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불가침 조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가침 조약은 조약 당사국들이 서로를 공격하거나 적대 행위를 하지 않기로 약속하는 조약이다. 19세기에는 중립 조약의 보호를 받지 않는 실체에 대해 공격하는 것을 허용하는 데 사용되었다. 1939년의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은 나치 독일과 소련 간의 대표적인 사례이며, 잠재적인 군사적 위협을 중립화하는 데 기여하기도 했다. 과거 경쟁 관계에 있던 국가들은 미래 분쟁을 방지하기 위해 불가침 조약을 체결하는 경향이 있으며, 주요 강대국은 불가침 조약을 맺지 않은 국가를 상대로 군사 분쟁을 시작할 가능성이 더 높다.

2. 역사

19세기에는 중립 조약이 조약 당사국이 조약의 보호를 받지 않는 대상에 대해 공격하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데 사용되었다. 중립 조약 당사국들은 조약 당사국이 조약 조건에 따라 보호받지 않는 대상에 대해 감행한 공격 행위에 대응하지 않기로 합의한다. 이러한 행위를 하는 동기에는 경제 자원,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 등을 차지하거나 통제하려는 욕구가 포함될 수 있다.[2]

1939년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은 소련나치 독일 간의 불가침 조약으로, 1941년 독일의 소련 침공인 바르바로사 작전까지 지속되었다.[1] 그러나 이러한 조약은 잠재적인 군사적 위협을 중립화하는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적어도 조약 당사국 중 하나가 다른 목적을 위해 군사 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은 독일 자원을 러시아 전선에서 해방시켰다. 반면, 1941년 4월 13일에 체결된 소련-일본 중립 조약은 동쪽에서 일본의 위협을 제거하여 소련이 시베리아에서 독일과의 전투에 대규모 병력을 투입할 수 있게 했으며, 이는 모스크바 전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독일 사본)

2. 1. 주요 불가침 조약

과거에 경쟁 관계에 있었던 국가들은 상호 간의 미래 분쟁을 방지하기 위해 불가침 조약을 체결하는 경향이 있다. 이 조약은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불확실성을 줄이는 정보 교환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제3국에 경쟁 관계가 완화되었고 평화로운 관계를 원한다는 신호를 보낸다.[4] 주요 강대국은 불가침 조약을 맺은 국가보다 어떠한 동맹도 맺지 않은 국가를 상대로 군사 분쟁을 시작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1]

동맹 조약 의무 및 조항(ATOP) 데이터 세트는 1815년부터 2018년까지 불가침 조약만 맺은 185건의 협정을 기록하고 있다.[3] 이 데이터에 따르면, 1960년, 1970년, 1979년, 특히 소련 붕괴 이후 여러 동유럽 국가들이 조약을 체결한 1990년대 초에 발생 건수가 급증하면서 전간기에 29건의 조약이 기록되었다.[4]

불가침 조약 목록
조약 당사국조약서명 날짜
델로스 동맹칼리아스 평화기원전 449년경

1268년 비잔틴-베네치아 조약1268년 4월 4일

1277년 비잔틴-베네치아 조약1277년 3월 19일

1285년 비잔틴-베네치아 조약1285년 6월 15일

1390년 비잔틴-베네치아 조약1390년 6월 2일




런던 조약1518년 10월 3일

소련-리투아니아 불가침 조약1926년 9월 28일

그리스-루마니아 불가침 및 중재 조약1928년 3월 21일

소련-아프가니스탄 불가침 조약1931년 6월 24일

소련-핀란드 불가침 조약1932년 1월 21일

소련-라트비아 불가침 조약1932년 2월 5일

소련-에스토니아 불가침 조약1932년 5월 4일

소련-폴란드 불가침 조약1932년 7월 25일

소련-프랑스 불가침 조약1932년 11월 29일

이탈리아-소련 조약1933년 9월 2일

루마니아-터키 불가침 조약1933년 10월 17일

터키-유고슬라비아 불가침 조약1933년 11월 27일

독일-폴란드 불가침 선언1934년 1월 26일

프랑스-소련 상호 원조 조약1935년 5월 2일

방공 협정1936년 11월 25일

중국-소련 불가침 조약1937년 8월 21일



사다바드 조약1938년 6월 25일



헝가리-소협상 조약1938년 8월 22일

프랑스-독일 선언1938년 12월 6일

이베리아 조약1939년 3월 17일

Deutsch-dänischer Nichtangriffspakt|독일-덴마크 불가침 조약de1939년 5월 31일

독일-에스토니아 불가침 조약1939년 6월 7일

독일-라트비아 불가침 조약1939년 6월 7일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1939년 8월 23일

영국-태국 불가침 조약1940년 6월 12일

프랑스-태국 불가침 조약1940년 6월 12일

헝가리-유고슬라비아 불가침 조약1940년 12월 12일

Договор о дружбе и ненападении между СССР и Королевством Югославия|소련-유고슬라비아 불가침 조약ru1941년 4월 6일

