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악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리악시스는 고대 그리스의 조각가이다. 그는 카리아의 여왕 아르테미시아 2세가 남편 마우솔로스의 무덤인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을 짓는 작업에서 북쪽을 담당했다. 브리악시스는 로도스 섬에 있던 시리아 왕 셀레우코스의 청동상과 안티오케이아 근처 다프네의 아폴로 상을 제작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라피스 - 아피스
아피스는 고대 이집트에서 숭배된 신성한 황소로, 프타 신의 현현이자 왕권을 상징하며 오시리스의 화신으로 여겨졌고, 헬레니즘 시대에는 세라피스와 동일시되어 숭배되었다. - 세라피스 - 알렉산드리아의 테오필로스 1세
알렉산드리아의 테오필로스 1세는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초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로서, 이교 사원 파괴, 오리게네스주의 논쟁, 요한 크리소스토모스 폐위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동방 정교회에서는 비판받고 콥트 정교회에서는 성인으로 존경받는 인물이다. - 아테나이의 조각가 - 페이디아스
페이디아스는 기원전 5세기 고전기 아테네에서 활동한 고대 그리스의 조각가이자 건축 감독으로, 아테네 파르테논 신전의 아테나 파르테노스상과 올림피아 제우스 신전의 제우스상과 같은 크리소엘레판틴 기법의 조각상 제작에 뛰어났으며 그의 작품은 후대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 아테나이의 조각가 - 레오카레스
레오카레스는 기원전 4세기 고대 그리스 조각가로, 마우솔레움 건설 참여, '베르사유의 다이아나', '벨베데레의 아폴로' 등의 작품과 필리포스 2세, 알렉산더 대왕 초상 조각상 제작으로 유명하며, 인물의 감정 표현과 이상적인 아름다움 구현에 뛰어났다는 평가를 받는다. - 할리카르낫소스 - 할리카르나소스
할리카르나소스는 터키 보드룸에 있던 고대 도시로, 마우솔레움이 건설되어 고대 세계 7대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혔으며, 헤로도토스 등 유명 인물을 배출하였다. - 할리카르낫소스 - 아르테미시아 2세
아르테미시아 2세는 기원전 4세기 카리아의 여왕으로, 남편이자 오빠인 마우솔로스의 사후 그의 업적을 기려 마우솔레움을 건설하고 로도스와의 전쟁에서 군사적 전략을 통해 카리아의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예술과 문화에도 기여하여 식물 속 쑥의 이름이 유래되었다.
브리악시스 |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Βρύασσις (Bryassis) |
직업 | 조각가 |
국적 | 고대 그리스 |
활동 시기 | 기원전 4세기 |
작품 | |
참여 작품 | 할리카르나소스 영묘 |
언급 작품 | 사라피스 상 |
2. 생애
브리악시스는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건설에 참여한 조각가로, 로도스섬에 있던 5개의 거대한 셀레우코스 청동상[7]과 안티오케이아 근처 다프네의 아폴로 상[8]을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1.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
그는 카리아의 여왕 아르테미시아 2세가 동생이자 남편인 마우솔로스의 무덤인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을 짓는 작업에서 북쪽을 담당했다. 당시에 초청을 받은 다른 3인의 조각가들로는 레오카레스, 스코파스, 티모테오스가 있었고, 그들은 각각 한 방위씩을 맡아 조각을 담당하였다. 이 무덤은 마우솔로스가 죽은 지 3년 후에 완성되었고, 그때는 아르테미시아 2세가 죽은 지도 1년이 지난 후였다.[5]2. 2. 세라피스 신상
그는 카리아의 여왕 아르테미시아 2세가 동생이자 남편인 마우솔로스의 무덤인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을 짓는 작업에서 북쪽을 담당했다. 당시에 초청을 받은 다른 3인의 조각가들로는 레오카레스, 스코파스, 그리고 티모테오스가 있었고, 그들은 각각 한 방위씩을 맡아 조각을 담당하였다. 이 무덤은 마우솔로스가 죽은 지 3년 후에 완성되었고, 그때는 아르테미시아가 죽은 지도 1년이 지난 후였다.[5]어떤 작가들은 브리악시스가 알렉산드리아 신전의 유명한 세라피스의 거상을 조각했다는 주장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아돌프 마이클리스와 아테노도로스 카나니테스 등은 브리악시스의 유명세를 빌리기 위해 이름만 빌린 것이라고 지적한다.[6]
2. 3. 기타 작품
카리아의 여왕 아르테미시아 2세가 동생이자 남편인 마우솔로스의 무덤 할리카르나소스의 마우솔레움을 지을 때 브리악시스는 북쪽을 담당했다. 레오카레스, 스코파스, 티모테오스와 함께 초청받아 각자 한 방위씩 맡아 조각했다. 이 무덤은 마우솔로스가 죽은 지 3년 후이자 아르테미시아가 죽은 지 1년 후에 완성되었다.[5]일부 작가들은 브리악시스가 알렉산드리아 신전의 세라피스 거상을 조각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아돌프 마이클리스와 아테노도로스 카나니테스 등은 브리악시스의 유명세를 빌리기 위해 이름만 빌린 것이라고 지적한다.[6] 브리악시스의 작품으로는 로도스섬에 있던 5개의 거대한 시리아 왕 셀레우코스의 청동상[7]과 안티오케이아 근처 다프네의 아폴로 상이 있다.[8]
참조
[1]
서적
The Mausoleum of Halicarnassus
https://archive.org/[...]
John Murray
[2]
논문
Sarapis Standing on a Xanthian Marble in the British Museum
https://books.google[...]
[3]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s://books.google[...]
Charles C. Little, and James Brown
[4]
서적
A Handbook of Greek Sculptures
https://books.google[...]
Macmillan and Co
[5]
서적
The Mausoleum of Halicarnassus
https://books.google[...]
John Murray
[6]
서적
Journal of Hellenistic Studies
https://books.google[...]
[7]
서적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Biography and Mythology
https://books.google[...]
Charles C. Little, and James Brown
[8]
서적
A Handbook of Greek Sculptures
https://books.google[...]
Macmillan and 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