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상륙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륙함은 병력, 차량, 물자를 해안으로 수송하는 군함으로, 돛 시대의 보트에서 시작하여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전차, 헬리콥터 운용 기능을 갖춘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현재는 강습 상륙함(LHA/LHD), 전차 상륙함(LST), 수송 상륙함(LPD), 도크형 상륙함(LSD) 등으로 분류되며, 헬리콥터 운용 여부와 웰 데크(well deck) 유무에 따라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륙함 - HMS 오션 (L12)
    HMS 오션 (L12)은 영국 해군 헬리콥터 상륙함으로, 왕립 해병대 대대를 배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2018년 퇴역 후 브라질 해군에 매각되어 현재 기함으로 운용되고 있다.
  • 상륙함 - HMS 알비온 (L14)
    HMS 알비온(L14)은 영국 해군의 만재배수량 2만 톤급 상륙함으로, 치누크 헬기 2대의 동시 이착륙이 가능한 비행갑판을 갖추고 영국 해군의 상륙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1996년 발주되어 2003년 취역, 2018년 부산 해군작전사령부 부산작전기지에 입항하여 대북 제재 활동을 지원했고 2025년 3월 퇴역 예정이다.
  • 군함 - 이지스 전투 시스템
    이지스 전투 시스템은 미국 해군이 개발한 함대방공 및 탄도미사일 방어 시스템으로, 다기능 레이더를 중심으로 지휘결정 시스템, 무기관제 시스템, 미사일 및 발사대를 통합 운용하며, 여러 국가 해군에서 운용 중이나 오인 사격 가능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군함 - 구축함
    구축함은 어뢰정의 공격으로부터 함대를 보호하기 위해 설계된 군함으로, 빠른 속도와 다양한 무장을 갖추어 함대 호위, 해안 경비, 대잠 작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며, 첨단 기술 도입과 무인화, 자동화 등의 기술 발전을 통해 해상 전력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상륙함
개요
유형상륙함
역할상륙 작전 지원
특징
능력병력 및 장비 수송
해안 상륙 지원
운용 환경다양한 해상 및 해안 환경
활용
작전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현대인도네시아 쓰나미 긴급 구호
이라크 자유 작전
종류
주요 함종강습상륙함 (LHA/LHD)
상륙수송함 (LPD)
전차상륙함 (LST)
기타 함종상륙정 (LCU/LCM)
공기부양정 (LCAC)
역사
기원제1차 세계 대전
발전제2차 세계 대전 중 상륙 작전의 중요성 증가
전술 및 전략
기본 개념해상에서 적 해안으로 병력과 장비 투사
기습 작전과 정규전 모두에 사용
핵심 요소제해권 확보
상륙 지점 선정
공중 지원
효과적인 해안 교두보 확보
현대 상륙함
기술 발전수직 이착륙기 (VTOL) 및 헬리콥터 운용 능력
도크형 상륙함 (LSD)의 발전
미래 전망무인 시스템 (드론, 무인 함정) 활용 증가 예상
해안 방어 시스템에 대한 대응 능력 강화

2. 역사

돛을 사용하던 시대에는 선박에 있는 보트를 상륙정으로 활용했다. 해병대경보병으로 활동하며 장비가 부족한 식민지 원주민을 상대로 소규모 작전을 펼치던 시기에는 비효율적이지만 이러한 방식으로도 충분했다.

칠레는 피사구아 상륙전에서 많은 양의 화물을 운송하고 병력을 해안에 직접 상륙시키기 위해 '찰라나스'라고 불리는 평저 상륙정을 건조했다. 이들은 첫 상륙에서 1,200명의 병력을 수송했고, 두 번째 상륙에서는 2시간 안에 600명을 수송했다.[1]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군대 수송선・수송함에서 연락정이나 바지선으로 병력을 옮겨 육지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갈리폴리 전투를 통해 전용 상륙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대일본제국 육군은 제1차 상하이 사변의 경험을 바탕으로 뛰어난 주정 운용 기능을 갖춘 '''육군 특수선'''을 개발했다. 그러나 국가 조선 능력의 한계와 비용 문제로 건조 수는 크게 줄었고, 건조된 배도 대부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침몰했다.

