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브랜던 프레이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랜던 프레이저는 미국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헤이븐 데니, 알렉사 크니림과 페어를 이루어 활동했다. 데니와는 2017년 전미 선수권 대회 우승, 2012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2020년부터 크니림과 페어를 결성하여 202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그는 2023년에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2022-2023 시즌 이후 선수 활동을 중단하고 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차준환
    차준환은 2009년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하여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동메달, 평창 동계올림픽 15위, 세계 선수권 대회 은메달, 사대륙 선수권 대회 우승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며 대한민국 남자 피겨 스케이팅 역사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운 최정상급 선수이자, 배우, 광고 모델, 방송 활동 등 다방면에서 활약하는 인물이다.
  • 2022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카밀라 발리예바
    2006년 러시아에서 태어난 피겨 스케이팅 선수 카밀라 발리예바는 주니어 세계 챔피언, 시니어 그랑프리 우승 등 뛰어난 기량을 보였으나, 2022년 베이징 동계올림픽 도핑 논란으로 경력에 타격을 입었다.
  • 피닉스 (애리조나주) 출신 - 윌리엄 렌퀴스트
    윌리엄 렌퀴스트는 미국 대법원장으로 재직하며, 보수주의 성향으로 미국 수정헌법 제14조에 대한 좁은 해석, 연방 정부 권한 축소 및 주 정부 권한 확대를 주장했으며, `부시 대 고어` 사건과 빌 클린턴 탄핵 재판에 관여했다.
  • 피닉스 (애리조나주) 출신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는 20세기 미국 건축의 선구자로서, 독창적인 건축 양식과 유기적 건축 철학으로 낙수장, 구겐하임 미술관 등 상징적인 건축물을 남겼고 현대 건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토냐 하딩
    토냐 하딩은 미국의 전직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미국 여자 선수 최초로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키고 1991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나, 1994년 낸시 케리건 폭행 사건에 연루되어 선수 자격을 박탈당했다.
  • 미국의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타라 리핀스키
    타라 리핀스키는 1997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과 1998년 동계 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한 미국의 전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자 방송 해설가이다.
브랜던 프레이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헤이븐 데니와 브랜던 프레이저가 2019년 프랑스 국제 대회에서 경기하는 모습
헤이븐 데니와 브랜던 프레이저가 2019 프랑스 국제 대회에서
전체 이름브랜던 마이클 프레이저
출생일(31세)
출생지피닉스, 애리조나주, 미국
거주지웨슬리 채플, 플로리다
신장(189cm)
스케이팅 클럽올 이어 피겨 스케이팅 클럽, 로스앤젤레스
스케이팅 시작2005년
종목페어 스케이팅
파트너
현재 파트너알렉사 니어림(2020–2023)
이전 파트너헤이븐 데니(2011–2020)
맨디 가르자 (2010–2011)
코치
메달 기록
전국 선수권 대회



2. 개인사

브랜던 프레이저는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태어났다. 1998년부터 2004년까지 롤러 스케이트 선수로 활동했다.

2. 1. 초기 생애

브랜던 프레이저는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태어났다. 1998년부터 2004년까지 롤러 스케이트 선수로 활동했다.

3. 선수 경력

원래는 롤러스케이터로 2002년에 헤이븐 데니와 페어를 결성하여, 2004년에 피겨 스케이팅으로 전향하여 2008년까지 페어를 이루었지만 해산했다.

2011년 봄, 데니와 프레이저는 페어를 재결성했다.[5] 전미 선수권 대회 주니어 클래스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4위에 올랐다. 2012년 가을에는 코럴스프링스로 훈련 거점을 옮기고, 코치를 존 지머만과 실비아 폰타나로 변경했다.[6]

2012-2013 시즌, 주니어 그랑프리에는 1개 대회에 출전하여 4위를 기록했다. 전미 선수권 대회는 시니어 클래스에 처음 참가하여 5위를 기록했다.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SP), 프리 스케이팅(FS) 모두 개인 최고 기록을 경신하는 연기를 선보이며 우승을 차지했다.

2014-2015 시즌, 독일에서 이적해 온 잉고 슈토이어를 새로운 코치로 맞이했다.[7]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그랑프리 시리즈 첫 메달을 획득했다. 전미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하고, 첫 세계 선수권 대회 대표로 선출되었다.

2015-2016 시즌의 그랑프리 시리즈는 데니의 부상으로 인해 참가를 보류했다. 데니의 치료 기간 동안 슈토이어의 권유로 미시간 주 캔턴의 마리나 주에바 코칭 팀에게 지도를 받아, 스케이팅 기술 개선에 힘썼다.[8] 이후, 코치를 록니 블루베이커와 스테파니아 벨톤으로 변경했다.[9]

2016-2017 시즌,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전미 선수권 대회는 우승 경험자 타라 케인/대니 오셰이 조가 기권, 알렉사 시메카/크리스 크니에림 조가 컨디션 불량으로 결장하는 혼란스러운 대회였다. 쇼트 프로그램(SP)에서는 2위로 뒤쳐졌지만, 프리 스케이팅(FS)에서 역전하여 이 대회 첫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SP)에서 두 차례의 넘어짐 등 실수가 잦아 20위로 마무리하여 프리 스케이팅(FS) 진출에 실패했다.

2017-2018 시즌 종료 후, 코치를 존 지머만과 실비아 폰타나로 복귀시켰다.[10]

2018-2019 시즌, 데니가 여름에 발목 피로 골절로 시즌이 시작되었다.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6위를 기록했다. 프랑스 국제 대회는 데니가 피로 골절 부위에 통증이 생겨 불참했다.[11] 전미 선수권 대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2020–2021 시즌부터 알렉사 시메카 크니에림과 새로운 페어를 결성했다. 2022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3. 1. 초기 경력

브랜던 프레이저는 2002년 헤이븐 데니와 롤러 스케이터로 처음 팀을 이루어 활동하다가 2004년에 아이스 스케이팅으로 전향했다.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서, 그들은 2005년부터 2008년까지 3시즌 동안 함께 경쟁했으며, 짐 피터슨과 린든 존스턴의 지도를 받았다. 유소년 레벨에서 두 시즌을 보낸 후, 이들은 레벨을 올려 2008년 미국 주니어 동메달을 획득했다. 선수들은 각자의 가족이 다른 주에 거주하게 되면서 함께 활동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

맨디 가르자와 함께 스케이팅을 한 프레이저는 2010–11 ISU 주니어 그랑프리 오스트리아 대회에서 8위를 차지했고, 2011년 미국 선수권 대회 주니어 레벨에서 5위를 기록했다. 가르자와 프레이저는 2011년 2월 파트너십 종료를 발표했다.

