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디아아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로디아아과는 여러해살이풀로, 전분질 구경에서 발생하며 산형화서 또는 단일 꽃이 피는 특징을 가진다. 19세기와 20세기에는 브로디아족으로 분류되었으나, 계통 분류 연구를 통해 아스파라거스과의 아과로 재분류되었다. 현재 약 12속 60종이 포함되며, 안드로스테피움, 베세라, 브로디에아, 디켈로스템마, 밀라 등이 속한다.
여러해살이풀 초본으로, 전분질 구경에서 발생하며, 매년 묵은 구경에서 새로운 구경이 생겨난다.[4][8]
19세기와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이 분류군은 보통 족 분류군으로 인식되었고, 브로디아족(Brodiaeeae)이라고 불렸다. 대부분의 저자는 이를 백합과, 파과, 또는 수선화과에 할당했다. 1985년 롤프 달그렌, 트레버 클리포드, 그리고 예오는 이를 파과의 브로디아족으로 취급했다.[9] 달그렌 분류 체계에서는 수선화과에 포함되었다.[23]
Angiosperm Phylogeny Website|피자식물 계통 발생 웹사이트영어 (Angiosperm Phylogeny Website)에 따르면, 브로디아아과에 포함된 속은 다음과 같다.[28]
19세기와 20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이 분류군은 보통 족 분류군으로 인식되었고, 브로디아족(Brodiaeeae)이라고 불렸다. 대부분의 저자는 이를 백합과, 파과, 또는 수선화과에 할당했다. 1985년, 롤프 달그렌, 트레버 클리포드, 그리고 예오는 이를 파과의 브로디아족으로 취급했다.[9]
[1]
논문
A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expanded asparagalean families Amaryllidaceae, Asparagaceae and Xanthorrhoeaceae
2. 형태
잎은 선형이며, 종종 육질이고, 기부에서 닫힌 엽초를 형성한다. 잎맥은 평행맥이다.[4][8]
꽃차례는 산형화서 또는 드물게는 단일 꽃이며, 외떨어진 화경의 정점에 위치한다. 꽃은 양성화이며, 방사대칭이다. 화피는 모두 동일하며, 2개의 돌림으로 3개씩 배열된다.[4][8]
수술은 6개 또는 3개이며 3개의 헛수술과 번갈아 나타난다. 수술과 헛수술은 화피에 부착된다. 꽃밥은 기부착이며 내향이다.[4][8]
씨방은 상위이며 3실이다.[4][8]
열매는 실개열 삭과이다. 씨앗은 흑색소로 덮여 있다.[4][8]
3. 분류사
20세기 말 무렵, 대부분의 저자가 인정한 이질적인 백합과가 여러 번 다계통군임을 보였고, ''브로디아이''와 그 친척들이 ''Allium'' 또는 ''Amaryllis''보다 아스파라거스에 더 가깝다는 것이 점점 더 분명해졌다. 이러한 이유로, 1996년 학술 출판의 Taxon에 게재된 학술 논문에서 테미다과(Themidaceae)가 부활했다.[10] [24][25] '테미다과'라는 학명은 1866년 리처드 앤서니 솔즈베리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11] 이 이름은 솔즈베리가 이 과와 함께 설정한, 현재는 폐지된 속 ''테미스''를 기준명으로 하였다. ''테미스''에 할당된 유일한 종은 ''테미스 이크시오이데스''였다. 이 이름은 1879년 세레노 왓슨에 의해 ''브로디아이 이크시오이데스''로 변경되었고,[12] [26] 1886년 에드워드 리 그린에 의해 ''트리텔레이아 이크시오이데스''로 변경되었다.[13] [27] 북미 식물상에서는 ''트리텔레이아 이크시오이데스''로 알려져 있다.[14]
현화식물 계통분류 그룹이 2003년 APG II 시스템을 발표했을 때, 테미다과는 광의의 아스파라거스과를 더 작은 분리군 과로 나누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선택적인 분류 범위로 취급되었다. APG III 시스템이 2009년에 발표되었을 때, 테미다과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부속 기사에서, 아스파라거스과 내 7개의 아과 중 하나인 브로디아아과로 취급되었다.[1] [15]
4. 하위 속
속(Genus) 학명(Scientific name) 비고 안드로스테피움 Androstephium Torr. 베세라 Bessera Schult.f. 베히리아 포함 블루메리아 Bloomeria Kellogg 브로디아 Brodiaea Sm. 단디아 Dandya H.E.Moore 디켈로스템마 Dichelostemma Kunth 브레보르티아, 디프테로스테몬, 스트로폴리리온 포함 밀라 Milla Cav. 디팔란기움 포함 무일라 Muilla S.Watson ex Benth. 페트로님페 Petronymphe H.E.Moore 트리텔레이아 Triteleia Douglas ex Lindl. 헤페로스코르디움, 테미스 포함 트리텔레이옵시스 Triteleiopsis Hoover 소치케찰리아 Xochiquetzallia J.Gut
약 12속 60종을 포함한다.
