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라 사부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라 사보이는 1930년대 르 코르뷔지에가 설계한 국제 모더니즘 건축의 대표작이다.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5원칙, 즉 필로티, 옥상 정원, 자유로운 평면, 수평 창, 자유로운 파사드를 구현했다. 1928년 피에르 사보이 부부의 의뢰로 프랑스 푸아시에 지어졌으며, 자동차를 고려한 설계와 내부 경사로, 필로티의 기능, 수평 창문 등을 특징으로 한다. 2차 세계 대전 이후 훼손되었으나, 1965년 프랑스 역사 유적지로 지정되어 복원되었다. 빌라 사보이는 전 세계 건축에 영향을 미쳤으며,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철학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블린주의 박물관 - 베르사유궁
베르사유궁은 프랑스 왕가의 권위를 상징하는 웅장한 궁전으로, 루이 13세의 사냥 오두막에서 시작하여 루이 14세에 의해 확장되었으며, 바로크 건축 양식과 화려한 내부, 광대한 정원으로 유명하고 현재는 박물관으로 사용된다. - 이블린주의 박물관 - 포르루아얄 데샹
포르루아얄 데샹은 필리프 2세에 의해 설립된 수도원으로서, 마리 앙젤리크 아르노의 개혁을 통해 학문과 신앙의 중심지로 변화하였으나 얀센주의로 인해 폐쇄되었고, 현재는 박물관으로 17세기 프랑스의 종교, 문화, 예술을 보여주며 블레즈 파스칼, 장 라신과 같은 인물들을 배출했다. - 1931년 완공된 건축물 - 요코하마 개항자료관
요코하마 개항자료관은 구 영국 영사관 건물에 위치한 박물관으로, 에도 막부 말기부터 쇼와 초기까지 요코하마의 역사를 보여주는 자료들을 소장하고 있으며, 페리 제독 내항 이후 요코하마의 변화와 관련된 전시와 신문 열람실, 그리고 요코하마 개항의 상징인 후박나무와 '타마쿠스노키' 녹나무를 갖추고 있다. - 1931년 완공된 건축물 - 라스 벤타스
라스 벤타스는 스페인 마드리드에 있는 네오무데하르 양식의 투우장으로, 투우 경기뿐 아니라 다양한 문화 행사를 개최하는 다목적 공간이며, 지하철 벤타스역에서 접근할 수 있다.
빌라 사부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프랑스 이블린주 푸아시, 82 Rue de Villiers, 78300 |
소유주 | 프랑스 정부 |
건축가 | 르 코르뷔지에, 피에르 잔느레 |
웹사이트 | 빌라 사보아 공식 웹사이트 |
상세 정보 | |
건축 양식 | 근대 건축 |
착공 | 1928년 |
완공 | 1931년 |
지정 | 세계문화유산 |
세계문화유산 등재 연도 | 2016년 |
세계문화유산 등재 기준 | 문화 (i, ii, vi) |
문화재 분류 | 프랑스 역사 기념물 (PA00087573) |
2. 배경
1920년대 말 르 코르뷔지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건축가였다. 그의 저서 ''건축을 향하여''는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고, 모스크바의 Centrosoyuz와 함께 한 그의 작업은 러시아 아방가르드와 연관되었으며, 국제 연맹 공모전과 관련된 그의 문제들은 널리 알려졌다. 그는 또한 국제 현대 건축 회의(CIAM)의 최초 회원 중 한 명이었으며 현대 건축의 거장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8]
1928년 봄, 피에르 사보이와 외제니 사보이 부부는 푸아시에 전원주택을 짓기 위해 르 코르뷔지에에게 설계를 의뢰했다.[10] 부지는 녹지였으며, 북서쪽으로 훌륭한 전망을 가지고 있었다. 르 코르뷔지에는 여름 별장, 차고, 추가 침실, 관리인 숙소 등의 요구사항 외에는 건축적 미학을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었다.[10]
1920년대 말, 르 코르뷔지에는 세계적인 건축가로 명성을 얻고 있었다. 그의 저서 《건축을 향하여》는 여러 나라의 언어로 번역되었고, 모스크바의 센트로소유즈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러시아 아방가르드 건축에도 영향을 주었다. 국제 연맹 관련 논쟁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얻었으며, 국제근대건축회의(CIAM)의 초기 멤버로서 현대 건축의 거장으로 자리매김했다.
