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블루리본상 (영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블루리본상은 일본 도쿄 영화기자회가 주최하는 영화 시상식으로, 1950년 시작되어 일본 영화계의 권위 있는 상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처음에는 파란 리본으로 묶인 상장으로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몽블랑 만년필이 부상으로 수여된다. 1960년대에 일시 중단되었다가 1975년에 부활했으며, 최우수 작품상, 남녀 주연상, 조연상, 감독상, 신인상 등 다양한 부문을 시상한다. 블루리본상은 일본 영화의 새로운 재능을 발굴하고, 일본 영화 발전에 기여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0년 시작된 행사 - 삿포로 눈축제
    삿포로 눈축제는 1950년 삿포로시 오도리 공원에서 시작되어 육상자위대의 참여와 1972년 삿포로 동계올림픽 개최를 통해 세계적으로 알려졌으며, 국제 눈 조각 콘테스트와 스스키노 아이스 월드를 포함하여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을 거쳐 2024년 정상 규모로 개최되었다.
  • 1950년 시작된 행사 - 국제기능올림픽대회
    국제기능올림픽대회는 젊은 기술 인재들의 기량 경쟁과 교류를 증진하기 위해 2년에 한 번씩 개최되는 국제 행사이다.
  • 일본의 영화상 -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마이니치 신문사 주최로 1935년 시작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단을 거쳐 1946년 재개된 일본의 영화상인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는 일본 영화 대상, 남녀 주연상 등 다양한 부문을 시상하며 매년 2월 시상식이 열리고, 《어느 밤의 영주》, 《이키루》, 《신 고지라》, 《만비키 가족》 등의 역대 수상작이 있다.
  • 일본의 영화상 - 일본 아카데미상
    일본 아카데미상은 일본 영화의 발전 장려와 영화인들의 업적 기리기 위해 1978년 창설되어 협회 회원들의 투표로 수상작을 결정하며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연기상, 기술 부문상, 애니메이션 작품상 등을 시상하는 권위 있는 영화상이지만, 대형 배급사 작품 위주 선정 및 대중성 치중 경향에 대한 비판도 있다.
  • 1950년 설립 - 한국은행
    한국은행은 대한민국 원의 발행권을 가지며 통화신용정책 수립 및 집행, 금융기관에 대한 여신 업무, 한국은행권 발행 등을 수행하는 무자본 특수법인이다.
  • 1950년 설립 - 조선인민군 총정치국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은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의 통제를 받으며 군내 당 조직 및 근로 단체 활동 지도, 정치사상 교육, 선전, 선동을 담당하는 핵심 기관으로, 조직부가 군 간부 인사권을 행사하고 판문점대표부는 대남 정책 및 군사 전략 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블루리본상 (영화) - [상(Prize)]에 관한 문서
영화상 정보
이름블루 리본상
수여 대상영화 제작에서의 우수성
주최도쿄 영화 기자회
국가일본
시상 시기매년 2월
시상 장소이이노 홀
첫 시상1950년
최근 시상2023년 (66회)
웹사이트https://web.archive.org/web/20131019083904/cinemahochi.yomiuri.co.jp/b_award/%7C블루 리본상 공식 웹사이트 (보관됨)

2. 역사

1950년, 요미우리 신문, 아사히 신문, 마이니치 신문의 영화 담당 기자들이 주도하여 "도쿄 영화기자회"를 결성하고, 1년간의 영화계를 결산하는 상을 제정할 것을 제안했다.[2][13] 이 제안은 기자들 간의 논의를 통해 "'''도쿄 영화기자회상'''"이라는 이름으로 구체화되었으며,[11] "'''일본 영화문화상'''"으로 시작되었다는 설도 있다.[3][14][15]

1951년 3월 22일, 도쿄도 주오 구 츠키지에 위치한 도쿄극장에서 제1회 시상식이 개최되었다.[2][14] 당시 어려운 재정 상황으로 인해 수상자에게는 파란 리본으로 묶은 손으로 쓴 증서가 수여되었는데, 이것이 "블루리본상"이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2] 현재는 수상 이유가 적힌 일본 종이 증서와 수상자 이름이 새겨진 몽블랑 만년필이 파란 리본으로 묶여 수여된다.[2] 제2회부터 신인상이 수여되기 시작했다.[2]