소련-일본 중립 조약1941년 4월 13일

독일-터키 우호 조약1941년 6월 18일


1979년 불가침 조약1979년 10월 14일

은코마티 협정1984년 3월 13일


2. 1. 1.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19세기에는 중립 조약이 조약 당사국이 조약의 보호를 받지 않는 대상에 대해 공격하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데 사용되었다. 중립 조약 당사국들은 조약 당사국이 조약 조건에 따라 보호받지 않는 대상에 대해 감행한 공격 행위에 대응하지 않기로 합의한다. 이러한 행위를 하는 동기에는 경제 자원,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 등을 차지하거나 통제하려는 욕구가 포함될 수 있다.[2]

1939년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은 소련나치 독일 간의 불가침 조약의 가장 잘 알려진 예시일 것이다. 이 조약은 1941년 독일의 소련 침공인 바르바로사 작전까지 지속되었다.[1] 그러나 이러한 조약은 잠재적인 군사적 위협을 중립화하는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적어도 조약 당사국 중 하나가 다른 목적을 위해 군사 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은 독일 자원을 러시아 전선에서 해방시켰다. 반면, 1941년 4월 13일에 체결된 소련-일본 중립 조약은 동쪽에서 일본의 위협을 제거하여 소련이 시베리아에서 독일과의 전투에 대규모 병력을 투입할 수 있게 했으며, 이는 모스크바 전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불가침 조약 목록
조약 당사국조약서명 날짜
델로스 동맹칼리아스 평화기원전 449년경

1268년 비잔틴-베네치아 조약1268년 4월 4일

1277년 비잔틴-베네치아 조약1277년 3월 19일

1285년 비잔틴-베네치아 조약1285년 6월 15일

1390년 비잔틴-베네치아 조약1390년 6월 2일




런던 조약1518년 10월 3일

소련-리투아니아 불가침 조약1926년 9월 28일

그리스-루마니아 불가침 및 중재 조약1928년 3월 21일

소련-아프가니스탄 불가침 조약1931년 6월 24일

소련-핀란드 불가침 조약1932년 1월 21일

소련-라트비아 불가침 조약1932년 2월 5일

소련-에스토니아 불가침 조약1932년 5월 4일

소련-폴란드 불가침 조약1932년 7월 25일

소련-프랑스 불가침 조약1932년 11월 29일

이탈리아-소련 조약1933년 9월 2일

루마니아-터키 불가침 조약1933년 10월 17일

터키-유고슬라비아 불가침 조약1933년 11월 27일

독일-폴란드 불가침 선언1934년 1월 26일

프랑스-소련 상호 원조 조약1935년 5월 2일

방공 협정1936년 11월 25일

중국-소련 불가침 조약1937년 8월 21일



사다바드 조약1938년 6월 25일



헝가리-소협상 조약1938년 8월 22일

프랑스-독일 선언1938년 12월 6일

이베리아 조약1939년 3월 17일

Deutsch-dänischer Nichtangriffspaktde1939년 5월 31일

독일-에스토니아 불가침 조약1939년 6월 7일

독일-라트비아 불가침 조약1939년 6월 7일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1939년 8월 23일

영국-태국 불가침 조약1940년 6월 12일

프랑스-태국 불가침 조약1940년 6월 12일

헝가리-유고슬라비아 불가침 조약1940년 12월 12일

Договор о дружбе и ненападении между СССР и Королевством Югославияru1941년 4월 6일

소련-일본 중립 조약1941년 4월 13일

독일-터키 우호 조약1941년 6월 18일


2. 1. 2. 제2차 세계 대전 중

1939년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은 소련나치 독일 간의 불가침 조약으로, 제2차 세계 대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예시 중 하나이다.[1] 이 조약은 1941년 독일의 소련 침공인 바르바로사 작전까지 지속되었다.[1] 이러한 조약은 잠재적인 군사적 위협을 중립화하는 장치가 될 수 있으며, 적어도 조약 당사국 중 하나가 다른 목적을 위해 군사 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은 독일 자원을 러시아 전선에서 해방시켰다.

반면, 1941년 4월 13일에 체결된 소련-일본 중립 조약은 동쪽에서 일본의 위협을 제거하여 소련이 시베리아에서 독일과의 전투에 대규모 병력을 투입할 수 있게 했으며, 이는 모스크바 전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불가침 조약 목록
조약 당사국조약서명 날짜

독일-폴란드 불가침 선언1934년 1월 26일

프랑스-소련 상호 원조 조약1935년 5월 2일

방공 협정1936년 11월 25일

중국-소련 불가침 조약1937년 8월 21일

프랑스-독일 선언1938년 12월 6일

이베리아 조약1939년 3월 17일

Deutsch-dänischer Nichtangriffspakt|독일-덴마크 불가침 조약de1939년 5월 31일

독일-에스토니아 불가침 조약1939년 6월 7일

독일-라트비아 불가침 조약1939년 6월 7일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1939년 8월 23일