르 코르뷔지에가 1920년대 초에 설계한 빌라들은 그가 건축의 "정밀성"이라고 칭한 것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설계의 각 특징이 디자인 및 도시 계획 측면에서 정당화되어야 함을 의미했다. 알제에 대한 그의 도시 계획을 포함하여, 그 시대 후반의 그의 작업은 보다 자유로운 형태를 띠기 시작했다.[9]
3. 건설
1928년 9월부터 설계를 시작하여 초기 아이디어를 발전시켰으나, 1928년 가을부터 1929년 봄 사이에 사보이 부부의 비용 문제를 고려하여 여러 대안 설계를 검토했다.[12] 최종적으로 안방을 1층으로 옮기고 그리드 간격을 5미터에서 4.75미터로 줄여 건물 부피를 줄이는 방안을 채택했다.[13]
1929년 2월의 건축비용 추정치는 50만 프랑이었으나,[14] 별채 및 조경 요소는 포함되지 않은 금액이었다. 1929년 3월에 계약이 체결되었고, 설계 변경 과정에서 층고 수정, 운전사 숙소 제거 및 복원 등이 이루어지면서 건축비용은 약 90만 프랑으로 증가했다. 별채 설계는 주택 건설 시작 시점에는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1929년 6월에 제시된 최초 설계는 이중 별채였으나 비용 문제로 단일 별채로 축소되었다.[14]
빌라 사부아의 건설은 1년 만에 완료되었지만, 1931년까지는 실제로 거주할 수 없었다.[15]
4. 디자인
1930년대 르 코르뷔지에의 가장 잘 알려진 건물인 빌라 사보아는 국제 모더니즘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빌라의 디자인에서 그의 상징인 "근대 건축의 5원칙"을 구현했다.
초기 도시 빌라들과 달리, 르 코르뷔지에는 빌라 사보아의 네 면을 모두 신중하게 설계하여 전망과 태양의 방향을 고려했다.
건축뿐만 아니라, 가구 또한 사보아 저택의 분위기에 맞게 디자인되었으며, 르 코르뷔지에의 걸작으로 꼽히는 코르뷔지에 체어가 다수 놓여 있다.
4. 1. 근대 건축 5원칙
르 코르뷔지에는 빌라 사보아를 설계하면서 자신의 건축 철학인 "근대 건축 5원칙"을 완벽하게 구현했다. 이 원칙들은 다음과 같다.[3][35]
1. '''필로티''': 건물을 지면에서 들어 올려 1층에 자유로운 공간을 만들고, 정원이 건물 아래까지 이어지도록 한다.
2. '''옥상 정원''': 건물이 차지하는 대지의 면적을 자연에게 돌려주는 역할을 한다.
3. '''자유로운 평면''': 내력벽 없이 기둥으로 건물을 지탱하여 내부 공간을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4. '''수평으로 긴 창''': 벽면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창문은 채광과 환기를 극대화하고, 파노라마 같은 전망을 제공한다.