3. 2. 헤이븐 데니와의 파트너십 (2011-2020)

헤이븐 데니와 브랜던 프레이저는 2011년 봄에 다시 팀을 이루었다.

== 2011-2012 시즌: 주니어 그랑프리 데뷔 ==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 출전하여 라트비아에서 8위, 오스트리아에서 7위를 차지했다. 2012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주니어 타이틀을 획득했고, 2012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4위를 기록했다. 2012년 가을까지 콜로라도 스프링스, 콜로라도에서 달릴라 사펜필드의 코칭을 받았으며, 이후 플로리다주 코럴 스프링스로 이동하여 존 짐머만과 실비아 폰타나와 함께 코럴 게이블스에서 훈련을 받았다.

== 2012-2013 시즌: 세계 주니어 타이틀 획득 ==

주니어 그랑프리 뉴욕주 레이크플래시드에서 열린 대회에서 4위를 차지했다. 1월에 열린 2013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5위를 했다. 3월에는 2013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2007년 이후 이 타이틀을 획득한 최초의 미국 페어가 되었다.

== 2013-2014 시즌: 시니어 및 그랑프리 데뷔 ==

두 차례의 그랑프리 대회, 2013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과 2013 NHK 트로피에서 모두 5위를 차지했다. 1월에는 2014 전미 선수권 대회에서 5위를 차지했다. 얼마 후 2014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

== 2014-2015 시즌: 첫 시니어 메달 ==

두 개의 챌린저 시리즈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는데, 2014 CS 롬바르디아 트로피에서 금메달, 2014 CS 스케이트 캐나다 오텀 클래식에서 은메달을 땄다. 그랑프리 시리즈에서는 2014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첫 그랑프리 메달인 은메달을 획득했고, 2014 로스텔레콤 컵에서 4위를 차지했다. 1월에 데니/프레이저는 2015 US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선수권 대회가 끝난 후 그들은 잉고 슈토이어의 지도 아래 전임 훈련을 시작했다. 그들은 2015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7위를, 2015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2위를 기록했다.

2015년 4월, 데니/프레이저는 훈련 장소를 플로리다주 코럴 스프링스에서 플로리다주 웨스트 팜 비치로 변경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4월 22일, 데니는 얼음 위에서 던지기 더블 플립을 연습하던 중 무릎 부상을 입었다. 그녀는 "착지하는 순간 발은 고정되어 있었고, 몸은 계속 회전했다"며 "몇 번의 큰 팝 소리"를 들었다고 말했다. 전방 십자 인대, 비골 측부 인대, 양측 및 외측 반월판을 오른쪽 무릎에서 찢어진 그녀는 4월 28일 콜로라도주 베일의 스테드먼 클리닉에서 수술을 받았다.

== 2015-2016 시즌 ==

데니는 6주 동안 오른쪽 다리에 체중을 실을 수 없었고, 이후 2015년 10월에 링크로 복귀하기 전에 물리 치료를 시작했다. 이 기간 동안 프레이저는 마리나 주에바와 그녀의 팀과 함께 미시간주 캔턴에서 스케이팅 기술을 연마했다. 10월에 이들은 콜로라도 스프링스에 있는 올림픽 훈련 센터에서 훈련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기본적인 스트로킹과 크로스오버만 할 수 있었지만, 데니는 11월 말에 조심스럽게 점프 연습을 시작했다.

데니/프레이저는 2015-16 시즌에 출전하지 않았다. 2016년 4월까지 그들은 록 브루베이커와 스테파니아 베르톤과 함께 일리노이주 제네바에 있는 폭스 밸리 아이스 센터에서 훈련을 받았다.

== 2016-2017 시즌: 첫 내셔널 타이틀 ==

2016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에서 데니/프레이저는 4위를 차지하며 복귀했다. 그들은 두 개의 그랑프리 대회인 2016 스케이트 아메리카와 2016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에 배정되었다.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후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4위를 차지했다. 이후 2017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 참가하여 4위를 기록했다.

2017 전미 선수권 대회에서 데니/프레이저는 첫 번째 전국 타이틀을 획득했다. 데니는 "지금 저희가 있는 위치가 너무 자랑스러워요. 저희는 기복과 모든 것을 겪으면서 정말 열심히 노력해왔어요. 여기 있게 되어 정말 감사하고 축복받았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들은 2017 국제 빙상 연맹 4대륙 선수권 대회에 배정되어 8위를 차지했고, 2017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20위를 차지하여 프리 스케이팅 진출에 실패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 2017-2018 시즌 ==

데니/프레이저는 2017 US 클래식에서 시즌을 시작하여 5위를 기록했다. 그들은 두 번의 그랑프리 대회인 2017 스케이트 아메리카와 2017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에서 모두 7위를 차지했다.

2018 US 선수권 대회에서 데니/프레이저는 5위를 기록했다. 그들은 2018년 동계 올림픽 또는 어떤 ISU 선수권 대회에도 선발되지 않았다. 2018년 봄에 이 페어는 존 짐머만과 실비아 폰타나의 코칭팀에 다시 합류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들은 플로리다주 웨슬리 채플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 2018-2019 시즌 ==

데니는 여름 초에 발목에 피로 골절이 발생했다. 데니/프레이저는 시즌을 시작하는 챌린저 대회인 2018 CS 오텀 클래식 인터내셔널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들은 2018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에서 6위를 차지했지만, 데니의 피로 골절이 스케이트를 타기에 너무 고통스러워져서 두 번째 그랑프리 대회인 2018 인터내셔널 드 프랑스에서 기권해야 했다.

