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빌럼 2세 (네덜란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럼 2세는 1792년 네덜란드의 왕세자 빌럼 1세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는 영국 육군에서 복무하며 워털루 전투에 참전했고, 1840년 아버지의 퇴위로 네덜란드 국왕이 되었다. 재위 기간 동안 1848년 혁명의 영향으로 헌법 개정을 단행하여 의회 민주주의의 기반을 마련했다. 그는 동성애적 성향을 가졌다는 논란이 있었으며, 1849년 틸뷔르흐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국 사람 - 영국인
    영국인은 영국 제도 거주민을 지칭하는 용어로, 고대부터 앵글로색슨족, 게일족의 영향을 거쳐 대영 제국 형성과 함께 다층적인 정체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현대에는 시민권과 법률에 기반하지만 구성국의 독자적인 정체성과도 연관된다.
  • 네덜란드에서 영국으로 이민간 사람 - 조지 블레이크
    조지 블레이크는 영국 MI6 요원이자 소련의 이중간첩으로, 네덜란드 레지스탕스 활동 후 MI6에 스카우트되어 한국 전쟁 중 공산주의에 심취, KGB에 협력하며 이중간첩 활동을 하다 체포 후 탈옥하여 소련으로 망명했다.
  • 네덜란드에서 영국으로 이민간 사람 - 로런스 알마타데마
    로런스 알마타데마는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삶을 화려한 색채와 섬세한 묘사로 표현하여 '대리석 화가'라는 별칭을 얻은 네덜란드 태생의 영국 화가이자 빅토리아 시대의 대표적인 화가 중 한 명이다.
  • 네덜란드의 나폴레옹 전쟁 관련자 - 빌럼 1세
    빌럼 1세는 네덜란드와 룩셈부르크의 통치자였으며, 나폴레옹 몰락 후 네덜란드 연합 왕국의 초대 국왕으로 즉위하여 경제 발전을 추진했으나 벨기에 독립을 인정하고 퇴위 후 사망했다.
  • 네덜란드의 나폴레옹 전쟁 관련자 - 로데비히 판 헤이덴
    로데비히 판 헤이덴은 러시아 해군 제독으로 크론시타트 군정 장관을 역임하며 도시 발전에 기여했고 나바리노 해전에서 오스만-이집트 연합 함대를 격파하여 그리스 독립에 영향을 미쳤으며, 여러 훈장을 받고 그리스에서 존경받는 인물이다.
빌럼 2세 (네덜란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얀 밥티스트 판 데르 훌스트 - 빌럼 2세 국왕
얀 밥티스트 판 데르 훌스트의 초상화, 1848년경
칭호오란다 국왕
룩셈부르크 대공
림뷔르흐 공작
재위 기간1840년 10월 7일 – 1849년 3월 17일
즉위1840년 11월 28일
전체 이름빌럼 프레데리크 헤오르헤 로데베이크
출생1792년 12월 6일
출생지덴하흐, 네덜란드 공화국
사망1849년 3월 17일
사망지틸뷔르흐, 네덜란드
종교네덜란드 개혁 교회
가계
왕가오라녜나사우 가문
아버지빌럼 1세
어머니빌헬미나 폰 프로이센
배우자안나 파블로브나 (1816년 결혼)
자녀빌럼 3세
알렉산더
헨드릭
에르네스트 카시미르
조피
군사 경력
참전 전투 (미완성 목록)나폴레옹 전쟁
페닌술라 전쟁
시우다드 로드리고 공성전
제2차 바다호스 공성전
제3차 바다호스 공성전
살라망카 전투
산 밀란-오스마 전투
비토리아 전투
팜플로나 공성전
산 세바스티안 공성전
피레네 전투
제6차 대프랑스 동맹
백일천하
카트르 브라 전투
워털루 전투
벨기에 혁명
브뤼셀 공격
열흘 전쟁
라벨스 전투
튀르하우트 전투
호우탈렌 전투
하셀트 전투
뢰번 전투
빌럼 2세의 서명 (1848년)

2. 유년 시절과 교육

빌럼 프레데리크 게오르그 로데베이크는 1792년 12월 6일 헤이그에서 당시 네덜란드 총독 빌럼 5세의 손자이자, 빌럼 공과 프로이센의 빌헬미네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그의 외조부모는 프로이센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와 그의 두 번째 부인 헤센다름슈타트의 프리데리케 루이제였다. 빌럼에게는 남동생 프레데리크와 여동생 파울린, 마리아나가 있었다.

