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탈리 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탈리 펜은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의 관계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 1992년부터 양국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그는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간의 12차례 회담을 주최하는 데 기여했고, 1995년 주한 우즈베키스탄 대사관 임시대리대사, 1999년 대사를 역임했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 한국 주재 외교단장을 지냈으며, 한국계 고려인으로 1988년 한국어를 배우고 1989년 세계한인축제에 참석했다. 2024년 6월 18일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계 우즈베키스탄인 - 니콜라이 신
니콜라이 신은 고려인 강제 이주의 고통을 예술로 승화시킨 화가로, 1957년 모스크바 국제청년축제 대상 수상, 1982년 대작 《레퀴엠》 완성, 1997년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여 등의 활동을 했다. - 한국계 우즈베키스탄인 - 미하일 안
미하일 안은 소련의 축구 선수였으며, FC 파흐타코르 타슈켄트에서 활약하며 소련 축구 리그 1부에서 233경기에 출전하여 50골을 기록했고, 1978년 고려인 최초로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출되었으나 1979년 항공기 사고로 사망했다. - 절강 편씨 - 편혜영
편혜영은 2000년 등단 후 기괴하고 잔혹한 묘사로 현대 사회의 소외와 폭력성을 드러내며 한국일보문학상, 셜리 잭슨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하고 명지대학교 문예창작학과 교수로 재직 중인 소설가이다. - 절강 편씨 - 편상욱
편상욱은 1994년 YTN에서 기자 생활을 시작해 1998년 SBS로 이적한 대한민국의 기자로, 경제부, 사회부, 국제부 등을 거쳐 다양한 뉴스 프로그램의 앵커를 맡았으며, SBS 베이징 특파원, 국제부장, 정치부 기자 등을 역임하며 방송기자연합회 이달의 방송기자상, 한국방송인동우회 바른말 보도상, 한국방송대상 앵커상을 수상했다.
비탈리 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비탈리 펜 |
원어 이름 | Виталий Фен |
본명 | Виталий Васильевич Фен |
출생일 | 1947년 10월 18일 |
출생지 | 우즈베키스탄 마르길란 |
사망일 | 2024년 6월 18일 |
본관 | 절강 |
경력 | |
가족 | |
기타 정보 |
2. 경력
소련이 해체된 직후인 1992년부터 비탈리 펜은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의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5][1] 그는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간의 12차례 회담을 주최하는 데 기여했다.[5][1] 1995년 주한 우즈베키스탄 대사관의 임시대리대사로 부임하였고,[5][1] 1999년 대사로 승진했다.[6][2] 2007년에는 엘살바도르 대사 알프레도 운고(Alfredo Ungo)가 떠나면서 한국 주재 외교단의 단장(dean of the diplomatic corps)이 되었다.[6][2] 2013년 8월까지 대사 및 외교단장직을 수행하였으며, 이후 외교단장직을 브루나이(Brunei)의 하룬 이스마일(Harun Ismail)에게 물려주고 한국을 떠났다.[5][7][1][3]
2. 1. 대한민국-우즈베키스탄 관계 초기 역할
소련이 해체된 직후인 1992년부터 비탈리 펜은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의 관계에서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5] 그는 대한민국의 대통령과 우즈베키스탄의 대통령 사이의 12차례 회담 중 첫 번째 회담을 조직하는 데 기여했다.[5][1]2. 2. 주한 우즈베키스탄 대사관 근무
비탈리 펜은 소련 해체 직후인 1992년부터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 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5][1] 그는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 대통령 간의 12차례 회담을 주최하는 데 기여했다.[5][1] 1995년 주한 우즈베키스탄 대사관의 임시대리대사로 부임하였고,[5][1] 1999년 대사로 승진했다.[6][2] 2007년에는 엘살바도르 대사 알프레도 운고(Alfredo Ungo)가 떠나면서 한국 주재 외교단의 단장(dean of the diplomatic corps)이 되었다.[6][2] 2013년 8월까지 대사 및 외교단장직을 수행하였으며, 이후 외교단장직을 브루나이(Brunei)의 하룬 이스마일(Harun Ismail)에게 물려주고 한국을 떠났다.[5][7][1][3]2. 3. 주한 외교단장 역임