2019 전미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데니/프레이저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3위, 프리 스케이팅에서 2위를 차지하며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후반부에 점프에서 몇 가지 실수를 범했다. 프레이저는 "우리가 테이블 위에 남겨둔 것들이 있었고, 그것을 더 잘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2019 사대륙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시즌 마지막 대회에서 5위를 차지했다. 데니는 오프 시즌에 개선의 초점이 될 것이라고 말하며, 나란히 뛰는 점프 실수가 그들을 계속 괴롭혔다.

== 2019-2020 시즌: 파트너십 종료 ==

새 시즌을 위해 데니/프레이저는 2014–2015 시즌에 호평을 받았던 ''라이온 킹'' 프리 스케이팅을 부활시켰다. 2019 CS 네벨혼 트로피에서 6위를 차지한 후, 2019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여 당시 미국 선수권 대회 챔피언인 케인-그리블/르듀크를 제쳤다. 그들의 두 번째 그랑프리 대회인 2019 인터내셔널 드 프랑스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쇼트 프로그램에서 데니가 트리플 살코 점프를 언더로테이션하여 3위를 기록했다. 프리 스케이팅에서 그는 깨끗한 트리플 살코를 성공했지만, 계획했던 3회전 점프 콤비네이션을 실패하여 해당 부문에서 2위를 차지하며 종합 3위로 대회를 마쳤다. 그들은 다시 케인-그리블/르듀크를 앞섰다.

데니/프레이저는 2020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고전했는데, 쇼트 프로그램에서 데니가 던지기에서 넘어지고 계획했던 트리플 점프를 팝하여 해당 부문에서 6위를 기록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프리 스케이팅에서 나란히 뛰는 점프 실수와 또 다른 던지기 실패 후, 최종 순위는 5위였다.

3월 25일, 데니/프레이저는 파트너십을 종료했다고 발표했다.

3. 2. 1. 2011-2012 시즌: 주니어 그랑프리 데뷔

데니/프레이저는 2011년 봄에 두 번째로 팀을 이루었다. 그들은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 출전하여 라트비아에서 8위, 오스트리아에서 7위를 차지했다. 그들은 2012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주니어 타이틀을 획득했고, 2012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4위를 기록했다. 이 팀은 2012년 가을까지 콜로라도 스프링스, 콜로라도에서 달릴라 사펜필드의 코칭을 받았으며, 이후 플로리다주 코럴 스프링스로 이동하여 존 짐머만과 실비아 폰타나와 함께 코럴 게이블스에서 훈련을 받았다.

3. 2. 2. 2012-2013 시즌: 세계 주니어 타이틀 획득

데니/프레이저는 주니어 그랑프리 뉴욕 레이크플래시드에서 열린 대회에서 4위를 차지했다. 그들은 1월에 열린 2013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5위를 했다. 3월에는 2013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2007년 이후 이 타이틀을 획득한 최초의 미국 페어가 되었다.

3. 2. 3. 2013-2014 시즌: 시니어 및 그랑프리 데뷔

데니/프레이저는 두 차례의 그랑프리 대회, 2013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과 2013 NHK 트로피에서 모두 5위를 차지했다. 1월에는 2014 전미 선수권 대회에서 5위를 차지했다. 얼마 후 2014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기록했다.

3. 2. 4. 2014-2015 시즌: 첫 시니어 메달

데니/프레이저는 두 개의 챌린저 시리즈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는데, 2014 CS 롬바르디아 트로피에서 금메달, 2014 CS 스케이트 캐나다 오텀 클래식에서 은메달을 땄다. 그랑프리 시리즈에서는 2014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첫 그랑프리 메달인 은메달을 획득했고, 2014 로스텔레콤 컵에서 4위를 차지했다. 1월에 데니/프레이저는 2015 US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선수권 대회가 끝난 후 그들은 잉고 슈토이어의 지도 아래 전임 훈련을 시작했다. 그들은 2015 사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7위를, 2015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2위를 기록했다.

2015년 4월, 데니/프레이저는 훈련 장소를 플로리다주 코럴 스프링스에서 플로리다주 웨스트 팜 비치로 변경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4월 22일, 데니는 얼음 위에서 던지기 더블 플립을 연습하던 중 무릎 부상을 입었다. 그녀는 "착지하는 순간 발은 고정되어 있었고, 몸은 계속 회전했다"며 "몇 번의 큰 팝 소리"를 들었다고 말했다. 전방 십자 인대, 비골 측부 인대, 양측 및 외측 반월판을 오른쪽 무릎에서 찢어진 그녀는 4월 28일 콜로라도주 베일의 스테드먼 클리닉에서 수술을 받았다.

3. 2. 5. 2015-2016 시즌

데니는 6주 동안 오른쪽 다리에 체중을 실을 수 없었고, 이후 2015년 10월에 링크로 복귀하기 전에 물리 치료를 시작했다. 이 기간 동안 프레이저는 마리나 주에바와 그녀의 팀과 함께 미시간주 캔턴에서 스케이팅 기술을 연마했다. 10월에 이들은 콜로라도 스프링스에 있는 올림픽 훈련 센터에서 훈련을 시작했다. 처음에는 기본적인 스트로킹과 크로스오버만 할 수 있었지만, 데니는 11월 말에 조심스럽게 점프 연습을 시작했다.

데니/프레이저는 2015-16 시즌에 출전하지 않았다. 2016년 4월까지 그들은 록 브루베이커와 스테파니아 베르톤과 함께 일리노이주 제네바에 있는 폭스 밸리 아이스 센터에서 훈련을 받았다.

3. 2. 6. 2016-2017 시즌: 첫 내셔널 타이틀

2016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에서 데니/프레이저는 4위를 차지하며 복귀했다. 그들은 두 개의 그랑프리 대회인 2016 스케이트 아메리카와 2016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에 배정되었다.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후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4위를 차지했다. 이후 2017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 참가하여 4위를 기록했다.

2017 전미 선수권 대회에서 데니/프레이저는 첫 번째 전국 타이틀을 획득했다. 데니는 "지금 저희가 있는 위치가 너무 자랑스러워요. 저희는 기복과 모든 것을 겪으면서 정말 열심히 노력해왔어요. 여기 있게 되어 정말 감사하고 축복받았습니다."라고 말했다. 그들은 2017 국제 빙상 연맹 4대륙 선수권 대회에 배정되어 8위를 차지했고, 2017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20위를 차지하여 프리 스케이팅 진출에 실패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3. 2. 7. 2017-2018 시즌

데니/프레이저는 2017 US 클래식에서 시즌을 시작하여 5위를 기록했다. 그들은 두 번의 그랑프리 대회인 2017 스케이트 아메리카와 2017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에서 모두 7위를 차지했다.