제4회(1953년)부터 제7회(1956년)까지는 긴자의 남기좌(並木座)에서 도호의 프로듀서 후지모토 사네즈미의 협력 하에 시상식이 개최되었으며,[4][16][17][18][19] 만화가 요코야마 타이조가 디자인한 조형물이 사용되기도 했다.[2][5]

도쿄 영화기자회는 최대 17개 신문사 및 통신사, 80명의 회원으로 성장했지만, 규모가 커짐에 따라 수상자 선정 방식을 둘러싼 의견 차이가 발생했다.[11] 미야코 히바리의 대중상 사전 활동 소문과 더불어,[20] 일반 신문보다 스포츠 신문 기자의 표가 많은 것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었다.[13] 결국 1960년 3월, 요미우리 신문, 아사히 신문, 마이니치 신문, 산케이 신문, 도쿄 신문, 닛케이 신문 등 주요 6개 신문사와 교도 통신이 블루리본상 지원을 철회했다.[2][11][21] 이후 블루리본상은 스포츠지를 중심으로 한 신문사 주최로 운영되고 있다.[11]

1967년(쇼와 42년), 신문 기자가 심사위원을 맡는 일본 레코드 대상의 "검은 안개"(黒い霧) 소문을 의식한 신문사 상층부가, 기자회 주최의 상을 그만두도록 엄명했고,[13] 제17회(1966년도)를 마지막으로 블루리본상은 일시 폐지되었다.[11][13]

하지만 젊은 기자들을 중심으로 재개를 바라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1973년 가을에 블루리본 부활 준비위원회가 발족되었고, 1975년도에 재개되었다.[11] 재개된 블루리본 상은 키네마 준보상과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와 함께 일본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내 영화상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1966년 자유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정치 스캔들인 "흑운 사건"의 여파[6]로 블루리본상을 비롯한 다른 시상도 일시 중단되었다.[1][7] 특히 젊은 세대 기자들의 시상식 재개 요청이 많아 1975년에 시상이 부활했다.[2] 1960년대에 7,457개였던 일본 영화 상영관 수는 1975년에 2,443개로 줄어드는 등 일본 영화계 전체가 쇠퇴기를 맞았지만, 시상식 재개 소식은 영화 산업 개혁의 동기가 되었다.[8]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지는 않지만, 블루리본상은 키네마 준포 쇼/키네마 준보상일본어와 와 함께 일본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내 영화상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이 상을 수상하는 것은 큰 영광으로 여겨지며, 수상작들은 세계 각국의 다른 영화제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는 경향이 있다. 수상작 및 후보작으로는 ''숨겨진 요새''(1958), ''벌레 여자''(1963), ''복수는 나의 것''(1979), ''바닷가의 한 장면''(1991),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2001), ''황혼의 사무라이''(2002), ''아무도 모른다''(2004), ''배틀 로열''(2001), ''신 고질라''(2016), ''후쿠시마 50''(2020), ''고질라 미너스 원''(2023) 등이 있다.

시상식은 전년도 남우주연상 및 여우주연상 수상자가 사회를 맡아 진행되며, 1975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개최되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2024년 제66회 시상식을 재개했으며, 사회는 배쇼 치에코와 아라시니노미야 카즈나리가 맡았다.[9][10] 도쿄 영화 기자 협회는 2024년 1월 23일 블루리본상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을 개설했다.[9]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수도권에서 개봉된 모든 작품을 대상으로 1월에 심사가 진행된다. 작품, 감독,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신인상(감독 포함, 영화 데뷔 2년 이내 대상), 외국 영화 부문이 있다. 해마다 스태프상이나 특별상이 선정되기도 한다. 전년도 말까지 기자 회원 전원의 투표로 선정된 후보들 중에서 심사회에서 합의 후 투표로 과반수를 득표한 작품 및 인물에게 상이 수여된다.[11] 심사에 있어서는 연기뿐만 아니라 영화에 대한 태도와 인격 또한 고려 대상이다.[22]