빌럼이 두 살 때, 프랑스 군이 네덜란드 연합주 군대를 격파하고, 반 오라녜파 애국자에 합류하여 해방을 주장한 후, 가족과 함께 영국으로 도피했다. 빌럼은 베를린 프로이센 궁정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그곳에서 군사 교육을 받고 프로이센 육군에서 복무했다. 그 후 옥스퍼드 대학교 크라이스트 처치 칼리지에서 민법을 공부했다.

3. 군 복무

니세즈 드 카이저가 그린 워털루 전투에 참전한 빌럼 2세의 모습 (1846년)


빌럼 2세는 영국 육군에 입대하여, 1811년 19세의 나이로 아서 웰즐리, 초대 웰링턴 공작의 사령부에서 부관으로 웰링턴의 반도 전쟁 여러 작전을 참관했다. 20세가 채 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관례에 따라 1811년 6월 11일 중령으로[4], 그 해 10월 21일 대령으로 진급했다.[5] 1812년 스페인에서 바다호스 공방전과 살라망카 전투에 참전했다. 그 해 9월 8일, 조지 4세부관이 되었고[6], 1813년 12월 14일 소장으로 진급했다.[7] 그는 용기와 훌륭한 성품으로 "슬렌더 빌리"라는 별명으로 불리며 영국인들에게 인기를 얻었다. 1813년 그의 아버지가 주권 공이 되자 네덜란드로 돌아왔고, 1814년 5월 토마스 그레이엄, 초대 린도크 남작을 이어 네덜란드 주둔 영국군 최고위 장교가 되었다.[8]

1814년 7월 8일, 영국군에서 중장으로 진급했고,[9] 7월 25일 대장으로 진급했다.[10] 1815년 나폴레옹 1세가 엘바 섬에서 탈출했을 때 저지대 국가 연합군의 선임 장교였다. 웰링턴 공작의 도착에 따라 지휘권을 넘겨주었고, 콰트르 브라 전투 (1815년 6월 16일)와 워털루 전투 (1815년 6월 18일)에서 제1 연합군단의 사령관으로 복무했으며, 워털루 전투에서 머스킷 총알에 맞아 왼쪽 어깨에 부상을 입었다.[11][12] 그의 나이 22세였다. 워털루에서 네덜란드 왕좌가 "그의" 승리라고 칭한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빌럼은 네덜란드 국민들로부터 소에스트데이크 궁전을 선물받았다.[13][14]

군사 역사가인 윌리엄 시본은 워털루 전투에서 연합군이 겪은 많은 사상자를 빌럼의 미숙함으로 돌렸다.[15] 이에 대해 시본은 빌렘 얀 크노프 중장으로부터 빌럼의 워털루에서의 행동을 왜곡했다는 비난을 받았다.[16] 1897년 네덜란드 장교 프랑수아 드 바스는 시본의 기록 보관소를 조사한 결과 "출처의 선택적 사용"과 "수많은 오산과 거짓"을 발견했다고 주장했다.[17]

4. 결혼과 가족

1814년, 빌럼은 조지 4세 영국 왕과 그의 별거한 아내 브라운슈바이크의 캐롤라인의 외동딸인 웨일스의 샬럿 공주와 약혼했다. 이 약혼은 섭정공이 주선했지만, 샬럿의 어머니가 결혼을 반대했고 샬럿이 네덜란드로 이주하는 것을 원치 않아 파혼되었다.