미국 해군은 초기에 함대 보조함 분류 내에 병원 수송함(AP)과 화물 수송함(AK)만 보유했지만, 이후 이들 중 상당수에 주정 운용 기능을 강화하는 개조를 했다. 이 함선들은 1943년에 공격 수송함(APA) 및 공격 화물 수송함(AKA)으로 분류가 변경되었다. APA・AKA는 전진 기지에서 상륙 지점 해안으로의 수송을 담당했지만, 상륙함으로서의 성격은 약했다. 1969년에는 APA는 양륙 수송함(LPA), AKA는 화물 양륙함(LKA)으로 분류가 변경되었다. 한편, 다이나모 작전으로 해외 파견군 철수를 경험한 영국 해군은 좌초 접안 기능을 갖춘 '''전차 양륙함'''(LST)과 뛰어난 주정 운용 기능을 갖춘 '''도크형 양륙함'''(LSD)을 개발했다. 그러나 국가 조선 능력의 한계로 실제 설계와 건조는 미국이 담당했다.

1940년대 후반부터 헬리콥터가 발달하면서 상륙함의 항공 운용 기능이 중요해졌다. APA에 헬기 항공모함 기능을 통합하는 것이 구상되었고, 기존 항공모함을 개조한 '''헬리콥터 양륙함'''(LPH)이 등장했다. 이후 전용 설계 함선의 신규 건조로 이어졌다. 이와 함께 항공 운용 기능을 일부 포기하고 주정 운용 기능을 강화한 '''도크형 수송 양륙함'''(LPD)도 등장했는데, 이는 LSD에 APA・AKA의 기능을 통합한 것이었다.

이후 항공 운용 기능과 주정 운용 기능을 모두 갖추고 LPH・AKA・LSD의 기능을 대체할 수 있는 '''강습 양륙함'''(LHA, LHD)이 등장했다. LHA의 웰 도크 설계를 수정하여 에어 쿠션형 상륙정(LCAC) 운용에 적합하게 만든 함선에는 LHA와 구별하기 위해 LHD라는 새로운 선체 분류 기호가 부여되었다.

2. 1. 기원과 발전

을 사용하던 시대에는 함선에 탑재된 보트를 이용하여 병력을 상륙시켰다. 해병대경보병으로 활동하며 장비가 부족한 식민지 원주민을 상대로 소규모 작전을 펼치던 시기에는 비효율적이지만 이러한 방식이 유효했다.

안작 만 상륙, 1915년 4월 25일


제1차 세계 대전갈리폴리 전역에서 초기 상륙은 오스만 제국의 해안 방어에 취약한 개조되지 않은 노 젓는 보트로 이루어졌다.[1] 1915년 2월, 특수 제작된 상륙정 설계를 위한 주문이 이루어졌고, 4일 만에 설계가 완료되어 경사진 해변을 위한 숟가락 모양 선수와 드롭다운식 전면 경사로를 갖춘 200척의 'X' 라이터(lighter)가 주문되었다.

'딱정벌레'로 알려진 'X' 라이터는 약 500명의 병력을 수송했으며, 배수량은 135톤이었고, 길이 약 32.00m, 폭 약 6.40m, 깊이 약 2.13m인 런던 바지선을 기반으로 했다. 엔진은 주로 중유로 작동했으며, 약 의 속도로 운행되었다. 배의 측면은 방탄 처리되었으며, 하선할 수 있도록 선수에 경사로가 설계되었다.[2]

이처럼 제1차 세계 대전 중 갈리폴리 전투의 경험은 특수 상륙정 개발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

2. 2. 제2차 세계 대전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는 속사포 무기를 장착한 병력의 대량 동원으로 인해 노 젓는 보트 형태의 상륙정은 쓸모없게 되었다. 갈리폴리 전역에서의 초기 상륙은 오스만의 해안 방어에 매우 취약한 개조되지 않은 노 젓는 보트에서 이루어졌다.[2]