5. '''자유로운 파사드''': 구조에서 독립된 외벽은 디자이너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5원칙은 빌라 사보아에서 모두 높은 완성도로 실현되었다.[35]
4. 2. 공간 구성
르 코르뷔지에는 빌라 사보아의 네 면을 모두 전망과 태양의 방향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설계했다. 1층에는 주 현관, 경사로와 계단, 차고, 운전기사와 하녀의 방을 배치했다. 2층에는 안방, 아들의 침실, 손님 침실, 주방, 살롱과 외부 테라스를 두었다. 살롱은 남동쪽을 향하고 테라스는 동쪽을 향했다. 아들의 침실은 북서쪽을 향하고 주방과 서비스 테라스는 남서쪽을 향했다. 3층에는 일련의 조각된 공간으로 구성된 일광욕실이 있었다.[17]
평면은 황금비율의 주요 비율을 사용하여 설정되었다. 정사각형을 16개의 동일한 부분으로 나눈 뒤 확장하여 돌출된 파사드를 포함시키고, 경사로와 입구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더 세분화했다.[18]
현관의 네 기둥은 방문객을 경사로로 안내하는 것처럼 보인다. 집 거의 모든 곳에서 볼 수 있는 이 경사로는 2층 거실과 살롱으로 이어지며, 2층 옥상 테라스에서 3층 일광욕실로 외부로 연결된다.[16] 르 코르뷔지에는 빌라 사보이에서 정화 행위를 현관의 싱크대[22]와 경사로 최상단에 있는 옥상 일광욕실에서 태양의 건강 증진 속성을 기념하는 것으로 표현했다.[23]
르 코르뷔지에의 필로티는 건물 안팎에서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두 개의 더 긴 입면에서는 파사드 면과 일치하여 묵직함과 지지를 암시하지만, 짧은 면에서는 뒤로 물러나 있어 건물의 수평적 차원을 강조하는 부유 효과를 낸다. 2층 테라스의 넓은 띠 창에는 위쪽 벽을 지지하고 튼튼하게 하기 위해 두 개의 작은 필로티가 있다. 이 필로티는 아래쪽의 더 큰 기둥과 비슷한 평면에 있지만, 건물 외부에서 볼 때 잘못된 원근법은 실제보다 건물 내부 더 깊숙한 곳에 위치한 것처럼 보이게 한다.[24]
빌라 사보이는 수평 리본 창을 사용한다. 르 코르뷔지에는 금속 창문보다 나무 창문을 사용하는 것을 종종 선택했다. 이는 그가 평면 특성 때문에 유리에 관심이 있었고, 나무 프레임 유리의 후퇴된 위치가 파사드를 일련의 평행 평면으로 볼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이라고 제안되었다.[25]
사보아 저택에서는 필로티, 옥상 정원, 자유로운 평면, 독립 골조에 의한 수평 연속 창, 자유로운 입면으로 이루어진 근대 건축의 5원칙이 모두 높은 완성도로 실현되었다[35]。평면 중앙에는 완만한 슬로프가 설치되어 1층과 2층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시퀀스를 형성하고 있다.
옥상 정원 (중정)은 외부에서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설계되어 사생활을 보호했다. 또한, 욕실이나 나선형 계단 등 곳곳에 곡선을 사용하여 여유로운 인상을 준다.