2018 US 선수권 대회에서 데니/프레이저는 5위를 기록했다. 그들은 2018년 동계 올림픽 또는 어떤 ISU 선수권 대회에도 선발되지 않았다. 2018년 봄에 이 페어는 존 짐머만과 실비아 폰타나의 코칭팀에 다시 합류하기로 결정했는데, 이들은 플로리다주 웨슬리 채플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3. 2. 8. 2018-2019 시즌

데니는 여름 초에 발목에 피로 골절이 발생했다. 데니/프레이저는 시즌을 시작하는 챌린저 대회인 2018 CS 오텀 클래식 인터내셔널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들은 2018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에서 6위를 차지했지만, 데니의 피로 골절이 스케이트를 타기에 너무 고통스러워져서 두 번째 그랑프리 대회인 2018 인터내셔널 드 프랑스에서 기권해야 했다.

2019 전미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데니/프레이저는 쇼트 프로그램에서 3위, 프리 스케이팅에서 2위를 차지하며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후반부에 점프에서 몇 가지 실수를 범했다. 프레이저는 "우리가 테이블 위에 남겨둔 것들이 있었고, 그것을 더 잘하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라고 말했다. 2019 사대륙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시즌 마지막 대회에서 5위를 차지했다. 데니는 오프 시즌에 개선의 초점이 될 것이라고 말하며, 나란히 뛰는 점프 실수가 그들을 계속 괴롭혔다.

3. 2. 9. 2019-2020 시즌: 파트너십 종료

새 시즌을 위해 데니/프레이저는 2014–2015 시즌에 호평을 받았던 ''라이온 킹'' 프리 스케이팅을 부활시켰다. 2019 CS 네벨혼 트로피에서 6위를 차지한 후, 2019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여 당시 미국 선수권 대회 챔피언인 케인-그리블/르듀크를 제쳤다. 그들의 두 번째 그랑프리 대회인 2019 인터내셔널 드 프랑스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쇼트 프로그램에서 데니가 트리플 살코 점프를 언더로테이션하여 3위를 기록했다. 프리 스케이팅에서 그는 깨끗한 트리플 살코를 성공했지만, 계획했던 3회전 점프 콤비네이션을 실패하여 해당 부문에서 2위를 차지하며 종합 3위로 대회를 마쳤다. 그들은 다시 케인-그리블/르듀크를 앞섰다.

데니/프레이저는 2020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고전했는데, 쇼트 프로그램에서 데니가 던지기에서 넘어지고 계획했던 트리플 점프를 팝하여 해당 부문에서 6위를 기록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프리 스케이팅에서 나란히 뛰는 점프 실수와 또 다른 던지기 실패 후, 최종 순위는 5위였다.

3월 25일, 데니/프레이저는 파트너십을 종료했다고 발표했다.

3. 3. 알렉사 크니림과의 파트너십 (2020-2023)

4월 1일, 프레이저는 남편이자 전 파트너인 크리스 크니림이 은퇴를 결정한 알렉사 크니림과 팀을 이룬다고 발표했다. 새로운 페어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제약으로 인해 2020년 5월부터 함께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그들은 코치 토드 샌드, 제니 메노, 라파엘 아루투니안, 크리스 크니림, 그리고 크리스틴 바인더와 함께 캘리포니아주 어바인에 있는 그레이트 파크 아이스에서 훈련을 시작했다. 또한 코치 니나 모저로부터 원격으로 레슨을 받았다.

크니림/프레이저는 그랑프리 데뷔인 2020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이는 페어로서의 경쟁 데뷔를 의미하기도 했다. 이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여행 제한으로 인해 미국에서 훈련하는 스케이터들이 참가했다. 이 페어는 두 프로그램 모두 강력하고 견고하게 스케이팅하여 쇼트 프로그램에서 74.19점, 프리 스케이팅에서 140.58점을 받아 총 214.77점으로 1위를 차지하여 첫 번째 그랑프리 타이틀을 획득했다.

1월에 열린 2021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크니림/프레이저는 228.10점으로 함께 첫 번째 전국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이는 미국 대회에서 역대 최고 점수였다. 그들은 쇼트 프로그램에서 77.46점, 프리 스케이팅에서 150.64점을 받아 1위를 차지하여 두 부문 모두에서 새로운 미국 선수권 기록을 세웠다. 그들은 강력하고 잘 수행된 두 프로그램으로 23점 차이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프레이저는 2012년 이후 두 명의 다른 파트너와 함께 전국 타이틀을 획득한 최초의 미국 남자 페어 스케이터이다.

3월에 열린 2021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크니림/프레이저는 월드 데뷔에서 7위를 차지했다. 프레이저가 쇼트 프로그램에서 계획된 트리플 점프를 더블로 뛰고, 이 페어가 프리 스케이팅에서 여러 번 실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두 부문 모두에서 7위를 기록할 만큼 충분히 잘 스케이팅했다. 이는 크니림이 전 파트너와 함께 같은 순위를 기록했던 2015년 이후 미국 페어의 최고 성적이었다.

4월에 크니림/프레이저는 2021 월드 팀 트로피에 출전하여 팀 USA가 은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 그들은 쇼트 프로그램에서 4위, 프리 스케이팅에서 2위를 기록한 후 페어 부문에서 2위를 차지했다. 그들의 프리 스케이팅 점수는 현재 채점 시스템 하에서 미국 페어가 국제 심판진으로부터 받은 최고 점수였다.

크랜베리 컵 인터내셔널에서 러시아의 예브게니야 타라소바와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조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9월에는 뉴욕시에서 열린 ISU 국제 대회인 존 닉스 페어 챌린지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시즌 첫 그랑프리 대회인 2021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4위를 차지했다. 두 번째 그랑프리 대회인 2021 인터내셔널 드 프랑스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들은 이후 챌린저 대회인 2021 자그레브 골든 스핀에 출전하여 종합 5위를 기록했다.

