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리아의 테오필로스 1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산드리아의 테오필로스 1세는 385년부터 412년까지 알렉산드리아의 총대주교였다. 그는 391년 세라피움 파괴를 주도하며 이교도 사원을 파괴하고 유물을 조롱하여 이교도들의 반발을 샀다. 오리게네스주의 논쟁과 참나무 시노드에 관여했으며, 부활절 표를 테오도시우스 1세에게 헌정했다. 콥트 정교회에서 성인으로 존경받으며, 달의 분화구 이름으로도 사용되었다. 또한 롱펠로우의 소설과 영화 《아고라》에 등장하며, 여러 저술을 남겼다.
테오필로스는 391년경 이교 사원을 발견하고 그 유물들을 공개적으로 전시하며 조롱하여 이교도들의 분노를 샀다. 이로 인해 이교도들과 기독교도들 사이에 충돌이 발생했고, 황제의 명령으로 이교도 사원인 세라피움이 파괴되었다. 이 사건은 기독교의 승리를 상징하는 사건으로 여겨졌다. (자세한 내용은 세라피움 파괴 참조)
테오필로스는 키 롱펠로우의 소설 『은처럼 흘러내려라, 알렉산드리아의 히파티아』에 등장하며, 2009년 영화 《아고라》에서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감독에 의해 마누엘 카우치가 연기한 인물로 등장한다. 달의 테오필루스 분화구는 그를 기려 명명되었으며, 알렉산드리아의 저명한 기독교인들의 이름을 딴 세 개의 달 분화구 그룹 중 하나이다.
2. 생애와 업적
테오필로스는 오리게네스의 추종자들을 처음에는 지지했지만, 나중에는 등을 돌렸다. 그는 399년 자신의 목회 서신에서 비물질적인 신에 대한 오리게네스의 관점을 비판하고, 인신동형론적인 신 개념을 지지했다.[5]
403년, 테오필로스는 콘스탄티노플에서 열린 "참나무 시노드"를 주재하여 요한 크리소스토모스를 폐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7월 10일에 테오필로스의 명령으로 인해 살해된 1만 명의 수도승을 기념한다. 한편, 그의 조카이자 후계자인 키릴로스는 동방과 서방 기독교에서 성인으로 추대되었는데, 아시리아 동방 교회는 키릴로스의 신학적 입장 때문에 그를 성인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테오필로스는 테오도시우스 1세 황제에게 부활절 표를 헌정하여 환심을 샀다.[6] 테오필로스의 부활절 표는 메톤 19년 음력 주기를 기초로 하고 있는데, 이는 아나톨리우스가 발명한 것이다.[7] 이 주기는 5세기에 아나니아누스에 의해 도입되었고, 키릴로스가 채택했으며,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의 부활절 표와 비드의 부활절 표의 기본 구조가 되었다.[8][9]
2. 1. 세라피움 파괴
391년, 테오필로스는 이교도 사원을 발견하고 이교도 유물을 조롱하며 대중에게 전시했다. 이는 이교도들의 분노를 사 기독교도들을 공격하게 했고, 기독교 측의 반격으로 이교도들은 세라피움으로 후퇴했다. 테오필로스는 황제로부터 공격적인 이교도들을 용서하고 사원을 파괴하라는 지시를 받았는데, 소크라테스 스콜라스티쿠스에 따르면 사원 파괴는 테오필로스의 강력한 요청으로 추가되었다.[3]
스콜라스티쿠스는 테오필로스가 미트라움을 청소하고 세라피움을 파괴했으며, 프리아포스의 남근을 포럼 한가운데로 운반하게 했다고 전한다. 이교 사원은 땅에 무너졌고, 신상들은 녹여져 알렉산드리아 교회를 위한 도구로 만들어졌다.[3]
세라피움의 파괴는 많은 이들에게 기독교가 다른 종교를 이긴 것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7세기 니키우의 요한에 따르면, 철학자 히파티아가 린치당하고 피부 껍질이 벗겨졌을 때, 폭도들은 테오필로스의 조카이자 후계자인 키릴로스를 "도시에서 우상 숭배의 마지막 잔재를 파괴했기 때문에 새로운 테오필로스"라고 환호했다.[4]
3. 유산과 평가
테오필루스 교황은 콥트 정교회 내에서만 성인으로 존경받으며, 그의 성인성은 동방 정교회, 로마 가톨릭교회, 또는 아시리아 동방 교회에서는 인정되지 않는다.
3. 1. 부활절 표
테오필루스는 경건한 기독교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379~395년)에게 부활절 표를 헌정함으로써(서기 390년경) 그에게 호의를 얻었다.[6] 테오필루스의 부활절 표는 남아있지 않지만,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은 그 표의 기초가 된 메톤 19년 음력 주기가 3세기의 3/4분기에 어딘가에서 아나톨리우스에 의해 발명되었지만, 고전적인 알렉산드리아의 19년 음력 주기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는 것이다.[7] 이 고전적인 알렉산드리아의 19년 음력 주기는 5세기에 아나니아누스에 의해 도입되었고, 테오필루스의 후계자인 키릴루스에 의해 채택되었으며, 그의 율리우스력에 해당하는 것은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의 부활절 표의 메톤 주기의 기본 구조가 되었다.[8] 비드의 부활절 표는 디오니시우스 엑시구스의 부활절 표의 정확한 확장판이다.[9]
3. 2. 대중문화
테오필로스는 키 롱펠로우의 소설 『은처럼 흘러내려라, 알렉산드리아의 히파티아』에 등장한다.
그는 2009년 영화 《아고라》에서 알레한드로 아메나바르 감독에 의해 마누엘 카우치가 연기한 인물로 등장한다.[1]
4. 저술
- 예로니모, 교황 아나스타시우스 1세, 교황 인노첸시오 1세와의 서신
- 테오필로스의 환시
- 크리소스토모스를 반대하는 논문
- 십자가형과 선한 도둑에 대한 강론
- 예로니모가 번역한 강론 (미그네에 보존됨)
- 다른 강론들은 콥트어와 게에즈어 번역본으로만 남아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t. Theophilus is listed as a Holy Father at the Second Council of Constantinople
https://www.newadven[...]
[2]
웹사이트
St. Theophilus is again listed as a Holy Father in Canon 2, Council of Trullo
https://www.newadven[...]
[3]
서적
The Ecclesiastical History
[4]
간행물
Chronicle
[5]
서적
Golden Mouth
Cornell University Press
[6]
논문
2008
[7]
논문
2017
[8]
논문
2008
[9]
논문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