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하드라타 마우리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브리하드라타 마우리아는 기원전 187년에 마우리아 왕조의 왕위를 계승하여 3년간 통치한 마우리아 왕조의 마지막 군주이다. 그는 불교에 충실했으며, 아소카 왕 시대에 비해 축소된 영토를 다스렸다. 기원전 185년 또는 184년에 장군 푸샤미트라 숭가에게 암살당했으며, 푸샤미트라 숭가는 숭가 왕조를 세웠다. 브리하드라타의 죽음은 인도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으며, 그리스-박트리아 왕국 데메트리오스 1세의 침공으로 이어져 인도와 그리스 세계 간의 교류를 촉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185년 사망 - 유광 (덕애후)
유광은 전한 초 고조 유방의 공신으로 덕후에 봉해졌으며, 사후 그의 아들이 작위를 이었으나, 그의 손자를 오왕에 봉하려던 계획은 무산되었다. - 기원전 185년 사망 - 적후
적후는 한나라 초 연나라의 현령과 도위를 지냈으며 서초와의 전투에서 공을 세워 연후에 봉해지고 식읍을 받았으며, 연간후 12년에 사망하여 간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 살해된 기원전 2세기 군주 - 나비스
나비스는 쇠퇴하는 스파르타의 국력 회복을 위해 급진적인 정책을 펼쳤으나 내부 반발과 대외 갈등을 야기하여 암살당하고 스파르타는 독립을 잃었다. - 살해된 기원전 2세기 군주 - 시몬 마카베오
시몬 마카베오는 하스몬 가문의 일원으로서 유다 마카베오, 요나단 압푸스와 함께 셀레우코스 제국에 맞서 유대인 반란을 이끌어 독립을 쟁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요나단 사후 유대인 지도자가 되어 하스몬 왕조의 초대 군주로서 유대의 자치를 확립하고 국제적인 승인을 받았으나 사위의 배신으로 암살당했다. - 기원전 2세기 인도의 군주 - 샤타단반
샤타단반은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가 없는 대상이며, 빈 문서 상태로 추가 정보가 없어 내용이 전무하다. - 기원전 2세기 인도의 군주 - 데바바르만
데바바르만은 현재까지 알려진 정보가 없는 인물 또는 개념이다.
브리하드라타 마우리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통치 기간 | 기원전 187년 ~ 기원전 185년 (추정) |
계승 | 마가다 황제 |
이전 | 샤타단반 |
이후 | 푸시야미트라 숭가 (숭가 왕조 황제) |
출생지 | 파탈리푸트라, 마우리아 제국 (현재의 인도비하르 주) |
사망일 | 기원전 185년 (추정) |
사망지 | 파탈리푸트라, 마우리아 제국 (현재의 인도비하르 주) |
왕조 | 마우리아 왕조 |
종교 | (정보 없음) |
아버지 | 샤타단반 |
기타 정보 | |
다른 이름 | 브리하드 (영어식 발음) |
2. 치세
브리하드라타는 아버지 샤타단반(혹은 사타단반)의 뒤를 이어 마우리아 왕조의 왕위에 올랐다. 푸라나 문헌에 따르면 그의 재위 기간은 자료에 따라 3년 또는 그 이상으로 나타난다.[1] 마가다 고고학적 발견에 의해 최후의 군주로 여겨진다.
그는 불교에 충실했다고 여겨지며, 즉위했을 때 마우리아 왕조의 영토는 왕도 파탈리푸트라를 중심으로 아소카 왕 시대에 비해 축소되어 있었다.