2022 미국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우승 후보로 꼽혔으나, 프레이저가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아 대회에서 기권해야 했다. 이 페어는 성공적으로 탄원하여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 1월 9일, 그들은 2022 미국 올림픽 팀과 2022 세계 팀에 이름을 올렸다.

2월 2022 동계 올림픽에서 피겨 스케이팅 팀 이벤트에 미국 페어로 출전하여 미국 팀이 은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 페어 이벤트에서 6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20년 만에 미국 페어의 최고 성적이었다.

3월, 프랑스 몽펠리에에서 열린 2022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러시아 선수들은 자국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국제빙상연맹으로부터 출전 금지 조치를 받았고, 중국 스케이팅 협회 역시 선수들을 출전시키지 않았다. 키네림/프레이저는 1979년의 바빌로니아/가드너 이후 미국 페어로는 처음으로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2022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크니림/프레이저는 시즌을 시작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는데, 이는 그들이 정식으로 참가한 첫 2022-23 ISU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대회에서 거둔 우승이었다.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프레이저는 프리 스케이팅 이후 "시즌 첫 경기였고, 오늘 밤은 힘든 싸움이었으니, 밖에서 많은 투지를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크니에림/프레이저는 2006년 이후 처음으로, 역대 세 번째로 ISU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타이틀을 획득한 미국 페어가 되었다.

2022 MK 존 윌슨 트로피에서 크니림/프레이저는 21.66점 차이로 압도적인 우승을 차지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들은 모두 시즌 최고 점수를 냈으며, 쇼트 프로그램에서 강세를 보이고 프리 스케이팅에서 약간의 실수를 하면서 두 부문 모두에서 우승했다. 크니에림/프레이저는 한 시즌에 두 개의 그랑프리 이벤트를 우승한 최초의 미국 페어가 되었으며, 크니에림이 이전 파트너와 함께 자격을 얻었던 2015년 이후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한 최초의 미국 페어가 되었다.

2022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크니림/프레이저는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단 1점 차이로 금메달을 놓쳤다. 일본의 미우라/기하라와 함께 우승 후보로 대회에 참가했다. 쇼트 프로그램에서 프레이저가 싱글 점프에서 손을 짚는 실수를 제외하고는 깔끔한 연기를 펼쳐 개인 최고 점수인 77.65점을 받아 미우라/기하라에 불과 0.43점 뒤진 2위를 기록했다. 프리 스케이팅에서 흔들리는 점프 두 개를 포함한 또 다른 강력한 연기를 펼쳐 시즌 최고 프리 스케이팅 점수와 총점을 받았다. 미우라/기하라가 실수를 한 연기에서 불과 0.87점 뒤져 그 부문에서 간발의 차이로 밀려났다. 크니에림/프레이저는 그랑프리 파이널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미국 페어가 되었다. 그들의 총점은 이전 시즌의 세계 선수권 대회 점수에 이어 국제 대회에서 미국 페어가 기록한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점수였다.

2023 전미 선수권 대회에서 크니에림/프레이저는 역대 최고 점수차인 31.11점 차이로 압도적인 우승을 차지하며 두 번째 전국 타이틀을 획득했는데, 이는 2021년에 세운 그들 자신의 기록을 넘어선 것이었다. 깔끔한 쇼트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15.1점 차이로 선두를 달렸다. 쇼트 프로그램 점수 81.96점은 전미 선수권 대회에서 기록된 최고 점수 신기록을 세웠다. 프리 스케이팅에서도 금메달을 향한 강력한 연기를 펼치며 1위를 차지했다. 이는 프레이저의 세 번째 전국 타이틀이자 크니에림의 다섯 번째 전국 타이틀로, 지난 75년 동안 페어 스케이터로서 미국 선수권 대회 최다 타이틀을 획득한 5명의 다른 스케이터와 어깨를 나란히 했다. 크니에림/프레이저는 2023 사대륙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는 대신 스위스에서 열리는 Art on Ice 쇼에 참가하기로 결정했다.

2023 세계 선수권 대회를 앞두고 그들의 코치인 토드 샌드가 3월 2일 심장마비를 겪고 장기간 입원하면서 팀에게는 힘든 시기였다. 일본 사이타마에서 열린 대회에서 크니에림/프레이저는 은메달을 획득하며 두 번째 연속 세계 선수권 메달을 획득했다. 프레이저가 트리플 토 루프에서 넘어지면서 쇼트 프로그램에서 2위를 차지했지만, 그 외에는 강력한 연기를 펼쳤다. 두 사람 모두 점프 실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연기로 프리 스케이팅에서 우승했지만, 미우라/기하라에 4.68점 뒤진 전체 2위를 유지했다. 프리 스케이팅 점수 142.84점과 총점 217.48점은 그들의 시즌 최고 점수였으며, 이전 세계 선수권 대회 점수에 이어 미국 페어가 기록한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점수였다. 크니에림/프레이저는 코치 제니 메노와 토드 샌드가 1995년과 1996년에 그랬던 것처럼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연속으로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미국 페어가 되었다. 크니에림/프레이저는 역대 7번째로 여러 개의 세계 선수권 메달을 획득한 미국 페어가 되었다. 이후 크니에림은 "이번 주, 이 모든 시간, 이 프로그램, 모든 것이 우리 코치를 위한 것이었어요. 그게 우리의 마음입니다"라고 말했다.

4월에 열린 2023 세계 팀 트로피에서 크니에림/프레이저는 팀 USA가 압도적인 점수 차이로 금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 페어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며 일본 팀의 미우라/기하라를 제치고 두 부문 모두에서 우승했다. 깔끔한 쇼트 프로그램을 선보였고, 개인 최고 점수인 82.25점을 받았다. 프리 스케이팅에서 그들은 트리플 살코에서 넘어지는 실수를 제외하고 매우 강력한 프로그램을 선보였으며, 개인 최고 점수인 147.87점을 받았다. 이 점수와 개인 최고 총점인 230.12점은 미국 페어 팀이 기록한 역대 최고 점수를 넘어섰다.