비탈리 펜은 1992년부터 대한민국과 우즈베키스탄의 관계에서 역할을 하기 시작했으며, 대한민국의 대통령과 우즈베키스탄의 대통령 사이에 12번의 회의를 조직했다.[5] 1995년 주한 우즈베키스탄 대사관의 임시대리대사로 부임, 1999년 대사로 승진했다.[6] 2007년 엘살바도르 대사 알프레도 웅고의 퇴임 이후, 펜은 주한 외교단장이 되었다.[6] 2013년 8월까지 주한 외교단장직을 역임하였으며, 이후 브루나이의 하룬 이스마일에게 그 자리를 물려주고 대한민국을 떠났다.[5][7]3. 사생활
펜은 한국계이고, 그의 조부모는 소련으로 이주한 절강 편씨 가문 출신의 고려인이었고 1937년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추방되기 전에 블라디보스토크에 정착했으며, 그곳에서 펜 자신은 수도 타슈켄트에서 태어났다.[8] 그의 성씨인 펜은 한국 성씨인 편의 러시아어 표기이다.[8] 그는 류드밀라와 결혼했는데, 류드밀라는 역시 고려인이다.[8] 그는 1988년에 한국어를 공부하기 시작했고, 1989년에 세계한인축제에 참석하기 위해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했다.[6] 펜은 2024년 6월 18일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
3. 1. 고려인 출신 배경
비탈리 펜은 한국계로, 그의 조부모는 소련으로 이주한 절강 편씨 가문 출신의 고려인이었다.[8] 이들은 1937년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추방되기 전 블라디보스토크에 정착했다.[8] 강제 추방 이후, 비탈리 펜은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 타슈켄트에서 태어났다.[8][2] 그의 성씨인 펜은 한국 성씨인 편의 러시아어 표기이다.[8] 그는 1988년에 한국어를 공부하기 시작했고, 1989년에 세계한인축제에 참석하기 위해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했다.[6][2]3. 2. 한국과의 인연
비탈리 펜은 절강 편씨 가문 출신 고려인으로, 그의 조부모는 소련으로 이주하여 블라디보스토크에 정착했다가 1937년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강제 추방되었다.[2] 펜은 타슈켄트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성씨인 펜은 한국 성씨인 편의 러시아어 표기이다.[8] 그는 고려인인 류드밀라와 결혼했다.[2] 1988년부터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했고, 1989년 세계 한국인 축제에 참석하기 위해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했다.[6][2] 이후 한국에 대한 깊은 애정을 바탕으로 양국 관계 발전에 헌신했다.3. 3. 가족
비탈리 펜은 절강 편씨 가문 출신의 고려인으로, 그의 조부모는 블라디보스토크에 정착했다가 1937년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강제 추방되었다.[8][2] 그의 성씨인 펜은 한국 성씨인 편의 러시아어 표기이다.[8] 부인 류드밀라 역시 고려인이다.[8][2]3. 4. 사망
비탈리 펜은 1937년 강제 추방되어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보내진 소련으로 이주한 한국인 조부모 아래 타슈켄트에서 태어났다.[2] 1988년에 한국어를 배우기 시작했고, 1989년에 세계 한국인 축제에 참석하기 위해 처음으로 한국을 방문했다.[2] 2024년 6월 18일 7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4]참조
[1]
뉴스
Uzbek ambassador completes diplomatic mission in South Korea
http://en.trend.az/r[...]
2013-08-20
[2]
뉴스
Dean of Diplomat Corps Talks About His New Duty
https://www.koreatim[...]
2007-11-18
[3]
뉴스
New dean of diplomatic corps promises outreach efforts
https://www.koreatim[...]
2013-10-07
[4]
웹사이트
Скончался Виталий Фен, 25 лет возглавлявший дипмиссию Узбекистана в Южной Корее
https://www.gazeta.u[...]
[5]
뉴스인용
Uzbek ambassador completes diplomatic mission in South Korea
http://en.trend.az/r[...]
2013-08-20
[6]
뉴스인용
Dean of Diplomat Corps Talks About His New Duty
http://www.koreatime[...]
2007-11-18
[7]
뉴스인용
New dean of diplomatic corps promises outreach efforts
http://www.koreatime[...]
2013-10-07
[8]
뉴스인용
18년 서울 근무 펜 주한 대사 "만난 대통령만 다섯"
https://www.joongang[...]
2013-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