4. 3. 자동차와의 연관성
르 코르뷔지에는 저서 《건축을 향하여》에서 "자동차는 단순한 기능(이동)과 복잡한 목표(편안함, 저항, 외관)를 가진 물건이다."라고 하였다.[19] 파리 외곽에 위치한 별장으로 설계된 빌라 사부아는 자동차를 염두에 두고 설계되었다. 자동차가 부여하는 이동성은 건물에 필수적인 움직임의 감각으로 번역되었다.[16] 집으로의 접근은 자동차로, 관리인의 숙소를 지나 건물 아래로 이어졌다. 1층 입구의 산업용 유리의 곡선 아치는 자동차의 회전 반경에 의해 결정되었다. 주요 거주자를 운전기사가 내려준 후, 자동차는 곡선을 따라 차고로 이동하여 주차했다. 한편, 도착한 사람들은 양쪽의 기둥이 있는 포르티코를 통해 주 현관으로 들어갔다.[20]
4. 4. 내부 경사로와 필로티의 기능
현관의 네 기둥은 방문객을 경사로로 안내하는 것처럼 보인다. 집 거의 모든 곳에서 볼 수 있는 이 경사로는 2층 거실과 살롱으로 이어지며, 2층 옥상 테라스에서 3층 일광욕실로 외부로 연결된다.[16] 르 코르뷔지에는 경력 전반에 걸쳐 거주 행위에 신성함을 부여하는 데 관심이 있었고, 세탁과 식사와 같은 행위는 그 위치에 의해 중요성을 부여받았다.[21] 빌라 사보아에서 정화 행위는 현관의 싱크대[22]와 경사로 최상단 지점으로서 중요성을 부여받은 옥상의 일광욕실에서 태양의 건강 증진 속성을 기념하는 것으로 표현된다.[23]
르 코르뷔지에의 필로티는 건물 안팎에서 여러 기능을 수행한다. 두 개의 더 긴 입면에서는 파사드 면과 일치하여 묵직함과 지지를 암시하지만, 짧은 면에서는 뒤로 물러나 있어 건물의 수평적 차원을 강조하는 부유 효과를 낸다. 2층 테라스의 넓은 띠 창에는 위쪽 벽을 지지하고 튼튼하게 하기 위해 두 개의 작은 필로티가 있다. 이 필로티는 아래쪽의 더 큰 기둥과 비슷한 평면에 있지만, 건물 외부에서 볼 때 잘못된 원근법은 실제보다 건물 내부 더 깊숙한 곳에 위치한 것처럼 보이게 한다.[24]
4. 5. 창문
르 코르뷔지에는 시대의 유행과 달리 금속 창보다 목재 창문의 사용을 선호하였다. 이것은 그가 유리의 평면적 특성에 관심을 가졌기 때문이며, 목재 프레임에 있는 유리의 구조가 파사드를 일련의 평행면으로 볼 수 있게 하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5]
빌라 사부아는 그의 초기 빌라에서 사용된 수평 리본 창을 사용한다. 1층 테라스의 넓은 창에는 소형 필로티 두 개가 있어 위의 벽을 견고히 지탱한다. 이는 아래 큰 기둥과 비슷한 높이에 있지만, 집 밖에서 보았을 때 실제보다 더 깊이 자리 잡고 있다는 착시 효과를 준다.[24] 수평 연속 창은 넉넉하게 빛을 끌어들여 실내를 밝게 하고 투명감을 더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하는 햇빛의 색깔이 실내에 비치도록 설계되었다.
5. 후기 역사
사보아 부부는 모든 변경 사항에 대해 시공업체로부터 추가 요금을 요청받았는데, 이는 새 집의 조기 수리가 필요하게 되면서 더욱 심화되었다. 매년 가을, 사보아 부부는 지붕에서 빗물이 새는 피해를 겪었다.[17] 심미성을 해치는 배수관과 문턱을 없애면서 흰색 표면은 넘쳐흐르는 빗물로 인한 얼룩과 침식에 더 취약해졌다.[26] 또한, 건축 자재가 구조적 내구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지 않아 건물에 금이 가는 현상도 발생했다.[26] 사보아 부부는 제2차 세계 대전 중인 1940년까지 이 집에 살다가 전쟁 중에 떠났다. 이 건물은 전쟁 중에 두 번 점령되었다. 처음에는 독일군에 의해 점령되어 건초 저장소로 사용되었고,[27] 그 다음에는 미군에 의해 점령되었으며, 두 번의 점령 모두 건물에 심각한 피해를 입혔다. 사보아 부부는 전쟁 후 다시 집으로 돌아왔지만, 더 이상 전쟁 전처럼 살 수 없었고 곧 다시 집을 버렸다.