1915년 2월, 특수 제작된 상륙정 설계를 위한 주문이 이루어졌고, 4일 만에 설계가 완료되어 경사진 해변을 위한 숟가락 모양 선수와 드롭다운식 전면 경사로를 갖춘 200척의 'X' 라이터(lighter)가 주문되었다. 이들은 사블라 만 상륙에서 제9군단이 성공적으로 사용하였다.[2]

병사들에게 '딱정벌레'로 알려진 'X' 라이터는 약 500명의 병력을 수송했으며, 배수량은 135톤이었다. 런던 바지선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엔진은 주로 중유로 작동했고, 약 5노트의 속도로 운행되었다. 배의 측면은 방탄 처리되었으며, 선수에는 하선을 위한 경사로가 설계되었다.[2]

알류샨 열도 전역 중 키스카 섬에 있는 미국의 상륙정 기계화


전간기 동안, 갈리폴리에서의 부정적인 경험과 경제적 긴축은 영국 해군에서 장비 조달 및 보편적인 상륙 작전 교리의 채택을 지연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영국은 1920년에 모터 상륙정을 생산하여 중(重)전차를 해변으로 직접 투입할 수 있었고, 1924년부터 해마다 상륙 작전 훈련에 사용되었다.[3] 코우즈의 J. 사무엘 화이트가 설계한 모터 상륙정의 프로토타입은 1926년에 처음 항해되었다.[4][5]

미국은 1913년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 상륙전에 대한 접근 방식을 부활시키고 실험했으며, 1933년에는 해군 해병대 (FMF)로 발전했다.[7] 1939년 연례 함대 상륙 훈련에서, FMF는 앤드류 히긴스가 설계한 '히긴스 보트'로 불린 LCPL의 군사적 잠재력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곧 경사로가 추가된 LCVP가 대량 생산되었다.

주노 해변에서 상륙정 공격에 참가한 캐나다군.


제2차 세계 대전이 다가오면서 보병과 차량을 위한 다양한 특수 상륙정이 개발되었다. 1938년 11월, 영국 Inter-Service Training and Development Centre는 새로운 유형의 상륙정 돌격을 제안했다.[8] 이 상륙정은 돌격 공병 또는 신호병을 포함하여 31명의 소대를 수송할 수 있어야 했다.[8]

왕립 해군 해변 특공대가 왕립 해군 제529 기동대 소속 상륙정 돌격에 탑승


상륙정 돌격은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가장 흔한 영국 및 영국 연방 상륙정이었으며, D-Day에 영국 해군 기록에 등재된 가장 작은 선박이었다.

상륙정 보병, D-Day 훈련 중


상륙정 보병은 영국의 요청에 따라 개발된 수륙 양용 돌격함으로, 소형 상륙정 돌격 (LCA)보다 훨씬 더 많은 병력을 수송하고 상륙시킬 수 있는 선박이었다. 최초의 LCI(L)은 1943년에 주로 영국 해군과 미국 해군에 투입되었고, 약 923척의 LCI가 건조되었으며, 211척이 영국 해군에 렌드-리스 방식으로 제공되었다.

1942년 디에프 상륙작전 당시 LCM 1의 두 가지 예


1938년에는 전차를 해변으로 효율적으로 수송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쏠렸고, John I. Thornycroft Ltd.에서 강철로 제작되고 선택적으로 장갑판으로 덮인 상륙정 기계화 설계가 시작되어 1940년 2월에 시험을 완료했다.[6]

Crusader I 전차가 1942년 4월 26일, 전차 상륙정 ''TLC-124''에서 나오고 있다.


1940년 윈스턴 처칠 수상은 36톤 이상의 중(重)전차 3대 이상을 해변에 직접 상륙시킬 수 있는 수륙양용 선박을 요구했고, 마운드 제독은 해군 건축가인 로랜드 베이커 경에게 이 임무를 맡겼다. 베이커 경은 3일 이내에 초기 도면을 완성했고, 조선 회사인 Fairfields와 John Brown이 설계를 위한 세부 사항을 연구하기로 했다.[15] LCT Mark 1으로 지정되었으며, 1940년 7월에 20척, 1940년 10월에 추가로 10척이 주문되었다.

