 III형 구축함 | 2018년 1월 |
119 | 구이양 | 뤼양 III형 구축함 | 2019년 2월 |
120 | 청두 | 뤼양 III형 구축함 | 2019년 11월 |
121 | 치치하얼 | 뤼양 III형 구축함 | 2020년 8월 |
122 | 탕산 | 뤼양 III형 구축함 | 2020년 8월 |
123 | 화이난 | 뤼양 III형 구축함 | 2021년 1월 |
124 | 카이펑 | 뤼양 III형 구축함 | 2021년 4월 |
101 | 난창 | 난창급 구축함 | 2020년 1월 |
102 | 라싸 | 난창급 구축함 | 2021년 3월 |
103 | 안산 | 난창급 구축함 | 2021년 11월 |
7. 3. 호위함
함명 | 함급 | 취역일 |
---|---|---|
단둥 (543) | 장후 I형 (053H1형) | 1985년 5월 |
옌타이 (538)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1년 6월 |
옌청 (546)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2년 6월 |
린이 (547)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2년 9월 |
웨이팡 (550)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3년 3월 |
다칭 (576)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5년 1월 |
한단 (579)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5년 8월 |
우후 (539)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7년 6월 |
르자오 (598)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8년 1월 |
자오좡 (542) | 장카이 II형 (054A형) | 2019년 2월 |
7. 4. 코르벳
함번 | 함명 | 취역일 |
---|---|---|
501 | 신양 | 2015년 3월 |
591 | 무순 | 2014년 7월 |
590 | 위해 | 2014년 3월 |
581 | 영구 | 2013년 8월 |
580 | 대동 | 2013년 5월 |
7. 5. 잠수함
북해함대는 공격형 원자력 잠수함, 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재래식 잠수함 등 다양한 종류의 잠수함을 운용하고 있다.공격형 원자력 잠수함으로는 한(漢)급과 상(商)급이 있다. 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으로는 샤(夏)급과 진(晋)급이 있다. 재래식 잠수함으로는 밍급 잠수함, 쏭급 잠수함, 우한급 잠수함, 골프급 잠수함이 있다.
7. 5. 1. 공격형 원자력 잠수함
함번 | 함명 | 취역일 | 함급 |
---|---|---|---|
403 | 장정 3호 | 1984년 9월 | 한(漢)급 |
404 | 장정 4호 | 1988년 11월 | 한(漢)급 |
405 | 장정 5호 | 1990년 12월 | 한(漢)급 |
407 | 장정 7호 | 2006년 12월 | 상(商)급 |
7. 5. 2. 탄도 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 샤(하)형 원자력 잠수함
:** 창정 6호(406) - 1987년 취역
- 진(진)형 원자력 잠수함
:** 창정 11호(411) - 2007년 취역
7. 5. 3. 재래식 잠수함
함번 | 함명 | 함급 | 취역 연도 |
---|---|---|---|
342 | 옌정 42호 | 밍급 잠수함 | 1987년 |
352 | 옌정 52호 | 밍급 잠수함 | 1988년 |
353 | 옌정 53호 | 밍급 잠수함 | 1989년 |
354 | 옌정 54호 | 밍급 잠수함 | 1990년 |
356 | 옌정 56호 | 밍급 잠수함 | 1990년 |
357 | 옌정 57호 | 밍급 잠수함 | 1992년 |
358 | 옌정 58호 | 밍급 잠수함 | 1993년 |
359 | 옌정 59호 | 밍급 잠수함 | 1994년 |
360 | 옌정 60호 | 밍급 잠수함 | 1995년 |
361 | 옌정 61호 | 밍급 잠수함 | 1995년 |
362 | 옌정 62호 | 밍급 잠수함 | 1996년 |
363 | 옌정 63호 | 밍급 잠수함 | 1996년 |
불명 | 불명 | 쏭급 잠수함 | 불명 |
351 | 옌정 51호 | 우한급 잠수함 | 1986년 |
200 | 창청 200호 | 골프급 잠수함 | 1966년 |
7. 6. 잠수함 지원함
함번 | 함명 | 함급 | 취역일 |
---|---|---|---|
북구 137호 | 다저우 | 다저우급 | 1977년 12월 |
북구 122호 | 다란 | 다란급 | 1987년 3월 |
북구 138호 | 다란 | 다란급 | 1980년대 후기 |
861 | 창싱다오 | 다장 | 1976년 11월 |
864 | 하이양다오 | 다라오 | 2010년 |
7. 7. 상륙함
북해함대는 전차상륙함과 중형상륙함을 운용하고 있다.7. 7. 1. 전차상륙함
함번 | 함명 | 형식 | 취역일 |
---|---|---|---|
908 | 옌당산 | 위위팅 I형 (072II형) | 1997년 1월 |
909 | 지우화산 | 위위팅 I형 (072II형) | 2000년 4월 |
910 | 황강산 | 위위팅 I형 (072II형) | 2001년 12월 |
911 | 톈주산 | 위위팅 II형 (072III형) | 2003년 |
912 | 다칭산 | 위위팅 II형 (072III형) | 2004년 |
7. 7. 2. 중형상륙함
함번 | 함명 | 형식 | 비고 |
---|---|---|---|
3111 | 위하이급 | 074형 | |
3113 | 위하이급 | 074형 | |
3115 | 위하이급 | 074형 | |
3116 | 위하이급 | 074형 | |
3117 | 위하이급 | 074형 | |
3128 | 위베이급 | 074A형 | 2004년 취역 |
3315 | 위베이급 | 074A형 | 2004년 취역 |
7. 8. 보급함
참조
[1]
웹사이트
海军北海舰队发展史 创造人民海军诸多第一(图) - 青岛新闻网
http://news.qingdaon[...]
2021-06-18
[2]
웹사이트
http://www.hudong.co[...]
[3]
서적
중국시사문화사전
도서출판 인포차이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