시상식은 2월에 개최되며, 수상자 발표 시 각 신문에 시상식 무료 초청 독자 응모 요강이 게재된다. "영화기자들의 수제 상"을 표방하는 만큼, 이 심사뿐만 아니라 시상식장 설치, 조명·음향, 관객 유도 등의 뒷받침 업무도 모두 각 신문의 영화기자들이 담당한다.[11][12]

사회자는 전년도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수상 배우가 맡는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도부터 2022년도까지 시상식은 개최되지 않았다.

시작 당시에는 주최 측의 재정이 어려워 수상자에게 줄 상금도 없었고, 상장을 파란색 리본으로 묶어 전달한 것에서 "블루리본상"이라고 불리게 되었고, 나중에 정식 명칭이 되었다.[11] 현재도 계속되는 이 파란 리본에는 "푸른 하늘 아래에서 취재한 기자가 선정한다"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12][22] 이 외에도 기자의 상징인 펜을 상품으로 하고[22], 수상자 이름이 새겨진 몽블랑(Montblanc) 만년필 1개가 증정된다.[11]

2. 1. 창립 배경 및 초기 (1950년대)

1950년, 요미우리 신문, 아사히 신문, 마이니치 신문의 영화 담당 기자들이 주도하여 "도쿄 영화기자회"를 결성하고, 1년간의 영화계를 결산하는 상을 제정할 것을 제안했다.[2][13] 이 제안은 기자들 간의 논의를 통해 "'''도쿄 영화기자회상'''"이라는 이름으로 구체화되었으며,[11] "'''일본 영화문화상'''"으로 시작되었다는 설도 있다.[3][14][15]

1951년 3월 22일, 도쿄도 주오 구 츠키지에 위치한 도쿄극장에서 제1회 시상식이 개최되었다.[2][14] 당시 어려운 재정 상황으로 인해 수상자에게는 파란 리본으로 묶은 손으로 쓴 증서가 수여되었는데, 이것이 "블루리본상"이라는 이름의 유래가 되었다.[2] 현재는 수상 이유가 적힌 일본 종이 증서와 수상자 이름이 새겨진 몽블랑 만년필이 파란 리본으로 묶여 수여된다.[2] 제2회부터 신인상이 수여되기 시작했다.[2]

제4회(1953년)부터 제7회(1956년)까지는 긴자의 남기좌(並木座)에서 도호의 프로듀서 후지모토 사네즈미의 협력 하에 시상식이 개최되었으며,[4][16][17][18][19] 만화가 요코야마 타이조가 디자인한 조형물이 사용되기도 했다.[2][5]

도쿄 영화기자회는 최대 17개 신문사 및 통신사, 80명의 회원으로 성장했지만, 규모가 커짐에 따라 수상자 선정 방식을 둘러싼 의견 차이가 발생했다.[11] 미야코 히바리의 대중상 사전 활동 소문과 더불어,[20] 일반 신문보다 스포츠 신문 기자의 표가 많은 것에 대한 불만이 제기되었다.[13] 결국 1960년 3월, 요미우리 신문, 아사히 신문, 마이니치 신문, 산케이 신문, 도쿄 신문, 닛케이 신문 등 주요 6개 신문사와 교도 통신이 블루리본상 지원을 철회했다.[2][11][21] 이후 블루리본상은 스포츠지를 중심으로 한 신문사 주최로 운영되고 있다.[11]

2. 2. 중단과 부활 (1960년대 ~ 1970년대)