''빌럼 2세와 안나 파블로브나'' (1816) by 얀 빌렘 피에네만


1816년 2월 21일, 상트페테르부르크겨울 궁전 예배당에서 빌럼은 차르 알렉산드르 1세의 막내 여동생인 러시아의 안나 파블로브나 대공녀와 결혼했는데, 이는 제정 러시아와 네덜란드 간의 우호 관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 알선된 결혼이었다. 1817년 2월 17일, 브뤼셀에서 그의 첫 아들인 훗날 네덜란드 국왕 빌럼 3세가 태어났다.

빌럼 2세의 초상화, 카렐 피터르 페르훌스트가 1817년에 그림


이미 1819년에 그는 법무부 장관 판 마넨이 편지에서 "수치스럽고 부자연스러운 욕정"이라고 칭한 것에 대해 협박을 받았다. 아마도 양성애로 추정된다. 별도로, 그가 1848년 헌법 개정에 서명하여 의회 민주주의를 가능하게 한 것은 부분적으로 협박의 영향일 수 있다.[18] 그는 또한 페레이라라는 이름의 댄디와 관계를 가졌을 수도 있다.[19]

얀 밥티스트 판 데르 헐스트의 ''빌럼 2세와 그의 가족'' (1832년)


빌럼 2세와 안나 파블로브나 왕비는 다섯 자녀를 두었다.

사진이름생일사망기타
빌럼 3세1817년 2월 19일네덜란드 국왕, 자녀 3남 1녀
알렉산더르1818년 8월 2일미혼
헨드릭1820년 6월 13일자녀 없음
에른스트1822년 5월 21일요절
소피1824년 4월 8일카를 알렉산더 폰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공작과 결혼, 1남 3녀


5. 벨기에 혁명

빌럼 2세는 현재의 벨기에(당시 남부 네덜란드)에서 상당한 인기를 누렸다. 1830년 벨기에 혁명이 발발하자, 그는 브뤼셀에서 평화 중재자로서 오라녜-나사우 가문 아래 행정 자치를 기반으로 하는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최선을 다했다. 그러나 그의 아버지는 아들이 제안한 화해 조건을 추가 협의 없이 거부했고, 이후 아버지와의 관계는 다시 긴장되었다.

1831년 4월, 빌럼 2세는 벨기에가 될 지역을 회복하기 위해 아버지에 의해 십일 전쟁의 군사 지도자로 파견되었다. 초반에는 성공적이었지만, 반군 측의 프랑스 개입 이후 네덜란드는 철수했다. 유럽의 중재로 작센코부르크고타의 레오폴드 (빌럼의 전 약혼녀인 샬럿의 과부)가 새로운 군주의 왕위에 올랐다. 벨기에가 네덜란드에 의해 인정된 1839년에 마침내 평화가 확립되었다.

6. 통치와 1848년 헌법

빌럼 2세 즉위식 (1840년 11월 28일) 니콜라스 피에네만 그림


1840년 10월 7일, 아버지 빌럼 1세의 퇴위로 빌럼 2세는 왕위에 올랐다. 그는 아버지의 보수적 성향을 공유했지만, 정부 업무에는 아버지 만큼 간섭하지 않았다.

1848년 혁명이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고, 프랑스에서 7월 왕정이 무너지자, 빌럼 2세는 자유주의적 개혁을 추진하기로 결심한다. 그는 "하룻밤 사이에 보수주의자에서 자유주의자로 변했다"라고 말하며, 자유주의 학자 요한 루돌프 토르베케를 중심으로 헌법 개정 위원회를 구성했다.

새 헌법은 1848년 3월 17일에 제정되었으며, 이후 빌럼 2세는 틸뷔르흐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하기 몇 달 전(1849년) 새 헌법에 따라 첫 번째이자 유일한 내각을 선서했다.

한편, 아편 전쟁 이후인 1844년, 일본에 개항을 권고하는 내용의 국서를 쇼군 도쿠가와 이에요시에게 보냈지만[39], 다음 해에 에도 막부로부터 "쇄국은 선대부터의 조법"이라고 거절당했다.

6. 1. 1848년 헌법 개정의 배경

1840년 아버지 빌럼 1세가 퇴위하면서 빌럼 2세가 왕위에 올랐다. 빌럼 2세는 아버지처럼 보수적인 성향이었지만, 정치에는 크게 개입하지 않았다. 하지만, 네덜란드에서는 헌법 개정과 선거권 확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었다.