3. 3. 1. 2020-2021 시즌: 새로운 파트너십, 첫 그랑프리 타이틀, 두 번째 내셔널 타이틀

4월 1일, 프레이저는 남편이자 전 파트너인 크리스 크니림이 은퇴를 결정한 알렉사 크니림과 팀을 이룬다고 발표했다. 새로운 페어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제약으로 인해 2020년 5월부터 함께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그들은 코치 토드 샌드, 제니 메노, 라파엘 아루투니안, 크리스 크니림, 그리고 크리스틴 바인더와 함께 캘리포니아주 어바인에 있는 그레이트 파크 아이스에서 훈련을 시작했다. 또한 코치 니나 모저로부터 원격으로 레슨을 받았다.

크니림/프레이저는 그랑프리 데뷔인 2020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이는 페어로서의 경쟁 데뷔를 의미하기도 했다. 이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한 여행 제한으로 인해 미국에서 훈련하는 스케이터들이 참가했다. 이 페어는 두 프로그램 모두 강력하고 견고하게 스케이팅하여 쇼트 프로그램에서 74.19점, 프리 스케이팅에서 140.58점을 받아 총 214.77점으로 1위를 차지하여 첫 번째 그랑프리 타이틀을 획득했다.

1월에 열린 2021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크니림/프레이저는 228.10점으로 함께 첫 번째 전국 타이틀을 획득했으며, 이는 미국 대회에서 역대 최고 점수였다. 그들은 쇼트 프로그램에서 77.46점, 프리 스케이팅에서 150.64점을 받아 1위를 차지하여 두 부문 모두에서 새로운 미국 선수권 기록을 세웠다. 그들은 강력하고 잘 수행된 두 프로그램으로 23점 차이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프레이저는 2012년 이후 두 명의 다른 파트너와 함께 전국 타이틀을 획득한 최초의 미국 남자 페어 스케이터이다.

3월에 열린 2021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크니림/프레이저는 월드 데뷔에서 7위를 차지했다. 프레이저가 쇼트 프로그램에서 계획된 트리플 점프를 더블로 뛰고, 이 페어가 프리 스케이팅에서 여러 번 실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두 부문 모두에서 7위를 기록할 만큼 충분히 잘 스케이팅했다. 이는 크니림이 전 파트너와 함께 같은 순위를 기록했던 2015년 이후 미국 페어의 최고 성적이었다.

4월에 크니림/프레이저는 2021 월드 팀 트로피에 출전하여 팀 USA가 은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 그들은 쇼트 프로그램에서 4위, 프리 스케이팅에서 2위를 기록한 후 페어 부문에서 2위를 차지했다. 그들의 프리 스케이팅 점수는 현재 채점 시스템 하에서 미국 페어가 국제 심판진으로부터 받은 최고 점수였다.

3. 3. 2. 2021-2022 시즌: 베이징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우승

크랜베리 컵 인터내셔널에서 러시아의 예브게니야 타라소바와 블라디미르 모로조프 조에 이어 은메달을 획득했다. 9월에는 뉴욕시에서 열린 ISU 국제 대회인 존 닉스 페어 챌린지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시즌 첫 그랑프리 대회인 2021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4위를 차지했다. 두 번째 그랑프리 대회인 2021 인터내셔널 드 프랑스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그들은 이후 챌린저 대회인 2021 자그레브 골든 스핀에 출전하여 종합 5위를 기록했다.

2022 미국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우승 후보로 꼽혔으나, 프레이저가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아 대회에서 기권해야 했다. 이 페어는 성공적으로 탄원하여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했다. 1월 9일, 그들은 2022 미국 올림픽 팀과 2022 세계 팀에 이름을 올렸다.

2월 2022 동계 올림픽에서 피겨 스케이팅 팀 이벤트에 미국 페어로 출전하여 미국 팀이 은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 페어 이벤트에서 6위를 차지했는데, 이는 20년 만에 미국 페어의 최고 성적이었다.

3월, 프랑스 몽펠리에에서 열린 2022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러시아 선수들은 자국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국제빙상연맹으로부터 출전 금지 조치를 받았고, 중국 스케이팅 협회 역시 선수들을 출전시키지 않았다. 키네림/프레이저는 1979년의 바빌로니아/가드너 이후 미국 페어로는 처음으로 세계 챔피언이 되었다.

3. 3. 3. 2022-2023 시즌: 두 번째 세계 선수권 메달과 세 번째 내셔널 타이틀

2022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크니림/프레이저는 시즌을 시작하여 금메달을 획득했는데, 이는 그들이 정식으로 참가한 첫 2022-23 ISU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대회에서 거둔 우승이었다.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 스케이팅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프레이저는 프리 스케이팅 이후 "시즌 첫 경기였고, 오늘 밤은 힘든 싸움이었으니, 밖에서 많은 투지를 보여주었다"고 말했다. 크니에림/프레이저는 2006년 이후 처음으로, 역대 세 번째로 ISU 피겨 스케이팅 그랑프리 타이틀을 획득한 미국 페어가 되었다.

2022 MK 존 윌슨 트로피에서 크니림/프레이저는 21.66점 차이로 압도적인 우승을 차지하며 금메달을 획득했다. 그들은 모두 시즌 최고 점수를 냈으며, 쇼트 프로그램에서 강세를 보이고 프리 스케이팅에서 약간의 실수를 하면서 두 부문 모두에서 우승했다. 크니에림/프레이저는 한 시즌에 두 개의 그랑프리 이벤트를 우승한 최초의 미국 페어가 되었으며, 크니에림이 이전 파트너와 함께 자격을 얻었던 2015년 이후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한 최초의 미국 페어가 되었다.

2022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크니림/프레이저는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단 1점 차이로 금메달을 놓쳤다. 일본의 미우라/기하라와 함께 우승 후보로 대회에 참가했다. 쇼트 프로그램에서 프레이저가 싱글 점프에서 손을 짚는 실수를 제외하고는 깔끔한 연기를 펼쳐 개인 최고 점수인 77.65점을 받아 미우라/기하라에 불과 0.43점 뒤진 2위를 기록했다. 프리 스케이팅에서 흔들리는 점프 두 개를 포함한 또 다른 강력한 연기를 펼쳐 시즌 최고 프리 스케이팅 점수와 총점을 받았다. 미우라/기하라가 실수를 한 연기에서 불과 0.87점 뒤져 그 부문에서 간발의 차이로 밀려났다. 크니에림/프레이저는 그랑프리 파이널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미국 페어가 되었다. 그들의 총점은 이전 시즌의 세계 선수권 대회 점수에 이어 국제 대회에서 미국 페어가 기록한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점수였다.