1944년 영국 해안에서 ''LCT-202''.


Mark 3에는 약 9.75m의 중간 섹션이 추가되어 길이가 약 58.52m이고 배수량이 640톤이었다. Mark 4는 Mk.3보다 약간 짧고 가벼웠지만, 빔이 훨씬 더 넓었다.

미국이 1941년 12월에 전쟁에 참전했을 때, 미국 해군은 수륙양용 선박이 전혀 없었고, 1942년 초에 LCT Mark 5가 등장했는데, 이 선박은 117피트 길이로 30톤 전차 5대 또는 40톤 전차 4대 또는 150톤의 화물을 수용할 수 있었다.

캐나다 LST가 1943년 시칠리아 연합군 상륙 작전 중에 M4 Sherman을 하역하고 있다.


추가 개발은 Landing Ship, Tank 지정을 받았으며, 1940년 영국의 덩케르크 철수 작전은 해군성에 연합군이 tank 및 기타 차량을 유럽 대륙에 대한 수륙양용 공격에서 해안 대 해안으로 전달할 수 있는 비교적 크고 외양성이 있는 선박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최초의 맞춤형 LST 설계는 였다.

1941년 11월, 영국 해군성의 소규모 대표단이 미국 해군의 Bureau of Ships에 도착했고, 선박국이 이 선박을 설계하기로 결정했다. LST(2) 설계에는 영국 대표단의 일원이었던 설계자 로랜드 베이커 경의 첫 번째 영국 LCT의 요소가 통합되었다.[17]

''LCI(L) 196''와 DUKW가 1943년 시칠리아 침공(제2차 세계 대전)에 참여


상륙정 유틸리티 (LCU)는 장비와 병력을 해안으로 수송하는 데 사용되었다. 궤도 또는 바퀴가 달린 차량과 병력을 수륙 양용 상륙함에서 해안이나 부두로 수송할 수 있었다.

미 해군 LSD 내부의 수륙 양용 차량.


상륙 수송함은 대형 상륙정을 빠르게 바다를 건너 수송할 수 있는 선박에 대한 영국의 요구 사항의 결과로 등장했다. 최초의 LSD는 로랜드 베이커 경의 설계에서 비롯되었으며 소형정을 신속하게 발진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었다.

전함, 순양함, 구축함만으로는 상륙 작전에 필요한 모든 화력 지원(제압 사격 포함)을 제공할 수 없다는 사실이 곧 깨달아졌다. 따라서 다양한 직사 및 간접 화기 무기를 통합한 특수 함정이 개발되었다. 여기에는 상륙정과 상륙함에 장착할 수 있는 총과 로켓이 포함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수륙 양용 상륙정은 일반적으로 최소한의 무기를 장착했다. LCA 승무원은 .303인치 루이스 기관총을 지급받았고, 후기 모델에는 2개의 2인치 박격포와 2개의 루이스 또는 .303 브렌 경기관총이 장착되었다. LCM 1 승무원은 루이스 기관총을 지급받았고, 많은 LCM 3에는 대공 방어를 위해 .50인치(12.7 mm) 브라우닝 기관총이 장착되었다.[20]

일부 상륙정은 공격 시 다른 상륙정을 방어하거나 상륙 시 지원 화력을 제공하기 위해 특수 목적으로 개조되었다.

;상륙정 (헤지호그)

LCA(HR)은 개조된 영국 LCA였다. 이 함정은 인원 대신 영국 해군의 헤지호그 대잠수함 무기인 24개의 스피곳 박격포 배터리를 탑재했다.

;상륙정 (대공)

상륙정 (대공)은 항공기를 방어하기 위해 20 mm 에를리콘과 4문의 QF 2 파운더 "폼폼"을 장착했다.


상륙정 (대공)(LCF)은 상륙에 대공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LCT를 개조한 것이었다.

;상륙정 (포)

상륙정 (포)는 25 파운더 야포 2문을 탑재했다.


상륙정 (포)(LCG)는 상륙에 지원 사격을 제공하기 위해 또 다른 LCT 개조였다.