1950년, 아사히 신문의 이자와 준(井沢淳)이 마이니치 신문의 오카모토 히로시(岡本博), 요미우리 신문의 타니무라 킨이치(谷村錦一) 등을 포함한 "도쿄 영화기자회" 기자 회원들에게 제안하여[13] 1년간의 영화계를 총괄하는 기자들 간의 결산 결과를 상으로 세상에 발표한다는 취지로 "'''도쿄 영화기자회상'''"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11] "'''일본 영화문화상'''"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다는 자료도 존재한다.[14][13][15] 1951년 3월 22일, 도쿄 츠키지에 있던 도쿄극장에서 제1회 시상식이 거행되었다.[14] 당시 자금 사정이 어려워 수상자에게는 파란 리본으로 묶은 손으로 쓴 증서만 수여되었는데, 이것이 "블루리본상"이라는 이름의 유래이다.[2]

제4회(1953년)부터 제7회(1956년)까지는 긴자 나미키자(並木座)에서 도호의 프로듀서 후지모토 사네즈미가 소유주로서 협력하여 시상식이 개최되었다.[4] 이 시상식에는 만화가 요코야마 타이조가 디자인한 조형물이 포함되었다.[2][5]

초기에는 기자들의 친목 단체로 시작된 도쿄 영화기자회였지만, 최대 시점에는 도쿄에 있는 일간지·통신사의 가맹사는 17개사, 회원 수는 80명을 넘는 규모로 성장했고, 규모가 커짐에 따라 심사에 대한 생각에 차이가 생기게 되었다.[11] 1960년 3월, 요미우리 신문, 아사히 신문, 마이니치 신문, 산케이 신문, 도쿄 신문, 닛케이 신문 6개 주요 일본 신문과 교도 통신이 블루리본상에 대한 지원을 철회했다.[11][21]

1967년(쇼와 42년), 신문 기자가 심사위원을 맡는 일본 레코드 대상의 "검은 안개"(黒い霧) 소문을 의식한 신문사 상층부가, 기자회 주최의 상을 그만두도록 엄명했고,[13] 제17회(1966년도)를 마지막으로 블루리본상은 일시 폐지되었다.[11][13]

하지만 젊은 기자들을 중심으로 재개를 바라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1973년 가을에 블루리본 부활 준비위원회가 발족되었고, 1975년도에 재개되었다.[11] 재개된 블루리본 상은 키네마 준보상과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와 함께 일본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내 영화상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2. 3. 현재 (1980년대 ~ 현재)

1966년 자유민주당을 중심으로 한 정치 스캔들인 "흑운 사건"의 여파[6]로 블루리본상을 비롯한 다른 시상도 일시 중단되었다.[1][7] 특히 젊은 세대 기자들의 시상식 재개 요청이 많아 1975년에 시상이 부활했다.[2] 1960년대에 7,457개였던 일본 영화 상영관 수는 1975년에 2,443개로 줄어드는 등 일본 영화계 전체가 쇠퇴기를 맞았지만, 시상식 재개 소식은 영화 산업 개혁의 동기가 되었다.[8]

국제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지는 않지만, 블루리본상은 키네마 준포 쇼/키네마 준보상일본어와 와 함께 일본에서 가장 권위 있는 국내 영화상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이 상을 수상하는 것은 큰 영광으로 여겨지며, 수상작들은 세계 각국의 다른 영화제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는 경향이 있다. 수상작 및 후보작으로는 ''숨겨진 요새''(1958), ''벌레 여자''(1963), ''복수는 나의 것''(1979), ''바닷가의 한 장면''(1991),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2001), ''황혼의 사무라이''(2002), ''아무도 모른다''(2004), ''배틀 로열''(2001), ''신 고질라''(2016), ''후쿠시마 50''(2020), ''고질라 미너스 원''(2023) 등이 있다.