영국-태국 불가침 조약1940년 6월 12일

프랑스-태국 불가침 조약1940년 6월 12일

헝가리-유고슬라비아 불가침 조약1940년 12월 12일

Договор о дружбе и ненападении между СССР и Королевством Югославия|소련-유고슬라비아 불가침 조약ru1941년 4월 6일

소련-일본 중립 조약1941년 4월 13일

독일-터키 우호 조약1941년 6월 18일


3. 현대적 의의

19세기에는 중립 조약이 조약 당사국이 아닌 국가를 공격하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데 사용되었다. 중립 조약 당사국들은 조약 조건에 따라 보호받지 않는 국가에 대한 공격 행위에 대응하지 않기로 합의한다. 이러한 행위의 동기에는 경제 자원, 군사적 요충지 등을 차지하려는 목적이 포함될 수 있다.[2]

1939년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은 소련나치 독일 간의 불가침 조약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이 조약은 1941년 독일의 소련 침공인 바르바로사 작전까지 지속되었다.[1] 이러한 조약은 잠재적인 군사적 위협을 중립화하는 수단이 될 수 있으며, 적어도 조약 당사국 중 하나가 다른 목적을 위해 군사 자원을 확보할 수 있게 해준다. 예를 들어,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은 독일이 러시아 전선에 투입할 자원을 확보하게 해주었다. 반면, 1941년 4월 13일에 체결된 소련-일본 중립 조약은 일본의 위협을 제거하여 소련이 시베리아에서 독일과의 전투에 대규모 병력을 투입할 수 있게 했으며, 이는 모스크바 전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동맹 조약 의무 및 조항(ATOP) 데이터 세트는 1815년부터 2018년까지 불가침 조약만 맺은 185건의 협정을 기록하고 있다.[3] 이 데이터에 따르면, 1960년, 1970년, 1979년, 특히 소련 붕괴 이후 여러 동유럽 국가들이 조약을 체결한 1990년대 초에 발생 건수가 급증하면서 전간기에 29건의 조약이 기록되었다.[4]

과거에 경쟁 관계에 있었던 국가들은 미래 분쟁을 방지하기 위해 불가침 조약을 체결하는 경향이 있다. 이 조약은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불확실성을 줄이는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 조약은 제3국에 경쟁 관계가 완화되었고 평화로운 관계를 원한다는 신호를 보낸다.[4] 주요 강대국은 불가침 조약을 맺은 국가보다 어떠한 동맹도 맺지 않은 국가를 상대로 군사 분쟁을 시작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

4. 기타 용례

이 용어는 국제 관계 분야 밖에서도 구어적으로 사용된다. 축구의 맥락에서 이 용어는 두 팀 간의 의도적인 공격성 부재를 의미할 수 있는데, 이는 히혼의 굴욕에서 나타났으며, 독일에서는 Nichtangriffspakt von Gijón|히혼의 불가침 조약de으로 알려져 있다.[20] 불가침 조약은 또한 두 개 이상의 클럽 간의 선수 이적을 제한하는 공식적인 합의 또는 신사 협정일 수 있다.[21][22]

참조

[1] 서적 Small States and Alliances Physica-Verlag HD 2001
[2] 간행물 Alliance Treaty Obligations and Provisions, 1815-1944 https://doi.org/10.1[...] 2002-07-01
[3] 웹사이트 Alliance Treaty Obligations and Provisions (ATOP) Codebook Version 5.0 http://www.atopdata.[...]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Rice University 2021-04-13
[4] 간행물 Team of former rivals: A multilateral theory of non-aggression pacts https://doi.org/10.1[...] 2016-05-01
[5] 문서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6] 문서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7] 문서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8] 문서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9] 서적 The Road to War: The Origins of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Vintage Publishers
[10] 문서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11] 문서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12] 문서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13] 서적 Eastern Europe in the Twentieth Century – And Aft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Publishers
[14] 문서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15] 서적 International Military Alliances, 1648-2008 https://books.google[...] CQ Press
[16] 웹사이트 The Franco-German Declaration of December 6th, 1938 http://www.ibiblio.o[...] 2020-06-11
[17] 문서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18] 서적 Eastern Europe in the Twentieth Century – And After https://books.google[...] Routledge Publishers
[19] 문서 League of Nations Treaty Series
[20] 웹사이트 World Cup stunning moments: West Germany 1-0 Austria in 1982 {{!}} Rob Smyth http://www.theguardi[...] 2021-06-26
[21] 웹사이트 How the Madrid clubs broke their pact for youngster Theo Hernandez https://www.9sportpr[...] 2021-06-26
[22] 웹사이트 Sergio Ramos and Lucas Vazquez renewals at a standstill{{!}} All Football https://m.allfootbal[...] 2021-06-26
[23] 서적 Minor Powers, Alliances, And Armed Conflict: Some Preliminary Patterns http://www.bundeshee[...] "Small States and Alliances" 2001
[24] 간행물 Alliance Treaty Obligations and Provisions, 1815-1944 http://www.tandfonli[...] 2002
[25] 웹사이트 https://www.un.or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