;상륙정 (로켓)

상륙정 (로켓), LCT(R)는 덮인 탱크 갑판에 장착된 영국 RP-3 "60 lb" 로켓 발사기 세트를 탑재하도록 개조된 LCT였다.

;상륙정 (지원)

상륙정 (지원)은 비커스 기관총과 박격포로 무장했다.


상륙정 (지원)은 근거리에서 화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되었다.

;팽창식 상륙정

팽창식 보트는 종종 고속 수송함과 잠수함에서 수륙 양용 병력을 수송하는 데 사용되었다. 미국은 7인승 상륙정, 고무(소형)(LCR-S)와 10인승 상륙정, 고무(대형)(LCR-L[24])을 사용했다.

2. 3. 냉전 시대의 발전

헬리콥터의 발전은 상륙 작전 개념에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이전에는 해변의 지형, 조석 조건, 경사 등 여러 제약이 있었지만, 헬리콥터의 등장으로 이러한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되었다.[1]

1956년 수에즈 전쟁 당시 영국프랑스, 이스라엘이집트를 침공했을 때, 헬리콥터를 사용한 최초의 상륙 작전이 이루어졌다. 영국은 2척의 경(輕) 항공모함을 투입하여 대대 규모의 병력을 공중 강습했다.[1] 이후, 영국 해군은 와 를 "코만도 항공모함"으로 개조했다.[1]

미국 해군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5척의 상륙 헬리콥터 플랫폼 함선을 건조하고, 여러 함대 및 호위 항공모함을 개조하여 헬리콥터 상륙 작전 능력을 강화했다. 최초로 구상된 호위 항공모함은 였으나, 실제 상륙 작전 함으로 운용되지는 않았다. ''Iwo Jima''급 건조가 지연되면서, , , ()와 ()가 ''Boxer''급 및 ''Thetis Bay''급 상륙 작전 함으로 개조되었다. 베트남 전쟁을 거치면서 헬리콥터 상륙 작전 기술은 더욱 발전했다.[1]

2. 4. 현대의 발전

현대에는 헬리콥터와 같은 항공 운용 기능과 주정 운용 기능을 모두 갖춘 강습상륙함(LHA, LHD)이 등장했다.[27] 공기부양정(LCAC)의 등장은 상륙정이 해안으로 자산을 이동시키는 속도를 높여 상륙 작전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켰다.[26]

미국 해군은 경량 상륙함 프로그램을 통해 2023년부터 28~30척의 새로운 경량 상륙함을 도입할 계획이다.[27]

3. 분류

상륙함은 상륙전에 사용되는 함정으로, 병력, 장비, 물자를 해안으로 수송하고 상륙 작전을 지원한다. 상륙함은 기능과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함종설명선체 분류 기호
강습상륙함헬기와 병력을 수송하고 갑판에서 비행기를 이륙시킬 수 있다. 도크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LHA, LHD
헬기수송상륙함헬기 수송 및 상륙에 특화LPH
상륙수송선거함상륙정과 헬기 운용LPD
도크형 상륙함웰독과 헬기 갑판LSD
전차상륙함전차와 병력 수송LST
상륙정 보병 수송함상륙정으로 병력 수송LSI
군수 상륙함군수 물자 수송LSL
중형 상륙함중형 장비 수송LSM
상륙 지휘함상륙 작전 지휘LCC
보조 지휘함보조 지휘AGF
공격 수송함병력 및 화물 수송AKA/LKA
보조 병력 공격함병력 공격AP/APA/LPA
상륙정 수리함상륙정 수리ARL



제1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군대 수송선이나 수송함에서 연락정이나 바지선으로 병력을 옮겨 상륙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1] 그러나 갈리폴리 전투를 통해 전용 상륙함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1][2] 대일본제국 육군은 제1차 상하이 사변의 경험을 바탕으로 육군 특수선을 개발했지만, 건조 수는 제한적이었고 대부분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소실되었다.[1]