1847년, 네덜란드 북부에서는 식량 폭동이 일어났고, 국왕 암살 음모도 발각되었다. 설상가상으로 빌럼 2세의 차남 알렉산더 왕자가 병에 걸려 위독한 상황에 처했다.[20]

1848년 혁명이 유럽을 휩쓸면서, 프랑스에서는 7월 왕정이 무너졌다. 혁명의 불길이 네덜란드까지 번질 것을 우려한 빌럼 2세는 자유주의적인 개혁을 추진하기로 결심했다. 그는 "하룻밤 사이에 보수주의자에서 자유주의자로 변했다"라고 말하며, 자유주의 학자 요한 루돌프 토르베케를 중심으로 헌법 개정 위원회를 구성했다. 1848년 3월 17일, 새 헌법이 제정되었고, 같은 날 알렉산더 왕자의 사망 소식이 전해지자 빌럼 2세는 큰 슬픔에 빠졌다.[20]

새 헌법은 상원을 주 의회에서 간접 선거로 선출하고, 하원은 재산에 따른 제한 선거를 통해 직접 선출하도록 규정했다. 또한, 각료들은 하원에 대해 책임을 지게 되면서, 실질적인 권력은 하원으로 넘어가고 국왕은 정부의 주인이 아닌 하수인이 되었다. 1848년 헌법은 현재까지도 네덜란드 헌법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6. 2. 1848년 헌법의 주요 내용

1848년 요한 루돌프 토르베케를 위원장으로 하는 헌법 위원회는 새 헌법을 제정했다. 새 헌법은 1848년 3월 17일에 제정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20]

구분변경 전변경 후
상원(제1원) 의원 선출 방식국왕이 임명주 의회에서 간접 선거로 선출
하원(제2원) 의원 선출 방식주 의회에서 선출재산 자격 선거를 통해 선거구에서 직접 선출 (투표권은 일정액 이상 세금 납부자에게만 부여)
각료의 책임-전적으로 하원(제2원)에 책임
권력국왕이 정부의 주인실질적인 권력은 하원(제2원)으로, 국왕은 정부의 하인



1848년 헌법은 여러 번 개정되었으며(특히 1917년에 재산 자격 선거를 보통 남자 선거로 대체하고, 선거구를 전국적인 정당 명부 비례 대표제로 대체), 오늘날까지 효력을 유지하고 있다.[20]

7. 개인적 삶과 논란



1814년, 빌럼은 섭정공(후일 조지 4세 영국 왕)과 그의 별거한 아내 브라운슈바이크의 캐롤라인의 외동딸인 웨일스의 샬럿 공주와 약혼했다. 이 약혼은 섭정공이 주선했지만, 샬럿의 어머니가 결혼을 반대했고 샬럿이 네덜란드로 이주하는 것을 원치 않아 파혼되었다. 1816년 2월 21일, 상트페테르부르크겨울 궁전 예배당에서 빌럼은 차르 알렉산드르 1세의 막내 여동생인 러시아의 안나 파블로브나 대공녀와 결혼했는데, 이는 제정 러시아와 네덜란드 간의 우호 관계를 공고히 하기 위해 알선된 결혼이었다. 1817년 2월 17일, 브뤼셀에서 그의 첫 아들인 훗날 네덜란드 국왕 빌럼 3세가 태어났다.

1819년에 그는 법무부 장관 판 마넨이 편지에서 "수치스럽고 부자연스러운 욕정"이라고 칭한 것에 대해 협박을 받았다. 아마도 양성애로 추정된다. 그가 1848년 헌법 개정에 서명하여 의회 민주주의를 가능하게 한 것은 부분적으로 협박의 영향일 수 있다.[18] 그는 또한 페레이라라는 이름의 댄디와 관계를 가졌을 수도 있다.[19]