2023 전미 선수권 대회에서 크니에림/프레이저는 역대 최고 점수차인 31.11점 차이로 압도적인 우승을 차지하며 두 번째 전국 타이틀을 획득했는데, 이는 2021년에 세운 그들 자신의 기록을 넘어선 것이었다. 깔끔한 쇼트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15.1점 차이로 선두를 달렸다. 쇼트 프로그램 점수 81.96점은 전미 선수권 대회에서 기록된 최고 점수 신기록을 세웠다. 프리 스케이팅에서도 금메달을 향한 강력한 연기를 펼치며 1위를 차지했다. 이는 프레이저의 세 번째 전국 타이틀이자 크니에림의 다섯 번째 전국 타이틀로, 지난 75년 동안 페어 스케이터로서 미국 선수권 대회 최다 타이틀을 획득한 5명의 다른 스케이터와 어깨를 나란히 했다. 크니에림/프레이저는 2023 사대륙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참가하는 대신 스위스에서 열리는 Art on Ice 쇼에 참가하기로 결정했다.

2023 세계 선수권 대회를 앞두고 그들의 코치인 토드 샌드가 3월 2일 심장마비를 겪고 장기간 입원하면서 팀에게는 힘든 시기였다. 일본 사이타마에서 열린 대회에서 크니에림/프레이저는 은메달을 획득하며 두 번째 연속 세계 선수권 메달을 획득했다. 프레이저가 트리플 토 루프에서 넘어지면서 쇼트 프로그램에서 2위를 차지했지만, 그 외에는 강력한 연기를 펼쳤다. 두 사람 모두 점프 실수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연기로 프리 스케이팅에서 우승했지만, 미우라/기하라에 4.68점 뒤진 전체 2위를 유지했다. 프리 스케이팅 점수 142.84점과 총점 217.48점은 그들의 시즌 최고 점수였으며, 이전 세계 선수권 대회 점수에 이어 미국 페어가 기록한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점수였다. 크니에림/프레이저는 코치 제니 메노와 토드 샌드가 1995년과 1996년에 그랬던 것처럼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연속으로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미국 페어가 되었다. 크니에림/프레이저는 역대 7번째로 여러 개의 세계 선수권 메달을 획득한 미국 페어가 되었다. 이후 크니에림은 "이번 주, 이 모든 시간, 이 프로그램, 모든 것이 우리 코치를 위한 것이었어요. 그게 우리의 마음입니다"라고 말했다.

4월에 열린 2023 세계 팀 트로피에서 크니에림/프레이저는 팀 USA가 압도적인 점수 차이로 금메달을 획득하는 데 기여했다. 페어 부문에서 1위를 차지하며 일본 팀의 미우라/기하라를 제치고 두 부문 모두에서 우승했다. 깔끔한 쇼트 프로그램을 선보였고, 개인 최고 점수인 82.25점을 받았다. 프리 스케이팅에서 그들은 트리플 살코에서 넘어지는 실수를 제외하고 매우 강력한 프로그램을 선보였으며, 개인 최고 점수인 147.87점을 받았다. 이 점수와 개인 최고 총점인 230.12점은 미국 페어 팀이 기록한 역대 최고 점수를 넘어섰다.

3. 4. 은퇴 이후 경력

2022-2023 피겨 스케이팅 시즌 이후, 크니림/프레이저는 당분간 선수 생활을 중단할 것이라고 밝혔다.[2] 프레이저는 학업을 이어가는 것 외에도, 과거 코치였던 제니 메노와 토드 샌드와 함께 그레이트 파크 아이스에서 코치로 활동하기 시작했다.[2]

2024년 파리 올림픽에서, 크니림/프레이저와 그들의 2022년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단체전 팀 동료들을 위한 메달 수여식이 열렸고, 그들은 올림픽 금메달을 수여받았다.[3][4]

4. 프로그램

보컬: 데이비드 쿠크
안무: 찰리 화이트
The Irrepressibles Selection
안무: 찰리 화이트2017-2018All of Me
곡: 존 레전드리브 포에버
곡:
연주: 데이비드 개릿
2016-2017[9][12]뮤지컬 『돈 주앙』에서
작곡: 펠릭스 그레이
안무: 마리나 주에바
영화 『어느 날 여기에서』에서
작곡: 존 배리
안무: 마리나 주에바
오! 달링
곡: 비틀즈2014-2015사랑의 테마 영화 『대부』에서
작곡: 니노 로타
보컬: 앤디 윌리엄스
안무: 르네 로카
영화 『라이온 킹』 사운드트랙에서
작곡: 한스 짐머
안무: 르네 로카, 실비아 폰타나
언체인드 멜로디
보컬: 라이처스 브라더스
안무: 르네 로카



곡: 메리 J. 블라이즈, U22013-2014[6]볼리우드
안무: 줄리 마르코
말라게냐
작곡: 에르네스토 레쿠오나
안무: 줄리 마르코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에서
작곡: 리샤르 코치안트
안무: 줄리 마르코
Animals
작곡: 마틴 게릭스2012-2013말라게냐
작곡: 에르네스토 레쿠오나
안무: 줄리 마르코
영화 『』 사운드트랙에서
작곡: 니노 로타
안무: 줄리 마르코
Due Respiri
보컬: 키아라2011-2012뮤지컬 『시카고』에서영화 『진주만』 사운드트랙에서
작곡: 한스 짐머All That Jazz


4. 1. 알렉사 크니림과 함께

알렉사 크니림과 함께 2020-2021 시즌에는 린킨 파크의 "In the End"를 쇼트 프로그램 곡으로, 안드레아 보첼리와 마테오 보첼리의 "Fall on Me"를 갈라 프로그램 곡으로 사용했다. 2021-2022 시즌에는 Heavy Young Heathens의 "The House of the Rising Sun"을 쇼트 프로그램 곡으로, 콜드플레이와 Fearless Soul의 "Fix You"를 프리 스케이팅 곡으로, Oona Garthwaite의 "Tore My Heart"와 레이디 가가와 브래들리 쿠퍼의 "Shallow"를 갈라 프로그램 곡으로 사용했다.