시상식은 전년도 남우주연상 및 여우주연상 수상자가 사회를 맡아 진행되며, 1975년부터 2020년까지 매년 개최되었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2024년 제66회 시상식을 재개했으며, 사회는 배쇼 치에코와 아라시니노미야 카즈나리가 맡았다.[9][10] 도쿄 영화 기자 협회는 2024년 1월 23일 블루리본상 공식 X(구 트위터) 계정을 개설했다.[9]

3. 시상 부문

2011년 제54회 시상식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부문이 있었다.[11]


  • 최우수 작품상
  • 최우수 남우주연상
  • 최우수 여우주연상
  • 최우수 남우조연상
  • 최우수 여우조연상
  • 최우수 감독상
  • 최우수 외국영화상
  • 신인상
  • 최우수 각본상
  • 최우수 촬영상
  • 특별상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수도권에서 개봉된 모든 작품을 대상으로 1월에 심사가 진행된다.[11] 작품, 감독,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남우조연상, 여우조연상, 신인상(감독 포함, 영화 데뷔 2년 이내 대상), 외국 영화 부문이 있다.[11] 해마다 스태프상이나 특별상이 선정되기도 한다.[11] 전년도 말까지 기자 회원 전원의 투표로 선정된 후보들 중에서 심사회에서 합의 후 투표로 과반수를 득표한 작품 및 인물에게 상이 수여된다.[11] 심사에 있어서는 연기뿐만 아니라 영화에 대한 태도와 인격 또한 고려 대상이다.[22]

시상식은 2월에 개최되며, 수상자 발표 시 각 신문에 시상식 무료 초청 독자 응모 요강이 게재된다.[11] "영화기자들의 수제 상"을 표방하는 만큼, 이 심사뿐만 아니라 시상식장 설치, 조명·음향, 관객 유도 등의 뒷받침 업무도 모두 각 신문의 영화기자들이 담당한다.[11][12]

사회자는 전년도 남우주연상, 여우주연상 수상 배우가 맡는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2020년도부터 2022년도까지 시상식은 개최되지 않았다.

3. 1. 주요 부문

2011년 제54회 시상식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부문이 있다.

  • 최우수 작품상
  • 최우수 남우주연상
  • 최우수 여우주연상
  • 최우수 남우조연상
  • 최우수 여우조연상
  • 최우수 감독상
  • 최우수 외국영화상
  • 신인상
  • 최우수 각본상
  • 최우수 촬영상
  • 특별상

3. 2. 기타 부문

2011년 제54회 시상식 기준으로, 최우수 작품상, 최우수 남우주연상, 최우수 여우주연상, 최우수 남우조연상, 최우수 여우조연상, 최우수 감독상, 최우수 외국영화상, 신인상, 최우수 각본상, 최우수 촬영상, 특별상 부문이 있다.

4. 특징 및 영향

블루리본상은 주최 측의 재정난으로 수상자에게 줄 상금이 없어 상장을 파란색 리본으로 묶어 전달하면서 유래되었다.[11] 이 파란 리본에는 "푸른 하늘 아래에서 취재한 기자가 선정한다"라는 의미가 담겨 있으며[12][22], 현재도 이 전통이 이어지고 있다. 기자의 상징인 펜을 상품으로 하며[22], 수상자 이름이 새겨진 몽블랑 만년필 1개가 증정된다.[11]

이러한 일화는 블루리본상이 일본 영화계 최고의 영예로 여겨지는 근거가 된다. 신문 기자들의 선구적인 정신으로 새로운 재능을 일찍 발견한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꼽힌다.[11][13] 미쿠니 렌타로(三國連太郎), 이시하라 유지로(石原裕次郎), 이마무라 쇼헤이(今村昌平) 감독, 오시마 나기사(大島渚) 감독 등에게 다른 영화상보다 먼저 신인상을 수여하여 격려했다.[11][13] 이와시타 시마(岩下志麻), 우라야마 키요로(浦山桐郎), 사토 준야(佐藤純彌), 쿠마이 케이(熊井啓), 와타루 테츠야(渡哲也), 오타케 시노부(大竹しのぶ), 미우라 유와(三浦友和), 하라다 미에코(原田美枝子), 오바야시 노리히코(大林宣彦), 미호 준(美保純) 등도 블루리본상을 통해 발굴되었고, 이들은 일본 영화의 중추로 활약하고 있다.[13]