빌럼 2세는 남녀를 불문하고 여러 관계를 맺었고, 이는 그가 협박을 받는 결과로 이어졌다.[31][32][33][34] 동성애 관계는 빌럼 2세가 왕세자 시절과 국왕 시절에 가졌으며, 이는 언론인 Eillert Meeter|에일러르트 메터르nl에 의해 보도되었다.[35] 국왕은 처음부터 그들을 고용했던 '혐오스러운 동기' 때문에 해고할 수 없었던 남성 시종들로 자신을 둘러쌌다.[36] 그의 가장 가까운 친구 중 한 명은 왈로니아 귀족 알베릭 뒤 샤스텔이었다. 빌럼 2세는 1818년 남성과의 친밀한 관계 때문에 처음으로 협박을 받았다. 네덜란드 비밀 경찰이 협박범들을 체포한 후, 그들은 네덜란드 해외 식민지로 추방되었다.[37]

8. 가계도

빌럼 1세조부:
빌럼 5세증조부:
빌럼 4세증조모:
영국 공주 안[1]조모:
빌헬미나증조부:
프로이센 왕자 아우구스트 빌헬름[2]증조모: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녀 루이제 아말리에[3]모:
빌헬미나조부: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증조부:
프로이센 왕자 아우구스트 빌헬름[2]증조모: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녀 루이제 아말리에[3]조모:
프리데리케[4]증조부:
루트비히 9세증조모:
헨리에테



:1. 영국 왕 조지 2세의 장녀.[1]

:2. 프로이센 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다섯째 아들이자, 프로이센 왕 프리드리히 2세 (대왕)의 동생이며, 프로이센 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의 아버지이다. 어머니는 영국 왕 조지 1세의 장녀 조피 도로테아이다.[2]

:3. 차남 안톤 울리히는 안나 레오폴도브나와 결혼하여, 러시아 황제 이반 6세의 아버지가 되었다. 장녀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는 프로이센 왕 프리드리히 2세(대왕)의 왕비이다. 여동생 율리아네 마리는 덴마크·노르웨이 왕 프레데리크 5세의 왕비이다. 또한, 고모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는 신성 로마 황제 카를 6세의 황후, 마리아 테레지아의 어머니이다. 같은 계열의 샤를로테 크리스티네는 러시아 황실로 시집가 표트르 2세의 어머니가 되었다.[3]

:4. 여동생 빌헬미나 (러시아어: Наталья Алексеевна)는 러시아 황제파벨 1세의 황후이다. 조카 (여동생 아말리에의 자녀)로는 바이에른 왕막시밀리안 1세의 왕비 카롤리네, 러시아 황제 알렉산드르 1세의 황후 엘리자베타 알렉세예브나, 스웨덴 국왕구스타프 4세 아돌프의 왕비 프리데리케가 있다.[4]

8. 1. 네덜란드 왕실 가계도

사진이름생일사망기타
빌럼 3세1817년 2월 19일1890년 11월 23일네덜란드 국왕, 자녀 3남 1녀
알렉산더르1818년 8월 2일1848년 2월 20일미혼
헨드릭1820년 6월 13일1879년 1월 14일자녀 없음
에른스트1822년 5월 21일1822년 10월 22일요절
소피1824년 4월 8일1897년 3월 23일카를 알렉산더 폰 작센바이마르아이제나흐 공작과 결혼, 1남 3녀


8. 2. 룩셈부르크 대공가 가계도

룩셈부르크 대공가


9. 일본과의 관계

1844년 아편 전쟁 이후, 빌럼 2세는 일본에 개항을 권고하는 국서를 쇼군 도쿠가와 이에요시에게 보냈다.[39] 그러나 이듬해 에도 막부는 "쇄국은 선대부터의 조법"이라며 이를 거절했다.