5. 계통
20세기 말 무렵, 대부분의 저자가 인정한 이질적인 백합과가 여러 번 다계통군임을 보였고, ''브로디아이''와 그 친척들이 ''Allium'' 또는 ''Amaryllis''보다 아스파라거스에 더 가깝다는 것이 점점 더 분명해졌다. 이러한 이유로, 1996년 학술 출판의 Taxon에 게재된 학술 논문에서 테미다과(Themidaceae)가 부활했다.[10] '테미다과'라는 학명은 1866년 리처드 앤서니 솔즈베리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11] 이 이름은 솔즈베리가 이 과와 함께 설정한, 현재는 폐지된 속 ''테미스''를 기준명으로 하였다. ''테미스''에 할당된 유일한 종은 ''테미스 이크시오이데스''였다. 이 이름은 1879년 세레노 왓슨에 의해 ''브로디아이 이크시오이데스''로 변경되었고,[12] 1886년 에드워드 리 그린에 의해 ''트리텔레이아 이크시오이데스''로 변경되었다.[13] 북미 식물상에서는 ''트리텔레이아 이크시오이데스''로 알려져 있다.[14]
현화식물 계통분류 그룹이 2003년 APG II 시스템을 발표했을 때, 테미다과는 광의의 아스파라거스과를 더 작은 분리군 과로 나누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위한 선택적인 분류 범위로 취급되었다. APG III 시스템이 2009년에 발표되었을 때, 테미다과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부속 기사에서, 아스파라거스과 내 7개의 아과 중 하나인 브로디아아과로 취급되었다.[1]
다음과 같은 계통수가 얻어졌다.[32] Milla clade의 내부 계통은 안정되어 있지 않다.[31]
참조
[2]
서적
"Themidaceae" page 404. In: Vernon H. Heywood, Richard K. Brummitt, Ole Seberg, and Alastair Culham. ''Flowering Plant Families of the World''
Firefly Books
[3]
논문
"Phylogeny, genome size, and chromosome evolution of Asparagales"
[4]
서적
"Themidaceae" pages 436-441. In: Klaus Kubitzki (general editor) with Klaus Kubitzki, Herbert F.J. Huber, Paula J. Rudall, Peter F. Stevens, and Thomas Stützel (volume editors).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volume III
Springer-Verlag
[5]
논문
Molecular and morphological phylogenetic analyses of Themidaceae (Asparagales)
[6]
서적
Flora of North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7]
서적
The New Royal Horticultural Society Dictionary of Gardening
The Macmillan Press,Limited: London. The Stockton Press: New York
[8]
서적
Flowering Plants second edition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9]
서적
The Families of the Monocotyledons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New York, Tokyo
[10]
문서
"Resurrection of Themidaceae for the ''Brodiaea'' alliance, and recircumscription of Alliaceae, Amaryllidaceae, and Agapanthoideae"
[11]
문서
The Genera of Plants. A Fragment Containing Part of Liriogamae
John van Voorst
[12]
문서
"Revision of the North American Liliaceae"
[13]
문서
"Some Genera Which have been Confused Under the Name ''Brodiaea''"
[14]
웹사이트
Triteleia ixioides in Flora of North America @ efloras.org
http://www.efloras.o[...]
2024-06-18
[15]
논문
A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expanded asparagalean families Amaryllidaceae, Asparagaceae and Xanthorrhoeaceae
[16]
서적
"Themidaceae" page 404. In: Vernon H. Heywood, Richard K. Brummitt, Ole Seberg, and Alastair Culham. ''Flowering Plant Families of the World''
Firefly Books
[17]
논문
"Phylogeny, genome size, and chromosome evolution of Asparagales"
[18]
서적
"Themidaceae" pages 436-441. In: Klaus Kubitzki (general editor) with Klaus Kubitzki, Herbert F.J. Huber, Paula J. Rudall, Peter F. Stevens, and Thomas Stützel (volume editors). ''The Families and Genera of Vascular Plants'' volume III
Springer-Verlag
[19]
논문
"Molecular and morphological phylogenetic analyses of Themidaceae (Asparagales)"
[20]
서적
Flora of North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21]
서적
The New Royal Horticultural Society Dictionary of Gardening
The Macmillan Press,Limited: London. The Stockton Press: New York
[22]
서적
Flowering Plants second edition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3]
서적
The Families of the Monocotyledons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New York, Tokyo
[24]
문서
The Genera of Plants. A Fragment Containing Part of Liriogamae
John van Voorst
[25]
문서
"Resurrection of Themidaceae for the ''Brodiaea'' alliance, and recircumscription of Alliaceae, Amaryllidaceae, and Agapanthoideae"
[26]
문서
"Revision of the North American Liliaceae"
[27]
문서
"Some Genera Which have been Confused Under the Name ''Brodiaea''"
[28]
서적
維管束植物分類表
北隆館
2013-04-25
[29]
서적
植物分類表
アボック社
2009-11-02
[30]
간행물
ハナニラ
朝日新聞社
1996-06-09
[31]
논문
Origin and diversification of the Milla Clade (Brodiaeoideae, Asparagaceae): A Neotropical group of six geophytic genera.
[32]
논문
A phylogenetic evaluation of a biosystematic framework: Brodiaea and related petaloid monocots (Themidaceae)
[33]
문서
Plant Life (Stanford)
[34]
논문
A subfamilial classification for the expanded asparagalean families Amaryllidaceae, Asparagaceae and Xanthorrhoeaceae
[35]
서적
"Themidaceae" page 404. In: Vernon H. Heywood, Richard K. Brummitt, Ole Seberg, and Alastair Culham. ''Flowering Plant Families of the World''
Firefly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