1958년, 이 빌라는 푸아시 시에 의해 수용되었으며, 처음에는 공공 청소년 센터로 사용되었고, 나중에는 학교 건물 단지를 짓기 위해 철거하는 것을 고려했다. 이 집을 보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건축가들의 항의와 르 코르뷔지에 본인의 개입으로 인해 이 집은 철거되지 않았다. 건축가 장 드뷔송은 르 코르뷔지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1963년에 복원을 시도했다. 이 빌라는 1965년에 프랑스 역사 기념물 목록에 추가되었으며, 프랑스 최초의 모더니즘 건축 건물로 지정되었고, 건축가가 생존해 있는 동안 복원 대상이 된 최초의 건물이 되었다. 1985년, 건축가 장루이 베레가 주도하는 철저한 국가 자금 지원 복원 과정이 시작되었다. 이 과정은 1997년에 완료되었다. 복원 작업에는 콘크리트 열화로 인한 외관과 테라스의 구조적 및 표면 수리,[2] 조명 및 보안 카메라 설치, 그리고 원래의 일부 설비 및 비품 복원이 포함되었다.[3][15]
6. 유산
매년 가을, 유제니 사부아(건물주)는 지붕을 통해 빗물이 새어 나오는 것을 겪었다. 미관을 해치는 우수관과 문틀의 제거는 흰 표면을 빗물에 의한 얼룩과 부식에 더 취약하게 만들었다. 또한 건물은 구조적 내구성을 위한 재료로 지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균열로 인해 손상되고 있었다.[28] 1940년까지 유제니 사부아가 살고 있었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떠났다. 전쟁 중에 두 번 점거되었는데, 처음에는 독일인에 의해 건초 상가로 사용되었을 때, 그리고 미국인에 의해 두 번 점령당했다. 두 번의 점거로 건물은 심각한 손상을 입었다. 유제니 사부아는 전쟁이 끝난 후 자신의 건물로 돌아왔지만, 더 이상 전쟁 전과 같이 살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았고, 곧 다시 집을 버렸다. 이 별장은 1958년 푸아시 마을에 수용되었는데, 처음에는 이 별장을 공공청소년 센터로 사용하였고, 후에 학교 단지를 짓기 위해 철거하는 것을 고려하였다. 그 집을 구해야 한다고 느꼈던 건축가들의 항의와 르 코르뷔지에의 개입으로 그 집은 철거되지 않았다. 1963년 르 코르뷔제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건축가 장 드뷔손에 의해 최초의 복원 시도가 시작되었다. 이 별장은 1965년 프랑스 역사유적 등록부에 추가되어 프랑스 최초의 근대주의 건축물로 지정되었으며, 건축가가 살아 있는 동안 최초의 복원 대상이 되기도 했다. 1985년에는 건축가 장 루이 베레트가 이끄는 국가 재정 복구 작업을 통해 진행되었다. 그것은 1997년에 완성되었다. 복원에는 콘크리트의 열화 때문에 전면과 테라스에 대한 구조 및 표면 보수, 조명 및 보안 카메라 설치, 원래의 고정 장치와 부속품의 복원 등이 포함되었다.
빌라 사보이는 1930년대에 매우 영향력 있는 건물이었으며, 전 세계에서 모방작을 찾아볼 수 있다.[28] 이 건물은 당대의 매우 영향력 있는 두 권의 책에 등장했다. 즉, 1932년에 출판된 히치콕과 존슨의 『국제 양식』과 1934년에 출판된 F. R. S. 요크의 『모던 하우스』, 그리고 르 코르뷔지에 자신의 시리즈 『완전한 작품』의 두 번째 권이 그것이다. 콜린 로우는 1947년 에세이 『이상적인 빌라의 수학』에서 빌라 사보이를 팔라디오의 빌라 라 로톤다와 비교했다.[29]
사보이 부부가 르 코르뷔지에에게 부여한 자유는 거주자의 요구 사항보다는 그의 5가지 원칙에 더 지배되는 집을 만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5가지 원칙이 그토록 완전히 표현된 것은 마지막이었으며, 이 집은 그의 디자인 접근 방식의 한 단계를 마감하는 동시에 흰색을 주조색으로 하는 일련의 건물 중 마지막이었다.[16]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 5원칙에 대한 일반적인 비판이 제기되었으며, 이는 특히 다음 측면에서 빌라 사보이에 적용된다:[30]
- 지면 높이의 필로티 지지 – 필로티는 실제 구조적 요소라기보다는 상징적인 경향이 있었다.