참조

[1] 웹사이트 Nieuw Nederlandsch biografisch woordenboek. Deel 1 http://www.dbnl.org/[...] 2017-09-01
[2] 웹사이트 Z.M. (koning Willem II) koning Willem Frederik George Lodewijk, koning der Nederlanden, groothertog van Luxemburg, hertog van Limburg, prins van Oranje-Nassau https://www.parlemen[...] 2017-09-01
[3] 웹사이트 Willem Frederik George Lodewijk (1792–1849) http://www.schevenin[...] 2017-09-01
[4] 간행물 London Gazette 1811-06-11
[5] 간행물 London Gazette 1811-10-22
[6] 간행물 London Gazette 1812-09-08
[7] 간행물 London Gazette 1813-12-14
[8] 웹사이트 The British Army in the Low Countries, 1813–1814 http://www.napoleon-[...] 2014
[9] 간행물 London Gazette 1814-07-09
[10] 간행물 London Gazette 1814-08-09
[11] 서적 '1815, The Waterloo Campaign, The German Victory'
[12] 웹사이트 William, Prince of Orange, wounded at the Battle of Waterloo, 1815 {{!}} Online Collection {{!}} National Army Museum, London https://collection.n[...]
[13] 웹사이트 Willem II, Koning (1792-1849) https://www.koninkli[...] 2014-12-15
[14] 웹사이트 Geschiedenis van het Paleis Soestdijk https://www.paleisso[...] 2015-06-16
[15] 서적 History of the War in France and Belgium in 1815 1844
[16] 서적 Beschouwingen over Siborne’s Geschiedenis van den Oorlog van 1815 1846
[17] 뉴스 Willem II en de Slag bij Waterloo – 1815 https://www.historis[...] Historisch Nieuwsblad 2015-06
[18] 뉴스 Koning Willem II gechanteerd wegens homoseksualiteit http://www.nrc.nl/ni[...] 2013-11-29
[19] 서적 Voor de troon wordt men niet ongestrafd geboren, ooggetuigen van de koningen van Nederland 1830–1890 2007
[20] 논문 Onze Sasja is niet meer: Het verlies van een veelbelovende prins in het revolutiejaar 1848 https://www.aup-onli[...] 2024-04-01
[21] 웹사이트 Militaire Willems-Orde: Oranje-Nassau, Willem Frederik George Lodewijk, Prins van https://www.defensie[...] 1815-07-08
[22] 문서 Arrêté royal grand-ducal du 29 décembre 1841, Litt. A, portant institution, pour le Grand-Duché du Luxembourg d'un Ordre de la Couronne de Chêne. https://web.archive.[...] 1842-01-03
[23] 문서 Hof- und Staats-Handbuch des Großherzogtum Baden https://digital.blb-[...] 1845
[24] 서적 Hof- und Staatshandbuch für das Königreich Hannover: 1846 https://books.google[...] Berenberg
[25] 문서 Liste der Ritter des Königlich Preußischen Hohen Ordens vom Schwarzen Adler https://www.digitale[...] 1851
[26] 서적 Almanach de la cour: pour l'année ... 1817 https://books.google[...] l'Académie Imp. des Sciences
[27] 문서 Hof- und Staatshandbuch des Österreichischen Kaiserthumes 1847
[28] 문서 Staatshandbuch für das Großherzogtum Sachsen / Sachsen-Weimar-Eisenach https://zs.thulb.uni[...] 1843
[29] 문서 Caballeros Existentes en la Insignie Orden del Toison de Oro https://babel.hathit[...] 1819
[30] 서적 Staatshandbuch für Württemberg https://archive.org/[...] Guttenberg
[31] 웹사이트 Intense Male Friendships Made King Willem II Liable to Blackmail http://www.gay-news.[...] 2017-09-01
[32] 서적 Koning Willem II: 1792–1849 Gay News 2013
[33] 뉴스 Willem II: intelligent, chantabel en in de knel https://www.nrc.nl/n[...]
[34] 뉴스 Boeken: Jeroen van Zanten, Koning Willem II (1792–1849) https://www.historis[...]
[35] 서적 Holland: its institutions, its press, kings and prisons https://archive.org/[...] 1857
[36] 서적 Holland: its institutions, its press, kings and prisons https://archive.org/[...] 1857
[37] 서적 Koning Willem II: 1792-1849
[38] 서적 1815, The Waterloo Campaign, The German Victory
[39] 뉴스 19世紀後半、黒船、地震、台風、疫病などの災禍をくぐり抜け、明治維新に向かう(福和伸夫) https://news.yahoo.c[...] 2020-08-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