연기상에서도 미후네 토시로(三船敏郎), 사다 케이지(佐田啓二), 후란키 사카이(フランキー堺), 요시나가 사유리(吉永小百合), 이와시타 시마, 나츠메 마사코(夏目雅子), 야쿠시마루 히로코(薬師丸ひろ子) 등에게 다른 어떤 영화상보다 빨리 상을 수여했다.[13]

누벨바그가 유행하는 가운데, 『나츠카시이 후라이보(なつかしい風来坊)』을 수상작으로 선정함으로써, 주목받지 못했던 야마다 요지(山田洋次) 감독을 주목받는 위치에 올려놓았다.[13]

5. 역대 수상작

표기 연도는 대상 영화의 연도이며, 시상식은 다음 해 2월에 열린다.

6. 한국 영화 및 영화인과의 관계

참조

[1] 웹사이트 ブルーリボン賞の歴代受賞作一覧 https://mihocinema.c[...] 2019-03-09
[2] 웹사이트 ブルーリボン賞とは http://hochi.yomiuri[...] 2024-01-24
[3] 웹사이트 50 今井正監督の「また逢う日まで」が2冠で初代王者に http://cinemahochi.y[...] 2024-01-24
[4] 웹사이트 成瀬巳喜男のこの1本! 2005年成瀬巳喜男生誕百年記念ブログ(続行中) 銀座並木座 http://blog.livedoor[...] 2020-09-01
[5] 웹사이트 53 新設の大衆賞は昭和の大スター長谷川一夫に http://cinemahochi.y[...] 2024-01-24
[6] 서적 Syndromes of Corruption: Wealth, Power, and Democra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7] 웹사이트 66 ハナ肇が山田洋次監督2作品で初の主演男優賞 http://cinemahochi.y[...] 2024-01-24
[8] 웹사이트 75 ハナ肇と吉永小百合の司会で9年ぶりに復活 http://cinemahochi.y[...] 2024-01-24
[9] 뉴스 ブルーリボン賞公式Xが開設 受賞者は近日発表、授賞式は2月上旬に4年ぶり開催 https://www.tokyo-sp[...] 2024-01-23
[10] 뉴스 吉永小百合"息子"二宮和也から独立前報告あったと明かす「応援する」BR授賞式での再会心待ち https://www.nikkansp[...] 2024-01-24
[11] 웹사이트 ブルーリボン賞とは http://hochi.yomiuri[...] スポーツ報知 2014-01-10
[12] 뉴스 【宮路美穂のミヤジ屋】思い出すと背筋伸びるピエール瀧の言葉 http://www.hochi.co.[...] 2014-09-14
[13] 서적 映画賞・映画祭日本・外国受賞作品大全集 : 栄光と虚栄・アカデミー賞からヨコハマ映画祭 芳賀書店 1986-06
[14] 웹사이트 シネマ報知 ブルーリボン賞ヒストリー 今井正監督の「また逢う日まで」が2冠で初代王者に http://cinemahochi.y[...] 2012-02-19
[15] 서적 「映画の賞事典」チラシ https://www.nichigai[...] 日外アソシエーツ
[16] 웹사이트 シネマ報知 ブルーリボン賞ヒストリー 新設の大衆賞は昭和の大スター長谷川一夫に http://cinemahochi.y[...] 2009-02-07
[17] 웹사이트 シネマ報知 ブルーリボン賞ヒストリー 初代男優賞の山村聰が監督で新人賞 http://cinemahochi.y[...] 2009-02-07
[18] 웹사이트 シネマ報知 ブルーリボン賞ヒストリー 淡島千景が第1回以来の主演女優 森繁久彌と“夫婦受賞” http://cinemahochi.y[...] 2009-02-07
[19] 웹사이트 シネマ報知 ブルーリボン賞ヒストリー 「あなた買います」佐田啓二に初の主演男優賞 http://cinemahochi.y[...] 2009-02-07
[20] 웹사이트 シネマ報知 ブルーリボン賞ヒストリー 美空ひばりが念願の大衆賞 http://cinemahochi.y[...] 2009-02-07