미국 해군은 초기에는 공격 수송함(APA)과 공격 화물 수송함(AKA)을 운용했지만, 이들은 상륙함으로서의 기능이 약했다.[3] 영국 해군은 전차 상륙함(LST)과 도크형 상륙함(LSD)을 개발했지만, 건조는 미국이 담당했다.[1]

1940년대 후반 헬리콥터가 발달하면서 헬리콥터 상륙함(LPH)이 등장했고, 이후 강습 상륙함(LHA)과 LHD가 개발되어 상륙함의 기능을 통합하게 되었다.[3]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바우 도어를 열고 램프를 내려 차량을 양륙하는 LST


이오지마의 웰독


이오지마함 상의 UH-34D 헬리콥터에 탑승하는 해병대

3. 1. 기능별 분류


  • 강습상륙함(LHA/LHD): 헬기와 병력을 수송하고 갑판에서 비행기를 이륙시킬 수 있으며, 도크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미국 해군 선체 분류 기호에서는 웰 데크(well deck)를 가진 함선 중 LHD 또는 LHA는 전장 비행 갑판을 갖추고 있다.
  • 헬기수송상륙함(LPH):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병력을 상륙시키는 데 특화된 함선으로, 미 해군 선체 분류 기호에서 LPH로 분류된다.
  • 수송상륙함(LPD): 웰독(Well dock)과 헬리콥터 갑판, 격납고를 갖추고 있어, 상륙정과 헬리콥터를 동시에 운용할 수 있다. 미 해군 선체 분류 기호에서 LPD로 분류된다.
  • 도크형 상륙함(LSD): 웰독(Well dock)을 갖추고 있으며, 헬리콥터 갑판을 통해 헬리콥터 운용도 가능하다. 미 해군 선체 분류 기호에서 LSD로 분류된다.
  • 전차상륙함(LST): 전차와 차량을 직접 해안에 상륙시킬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선수(艦首)에 램프(Ramp)가 설치되어 있다.
  • 상륙정: 상륙함보다 작은 함정으로, 병력, 차량, 물자를 해안으로 수송하는 데 사용된다.

참조

[1] 서적 Guerra Del Pacifico https://books.google[...] Lulu.com 2008-06-30
[2] 간행물 British Mark IV tank Osprey Publishing 2014-06
[3] 서적 D-Day Ships Naval Institute Press 1994
[4] 서적 Invaders Chatham Publishing 1999
[5] 서적 D-Day Ships Naval Institute Press 1994
[6] 서적 The Watery Maze; the story of Combined Operations Holt 1961
[7] 서적 '"Semper Fidelis: The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Marine Corps"' The Free Press 1991
[8] 서적 Assault From the Sea Methuen & Co. Ltd. 1949
[9] 간행물
[10] 간행물 1943
[11] 웹사이트 Welding & Fabrication of Ships Structure http://www.dstan.mod[...] MOD
[12] 간행물 1994
[13] 간행물
[14] 간행물 1976
[15] 웹사이트 The Tin Armada: Saga of the LCT http://ww2lct.org/hi[...] 2011-01-15
[16] 서적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British Warships 1939-1945
[17] 간행물
[18] 서적 The U.S. Marines and Amphibious War Its Theory and Its Practice in the Pacific 1951
[19] 웹사이트 Accessed 18th March 2008 http://www.combinedo[...] Combinedops.com 1943-03-09
[20] 간행물 US Navy ONI 226 Allied Landing Craft and Ship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44
[21] 웹사이트 Major Landing Craft of World War II http://www.royalmari[...] The Royal Marines Museum 2011-10-06
[22] 간행물 Nelson to Vanguard
[23] 웹사이트 British Landing Craft of World War II » Naval Historical Society http://www.navyhisto[...]
[24] 웹사이트 US Navy Small Landing Craft, 1940-1945 http://www.ibiblio.o[...] Ibiblio.org 2006-05-25
[25] 서적 David M. Shoup: A Warrior Against War Rowman & Littlefield 2005-01-01
[26] 웹사이트 Submarine aircraft carriers http://www.combatref[...]
[27] 웹사이트 Navy Light Amphibious Warship (LAW) Program: Background and Issues for Congress https://fas.org/sgp/[...] 2021-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