- 기능적인 지붕 – 이 경우의 열악한 디테일로 인해 지붕에서 누수가 발생했다.
빌라 사보이 이후, 르 코르뷔지에의 초현실주의 실험은 베이스테기 아파트 디자인에 영향을 미쳤지만, 툴롱 근처 마드모아젤 만드로를 위한 그의 다음 빌라 디자인은 비판적 지역주의 의제를 구현했고, 마감에 현지 석재를 사용했다.[31]
애쉬튼 래가트 맥두갈이 설계한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 및 토레스 해협 섬 주민 연구소의 서쪽 날개는 빌라 사보이의 거의 정확한 복제품이지만, 검은색이라는 점이 다르다.[32] 하워드 래가트에 따르면, 이 남반구의 건축 인용은 "일종의 반전, 반영, 그리고 일종의 그림자"이다.[33]
참조
[1]
웹사이트
Villa Savoye à Poissy: Tourism Industry
http://tourisme.monu[...]
2011-01-19
[2]
서적
Concrete Planet
Prometheus Books, Amherst, NY
[3]
웹사이트
Villa Savoye – A machine for living
http://www.ultimateh[...]
2007-10-16
[4]
웹사이트
Travel review of a visit to Villa Savoye
http://hotelswelove.[...]
2011-07-12
[5]
웹사이트
Ville Savoye à Poissy
http://villa-savoye.[...]
2011-01-19
[6]
문서
Villa Savoye
[7]
웹사이트
The Architectural Work of Le Corbusier
https://whc.unesco.o[...]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2016-07-19
[8]
문서
Curtis (2006), p. 93
[9]
문서
Benton (1987), p. 192
[10]
웹사이트
Le Corbusier – Villa Savoye – part 1, history
http://www.inexhibit[...]
2016-08-05
[11]
문서
Samuel (2004), p. 33
[12]
문서
Curtis (2006), pp. 96 & 97
[13]
문서
Benton (1987), pp. 200 & 201
[14]
문서
Benton (1987), pp. 201–203
[15]
웹사이트
Le Corbusier, Giedion, and the Villa Savoye: From Consecration to Preservation of Architecture
http://www.arch.colu[...]
Columbi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Architecture
2011-01-20
[16]
문서
Gast (2000), p. 66
[17]
문서
Benton (1987), pp. 194 & 195
[18]
문서
Gast (2000), pp. 74–77
[19]
문서
Le Corbusier (1997), p. 137
[20]
문서
Curtis (2006), pp. 95 & 96
[21]
문서
Samuel (2007), p. 169
[22]
문서
Samuel (2007), p. 185
[23]
문서
Samuel (2007), p. 186
[24]
문서
Curtis (2006), pp. 97 & 98
[25]
문서
Samuel (2007), pp. 76–78
[26]
간행물
On Wearing: A Critical Framework for Valuing Design's Already Made
[27]
문서
Curtis (2006), p. 94
[28]
문서
Curtis (2006), p. 98
[29]
문서
Rowe (1987), p. 13
[30]
문서
Gast (2000), p. 71
[31]
문서
Curtis (2006), pp. 108–112
[32]
웹사이트
Australian Baroque
http://www.architect[...]
Architecture Australia
2001-03-01
[33]
웹사이트
Stealing Beauty
http://www.frieze.co[...]
2006-05-01
[34]
서적
ル・コルビュジエが見たい!
洋泉社
[35]
서적
NHK 夢の美術館 世界の名建築100選
新建築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