[21] 웹사이트 シネマ報知 松竹ヌーベル・バーグの旗手・大島渚監督が新人賞 http://cinemahochi.y[...] 2009-02-07
[22] 뉴스 第56回ブルーリボン賞発表 日刊スポーツ新聞西日本 2014-01-23
[23] 웹사이트 1952年 第3回 ブルーリボン賞 https://www.allcinem[...] allcinema
[24] 웹사이트 ブルーリボン賞ヒストリー 成瀬巳喜男監督が「稲妻」で2年連続の作品賞 http://cinemahochi.y[...] シネマ報知
[25] 웹사이트 シネマ報知 ブルーリボン賞ヒストリー 淡島千景が第1回以来の主演女優 森繁久彌と“夫婦受賞” http://cinemahochi.y[...]
[26] 웹사이트 ハナ肇が山田洋次監督2作品で初の主演男優賞 http://cinemahochi.y[...] 2012-05-29
[27] 웹사이트 シネマ報知 ブルーリボン賞ヒストリー 野村芳太郎監督が“一家”で4冠 http://cinemahochi.y[...] 2012-02-19
[28] 웹사이트 シネマ報知 ブルーリボン賞ヒストリー 桃井かおり 初の主演女優賞に「これが欲しかったのよね」 http://cinemahochi.y[...] 2012-02-19
[29] 웹사이트 シネマ報知 ブルーリボン賞ヒストリー 黒澤明監督3度目の作品賞 仲代達矢が隆大介と師弟受賞 http://cinemahochi.y[...] 2013-01-15
[30] 웹사이트 シネマ報知 ブルーリボン賞ヒストリー 佐藤浩市が父・三國連太郎に続く新人賞 http://cinemahochi.y[...] 2009-02-07
[31] 웹사이트 シネマ報知 ブルーリボン賞ヒストリー 節目の50回 三國連太郎が新垣結衣にエール http://cinemahochi.y[...] 2012-02-19
[32] 웹사이트 シネマ報知 ブルーリボン賞ヒストリー オスカーを前に、本木雅弘が14年ぶりの夫婦ツーショットを披露 http://cinemahochi.y[...] 2012-05-29
[33] 웹사이트 2009年 第52回 ブルーリボン賞 受賞結果 映画データベース https://www.allcinem[...]
[34] 뉴스 第57回ブルーリボン賞が決定!佐々木蔵之介『超高速!参勤交代』が作品賞! https://www.cinemato[...] 2015-01-23
[35] 웹사이트 有村架純、主演女優賞に輝く!第58回ブルーリボン賞受賞結果発表 https://www.cinemato[...] シネマトゥデイ 2016-01-27
[36] 뉴스 『シン・ゴジラ』作品賞!『君の名は。』特別賞!第59回ブルーリボン賞決定 https://www.cinemato[...] 株式会社シネマトゥデイ 2017-01-26
[37] 뉴스 ブルーリボン賞「あゝ、荒野」が作品賞に、阿部サダヲ&新垣結衣も受賞 https://natalie.mu/e[...] 2018-01-24
[38] 뉴스 「翔んで埼玉」武内英樹監督、作品賞に「ウソだろうと」…ブルーリボン賞 https://hochi.news/a[...] 報知新聞社 2020-01-28
[39] 뉴스 「第63回ブルーリボン賞」受賞作品&草なぎ剛、長澤まさみ、成田凌、伊藤沙莉ら受賞者発表 https://www.oricon.c[...] oricon ME 2021-02-24
[40] 뉴스 白石和彌監督、「孤狼の血」さらなる続編意欲「-LEVEL2」がブルーリボン賞作品賞 https://hochi.news/a[...] 報知新聞社 2022-02-24
[41] 뉴스 第65回ブルーリボン賞の受賞作&受賞者/一覧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新聞社 2023-02-24
[42] 웹사이트 【ブルーリボン賞】監督賞・石井裕也監督 2度目の受賞に「前回とは違う種類の喜び」 https://www.tokyo-sp[...] 東京スポーツ新聞社 2024-01-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