2. 1. 푸시야미트라 숭가에 의한 왕조 전복
기원전 187년 아버지 사타단반에게서 왕위를 물려받은 브리하드라타는 기원전 185년(혹은 기원전 184년) 자신의 장군이었던 푸시야미트라 숭가에게 살해당했다.[7] 바나바타의 《하르샤차리타》에 따르면, 푸시야미트라는 브리하드라타에게 군대의 힘을 보여준다는 구실로 전 마우리아 왕조 군대를 동원했고, 군대 앞에서 브리하드라타를 살해했다.[8][2] 이로써 마우리아 왕조는 멸망하고 숭가 왕조가 시작되었다.2. 2. 데메트리오스 1세의 침공
기원전 185년경, 인도 북서부(오늘날의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일부)는 그리스-박트리아 왕 데메트리오스 1세(다르마미타)에게 침공받았다.[9] 마우리아 왕조는 그리스와 외교 동맹을 맺고 있었으며, 그리스-박트리아인들은 마우리아를 동맹국으로 간주했을 가능성이 있다. 스리랑카 승려 바드라의 기록에 따르면, 브리하드라타는 데메트리오스 1세의 딸 베레니케(팔리어 문헌에서는 수바른나키시)와 결혼했다고 한다.[9] 이러한 혼인 동맹은 양국 간의 관계를 더욱 강화했을 수 있다. 일설에는 그리스-박트리아의 인도 침공이 인도 내 그리스인들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이었을 수 있다고 한다.[10]데메트리오스 1세는 카불 계곡과 펀자브 일부 지역을 점령했으나,[10] 곧 박트리아로 돌아가 에우크라티데스 1세로 추정되는 세력과 전투를 벌였다.[10] ''유가 푸라나''에 기록된 야바나(인도-그리스)의 파탈리푸트라 침공 설은 다르마미타 왕(데메트리오스 1세)의 원정을 묘사하고 있다.[11][12] 이 기록에 따르면, 야바나 군대는 사케타, 판찰라, 마투라를 거쳐 쿠수마드바자(파탈리푸트라)에 도달했고, 도시의 진흙 성벽이 무너진 후 혼란이 발생했다.[11][12]
3. 평가 및 영향
브리하드라타 마우리아의 죽음과 마우리아 왕조의 멸망은 인도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그의 장군이었던 푸시야미트라 숭가가 그를 살해하고 숭가 왕조를 건국하면서, 인도 북부 지역에는 정치적, 문화적 변화가 일어났다.[2] 바나바타의 《하르샤차리타》에 따르면 푸시야미트라는 브리하드라타에게 마우리아 군대의 전력을 보여주는 척하면서 그를 살해했다고 한다.[2]
그레코-박트리아 왕 데메트리우스의 침공은 인도와 그리스 세계 간의 교류를 더욱 촉진하는 계기가 되었다.[3] 마우리아 제국은 그리스인들과 외교적 동맹을 맺고 있었기 때문에, 그레코-박트리아인들에게 동맹으로 여겨졌을 수도 있다.[3] 브리하드라타가 데메트리우스의 딸과 결혼했다는 기록도 이러한 관계를 보여준다.[3] ''유가 푸라나''에서는 야바나 족이 파탈리푸트라를 침공하여 혼란을 야기했다는 기록이 있다.[5][6]
참조
[1]
서적
Aśoka and the decline of the Mauryas : with new afterword, bibliography and index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2]
서적
Indigenous States of Northern India (Circa 200 B.C. to 320 A.D.)
University of Calcutta
1974
[3]
간행물
The Greeks and the Mauryas
https://archive.org/[...]
1971
[4]
서적
Indigenous States of Northern India (Circa 200 B.C. to 320 A.D.)
University of Calcutta
1974
[5]
서적
The Yuga Purana
https://archive.org/[...]
The Asiatic Society
1986
[6]
간행물
The Sungas, Kanvas, Republican Kingdoms and Monarchies, Mahameghavahanas
https://www.academia[...]
[7]
서적
Aśoka and the decline of the Mauryas : with new afterword, bibliography and index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8]
서적
Indigenous States of Northern India (Circa 200 B.C. to 320 A.D.)
University of Calcutta
1974
[9]
간행물
The Greeks and the Mauryas
https://archive.org/[...]
1971
[10]
서적
Indigenous States of Northern India (Circa 200 B.C. to 320 A.D.)
University of Calcutta
1974
[11]
서적
The Yuga Purana
https://archive.org/[...]
The Asiatic Society
1986
[12]
간행물
The Sungas, Kanvas, Republican Kingdoms and Monarchies, Mahameghavahanas
https://www.academ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