2022-2023 시즌에는 Journey의 "Separate Ways (Worlds Apart)"를 쇼트 프로그램 곡으로, 해리 스타일스의 "Sign of the Times"를 프리 스케이팅 곡으로, 레이디 가가와 브래들리 쿠퍼의 "Shallow"와 콜드플레이의 "Fix You"를 갈라 프로그램 곡으로 사용했다.

4. 2. 헤이븐 데니와 함께

브랜던 프레이저와 헤이븐 데니는 2011-2012 시즌부터 함께 활동했다.

2011-2012 시즌, 쇼트 프로그램은 뮤지컬 시카고의 음악을, 프리 스케이팅은 영화 진주만의 사운드트랙을 사용했다.

2012-2013 시즌에는 쇼트 프로그램으로 말라게냐를, 프리 스케이팅으로 영화 길의 사운드트랙을 선택했다. 2013-2014 시즌에는 프리 스케이팅에서 뮤지컬 노트르담 드 파리의 음악을 사용했다.

2014-2015 시즌, 쇼트 프로그램은 영화 대부니노 로타가 작곡한 음악을, 프리 스케이팅은 한스 짐머가 작곡한 라이언 킹의 사운드트랙을 사용했다.

2016-2017 시즌, 쇼트 프로그램은 뮤지컬 돈 주앙의 음악을, 프리 스케이팅은 영화 사랑은 영원히의 존 배리가 작곡한 음악을 사용했다. 2017-2018 시즌에는 쇼트 프로그램으로 존 레전드의 All Of Me를, 프리 스케이팅으로 의 Who Wants to Live Forever를 사용했다.

2018-2019 시즌, 쇼트 프로그램은 빌리 진을, 프리 스케이팅은 Irrepressibles selection을 사용했다. 2019-2020 시즌에는 쇼트 프로그램으로 브누아 쥐트라가 작곡하고 르네 로카가 안무를 맡은 퀴담의 음악을, 프리 스케이팅으로 한스 짐머가 작곡하고 Renée Roca가 안무를 맡은 라이온 킹의 음악을 사용했다.

4. 3. 맨디 가르자와 함께

시즌쇼트 프로그램프리 스케이팅
2010–11
2009–10


5. 주요 대회 성적

알렉사 시메카 크니에림과 함께 2020-2021 시즌부터 활동하며, 동계 올림픽에서 6위를 기록했고,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2022년에 1위, 2023년에 2위를 차지했다.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2022년에 은메달을 획득했다. 또한, 여러 그랑프리 시리즈에서 우승 및 상위권 성적을 거두었다. 전미 선수권 대회에서는 2021년과 2023년에 우승했다.

헤이븐 데니와는 2011-2012 시즌부터 2019-2020 시즌까지 활동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최고 12위를 기록했고, 4대륙 선수권 대회에서는 최고 4위를 기록했다. 전미 선수권 대회에서는 2017년에 우승, 2018년, 2019년, 2020년에 2위를 차지했다. 여러 그랑프리 시리즈와 챌린저 시리즈에서도 상위권 성적을 기록했다. 특히, 2012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맨디 가르자와와는 2009-2010 시즌부터 2010-2011 시즌까지 활동했다. 전미 선수권 대회 노비스 레벨에서 3위, 주니어 레벨에서 5위를 기록했다.

대회/연도2009
-10
2010
-11
2011
-12
2012
-13
2013
-14
2014
-15
2016
-17
2017
-18
2018
-19
2019
-20
2020
-21
2021
-22
2022
-23
동계 올림픽6
세계 선수권 대회1220712
4대륙 선수권 대회4785
GP 파이널2
GP 프랑스3
GP MK 존 윌슨 트로피1
GP 스케이트 아메리카227141
GP 스케이트 캐나다5476
GP NHK배5
GP 로스텔레콤 컵4
CS 골든 스핀45
CS US 클래식4
CS 네벨혼 트로피6
CS 네펠라 기념44
CS 롬바르디아 트로피1
CS 오텀 클래식2
John Nicks Pairs Challenge1
Cranberry Cup2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41
JGP 레이크 플래시드4
JGP 오스트리아7
JGP 볼보컵8
전미 선수권 대회3 N5 J1 J55215221WD1
ISP Points Chall.2
동계 올림픽2T
세계 팀 트로피2T
2P
1T
1P

참조

[1] 웹사이트 BEIJING 2022 FIGURE SKATING TEAM EVENT RESULTS https://olympics.com[...]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24-01-31
[2] 웹사이트 Former world champs Knierim/Frazier content with life away from competitive ice: ‘We’re living in the present’ https://olympics.com[...] Olympics.com 2024-09-19
[3] 웹사이트 From the Olympics to College Skating: What Keeps Karen Chen On the Ice https://figureskater[...] Figure Skaters Online 2024-09-18
[4] 웹사이트 Thank you to every person who fought the fight with us. I love my team and I am so proud to be American! This moment was indescribable. https://www.instagra[...] Instagram 2024-09-19
[5] 웹사이트 Colorado junior pairs face California challenge http://web.icenetwor[...]
[6] 웹사이트 Change of scenery serves Denney, Frazier well http://web.icenetwor[...]
[7] 웹사이트 Steuer joins Zimmerman to train Denney, Frazier http://web.icenetwor[...]
[8] 웹사이트 On the mend: Denney plans August return to ice http://www.icenetwor[...]
[9] 웹사이트 Denney, Frazier seek fresh start in Chicago area http://web.icenetwor[...]
[10] 웹사이트 HAVEN DENNEY AND BRANDON FRAZIER ANNOUNCE COACHING CHANGE https://www.usfigure[...]
[11] 웹사이트 Overcoming 4 Years Of Injuries, Tarah Kayne And Danny O’Shea Return To Health To Lead After Short At Nationals https://www.teamusa.[...]
[12] 웹사이트 Denney, Frazier shake off rust, impress in Detroit http://web.icenetw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